KR101895190B1 - 사출금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출금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190B1
KR101895190B1 KR1020180046078A KR20180046078A KR101895190B1 KR 101895190 B1 KR101895190 B1 KR 101895190B1 KR 1020180046078 A KR1020180046078 A KR 1020180046078A KR 20180046078 A KR20180046078 A KR 20180046078A KR 101895190 B1 KR101895190 B1 KR 10189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module
mold
magnetic mean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앤우리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앤우리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앤우리기술
Priority to KR102018004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및 제1밀판과, 제1밀핀이 구비되는 고정측금형과; 노즐과, 제1성형 공간 및 제2성형공간이 구비되어 고정측금형의 타측에 위치하는 중간금형과; 제2밀판 및 제2밀핀이 구비되어 중간금형의 타측에 위치하는 가동측금형과; 일정길이를 가지되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합형된 금형의 일면 좌우 및 합형된 금형의 타면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가이드편과, 각 가이드편의 일측부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장공과, 제1, 2장공 각각을 따라 이동하는 제1, 2가이드핀으로 이루어지는 이동가이드장치와; 복수 개의 냉각수유도체를 포함하여 가동측금형에 내설되는 금형냉각장치와; 언더컷 처리부가 구비되며 그 일단부위가 제2밀판에 고정결합되는 탄성코어를 포함하는 이종제품의 동시성형이 가능한 사출금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출금형 시스템{Injection molding system}
본 발명은 사출금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를 단일화하고 게이트를 통해 서로 다른 성형공간에 수지를 동시에 주입하여 이종제품을 동시에 성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사출금형의 효과적인 사후 세척이 가능한 사출금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출금형이란 사출 실린더를 포함하는 성형기에 금형을 결합시킨 다음 적정한 온도로 용융된 수지를 최종 제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성형공간에 적정한 압력 및 속도로 충전시킨 이후, 냉각체를 이용하여 성형공간에 충전된 수지를 냉각고화시켜 성형제품을 생산하는 도구이다. 사출금형은 금형의 개방 단계에 따라 2단 금형 및 3단 금형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근자 단일의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품을 동시에 성형하는 멀티금형 또는 스택금형 분야에 관련업계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도 5는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는 멀티금형의 구성을 보여준다. 이 기술은 중간금형(120)의 일면 및 타면 각각에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2캐비티(141, 142)를 형성하고, 제1, 2캐비티(141, 142) 각각에의 수지주입은 서로 다른 길이 및 경로를 달리하는 제1, 2노즐(115, 116)을 배치한 다음, 수지의 주입이 완료되면 냉각과정을 거쳐 가동측금형(130)을 개방하여 제1, 2캐비티(141,142)에 의해 만들어지는 서로 다른 형상의 제품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처럼 제1, 2캐비티 각각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제1, 2노즐을 배치하더라도, 제1, 2노즐을 따라 이동하는 수지에 작용하는 사출압력은 동일하기 때문에 수지가 상대적으로 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해야 하는 제2노즐의 경우 제2캐비티 일측부위에서의 수지 압력은 제1노즐에 있어 제1캐비티 일측부위에서의 수지 압력에 비해 낮을 수 밖에 없게 되고, 결국 제2캐비티에 의해 만들어지는 성형제품은 불량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 기술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측금형(110), 중간금형(120), 가동측금형(130) 각각을 가이드핀(131)으로 매개하여, 가동측금형(130)이 개방될 때 고정측금형(110) 및 중간금형(120) 각각은 가이드핀(131)에 의해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럴 경우 장시간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가동측금형(130)의 개방이 반복되면, 가이드핀(131)을 가동측금형(130)에 고정하는 볼트가 손상되거나 볼트의 조임이 느슨해질 수 있는데, 이는 제품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에서 가이드핀(131)의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구조란 점에서 심한 경우에는 가동측금형의 개방과정에서 금형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무엇보다도 사출금형 작업 이후에 사후적인 사출금형장치의 세척, 그리고, 이러한 세척장치의 유지 관리 보수 등의 부분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4519호
본 발명은,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를 단일화하고 게이트를 통해 서로 다른 성형공간에 수지를 동시에 주입하여 이종제품을 동시에 성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출금형의 효과적인 사후 세척이 가능한 사출금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출금형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단부위가 노출되는 게이트와, 일측부위에 내설되는 제1밀판과, 일단부위가 제1밀판의 일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밀핀이 구비되는 고정측금형과;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게이트의 일단부위와 연통되는 노즐과, 일면 중앙부위에 형성되되 일측부위가 노즐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1성형공간이 구비되는 이종제품의 동시성형이 가능한 사출금형장치; 상기 사출금형장치의 세척을 위한 금형세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세척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회전부재로 연결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오염방지 가공처리된 것인 사출금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 시스템에 의하면,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를 단일화하고 게이트를 통해 서로 다른 성형공간에 수지를 동시에 주입하여 이종제품을 동시에 성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사출금형의 효과적인 사후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 중 사출금형장치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금형냉각장치에 있어 냉각수유도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금형냉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에 있어 탄성코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종래 사출금형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이다.
도 6은 종래 사출금형에 있어 탄성코어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금형세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금형세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도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사출금형 시스템의 각 구성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출금형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를 보여준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고정측금형(10), 중간금형(20), 가동측금형(30), 그리고 이동가이드장치(40), 금형냉각장치(50), 탄성코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고정측금형(10)에는 게이트(110), 제1밀판(120), 제1밀핀(130)이 구비된다. 게이트(110)는 고정측금형(10)의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그 일단부위는 고정측금형(10)의 타측부위로 노출된다. 게이트(110)의 타단부위에는 미도시된 스프루가 마련되며, 스프루는 미도시된 사출실린더와 연결된다. 제1밀판(120)은 고정측금형(10)의 일측부위에 내설되며 미도시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된다. 제1밀핀(130)은 일단부위가 제1밀판(120)의 일면에 고정결합되며, 타단부위는 후술할 제1성형공간(230)의 일측부위에 위치한다. 도면부호 142는 후술할 제1성형공간을 이루는 대응면이다. 중간금형(20)은 고정측금형(10)의 타측에 위치하며, 노즐(210), 제1, 2성형공간(230, 250)이 구비된다. 노즐(210)은 중간금형(20)의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게이트(110)의 일단부위와 연통된다. 제1성형공간(230)은 중간금형(20)의 일면 중앙부위에 형성되며, 그 일측부위는 노즐(210)의 일단부위와 연결된다. 제2성형공간(250)은 중간금형(20)의 타면 중앙부위에 형성되며, 그 일측부위는 노즐(210)의 타단부위와 연결된다.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종제품을 동시성형함에 있어 동일한 사출압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게이트 경로로서 수지를 주입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수지가 이동하는 거리가 긴 쪽의 게이트 단부에서 사출압력이 낮아져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120)를 단일화하고, 게이트(120)를 통해 제1성형공간(230)에 수지를 주입함과 동시에 노즐(210)을 통해 제2성형공간(250)에 수지를 주입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제2성형공간(250)은 제1성형공간(230)과 그 형상 및 구조가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종제품을 동시에 성형하기 위함이다. 도면부호 211은 게이트(110)의 단부와 제1성형공간(230) 사이를 연결하는 주입로이며, 도면부호 231은 노즐(210)의 타단과 제2성형공간(250) 사이를 연결하는 주입로이다. 본 발명은 중간금형(20)에 노즐(210)을 형성함에 있어 도면과 같이 노즐(210)의 직경이 중간금형(20)의 일측부위에서 중간금형(20)의 타측부위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노즐(210)의 일측부위를 통해 수지가 주입될 때 노즐(210)의 타측부위에서 수지에 작용하는 사출압력이 급속하게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용융된 수지가 노즐(210)을 통해 주입된 이후 사출압력이 제거될 때 수지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동측금형(30)은 중간금형(20)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2밀판(320) 및 제2밀핀(330)이 구비된다. 제2밀판(320)은 가동측금형(30)의 일측부위에 내설되며 미도시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된다. 제2밀핀(330)은 일단부위가 제2밀판(320)의 일면에 고정결합되며, 타단부위는 제2성형공간(250)의 일측부위에 위치한다. 도면부호 342는 제2성형공간을 이루는 대응면이다. 이동가이드장치(40)는 가동측금형(30)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가이드편(41), 제1, 2가이드핀(44, 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편(41)은 도면과 같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합형된 금형의 일면 좌우 각각, 그리고 도면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았지만 합형된 금형의 타면 좌우 각각에 위치한다. 일정길이를 가지는 각 가이드편(41)에는 제1, 2장공(42, 46)이 형성된다. 제1장공(42)은 각 가이드편(41)의 일측부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장공(46)은 제1장공(4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 가이드편(41)의 타측부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가이드핀(44) 각각은 일측부위가 중간금형(20)에 관통결합되어 중간금형(20)이 이동할 때 각 제1장공(4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제2가이드핀(48) 각각은 일측부위가 가동측금형(30)에 관통결합되어 가동측금형(30)이 이동할 때 각 제2장공(46)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 2가이드핀(44, 48) 각각은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편(41)을 금형의 외부에 장착하게 되면, 종래와 달리 가동측금형(30)의 원활한 개방정도 및 이상 유무를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동과정에서의 금형의 손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와 달리 중간금형 및 가동측금형 각각에 대한 가이드핀의 결합위치를 간단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가동측금형(30)의 개방정도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산성의 저하없이 의도하는 성형제품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금형냉각장치(50)는 중간금형(20)의 제1, 2성형공간(230, 250)에 주입되는 수지를 냉각고화시키는 수단으로 가동측금형(30)에 내설되며, 냉각수유로(54) 및 보조냉각수유로(58)와 냉각수유도체(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b에 개시된 것과 같이, 냉각수유로(54)는 가동측금형(30)의 내부에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일측부위는 냉각수유입홀(52)과 연통되며 타측부위는 냉각수배출홀(56)과 연통된다. 냉각수유입홀(52) 및 냉각수배출홀(56) 각각은 가동측금형(30)의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된다. 보조냉각수유로(58)는 냉각수유도체(51)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각 일측부위가 냉각수유로(54)와 연통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보조냉각수유로(58)는 각수유로(54)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유도체(51)는 냉각수유로(54)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우회시켜 중간금형(20)을 냉각시키는 수단이며, 몸체(511) 및 가이드단(5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511)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로 재질을 한정하는 이유는 생산성 및 교체 용이성을 감안함과 동시에 냉각수에 의한 부식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유도체(51)의 일례가 도 2a에 개시되어 있는데, 몸체(511)에는 내부유로(513)와 유입공(515) 및 개구홀(512)이 형성된다. 내부유로(513)는 몸체(511)의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유입공(513)은 되냉각수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몸체(511)의 일측부위에 형성된다. 개구홀(512)은 냉각수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몸체(511)의 타단부위에 형성된다. 유입공(513) 및 개구홀(512) 각각은 내부유로(513)와 연통된다. 가이드단(517)은 냉각수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몸체(511)의 외면에 나선구조로 마련된다. 가이드단(517)의 외면은 보조냉각수유로(58)의 내면에 밀착되고, 그 하단부위는 냉각수유로(54)와 연통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는 냉각수가 가이드단(517)에 의해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후자는 가이드단(517)에 의해 유도된 냉각수가 냉각수유로(54)의 일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부호 514는 가동측금형(30)에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다. 이러한 금형냉각장치(50)가 가동측금형(30)에 내설되는 경우의 냉각수 흐름을 도 2b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각수유도체(51)는 제1, 2, 3냉각수유도체(a1, a2, a3)로 구분한다. 냉각수가 가동측금형(30)의 냉각유입홀(52)로 유입되면(①), 냉각수는 냉각수유로(54)를 따라 일정거리 이동한 다음 제1냉각수유도체(a1)의 유입공(515)을 통해 제1냉각수유도체(a1)의 내부유로(513)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 다음, 제1냉각수유도체(a1)의 상단개구홀(512)을 통해 보조냉각수유로(58)의 상단부위 공간으로 빠져나온다(②). 이후, 냉각수는 제1냉각수유도체(a1)의 가이드단(517)을 따라 나선운동하며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중간금형(2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한다. 열을 흡수하며 제1냉각수유도체(a1)의 가이드단(517) 하단부위로 이동한 냉각수는 냉각수유로(54)를 거쳐 제2냉각수유도체(a2)의 유입공(515)으로 진입한다(③). 제2냉각수유도체(a2)의 유입공(515)으로 진입한 냉각수는 제2냉각수유도체(a2)의 내부유로(513)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 다음, 전술한 제1냉각수유도체(a1)와 동일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중간금형(20)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뒤이어, 냉각수는 동일한 이동경로를 거치며 인접한 제3냉각수유도체(a3)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열을 흡수하고(④), 최종적으로 가동측금형(30)에 마련되는 냉각수배출홀(5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⑤).
본 발명은 금형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수유로에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냉각수유도체를 삽입하여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냉각수에 의한 부식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냉각수유도체에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가이드단을 이용하여 냉각수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되 냉각수가 복수 개의 냉각수유도체를 연속하여 유동하도록 하여 보다 많은 시간동안 금형과 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증진된 냉각효율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탄성코어(60)는 성형제품에 언더컷이 형성될 때 성형제품을 용이하게 취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코어(60)는 도 3a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고정부(62), 탄성부(64), 언더컷 처리부(66)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62)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부위가 제2밀판(320)에 고정결합된다. 탄성부(64)는 고정부(62) 상부에 마련되며 복원부(642) 및 가압부(6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복원부(642)는 고정부(62)의 상부 일측에서 일정수직높이로 분지된다. 가압부(644)는 고정부(62)의 상부 타측에서 절개부(63)를 사이에 두고 일정수직높이로 분지되며, 그 상단부위(645)는 절개부(63) 방향으로 일정각도 굴곡져 복원부(642)의 일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한다. 언더컷처리부(66)는 복원부(642)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2성형공간(250)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 일측면에는 언더컷처리를 위한 홈(662)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664는 언더컷처리부(66)의 상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단차면이며, 이는 언더컷처리부(66)가 가동측금형(30)에 삽입되어 승하강할 때 경사면(666)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탄성코어(60)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도 3b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가동측금형과 중간금형 합형되면, 하원판의 관통공에 삽입된 탄성코어(60)의 언더컷처리부(66)의 상단부위 및 홈(662)이 형성되는 일측면 부위는 제2성형공간(250)의 일부를 이룬다. 이때, 탄성코어(60)의 언더컷 처리부(66)는 하원판의 관통공에 강제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복원부(642)에 의한 제1복원력(①)과 가압부(644)에 의한 제2복원력(②)이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한다. 용융된 수지가 제2성형공간(250)에 주입된 다음 일정시간 냉각되면 성형제품(P)의 일면에는 언더컷(P′)이 형성된다. 가동측금형(30)이 중간금형(2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제2밀판(320)이 상승하면, 탄성코어(60)의 언더컷처리부(66)가 하원판 상면으로 서서히 노출된다. 하원판의 관통공에 강제 삽입되어 있던 언더컷처리부(66)가 하원판의 관통공을 통해 노출되면, 복원부(642)에 의한 제1복원력(①)과 가압부(644)에 의한 제2복원력(②)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언더컷처리부(66)는 좌측 상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며 상승하게 된다. 즉, 복원부(642)에 의한 제1복원력(①)과 가압부(644)에 의한 제2복원력(②)의 합력에 따라 언더컷처리부(66)는 수직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 경사지며 ③의 궤적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언더컷처리부(66)의 상승 궤적에 따라 성형제품(P)의 언더컷(P′) 부위는 언더컷처리부(66)의 홈(662)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면서 취출되고 이에 따라 성형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종래 사출금형에 사용되는 탄성코어는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원부의 길이를 성형부보다 길게 형성하고, 성형제품 취출시에는 성형부의 홈 부위만이 하원판(230) 상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성형제품의 언더컷 부위가 깊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성형부가 하원판 상면으로 일정길이 이상 노출되어야 하는데, 종래탄성코어는 그 구조적 한계로 인해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성형제품의 언더컷 형성을 위한 홈이 마련되는 탄성코어의 언더컷처리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복원부 및 가압부를 이중으로 구성하게 되면, 언더컷처리부가 높은 사출압력에 노출되더라도 장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은 물론 성형제품의 언더컷 부위가 깊게 형성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a는 수지의 주입을 위해 금형이 합형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제1가이드핀(44)은 각 가이드편(41)의 제1장공(44) 일측부위에 위치하며, 제2가이드핀(48)은 각 가이드편(41)의 제2장공(46)의 타측부위에 위치한다. 즉, 제1, 2가이드핀(44, 48) 사이 간격은 최소가 된다. 이 상태에서 게이트(110)를 통해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면, 일정 사출압력으로 주입된 수지 중의 일부는 주입로(211)를 거쳐 제1성형공간(230)을 채우고, 이와 동시에 주입된 수지 중의 나머지는 노즐(210) 및 주입로(231)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2성형공간(250)을 채운다. 수지 주입이 완료되면 사출압력이 제거되고, 금형냉각장치(50)를 통해 냉각수가 유동한다. 냉각수의 유동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냉각수의 작용으로 제1, 2성형공간(230, 250) 각각에 채워져 있는 성형제품(P1, P2)이 고화되면, 냉각수의 유동은 중지되고 미도시된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가동측금형(30)을 일방향으로 당기면 금형은 도 4b와 같이 1차 개방된다. 이때, 각 제2가이드핀(48)은 가동측금형(3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측금형(30)이 개방될 때 각 제2가이드핀(48)은 각 제2장공(46)을 따라 가동측금형(30)과 함께 이동하며, 금형의 1차개방은 각 제2가이드핀(48)이 각 제2장공(46)의 일측부위와 접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금형이 1차 개방되면 성형제품 P2는 중간금형(20)과 분리되어 외부로 노출된다.금형의 1차 개방이 완료된 다음 유압실린더가 연속하여 더 작동하면, 도 4c와 같이 금형은 2차 개방된다.
금형이 1차 개방될 때 각 제2가이드핀(48)은 각 제2장공(46)의 일측부위와 접한 상태이고, 각 제1가이드핀(46)은 중간금형(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 제1장공(44)의 일측부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유압실린더가 더 작동하여 가동측금형(30)을 당기면 각 제1가이드핀(44)은 각 제1장공(44)을 따라 이동하며 제1장공(44)의 타측부위와 접한다. 즉, 중간금형(20)은 제1장공(44)의 길이만큼 가동측금형(30)과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성형제품 P1은 고정측금형(10)과 분리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금형의 2차 개방이 완료되면, 각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제1, 2밀판(120, 320)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작동한다. 제1, 2밀판(120, 320)이 작동하면, 이들 각각에 결합되어 있던 제1, 2밀핀(130, 330) 및 탄성코어(60)가 일방향 및 타방햐으로 작동하면서 도 4d와 같이 성형제품 P1, P2를 밀어내면 작업자가 이를 회수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제2밀판(320)의 작동에 따라 탄성코어(60)가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제품을 밀어내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금형세척장치>
도 7 내지 도 8은 전술한 사출금형장치의 세척을 위한 금형세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금형세척장치는 기본적으로 상부가 개구된 프레임(700)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포스트(200')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포스트(200')는 프레임(700)의 바닥면과 고정설치되며 그 상단부에는 플레이트(250')가 결합된다. 상기 플레이트(250')와 포스트(200')의 결합은 베어링(251')을 이용하여 조립되며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는 고정된 포스트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스트(200')를 고정시키고 플레이트(250')가 회전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뿐만 아니라 상기 포스트(200')를 공지의 모터 및 감속수단(미도시)으로서 연결하여 스위치 조작으로 상기 포스트 자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모터 및 감속수단과 포스트의 연결구조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바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250')의 상면에 세척하고자 하는 금형(즉, 전술한 사출금형, 이하 M이라 함)을 올려놓으며, 금형이 고하중이므로 크레인으로서 들어올려 놓게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00)의 일측으로는 세척유가 공급되는 세척유노즐(750)이 갖추어진다. 세척유노즐(750)로의 세척유의 공급은 프레임의 외부에 갖추어지는 세척펌프(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자동공급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유노즐은 플렉시블한 것으로 하여 작업자가 자유롭게 금형의 특정부위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플렉시블한 구조의 노즐은 공지의 것들을 적용할 수 있는 바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프레임(700)의 상부에 커버(710)를 더 설치토록 할 수 있다. 커버(710)와 프레임(700)의 연결은 힌지(712)를 사용토록 하며 커버가 닫혔을때는 프레임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00)의 내측에는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노즐(760)이 또한 구비되도록 한다. 에어노즐 또한 플렉시블한 구조를 갖추도록 하여 작업자가 자유롭게 금형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노즐을 통한 에어의 분사로 인해 금형에 잔존하는 세척유를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에어노즐의 사용시에는 커버를 닫은 상태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어노즐의 배치는 프레임의 일측뿐 아니라 커버의 상부에도 여러개 설치하여 신속하게 세척유의 제거가 가능토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첨부되는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할때의 금형세척장치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710)를 닫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금형에 대한 세척유의 분사나 에어의 분사시에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 토록 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710)의 전면부에 하나 혹은 다수개의 관통홀(71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신축성이 있는 고무등으로 제작되는 아암(715)을 부착시킨 구조를 갖추며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아암(715)의 단부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무장갑과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아암을 통하여 작업자가 손을 넣게되며 세척유노즐이나 에어노즐을 파지하여 세척유 혹은 고압의 에어를 금형을 향해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커버의 전면 혹은 전체를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작하며 따라서 작업자는 세척유 분사시나 에어분사시 내부의 금형을 보면서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세척유나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게 된다.
<오염방지 가공수단 1>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가공대상물(즉,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프레임(100), 커버(110),포스트(200')등에 해당함.)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유닛(810)과, 분사유닛(8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821, 822)과, 상기 지지유닛(821, 822)을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830)을 포함한다. 분사유닛(810)은 경사지게 설치된 가공대상물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분사유닛(810)에는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813)가 연결되며, 저장탱크(813)의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공급펌프(814)의 펌핑에 의해 분사유닛(810)으로 공급된다. 이에, 분사유닛(810)은 저장탱크(813)로부터 공급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사유닛(810)의 일측에는 간격감지센서(815)가 설치되어 분사유닛(8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분사유닛(8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821, 822)은 분사유닛(810)을 지지함과 더불어, 분사유닛(810)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유닛(821, 822)은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825)와, 가이드부(825)의 하단에 형성된 피벗부(826)와, 이 피벗부(8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8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827)를 가진다. 가이드부(825)의 일면(즉,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825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825a)에는 가이드블록(8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블록(811)에는 분사유닛(810)이 장착됨에 따라 분사유닛(810)은 가이드부(825)를 따라 가공대상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피벗부(826)는 후술하는 가이드유닛(830)의 수직폴대(831)의 상단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가이드부(8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연장부(827)는 피벗부(826)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연장부(827)는 가이드부(8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부(827)의 단부에는 중심추(828, weight)가 설치되고, 이러한 중심추(828)에 의해 지지유닛(821, 822)은 그 무게 중심이 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825)에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용 와이어(823)가 연결되고, 이러한 처짐방지용 와이어(823)에 의해 가이드부(825)가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향해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용 와이어(823)의 일단부는 가이드부(825)에 고정되고, 처짐방지용 와이어(823)의 타단부는 지지체(824)의 지지롤러(824a)에 조절가능 하게 설치된다. 지지체(824)는 연장부(827)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롤러(824a)는 지지체(824)의 도중에 설치된다.지지유닛(821, 822)은 가공대상물의 중심선(8CL)을 기준으로 상부공간(TA) 및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각 분사유닛(810)이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도록 2개의 지지유닛(821, 822)으로 구성된다. 제1지지유닛(821)은 가공대상물의 상부공간(T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810)이 가이드부(825)의 상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지지유닛(822)은 가공대상물의 하부공간(L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810)이 가이드부(825)의 하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유닛(821, 822)이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상부공간(TA)과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독립적으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코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코팅물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830)은 지지유닛(821, 822)의 피벗부(8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831)와, 수직폴대(8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832)와, 홀더(832)를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833)를 포함한다. 수직폴대(8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834)가 형성되고, 이 피벗연결부(834)에는 지지유닛(820)의 피벗부(826)가 피벗축(835)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폴대(831)는 홀더(8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유닛(821, 822)의 피벗부(826)와 수직폴대(831)의 피벗연결부(834)에는 복수의 통공(826a, 834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피벗축(835)을 중심으로 피벗부(826)가 일정 각도로 피벗팅한 이후에 다울핀(836)이 피벗부(826) 및 피벗연결부(834)의 서로 맞춰진 통공(826a, 834a)들에 끼워짐으로써 지지유닛(821, 822)의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지지유닛(821, 822)의 가이드부(8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그 경사각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더(832)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홀더(832)의 중공부에는 수직폴대(8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홀더(83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832b)이 마련된다. 수직폴대(831)와 홀더(832)에는 복수의 통공(831a, 6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직폴대(831)가 홀더(832)의 중공부에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어 삽입된 이후에 다월핀(8dowel pin, 38)이 수직폴대(831) 및 홀더(832)의 서로 맞춰진 통공(831a, 632a)들에 끼워짐으로써 수직폴대(831)는 홀더(8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833)은 가공대상물이 설치된 바닥에 설치되고,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된다. 가이드레일(833)에는 홀더(832)의 가이드돌기(832b)가 가이드됨에 따라 수직폴대(831), 홀더(832) 및 지지유닛(821, 822)은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스크류(미도시)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블럭(832b)이 가이드레일(833)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더(832), 수직폴대(831), 지지유닛(821, 822)은 길이방향 이송속도가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가이드유닛(830)의 수직폴대(831) 및 홀더(832)가 가이드레일(833)을 통해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지지유닛(821, 822)들을 개별적으로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지지유닛(821, 822)에서 각 분사유닛(810)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분사유닛(810)은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오염방지 가공수단 2>
이하에서는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술한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6를 참조하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810)과, 상기 분사유닛(8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821, 822)과, 상기 지지유닛(821, 8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8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821, 822)은 소정의 가이드부(825)와, 상기 가이드부(8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8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826)와, 상기 피벗부(8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8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8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830)은 상기 지지유닛(821, 822)의 피벗부(8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831)와, 상기 수직폴대(8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832)와, 상기 홀더(8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8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8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821, 822)의 피벗부(8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8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8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8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8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8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8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825b)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유닛(8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8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8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8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8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825)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8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8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8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8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분사제어모듈은(840), 상기 하부가이드부(825a)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841)과, 상기 하부가이드부(825a)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8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8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8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8P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8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8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8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8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8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8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8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8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841)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8C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842)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8CL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825)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8CL1)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8CL2)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상기 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850a)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대상물은 소정의 제2 유동모듈(850b)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850a)은 , 최하단 제1-1 유동부(850a1)와, 상기 제1-1 유동부(850a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850a2)와, 상기 제1-2 유동부(850a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850a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850a1)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850a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850a3)는 상방에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850a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850b)은, 최하단 제2-1 유동부(850b1)와, 상기 제2-1 유동부(850b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850b2)와, 상기 제2-2 유동부(850b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850b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850b1)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850b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850b3)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850b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8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850b) 사이에는 완충모듈(86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8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850b)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860)과 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 유동된다.
상기 제1-1 유동부(8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850a3)의 상기 완충모듈(8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8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850b3)의 상기 완충모듈(8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860)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M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860)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M4)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8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850a3)가 상기 완충모듈(86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8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850a3)가 상기 완충모듈(8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제2-1 유동부(8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850b3)가 상기 완충모듈(860)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8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850b3)가 상기 완충모듈(8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완충모듈(8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 사이에 탄성수단(8C)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860)은, 상기 제1-1 유동부(8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850a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8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8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8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850a3)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8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8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제1-1 유동부(8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850a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8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850b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완충모듈(860)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850a31)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850a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860)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850a11)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850a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860)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850b31)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850b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860)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850b11)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850b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8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850a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850a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861)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850b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850b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86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수단(861)은 상기 제1-3 유동부(850a3)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850a3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861)은 상기 제2-3 유동부(850b3)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850b3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862)은 상기 제1-1 유동부(850a1)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850a1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862)은 상기 제2-1 유동부(850b1)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850b1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861)은 상기 제1-1 유동부(850a1)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850a3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861)은 상기 제2-1 유동부(850b1)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850b3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862)은 상기 제1-2 유동부(850a2)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850a1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862)은 상기 제2-2 유동부(850b2)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850b1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850a3) 및 상기 제1-1 유동부(850a1)는 상기 완충모듈(8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된다. 상기 제2-3 유동부(850b3) 및 상기 제2-1 유동부(850b1)는 상기 완충모듈(8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모듈(850a)의 하부에는 제1 운송모듈(87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8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동모듈(850b)의 하부에는 제2 운송모듈(88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8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며, 상기 제1 운송모듈(870)은, 제1-1 베이스부(871)와, 상기 제1-1 베이스부(87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1-2 베이스부(872)와, 상기 제1-2 베이스부(872)와 상기 제1 유동모듈(850a)의 상기 제1-1 유동부(850a1)를 결속시켜 상기 제1 유동모듈(850a)과 상기 제1 운송모듈(87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연동부(87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운송모듈(880)은, 제2-1 베이스부(881)와, 상기 제2-1 베이스부(88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2-2 베이스부(882)와, 상기 제2-2 베이스부(882)와 상기 제2 유동모듈(850b)의 상기 제2-1 유동부(850b1)를 결속시켜 상기 제2 유동모듈(850b)과 상기 제2 운송모듈(88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2 연동부(883)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베이스부(871)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베이스부(872)는 상기 제1-1 베이스부(87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베이스부(871)로부터 상기 제2 방향 과 상기 제1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며, 상기 제2-1 베이스부(881)는 상기 제4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2 베이스부(882)는 상기 제2-1 베이스부(88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베이스부(881)로부터 상기 제4 방향 과 상기 제3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된다. 상기 제2 거치패널(850b31) 상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890)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은 상기 거치모듈(890) 상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모듈(890)은, 상기 제2 거치패널(850b31) 상에 구비되는 패널부(891)와, 상기 패널부(891) 상에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패널(850b31)의 길이방향 및 높이 방항으로 각기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89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892)의 내측면 높이방향 상에는 고정돌기(892a)가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고정 시킨다.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오염방지 가공수단는 컨베이어(900)상에서 이송되는 전술한 대상물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9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915)에배치되는 회전수단(9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925)와, 상기 센터 사프트(9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 수평보(930)와, 상기 상방 수평보(9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940)와, 상기 상방 수평보(9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9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9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9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수단(942)을 구비한 이동블럭(945)과, 상기 상방 수평보(930)의 양측하부에서상기 사이드 수직바(9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9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947)을 구비하며, 상기 대상물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분사부(952)에 의해 대상물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950) 및 상기 스프레이건(9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상기 대상물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9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925)가 회전수단(9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9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9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9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9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9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9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9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분사부(9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9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9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9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9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9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9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942)은 이동블럭(9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9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9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940)를 이동블럭(9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 다. 또한, 제2 고정수단(947)은 스프레이건(950)을 사이드 수직바(9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9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940)에 스프레이건(9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9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9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9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965) 및 상기 공압탱크(9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9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965)와 관(9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950)에 관(9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프레이건(9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9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9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9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960)와 상기 스프레이건(950)에 관(9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9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9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925)에는 모터(9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9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있는 수평이동수단(980)이 구비되는데, 모터(986)에 의해 이동블럭(945)을 이동시키는경우, 모터(986)는 센터 사프트(925)에 상방 수평보(9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9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986)에는 스크류 환봉(9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987)은 이동블럭(9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988)에 연결되고, 모터(9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945)은 상방 수평보(930)에서 미끄럼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945)의 이동거리는 모터(9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986)의 축 회전수와 모터(9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9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9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9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9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9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9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9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945)은 모터(9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9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9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9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945)의 이동 거리는 대상물에 대응하스프레이건(9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945)에는 사이드 수직바(9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9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990)도 수평이동수단(980)과 마찬가지로 모터(9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990)은 모터(996)가 이동블럭(9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997)이 이동블럭(945)에 축 결합되며, 모터(986)와 스크류 환봉(997)이 피니언 기어(9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997)이 스프레이건(950)에 고정된 암스크류(9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9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940)가 모터(9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9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9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940)는 대상물에 맞는 스프레이건(9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950)의 분사부(952)은 스프레이건(950)의 단부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사프트(9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9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상기 대상물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컨베이어(900)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체(910a)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910a)는 하단부가 소정의 체결모듈(8000)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910a)는, 하방을 향하는 기둥부(910a1)와, 상기 기둥부(910a1)의 상방 제1 영역(L1)과 하방 제2 영역(L2) 사이의 측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910a2)가 구비된다.
도 22 내지 도 2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950)의 전단부 상에는 소정의 분사부(952)와, 상기 분사부(952)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일정범위로 틸트 유동되는 벽체 또는 바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변부(991)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9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가변부(991)의 내측면 상에는 다수의 석션부(SH)구비되어 상기 분사부(9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며, 상기 가변부(991)의 외측면 상에는 에어 분사를 위한 다수의 에어 분사부(95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레이건(950)의 상기 가변부(991)는 전체적 또는 개별적으로 정회전 동작 하거나 역회전 동작된다. 상기 스프레이건(950)의 후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952)의 토출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역분사부(99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950)의 하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952) 및 상기 역분사부(992)의 동작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역분사부(993)가 구비된다. 상기 역분사부(992)는 틸팅구조부(PT1)를 통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역분사부(993)은 좌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코팅장치는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한 소정의 가이드 수단(GM)과, 상기 가이드 수단(GM)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차단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차단몸체(994)와, 상기 차단몸체(994)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출몰부(995)와, 상기 차단몸체(994)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출몰부(996)와, 상기 차단몸체(994)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출몰부(997)와, 상기 차단몸체(994)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4 출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24 내지 도 2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몸체(994)로 부터 돌출된 상기 제2 출몰부(996)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900) 상의 가공 대상물들을 상호 일정하게 이격 시킨다. 상기 스프레이건(950)은 상기 스프레이건(950)의 전단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정의 암모듈(RB)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1 함입홈(RH1)이 형성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소정의 관절형 가이드부(GM1)와 상기 가이드부(GM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모듈(BM)이 구비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1 함입홈(RH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함입홈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2 함입홈(RH2)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가이드부(GM)는 상기 제2 함입홈(RH2) 상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가이드부(GM)의 단부에 위치되는 히팅부(HM)와 상기 히팅부(HM)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계폐형 촬영부로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제1 촬영부(CM1) 및 제2 촬영부(CM2)로 구비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히팅부(HM)의 상면을 폐쇄 또는 노출시키며, 상기 히팅부(HM)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저면부 상에는 제1 단열패널(C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촬영부(CM2)의 저면부 상에는 제2 단열패널(CH2)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5 단열패널(CH5)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5 단열패널(CH5)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2 영역에는 제6 단열패널(CH6)이 구비되며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6 단열패널(CH6)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2 촬영부(CM2)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950)은 상기 스프레이건(950)의 전단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소정의 제2 암모듈(RB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3 함입홈(RH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소정의 관절형 제2 가이드부(GM2)와 상기 제2 가이드부(GM2)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본체모듈(BM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3 함입홈(RH3)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함입홈(RH3)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4 함입홈(RH4)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가이드부(GM2)는 상기 제4 함입홈(RH4) 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2 가이드부(GM2) 단부상에 구비되는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왕복 유동되는 제2-2 암모듈(DM)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암모듈(UM)의 저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1브러쉬(BR1)가 구비되고, 상기 제2-2 암모듈(DM)의 상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2 브러쉬(BR2)가 구비된다. 상기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2 암모듈(DM)이 이격된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는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상기 제2-2 암모듈(D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는 브러시 회전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브러시 회전모드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와 상기 제2 브러쉬(BR2) 사이로 상기 가변부(991) 및 상기 분사부(952) 각각을 위치되도록 하여 세척한다. 상기 제1 브러쉬(BR1) 및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수평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모드 및 수직방향 수직 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가변부(991) 및 상기 분사부(952) 주변 상태를 모니터링한 이후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히팅부(HM)는 상기 가변부(991) 및 상기 분사부(952) 주변에 열을 가하며, 상기 가변부(991) 및 상기 분사부(952) 주변에 열을 가한 이후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이 상기 가변부(991) 및 상기 분사부(952)를 세척하며, 상기 세척 이후에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가 세척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제1 운송모듈(870) 및 상기 제2 운송모듈(880)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L')에 결속되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L')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L')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L')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 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L')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L')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피스톤모듈(PSM)과 실린더 모듈(SIM)이 구비되어 상호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L')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L')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L')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L')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측금형 20 : 중간금형
30 : 가동측금형 40 : 이동가이드장치
50 : 금형냉각장치 60 : 탄성코어

Claims (10)

  1. 사출금형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단부위가 노출되는 게이트와, 일측부위에 내설되는 제1밀판과, 일단부위가 제1밀판의 일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밀핀이 구비되는 고정측금형과;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게이트의 일단부위와 연통되는 노즐과, 일면 중앙부위에 형성되되 일측부위가 노즐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1성형공간이 구비되는 이종제품의 동시성형이 가능한 사출금형장치; 상기 사출금형장치의 세척을 위한 금형세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세척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회전부재로 연결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가공처리되며,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소정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와, 상기 피벗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와, 상기 수직폴대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과,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하되,
    상기 분사제어모듈은,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과,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 상기 제2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 상기 제4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하는 사출금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소정의 압출장치를 파지하기 위한 것이되,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압출장치는 소정의 제2 유동모듈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은 ,
    최하단 제1-1 유동부와,
    상기 제1-1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와,
    상기 제1-2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는 상방에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은,
    최하단 제2-1 유동부와,
    상기 제2-1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와,
    상기 제2-2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과 상기 제2 유동모듈 사이에는 완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과 상기 제2 유동모듈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과 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유동되는 사출금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과 상기 제3 자성수단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과 상기 제3 자성수단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제3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 사이에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사출금형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제3 자성수단 및 상기 제4 자성수단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 및 상기 제4 자성수단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3 유동부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2-3 유동부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1-1 유동부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2-1 유동부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1 유동부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2-1 유동부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1-2 유동부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2-2 유동부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 및 상기 제1-1 유동부는 상기 완충모듈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고,
    상기 제2-3 유동부 및 상기 제2-1 유동부는 상기 완충모듈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인 사출금형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모듈의 하부에는 제1 운송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동모듈의 하부에는 제2 운송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며,
    상기 제1 운송모듈은,
    제1-1 베이스부와,
    상기 제1-1 베이스부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1-2 베이스부와,
    상기 제1-2 베이스부와 상기 제1 유동모듈의 상기 제1-1 유동부를 결속시켜 상기 제1 유동모듈과 상기 제1 운송모듈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운송모듈은,
    제2-1 베이스부와,
    상기 제2-1 베이스부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2-2 베이스부와,
    상기 제2-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유동모듈의 상기 제2-1 유동부를 결속시켜 상기 제2 유동모듈과 상기 제2 운송모듈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2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베이스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베이스부는 상기 제1-1 베이스부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과 상기 제1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며,
    상기 제2-1 베이스부는 상기 제4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2 베이스부는 상기 제2-1 베이스부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4 방향 과 상기 제3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되되,
    상기 제2 거치패널 상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은 상기 거치모듈 상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모듈은,
    상기 제2 거치패널 상에 구비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 상에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패널의 길이방향 및 높이 방항으로 각기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의 내측면 높이방향 상에는 고정돌기가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고정 시키는 사출금형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송모듈 및 상기 제2 운송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가압부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가압부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부는 브릿지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의 상기 제1 안착부 대향면 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브릿지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의 상기 제2 안착부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하며,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인 사출금형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바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과, 제2 테이퍼 구조물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은 상기 제1 안착부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은 상기 제2 안착부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가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사출금형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의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2 범퍼모듈의 상기 제2 회전부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이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 상에 안착된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사출금형 시스템.
KR1020180046078A 2018-04-20 2018-04-20 사출금형 시스템 KR10189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78A KR101895190B1 (ko) 2018-04-20 2018-04-20 사출금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78A KR101895190B1 (ko) 2018-04-20 2018-04-20 사출금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190B1 true KR101895190B1 (ko) 2018-10-18

Family

ID=6413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78A KR101895190B1 (ko) 2018-04-20 2018-04-20 사출금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1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578Y1 (ko) * 2003-01-27 2003-05-12 김삼식 금형세척장치
KR20110034519A (ko) 2009-09-28 201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서 포트 삽입형 실리콘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505322B1 (ko) * 2013-10-29 2015-03-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초친수 오염방지 코팅물질 뿜칠장치
KR101705003B1 (ko) * 2015-08-18 2017-02-09 경성정밀주식회사 이종제품의 동시성형이 가능한 사출금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578Y1 (ko) * 2003-01-27 2003-05-12 김삼식 금형세척장치
KR20110034519A (ko) 2009-09-28 201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서 포트 삽입형 실리콘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505322B1 (ko) * 2013-10-29 2015-03-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초친수 오염방지 코팅물질 뿜칠장치
KR101705003B1 (ko) * 2015-08-18 2017-02-09 경성정밀주식회사 이종제품의 동시성형이 가능한 사출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101B2 (en) Powder coating booth
JPH10323873A (ja) 射出成形機
CN109404014B (zh) 一种隧道支护层模喷机构及其模喷方法
KR20180067326A (ko)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원터치 볼트 윤활유 자동 분사장치
US6514452B1 (en) Double-mold blow-mold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895190B1 (ko) 사출금형 시스템
CN116638700A (zh) 一种直线门发泡装置
IE86790B1 (en) Apparatus for taking out molded product
US7063593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urface treating interior of workpiece
CN210304235U (zh) 一种管内壁喷塑装置
CN115215067B (zh) 一种工件生产用给料装置及其给料工艺
CN106312835A (zh) 一种模具高效快速喷砂装置
CN114682771B (zh) 一种具有自动脱模功能的大型模具铸造设备及其使用方法
US3664798A (en) Parison-type bottle blowing machine
KR20200126127A (ko) 사출 금형장치
US7281922B2 (en) Continuous pallet production apparatus
CN114833907A (zh) 一种竹木成型机
CN110757725B (zh) 一种模内取放装置
CN208390962U (zh) 便于脱模的压铸机
CN209478811U (zh) 一种便捷排气泡的注塑机
JP2002102985A (ja) 鍛造プレス機のスプレーブロー装置
CN220464484U (zh) 一种注塑阀体内表面毛刺清理装置
CN212857660U (zh) 一种自动双面沙箱成型装置
CN217799330U (zh) 一种消防阀喷嘴加工机床
CN215703751U (zh) 一种轻量化汽车仪表板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