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190B1 -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5190B1 KR101725190B1 KR1020160043601A KR20160043601A KR101725190B1 KR 101725190 B1 KR101725190 B1 KR 101725190B1 KR 1020160043601 A KR1020160043601 A KR 1020160043601A KR 20160043601 A KR20160043601 A KR 20160043601A KR 101725190 B1 KR101725190 B1 KR 1017251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injection mold
- air vent
- housing
- receiving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9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구(110,收容口 )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수용구(110)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걸리는 헤드(240)가 형성된 왕복축(2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120)에 관통된 배기홀(130)과, 상기 왕복축(2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210)과, 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면(120)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300)을 포함한다.
상기 사출금형용 에어벤트(90)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하부축(220)에 압축스프링(300)이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기되는 에어에 포함된 합성수지 용융물(J)의 타르가 상기 압축스프링(300)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장시간 왕복축(200)의 승강 작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해 조립이 간편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구(110,收容口 )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수용구(110)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걸리는 헤드(240)가 형성된 왕복축(2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120)에 관통된 배기홀(130)과, 상기 왕복축(2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210)과, 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면(120)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300)을 포함한다.
상기 사출금형용 에어벤트(90)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하부축(220)에 압축스프링(300)이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기되는 에어에 포함된 합성수지 용융물(J)의 타르가 상기 압축스프링(300)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장시간 왕복축(200)의 승강 작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해 조립이 간편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출금형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압축스프링에 타르가 유입되어 고장을 유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분해가 용이하므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가 사출금형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재 용융물이 주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사출금형에 소재 용융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가 사출금형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품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신발의 밑창이나 깔창은, 합성수지 용융물(J)을 사출금형(50)에 주입하여 응고시켜서 성형시킨다. 이때 사출금형(50) 내부에 에어가 충전된 상태이므로 합성수지 용융물(J)이, 사출금형(50) 내부의 성형홈(57)에 구석구석 흘러들어갈 수 없게 되고, 상기 합성수지 용융물(J)이 에어에 포함된 산소에 의해서, 산화되어 변색되므로 불량을 발생시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출금형(50)에 합성수지 용융물(J)이 주입될 때, 상기 사출금형(50) 내부에 충전된 에어를 배기시킬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에어벤트(1)를 사용한다.
상기 에어벤트(1)는 상형(53)과 하형(55)으로 구성된 사출금형(50)에 있어서 상기 하형(55)에 설치된다. 즉, 상기 하형(55)의 하방에서 상기 성형홈(57)으로 연결된 장착홀(59)이 구성되고 상기 장착홀(59)에 상기 에어벤트(1)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에어벤트(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하방으로 관통된 내측홀(11)이 형성된 바디(10)가 구성되고, 상기 내측홀(11)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홀(11)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단에 헤드(23)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홀(11)의 상단에 걸리므로 닫힘 기능을 하는 왕복축(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홀(11)에는 단턱(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축(20)이 통과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턱(13)에 지지되고 상기 헤드(23)의 하단에 걸리는 압축스프링(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1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하방으로 관통되는 배기홀(15)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에어벤트(1)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처럼, 상기 사출금형(50)의 하형(55)에 상기 에어벤트(1)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형(53)과 하형(55)을 부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출금형(50) 속으로 합성수지 용융물(J)을 주입한다. 이때, 상기 왕복축(20)은 압축스프링(30)에 의해서 상승한 상태이므로 상기 내측홀(11)과 배기홀(15)은 하형(55)의 하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출금형(50) 내부의 에어는 합성수지 용융물(J)에 의해서 밀려나면서 상기 내측홀(11)과 배기홀(15)을 통해서 배출된다. 그러다가, 도 2에서처럼, 합성수지 용융물(J)이 사출금형(50) 내부에 충전된 상태가 되면 합성수지 용융물(J)이 상기 왕복축(20)의 헤드(23)를 하방으로 압축하게 되면서 상기 헤드(23)가 내측홀(11)을 닫게 되어, 합성수지 용융물(J)이 내측홀(11)을 통해서 에어벤트(1)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합성수지 용융물(J)이 응고되면 상기 상형(53)과 하형(55)을 분리하므로 도 3에서처럼 제품(M)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왕복축(20)은 상방으로 복원되면서 내측홀(11)은 상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에어벤트(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배기되는 상기 에어와 함께 상기 합성수지 용융물(J)에서 발생하는 기체도 상기 내측홀(11)과 배기홀(15)을 통해서 배기되는데, 상기 기체에 포함된 타르가 상기 압축스프링(30)과 왕복축(20)에 잔류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사출금형(5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타르가 응고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30)이 왕복축(20)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막상 사용할 때에는 상기 압축스프링(30)이 압축되지 않게 되어, 합성수지 용융물(J)이 상기 내측홀(11)로 유입되어 폐색하게 되므로, 에어벤트(1)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역으로 상기 압축스프링(30)이 눌러진 상태에서 제품(M)이 사출금형(50)에서 이탈되었는데도 상기 압축스프링(30)과 왕복축(20) 사이에 점성이 높은 상기 타르가 개재되어 왕복축(20)이 상방으로 복원되지 않게 되어, 사용 시에 에어가 배기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매일 분해하여 상기 타르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왕복축(20)의 하단부에는 스냅링(27)이 장착되어 상기 바디(10)의 하단에 걸리므로 왕복축(20)이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타르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스냅링(27)을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경 5mm 정도되는 스냅링(27)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사이즈가 작아서 스냅링 집게로 일일이 이탈시켰다가 장착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내측홀로 타르가 유입되어 상기 압축스프링과 왕복축의 작동을 방해하게 되므로 상기 내측홀의 개폐를 어렵게 하는 현상이 있었다. 따라서, 합성수지 용융물이 상기 내측홀로 유입되어 내측홀을 폐색하거나, 상기 사출금형 내부의 에어를 배기할 수 없어서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배경기술에서 타르를 제거하는 보수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므로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구(收容口)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구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걸리는 헤드가 형성된 왕복축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관통된 배기홀과, 상기 왕복축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방에 착탈되는 캡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개방된 하부 수용구와, 상기 하부 수용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캡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상부 수용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측면 및 상기 캡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바디의 내측면 및 상기 캡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수용구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챔퍼링 면과, 상기 챔퍼링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의 외측면에 형성된 테이퍼 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왕복축은,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하부축과, 상기 하부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가 상단에 형성된 상부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축의 상단과 상기 상부축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축과, 상기 수나사축에 체결되도록, 상기 하부축의 상단과 상기 상부축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탭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헤드의 상면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수용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개방된 유입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하부축에 압축스프링이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기되는 에어에 포함된 합성수지 용융물의 타르가 상기 압축스프링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왕복축이 열리지 않아서 에어의 배기가 되지 않게 되어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거나, 상기 왕복축이 열린 상태에서 닫히지 않게 되어 합성수지 용융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사축금형용 에어벤트를 다시 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타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배경기술에 비해서 장시간 왕복축의 승강 작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지보수 주기를 배경기술보다 늘릴 수 있다.
셋째, 나선 체결 방식에 의해서 각 부품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분해 조립이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가 사출금형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재 용융물이 주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사출금형에 소재 용융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가 사출금형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품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사출금형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사출금형에 소재 용융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에 구성되는 하우징의 캡과 개폐축의 상부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사출금형에 소재 용융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가 사출금형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품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사출금형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사출금형에 소재 용융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에 구성되는 하우징의 캡과 개폐축의 상부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를 사출금형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사출금형에 소재 용융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에 구성되는 하우징의 캡과 개폐축의 상부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90)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구(110, 收容口)가 형성된 하우징(100)이 구성되고, 상기 수용구(110)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걸리는 헤드(240)가 형성된 왕복축(2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120)에 관통된 배기홀(130)이 구성되고, 상기 왕복축(2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210)이 구성되며,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면(120)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300)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의 바디(14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40)의 상방에 착탈되는 캡(150)이 구성된다.
상기 수용구(110)는, 상기 바디(140)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개방된 하부 수용구(115)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 수용구(115)에 연결되도록 상기 캡(150)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상부 수용구(111)가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120)은 상기 바디(140)의 바닥면(120)으로서, 상기 배기홀(130)은 상기 압축스프링(300)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바닥면(120)은 에어를 배기시키는 배기홀(130)이 형성되면서 압축스프링(3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40)와 캡(150)이 탈착되는 구조로서, 상기 바디(140)의 외측면 및 상기 캡(15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부(14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143)에 체결되도록, 상기 바디(140)의 내측면 및 상기 캡(150)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암나사부(155)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호 체결에 의해서 결합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도 5에서는 바디(140)의 외측면에 수나사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143)에 체결되도록 캡(150)의 내측면에 암나사부(15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150)에 형성된 상부 수용구(111)의 상단 둘레를 따라 챔퍼링 면(C)이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헤드(240)의 테이퍼 면(T)과 밀착되어 기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용구(1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개방된 유입홈(X)이 구성되므로 에어가 신속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유입홈(X)은 상기 테이퍼 면(T)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서처럼 상기 캡(150)은 내측면에 암나사부(155)가 형성된 경우, 상기 상부 수용구(111)와 암나사부(155) 사이에는 단턱(K)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수용구(111)의 폭은 하부 수용구(115)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므로 상기 단턱(K)은 하부 수용구(115)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턱(K)은 상부 수용구(111)의 하단이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상기 캡(150)의 외측면에 수나사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40)의 내측면에 암나사부(155)가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상부 수용구(111)의 폭이 하부 수용구(115)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므로 단턱(K)이 하부 수용구(115)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단턱(K)은 상기 캡(150)의 하단이 된다.
상기 왕복축(200)은, 상기 단턱(K)에 걸리는 단턱(U)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홀(210)이 하단에 형성된 하부축(2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축(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240)가 상단에 형성된 상부축(230)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축(220)의 폭이 상기 상부축(230)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므로 상기 단턱(U)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축(220)과 상부축(230)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일례로서, 상기 하부축(220)의 상단과 상기 상부축(230)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축(223)이 구성되고, 상기 수나사축(223)에 체결되도록, 상기 하부축(220)의 상단과 상기 상부축(230)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탭홀(237)이 구성된다. 도면 5에서는 하부축(220)의 상단에 수나사축(223)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축(230)의 하단에는 상기 수나사축(223)에 체결되는 탭홀(237)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챔퍼링 면(C)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240)의 외측면에 형성된 테이퍼 면(T)이 구성되어 밀착 시 기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헤드(240)의 상면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G)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축(220)은 단면이 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하부축(220)을 스패너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 홈(G)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용이하게 상부축(230)을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처럼, 사출금형용 에어벤트(90)를 사출금형(50)의 하형(55)에 설치한 후에 사출금형(50)의 하형(55)에 상형(53)을 부합시킨다. 이때, 상기 왕복축(200)은 압축스프링(300)의 팽창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상승하여 상기 테이퍼면(T)과 챔퍼링 면(C)은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축(200)의 단턱(U)이 상기 하우징(100)의 단턱(K)에 걸리기 때문에 왕복축(200)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은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사출금형(50)으로 합성수지 용융물(J)을 주입한다. 그러면, 상기 상형(53)과 하형(55)의 성형홈(57)으로 합성수지 용융물(J)이 충전되면서 상기 성형홈(57)에 잔류하던 에어가 상기 챔퍼링 면(C)과 테이퍼 면(T)의 사이를 통해서 유입된 후에 상기 바디(140)를 지나서 상기 배기홀(130)을 통해서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상기 유입홈(X)으로 인해서 유입량을 늘일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배기가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도 7에서처럼 합성수지 용융물(J)이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성형홈(57)의 내부에 채워져서 상기 왕복축(200)의 헤드(240)를 압박하게 되면, 상기 왕복축(200)은 하강하면서 헤드(240)의 테이퍼 면(T)은 상부 수용구(111)의 챔퍼링 면(C)에 밀착되어 기밀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이때, 성형홈(57)의 내부에 잔류하던 에어의 배기는 완료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 용융물(J)이 성형홈(57)의 내부에 충전되면서 에어가 배기되기 때문에 합성수지 용융물(J)이 유동성이 향상되어 밀도가 균일한 제품의 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를 배기시킨 상태에서 합성수지 용융물을 응고시키기 때문에 상기 에어 속에 포함된 산소로 인해서 제품이 산화되어 변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축(220)에 압축스프링(300)이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기되는 에어에 포함된 합성수지 용융물(J)의 타르가 상기 압축스프링(300)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장시간 왕복축(200)의 승강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캡(150)과 바디(140)가 암나사부(155)와 수나사부(143)의 체결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캡(150) 또는 바디(140)를 돌려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고 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캡(150)과 바디(140)를 분리한 경우, 상기 왕복축(200)은 캡(150)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왕복축(200)은 상부축(230)과 하부축(220)으로 분리하므로 캡(15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축스프링(300)을 하부축(220)의 삽입홀(2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100)과 왕복축(200)에 오염된 타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서 본 발명은 생산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100: 하우징
110: 수용구 111: 상부 수용구
115: 하부 수용구 120: 바닥면
130: 배기홀 140: 바디
143: 수나사부 150: 캡
155: 암나사부 200: 왕복축
210: 삽입홀 220: 하부축
223: 수나사축 230: 상부축
237: 탭홀 240: 헤드
300: 압축스프링 C: 챔퍼링 면
T: 테이퍼 면 G: 드라이버 홈
X: 유입홈 U: 단턱
K: 단턱
110: 수용구 111: 상부 수용구
115: 하부 수용구 120: 바닥면
130: 배기홀 140: 바디
143: 수나사부 150: 캡
155: 암나사부 200: 왕복축
210: 삽입홀 220: 하부축
223: 수나사축 230: 상부축
237: 탭홀 240: 헤드
300: 압축스프링 C: 챔퍼링 면
T: 테이퍼 면 G: 드라이버 홈
X: 유입홈 U: 단턱
K: 단턱
Claims (7)
-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구(110,收容口 )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수용구(110)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걸리는 헤드(240)가 형성된 왕복축(2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120)에 관통된 배기홀(130)과,
상기 왕복축(2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210)과,
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면(120)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30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의 바디(140)와,
상기 바디(140)의 상방에 착탈되는 캡(15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구(110)는,
상기 바디(140)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개방된 하부 수용구(115)와,
상기 하부 수용구(115)에 연결되도록 상기 캡(150)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상부 수용구(111)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40)의 외측면 및 상기 캡(15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부(143)와,
상기 수나사부(143)에 체결되도록, 상기 바디(140)의 내측면 및 상기 캡(150)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암나사부(15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용구(111)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챔퍼링 면(C)과,
상기 챔퍼링 면(C)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240)의 외측면에 형성된 테이퍼 면(T)을 포함하고,
상기 왕복축(200)은,
상기 삽입홀(210)이 형성된 하부축(220)과,
상기 하부축(2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240)가 상단에 형성된 상부축(23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축(220)의 상단과 상기 상부축(230)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축(223)과,
상기 수나사축(223)에 체결되도록, 상기 하부축(220)의 상단과 상기 상부축(230)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탭홀(237)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240)의 상면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G)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용구(1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개방된 유입홈(X)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601A KR101725190B1 (ko) | 2016-04-08 | 2016-04-08 |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601A KR101725190B1 (ko) | 2016-04-08 | 2016-04-08 |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5190B1 true KR101725190B1 (ko) | 2017-04-11 |
Family
ID=5858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3601A KR101725190B1 (ko) | 2016-04-08 | 2016-04-08 |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519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7945B1 (ko) | 2017-01-19 | 2017-06-16 | 김천섭 | 사출금형 가스배출장치 |
KR101892902B1 (ko) * | 2018-05-25 | 2018-08-28 | 이형채 |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
KR102074449B1 (ko) * | 2019-05-21 | 2020-03-02 | 박제현 | 사출성형 금형에서 성형공정 신호를 이용한 자동 가스배기장치 |
KR20200074773A (ko) | 2018-12-17 | 2020-06-25 | 조용만 |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
KR102309396B1 (ko) * | 2020-08-19 | 2021-10-07 | 이형훈 | 사출성형기의 에어벤트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3706B1 (ko) * | 2001-11-23 | 2004-08-09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
KR101346718B1 (ko) * | 2011-12-14 | 2014-01-03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
KR101511730B1 (ko) * | 2014-09-05 | 2015-04-13 | 한연수 | 사출 금형용 에어 벤트 장치 |
KR20150140044A (ko) * | 2014-06-05 | 2015-12-15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가류 금형의 벤트 플러그 |
KR20160000794A (ko) | 2014-06-25 | 2016-01-05 | 윤수권 | 신발밑창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신발밑창 제조방법 |
-
2016
- 2016-04-08 KR KR1020160043601A patent/KR1017251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3706B1 (ko) * | 2001-11-23 | 2004-08-09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
KR101346718B1 (ko) * | 2011-12-14 | 2014-01-03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
KR20150140044A (ko) * | 2014-06-05 | 2015-12-15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가류 금형의 벤트 플러그 |
KR20160000794A (ko) | 2014-06-25 | 2016-01-05 | 윤수권 | 신발밑창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신발밑창 제조방법 |
KR101511730B1 (ko) * | 2014-09-05 | 2015-04-13 | 한연수 | 사출 금형용 에어 벤트 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7945B1 (ko) | 2017-01-19 | 2017-06-16 | 김천섭 | 사출금형 가스배출장치 |
KR101892902B1 (ko) * | 2018-05-25 | 2018-08-28 | 이형채 |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
KR20200074773A (ko) | 2018-12-17 | 2020-06-25 | 조용만 |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
KR102237599B1 (ko) | 2018-12-17 | 2021-04-07 | 조용만 |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
KR102074449B1 (ko) * | 2019-05-21 | 2020-03-02 | 박제현 | 사출성형 금형에서 성형공정 신호를 이용한 자동 가스배기장치 |
KR102309396B1 (ko) * | 2020-08-19 | 2021-10-07 | 이형훈 | 사출성형기의 에어벤트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5190B1 (ko) |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 |
KR101362393B1 (ko) | 사출금형장치 | |
KR101003525B1 (ko) | 화학적 기계 연마 장치의 리테이너 링 제조 방법 | |
JP4821296B2 (ja) | 射出成形用金型構造 | |
KR102095732B1 (ko) |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및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 |
KR101342188B1 (ko) | 사출 금형의 가스 배출 장치 | |
US5833912A (en) | Method of injection molding a container | |
KR102095727B1 (ko) | 내구성 향상과 교체가 용이한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및 그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 |
JP2017105150A (ja) | インサート成形品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 |
KR100741657B1 (ko) | 사출성형용 금형 | |
KR100841720B1 (ko) | 이종물질 튜브용기의 튜브 헤드 성형장치 | |
CN108312586B (zh) | 一种轮胎模具 | |
KR102095729B1 (ko) |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및 그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 |
KR102131208B1 (ko) |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 |
JP2006256000A (ja) | 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CN115592869B (zh) | 一种容器盖脱模机构 | |
JP2010228256A (ja) | 樹脂成形金型 | |
KR102237599B1 (ko) |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 |
JP2009291985A (ja) | 成形型装置 | |
KR101693645B1 (ko) | 인서터형 다이케스팅용 슬리브 | |
CN214726022U (zh) | 方盖注塑模芯 | |
KR200465238Y1 (ko) | 립스틱 제조용 금형 | |
JPH0839626A (ja) | 射出成形金型 | |
CN212397968U (zh) | 热锻压组合模具 | |
KR101853086B1 (ko) | 이장 주입성형법을 이용한 이중 밀폐용기 및 그 제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