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092B1 -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 Google Patents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092B1
KR101628092B1 KR1020150022451A KR20150022451A KR101628092B1 KR 101628092 B1 KR101628092 B1 KR 101628092B1 KR 1020150022451 A KR1020150022451 A KR 1020150022451A KR 20150022451 A KR20150022451 A KR 20150022451A KR 101628092 B1 KR101628092 B1 KR 10162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corner block
position fixing
weld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Priority to KR102015002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과 바닥보 및 천장보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모듈러 유닛에 대하여 각각의 지그를 제작하여 기둥부재, 바닥보부재, 천장보부재를 용접으로 제작하고 이들 부재를 통합한 지그를 통해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여 지그의 단순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너 블록(corner block)에 형성된 위치고정홀을 통해 기둥부재를 제작함으로써 치수정밀도에 의한 모듈러 유닛의 정밀 제작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는, 기둥의 일단에 상부 측 코너 블록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1지그와, 상기 제1지그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하고 이 단일 기둥부재에 상부수평보부재와 하부수평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2지그와,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제작하는 제3지그와, 상기 제2지그 및 제3지그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와 바닥보부재 및 천장보부재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는 제4지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omit}
본 발명은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Jig)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둥과 바닥보 및 천장보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모듈러 유닛에 대하여 각각의 지그를 제작하여 기둥부재, 바닥보부재, 천장보부재를 용접으로 제작하고 이들 부재를 통합한 지그를 통해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여 지그의 단순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너 블록(corner block)에 형성된 위치고정홀을 통해 기둥부재를 제작함으로써 치수정밀도에 의한 모듈러 유닛의 정밀 제작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건축물이란 현장에서 모두를 시공하는 기존의 공법과는 달리 공장에서 모듈러 유닛에 관한 구조물을 조립하고, 이에 각종 내·외장재, 설비 및 배선 등을 미리 시공한 후, 이를 현장으로 운송하여 조립 및 적층함으로써 완성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대부분이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시공시간이 크게 단축됨은 물론 건축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최근 들어 군부대 숙소나 학교 등의 증축, 전원주택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모듈러 유닛은 기본적으로 네 개의 강재 기둥과, 상기 각 기둥과 하부에 연결되는 강재 바닥보와 상기 각 기둥과 상부에 연결되는 강재 천장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모듈러 유닛은 공장에서 기둥과 바닥보, 천장보를 용접 등을 통하여 제작한다.
상기와 같은 기둥과 바닥보, 천장보로 이루어진 모듈러 유닛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장에서 각종 내·외장재, 설비 및 배선 등을 미리 시공하고, 이렇게 제작된 모듈러 유닛들을 가지고 현장에서 조립 적층하여 건축물을 완성하게 되기 때문에 공장에서 제작되는 모듈러 유닛은 정밀하게 제작할 필요에 있다. 그렇지 못하면 전체 건축물의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29112의 '건축 모듈러 유닛 조립 가이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모듈러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가이드 장치는 크게 고정측지지장치, 이동측지지장치, 기둥가이드핀, 수직조절장치, 천장보조절장치, 바닥보조절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모듈러 유닛의 조립하기 위한 장치들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이에 따른 모듈러 유닛의 제작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모듈러 유닛의 대량 제작에 따른 설비를 간단히 하여 정밀제작은 물론 비용을 줄이는 새로운 기술을 여전히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듈러 유닛의 제작을 위한 지그를 단순화하고 동시에 정밀제작을 실현할 수 있는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과제 해결 수단으로,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는,
기둥의 일단에 상부 측 코너 블록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1지그와, 상기 제1지그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하고 이 단일 기둥부재에 상부수평보부재와 하부수평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2지그와,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제작하는 제3지그와, 상기 제2지그 및 제3지그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와 바닥보부재 및 천장보부재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는 제4지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그는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강재와, 이 베이스강재의 일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을 받침하는 코너 블록 받침대와, 이 코너 블록 받침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에 고정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에 형성된 위치고정홀이 삽입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을 코너 블록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dummy)와, 상기 베이스강재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기둥을 움직이지 않게 받침하는 기둥 받침대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측 코너 블록과 기둥의 일측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1지그;
상기 제2지그는 바닥에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제2베이스강재 및 제3, 제4베이스강재와, 제1 및 제2베이스강재의 각각에는 상기 제1지그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부 측 코너 블록을 받침하는 코너 블록 받침대와, 이 코너 블록 받침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에 고정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에 형성된 위치고정홀이 삽입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을 코너 블록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와,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강재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기둥을 움직이지 않게 받침하는 기둥 받침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베이스강재에는 상부수평보부재를 받침하는 복수의 받침대와, 이 받침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에 위치고정공을 형성하고 이 위치고정공과 상기 상부수평보부재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 상부수평보부재를 단일 기둥부재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삽입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4베이스강재에는 하부수평보부재를 받침하는 복수의 받침대와, 이 받침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에 위치고정공을 형성하고 이 위치고정공과 상기 하부수평보부재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 하부수평보부재를 단일 기둥부재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삽입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두 개의 단일 기둥부재에 상부수평보부재와 하부수평보부재를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2지그;
상기 제3지그는 바닥에 각각 고정되어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안착시키는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와, 상기 제1, 제2베이스강재와 제3, 제4베이스강재의 사이에서 바닥에 복수로 고정되어 수평보부재를 수직되게 안내하는 지지대와,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에 각각 형성되어 수평보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과 이 수평보부재의 양측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볼트공을 위치고정핀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위치고정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 개의 수평보부재의 양측에 연결플레이트를 용접하고 수평보부재 사이를 가로질러 복수의 연결보강보를 용접하여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제작하는 제3지그;
상기 제4지그는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동일한 형태의 제1베이스강판 및 제2베이스강판과, 이 제1 및 제2베이스강판에 각각 두 개씩 고정 설치되고 하부 측 코너 블록에 형성된 위치고정홀이 삽입되어 하부 측 코너 블록을 제1베이스강판 및 제2베이스강판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와,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강판에 각각 두 개씩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조립용 기둥과, 이 조립용 기둥의 상부에 축 지지를 통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트 기둥부재에 설치된 상부 측 코너 블록의 위치고정홀에 삽입되어 세트 기둥부재를 위치 고정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 측 코너 블록과 바닥보부재를 용접하고 세트 기둥부재의 하부를 하부 측 코너 블록과 용접하며 세트 기둥부재의 상부와 천장보부재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는 제4지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는 복수의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베이스강판 및 제2베이스강판의 인근 바닥에는 조립용 기둥의 상부에 축 지지로 형성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를 조작하고 세트 기둥부재의 상부와 천장보부재를 작업자가 용접할 수 있도록 계단이 설치된 작업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너 블록의 위치고정홀은 코너 블록의 회전 방지를 위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 또는 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에 의하면, 모듈러 유닛의 제작을 위해 기둥부재, 바닥보부재, 천장보부재를 용접 제작하는 각각의 지그를 제작하고 이를 부재를 통합하여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는 지그를 제작함으로써 각 지그의 단순화와 생산의 분리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너 블록에 형성된 위치고정홀을 통해 기둥부재를 제작함으로써 치수정밀도에 의한 모듈러 유닛의 정밀 제작을 실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지그와 이 제1지그에서 제작되는 코너 블록과 기둥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제1지그에 코너 블록과 기둥을 위치시킨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지그와 이 제2지그에서 제작되는 단일 기둥부재와 상부수평보부재 및 하부수평보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제2지그에 단일 기둥부재와 상부수평보부재 및 하부수평보부재를 위치시킨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3지그와 이 제3지그에서 제작되는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제3지그에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와 연결보강보를 위치시킨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제작된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지그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 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에 하부 측 코너 블록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지그에 바닥보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지그에 세트 기둥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지그에 천장보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지그를 통해 완성된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지그와 이 제1지그에서 제작되는 코너 블록과 기둥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제1지그에 코너 블록과 기둥을 위치시킨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는, 기둥(10)의 일단에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12)를 제작하는 제1지그(30)와, 상기 제1지그(40)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12)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하고 이 단일 기둥부재(12)에 상부수평보부재(13)와 하부수평보부재(14)를 각각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15)를 제작하는 제2지그(40)와,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16) 또는 천장보부재(17)를 각각 용접하여 제작하는 제3지그(60)와, 상기 제2지그(40) 및 제3지그(60)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15)와 바닥보부재(16) 및 천장보부재(17)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100)을 제작하는 제4지그(8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모듈러 유닛(100)은 길이가 12M(미터)이고, 높이가 3M(미터)이며, 폭이 2.4M(미터)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그(30)는, 바닥(31)에 고정되는 베이스강재(32)와, 이 베이스강재(32)의 일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받침하는 코너 블록 받침대(33)와, 이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34)에 고정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dummy)(35)와, 상기 베이스강재(32)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기둥을 움직이지 않게 받침하는 기둥 받침대(36)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바닥(31)은 수평도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바닥 또는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베이스강재(32)는 "I"형강이나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은 코너 블록(11)의 회전 방지를 위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dummy)(35)의 형상도 위치고정홀(11a)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37) 또는 용접으로 지지판(34)에 고정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11b는 상부 측 코너 블록(11)에 형성되어 모듈러 유닛(100)의 운반을 위해 로프 등을 매는 래싱홀(lashing hole)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지그(30)를 통해 도 2a와 같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올려놓고 지지판(34) 쪽으로 밀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을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에 삽입시키고, 다음에 기둥(10)의 일측을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일측과 맞대어서 용접하여 도 2b와 같이 단일 기둥부재(12)를 제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지그와 이 제2지그에서 제작되는 단일 기둥부재와 상부수평보부재 및 하부수평보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제2지그에 단일 기둥부재와 상부수평보부재 및 하부수평보부재를 위치시킨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지그(40)는 바닥(41)에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제1베이스강재(42), 제2베이스강재(43) 및 제3베이스강재(44), 제4베이스강재(45)와, 제1 및 제2베이스강재(42)(43)의 각각에는 상기 제1지그(30)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12)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받침하는 코너 블록 받침대(33)와, 이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34)에 고정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와,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강재(42)(43)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기둥(10)을 움직이지 않게 받침하는 기둥 받침대(3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베이스강재(44)에는 상부수평보부재(13)를 받침하는 복수의 받침대(46)와, 이 받침대(46)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47)에 위치고정공(47a)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수평보부재(13)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13a)을 통해 고정하여 상부수평보부재(13)를 단일 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부재(48)와, 상기 제4베이스강재(45)에는 하부수평보부재(14)를 받침하는 복수의 받침대(46)와, 이 받침대(46)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47)에 위치고정공(47a)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수평보부재(14)에 형성된 볼트공(14a)을 통해 고정하여 하부수평보부재(14)를 단일 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부재(48)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바닥(41)은 수평도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바닥 또는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42)(43)(44)(45)는 "I"형강이나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부재(48)는 볼트 또는 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중 설명 부호 49는 기둥(10)을 기둥 받침대(36)에 고정하는 클램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지그(40)를 통해 도 4a와 같이 단일 기둥부재(12)를 제1베이스강재(42)와 제2베이스강재(43)에 각각 위치시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올려놓고 지지판(34) 쪽으로 밀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을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에 삽입시켜 단일 기둥부재(12)를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제3베이스강재(44)에 상부수평보부재(13)를 복수의 받침대(46)를 통해 위치시키고 상부수평보부재(13)에 형성된 볼트공(13a)을 지지판(47)에 형성된 위치고정공(47a)과 일치되게 하여 고정부재(48)를 삽입하여 상부수평보부재(13)를 단일 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마찬가지로 제4베이스강재(45)에 하부수평보부재(14)를 복수의 받침대(46)를 통해 위치시키고 하부수평보부재(14)에 형성된 볼트공(14a)을 지지판(47)에 형성된 위치고정공(47a)과 일치되게 하여 고정부재(48)를 삽입하여 하부수평보부재(14)를 단일 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수평보부재(13)와 하부수평보부재(14)의 양측을 단일 기둥부재(12)와 맞대어서 용접하여 도 4b와 같이 세트 기둥부재(15)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 상부수평보부재(13)와 하부수평보부재(14)는 고정부재(48)에 의해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판(47)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단일 기둥부재(12)와의 용접시 수직 자세를 유지하게 되면 정밀 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3지그와 이 제3지그에서 제작되는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제3지그에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와 연결보강보를 위치시킨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제작된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3지그(60)는 바닥(61)에 각각 고정되어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16) 또는 천장보부재(17)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18)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안착시키는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와, 상기 제1, 제2베이스강재(62)(63)와 제3, 제4베이스강재(64)(65)의 사이에서 바닥(61)에 복수로 고정되어 수평보부재(18)를 수직되게 안내하는 지지대(66)와,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에 각각 형성되어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18a)과 이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19)에 형성된 볼트공(19a)을 위치고정핀(67)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위치고정공(62a)(63a)(64a)(65a)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바닥(61)은 수평도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바닥 또는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는 "I"형강이나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위치고정핀(67)은 복수로 구성되고 볼트 또는 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바닥(61)에 복수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66)는 수평보부재(18)를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에 안착시킬 때 길이가 12(M)미터인 수평보부재(18)가 수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지그(60)를 통해 도 5 및 도 6a와 같이 먼저 각각의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에 연결플레이트(19)를 올려놓고 연결플레이트(19)에 형성된 볼트공(19a)을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에 형성된 위치고정공(62a)(63a)(64a)(65a)과 일치시키고, 수평보부재(18)를 제1 및 제24베이스강재(62)(63)와 제3 및 제4베이스강재(64)(65)에 올려진 연결플레이트(19)에 올려놓고 이 연결플레이트(19)에 형성된 볼트공(19a)에 수평보부재(18)에 형성된 볼트공(18a)을 일치시키고 위치고정핀(67)을 삽입시켜 제1 및 제24베이스강재(62)(63)와 제3 및 제4베이스강재(64)(65)에서 연결플레이트(19)와 수평보강재(18)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이에 따라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연결플레이트(19)를 용접하고 수평보부재(18) 사이를 가로질러 복수의 연결보강보(20)를 용접하여 도 6b와 같이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16) 또는 천장보부재(17)를 제작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지그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변형 예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에 하부 측 코너 블록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지그에 바닥보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지그에 세트 기둥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지그에 천장보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지그를 통해 완성된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4지그(80)는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되고 바닥(81)에 고정되는 동일한 형태의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과, 이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에 각각 두 개씩 고정 설치되고 하부 측 코너 블록(111)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되어 하부 측 코너 블록(111)을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와,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에 각각 두 개씩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조립용 기둥(84)과, 이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를 통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트 기둥부재(15)에 설치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에 삽입되어 세트 기둥부재(15)를 위치 고정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로 구성된다.
상기 설명에서 상부 측 코너 블록의 부호를 '11'로 설명하고 하부 측 코너 블록의 부호를 '111'로 하고 설명하고 있는바,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호를 달리할 뿐이고, 상 하부 측 코너 블록의 구조는 동일하다.
상기에서 바닥(81)은 수평도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바닥 또는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는 "I"형강을 기초로 하여 그 위에 철판을 고정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 분리하여 구성하고 있는바, 이는 모듈러 유닛(100)의 길이가 12M(미터)로서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을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재료를 절감하기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으로 분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의 인근 바닥(81)에는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로 형성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조작하고 세트 기둥부재(15)의 상부와 천장보부재(17)를 작업자가 용접할 수 있도록 계단(86)이 설치된 작업대(87)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지그(80)를 통해 도 7 및 도 9와 같이 먼저 하부 측 코너 블록(111)을 이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을 통해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에 설치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에 삽입시켜 하부 측 코너 블록(111)을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에 위치 고정시킨다. 다음에 제3지그에서 제작된 바닥보부재(16)를 양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을 통해 안착시키면서 바닥보부재(16)를 구성하는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용접된 연결플레이트(19)를 하부 측 코너 블록(111) 주위에 위치시키고 하부 측 코너 블록(111)과 바닥보부재(16)를 용접한다.
다음에 도 11과 같이 세트 기둥부재(15)의 하부를 하부 측 코너 블록(111)에 올려놓고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회전시켜 세트 기둥부재(15)에 설치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에 삽입시켜 세트 기둥부재(15)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다음에 하부 측 코너 블록(111)과 세트 기둥부재(15)의 하부를 용접한다.
다음에 도 12와 같이 세트 기둥부재(15)의 상부와 천장보부재(17)를 용접하여 도 13과 같이 모듈러 유닛(100)을 제작한다.
본 실시 예의 모듈러 유닛(100)은 길이가 12M(미터)이고, 높이가 3M(미터)이며, 폭이 2.4M(미터)로서 제작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에 고정 설치된 4개의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와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를 통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통해 모듈러 유닛(100)의 길이 12M(미터)와, 폭 2.4M(미터)를 설정하고 이들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통해 하부 측 코너 블록(111)과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보부재(16)와 상부보부재(17)를 용접함으로써 모듈러 유닛(100)의 길이 12M(미터)와, 폭 2.4M(미터)로의 정밀 제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를 통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통해 세트 기둥부재(15)에 설치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에 삽입시켜 세트 기둥부재(15)를 고정함으로써 세트 기둥부재(15)의 수직정밀도와 함께 천장보부재(17)의 수평정밀도를 유지하게 되고 동시에 모듈러 유닛(100)의 높이 3M(미터)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택 모듈러 유닛의 공장에서 조립하는 기술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30 : 제1지그
40 : 제2지그
60 : 제3지그
80 : 제4지그
100 : 모듈러 유닛

Claims (6)

  1. 삭제
  2. 기둥(10)의 일단에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12)를 제작하는 제1지그(30)와, 상기 제1지그(30)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12)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하고 이 단일 기둥부재(12)에 상부수평보부재(13)와 하부수평보부재(14)를 각각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15)를 제작하는 제2지그(40)와,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16) 또는 천장보부재(17)를 각각 용접하여 제작하는 제3지그(60)와, 상기 제2지그(40) 및 제3지그(60)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15)와 바닥보부재(16) 및 천장보부재(17)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100)을 제작하는 제4지그(80)로 이루어지는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30)는 바닥(31)에 고정되는 베이스강재(32)와, 이 베이스강재(32)의 일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받침하는 코너 블록 받침대(33)와, 이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34)에 고정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와, 상기 베이스강재(32)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기둥(10)을 움직이지 않게 받침하는 기둥 받침대(36)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측 코너 블록(11)과 기둥(10)의 일측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12)를 제작하는 제1지그(30);
    상기 제2지그(40)는 바닥(41)에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제2베이스강재(42)(43) 및 제3, 제4베이스강재(44)(45)와, 제1 및 제2베이스강재(42)(43)의 각각에는 상기 제1지그(30)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12)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받침하는 코너 블록 받침대(33)와, 이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34)에 고정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와,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강재(42)(43)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기둥(10)을 움직이지 않게 받침하는 기둥 받침대(3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베이스강재(44)에는 상부수평보부재(13)를 받침하는 복수의 받침대(46)와, 이 받침대(46)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47)에 위치고정공(47a)을 형성하고 이 위치고정공(47a)과 상기 상부수평보부재(13)에 형성된 볼트공(13a)을 통해 상부수평보부재(13)를 단일 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삽입 고정하는 고정부재(48)와, 상기 제4베이스강재(45)에는 하부수평보부재(14)를 받침하는 복수의 받침대(46)와, 이 받침대(46)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47)에 위치고정공(47a)을 형성하고 이 위치고정공(47a)과 상기 하부수평보부재(14)에 형성된 볼트공(14a)을 통해 하부수평보부재(14)를 단일 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삽입 고정하는 고정부재(48)로 이루어져 두 개의 단일 기둥부재(12)에 상부수평보부재(13)와 하부수평보부재(14)를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15)를 제작하는 제2지그(40);
    상기 제3지그(60)는 바닥(61)에 각각 고정되어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16) 또는 천장보부재(17)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18)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안착시키는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와, 상기 제1, 제2베이스강재(62)(63)와 제3, 제4베이스강재(64)(65)의 사이에서 바닥(61)에 복수로 고정되어 수평보부재(18)를 수직되게 안내하는 지지대(66)와,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에 각각 형성되어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18a)과 이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19)에 형성된 볼트공(19a)을 위치고정핀(67)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위치고정공(62a)(63a)(64a)(65a)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 개의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연결플레이트(19)를 용접하고 수평보부재(18) 사이를 가로질러 복수의 연결보강보(20)를 용접하여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16) 또는 천장보부재(17)를 제작하는 제3지그(60);
    상기 제4지그(80)는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되고 바닥(81)에 고정되는 동일한 형태의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과, 이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에 각각 두 개씩 고정 설치되고 하부 측 코너 블록(111)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되어 하부 측 코너 블록(111)을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와,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_(83)에 각각 두 개씩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조립용 기둥(84)과, 이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를 통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트 기둥부재(15)에 설치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에 삽입되어 세트 기둥부재(15)를 위치 고정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 측 코너 블록(111)과 바닥보부재(16)를 용접하고 세트 기둥부재(15)의 하부를 하부 측 코너 블록(111)과 용접하며 세트 기둥부재(15)의 상부와 천장보부재(17)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100)을 제작하는 제4지그(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는 복수의 볼트(37)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의 인근 바닥(81)에는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로 형성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조작하고 세트 기둥부재(15)의 상부와 천장보부재(17)를 작업자가 용접할 수 있도록 계단(86)이 설치된 작업대(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블록(11)(111)의 위치고정홀(11a)은 코너 블록(11)(111)의 회전 방지를 위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8)는 볼트 또는 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KR1020150022451A 2015-02-13 2015-02-13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KR10162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51A KR101628092B1 (ko) 2015-02-13 2015-02-13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51A KR101628092B1 (ko) 2015-02-13 2015-02-13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092B1 true KR101628092B1 (ko) 2016-06-08

Family

ID=5619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451A KR101628092B1 (ko) 2015-02-13 2015-02-13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0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02B1 (ko) * 2018-05-25 2018-12-12 서석태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KR20220060882A (ko) 2020-11-05 2022-05-12 (주)유창 모듈러의 면 구조체 조립용 지그
KR20230163052A (ko) 2022-05-23 2023-11-30 강형석 모듈러 주택용 조립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4262A (ja) * 1993-12-14 1995-06-27 Misawa Homes Co Ltd 低建物ユニット用治具
JP2002144168A (ja) * 2000-11-02 2002-05-21 Misawa Homes Co Ltd 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0929112B1 (ko) * 2009-07-24 2009-11-30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 모듈러 유닛 조립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4262A (ja) * 1993-12-14 1995-06-27 Misawa Homes Co Ltd 低建物ユニット用治具
JP2002144168A (ja) * 2000-11-02 2002-05-21 Misawa Homes Co Ltd 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0929112B1 (ko) * 2009-07-24 2009-11-30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 모듈러 유닛 조립 가이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02B1 (ko) * 2018-05-25 2018-12-12 서석태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KR20220060882A (ko) 2020-11-05 2022-05-12 (주)유창 모듈러의 면 구조체 조립용 지그
KR20230163052A (ko) 2022-05-23 2023-11-30 강형석 모듈러 주택용 조립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3179B2 (ja) 建屋の建設工法及びルームモジュール
KR20190089971A (ko) 조립식 체적 건축 모듈의 연결 시스템 및 연결 방법
KR100923637B1 (ko)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
KR101628092B1 (ko)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JP6594932B2 (ja) 柱固定金具
CN108894339B (zh) 一种模块化单元中间柱节点的卡榫式连接装置
KR20110023989A (ko) 적층 가능한 조립식 건축물의 보와 기둥의 연결 매개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929112B1 (ko) 건축 모듈러 유닛 조립 가이드 장치
JP2002097722A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用コーナ補強材
JP5396663B2 (ja) 建材接続構造
JPH0525862A (ja) 住宅ユニツトの接合補強構造
JP2023019882A (ja) 鉄骨骨組み構造、鉄骨ラーメン骨組みへの鋼管柱の混在方法
KR102427547B1 (ko) 모듈러의 면 구조체 조립용 지그
CN111677111B (zh) 一种梁柱连接节点结构及其施工方法
JP6730404B2 (ja) 建物の接合構造
JP2013068081A (ja) 建材接続構造
JP2018150692A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18250B1 (ko) 건설리프트의 마스트 제작용 지그장치
KR102318982B1 (ko) 멀티락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체결 시스템
JP2001107465A (ja) 建物ユニット体の組立構造
JP2015101890A (ja) 支持構造及び施工方法
CN114753510B (zh) 基于套筒连接的钢木组合连接节点
KR20160078094A (ko) 모듈러 유닛용 슬래브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JP6091367B2 (ja) 床パネルの支持構造
CN103882954B (zh) 一种模块化多高层装配式钢结构偏心支撑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