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426B1 -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5426B1 KR100945426B1 KR1020080019110A KR20080019110A KR100945426B1 KR 100945426 B1 KR100945426 B1 KR 100945426B1 KR 1020080019110 A KR1020080019110 A KR 1020080019110A KR 20080019110 A KR20080019110 A KR 20080019110A KR 100945426 B1 KR100945426 B1 KR 100945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am
- lifting
- steel
- wall surfaces
- convey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4282 Grewia occid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 동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 공사 후 건축물의 벽면을 시공함에 있어 폭이 비교적 좁은 복수개의 벽면에 대한 거푸집을 층별로 차례차례 동시에 형성한 것으로, 이에 따라 건축물에 대한 복수개의 벽면 시공이 한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진행하고, 이를 통해 벽면이 많은 건축물에 있어 벽면의 시공 공정을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받는다.
폼 승강부, 폼 이송부, 품 구동부, 지지빔, 상승빔, 내측폼, 철재폼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을 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콘크리트 공사 후 건축물의 벽면을 시공함에 있어 폭이 비교적 좁은 복수개의 벽면에 대한 거푸집을 층별로 차례차례 동시에 형성하고, 이를 통해 복수개의 벽면 시공이 한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 동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벽면을 시공해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벽면을 시공하는 방식은 다수의 폼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몰탈을 부어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건축을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거푸집 공법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일일이 조립하여 하나의 벽면을 치기 위한 벽체 거푸집을 형성하는 것을 배제하고 요즘은 통째로 거푸집을 설치하여 벽면을 양생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이 아주 요긴하게 사용되는 곳은 아파트나 교각 및 큰 구조물을 형성하는 토목공사에서 많이 활용되는데, 동일한 형태의 벽면이 2층 3층 계속해서 상승하며 벽면을 쳐야만 할 때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공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큰 폼을 상승시키는 크레인이 필수적으로 필요했다.
즉, 이러한 종래 기술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파트 건축공정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파트의 경우 고층으로 축조되는 경우가 많은데, 벽면의 경우 1층의 형상이나 2층의 형상 및 그 상층의 형상이 모두 동일하고 그 크기가 같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1층에서 사용된 폼이 바로 2층으로 상승하여 다시 거푸집으로 형성되어야만 하는데, 이렇게 하나의 층이 축조되고 또 하나의 층으로 올라갈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폼을 상승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폼은 그 크기가 상당하고, 견고함을 부여하기 위해 요즘은 금속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 무게가 약 2-4톤 정도의 무게가 나가는데, 이러한 폼을 상승시키기 위한 타워크레인의 경우 그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용량이 한정된 상태이다. 나아가 만일 상승 중에 거센 바람이 불게 되면 타워크레인이 버텨야만 하는 부하는 더욱 커진다.
또한, 20층이나 30층의 아파트가 건축되는 현장이 많은 요즈음, 고공에서 강한 바람에 의해 커다란 부피의 폼이 날리게 되면 이는 아주 큰 문제점을 양산할 수 있다.
일예로, 아파트 건축현장에서 폼을 상승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다가 타워크레인이 넘어져 많은 인명을 살상한 경우도 발생된 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현재의 축조 공정은 개발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본원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 746551 호(특허출원 제 2007-22023 호)와 특허등록 제 746552 호(특허출원 제 2007-22036 호)를 통해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승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초콘크리트를 치고부터 바로 건축물의 폼 상승시스템을 이용하여 거프집을 형성하면서 상승하여 고층의 건축물을 차례차례 구조화시키는 건축물의 폼 상승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인 건축물의 폼 상승 시스템은 획일화된 디자인의 건축물 즉, 코너 부분이 4개로 한정되는 박스형의 건축물에는 그 사용이 적합한 반면, 도시의 미관을 고려하여 독특하게 설계되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폭이 넓은 벽면과 폭이 좁은 벽면이 존재하고 그 외벽의 개수 또한 증가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건축물에 상기와 같은 폼 상승 시스템을 적용시 폭이 넓은 벽면의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폭이 좁은 벽면의 경우에는 그 폭에 적합한 폼 상승 시스템을 별도 제작해야 함은 물론 그 시공에 있어서도 하나의 벽면에 대한 시공만이 가능한 관계로 작업공정이 많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이 달성하지 못하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초콘크리트 공사 후 건축물의 벽면을 시공함에 있어 폭이 비교적 좁은 복수개의 벽면에 대한 거푸집을 층별로 차례차례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건축물에 대한 복수개의 벽면 시공이 한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진행하고, 이를 통해 벽면이 많은 건축물에 있어 벽면의 시공 공정을 단축하는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 동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은, 건축물 코너선을 기준으로 꺽임 형태인 제 1,2 벽면의 동시 건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2 벽면의 기초 콘크리트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빔; 상기 각각의 지지빔에 체결되고, 벽면 형성시 승강하는 상승빔; 상기 상승빔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제 1,2 폼 승강부; 상기 제 1,2 폼 승강부를 승하강시키도록 구동하는 폼 구동부; 상기 제 1,2 폼 승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2 벽면의 동시 건축을 위한 복수의 거푸집 형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볼 타입의 롤러를 따라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이송블럭을 포함하는 폼 이송부; 상기 폼 이송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 1,2 폼 승강부에 의해 승하강하고, 상기 폼 이송부의 이송동작에 따라 건축물의 내측폼과 일정간극을 유지하여 거푸집을 형성하는 철재폼; 상기 철재폼의 단부에 체결되는 작업대; 및 상기 제 1,2 폼 승강부와 철재폼을 일체화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폼 승강부는 양측부에 홀을 형성한 안내편이 돌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승빔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폼 승강부는 양측부에 홀을 형성한 안내편이 돌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승빔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몸체와 일체로 체결되는 승하강너트;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폼 구동부는 감속기가 부착된 회전모터; 상기 감속기의 축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고, 승하강너트에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구동시 제 1,2 폼 승강부를 승하강시키는 장형의 수직 나사산 스크류;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폼 이송부는, 상기 제 1,2 폼 승강부에 포함되는 몸체의 선단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가이드볼에 의해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제 1 이송블럭과, 상기 제 1 이송블럭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꺽임되게 구성되는 제 2 이송블럭으로, 상기 이송블럭을 구성하고, 상기 제 1,2 이송블럭을 관통하며, 상기 제 1,2 이송블럭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에 결합되는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에 연결되고, 하나(하단 또는 상단)의 이송스크류가 회전시 또 다른 하나(상단 또는 하단)의 이송스크류를 연동회전시키는 연결체인; 및 제 1,2 폼 승강부에 포함된 몸체의 선단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한 제 1 이송블럭의 이송상태를 안내하는 가이드볼;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철재폼에는 수직으로 다수 배열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의 위에서 상하단측에 직교 배열되고 폼 이송부의 제 2 이송블럭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지지부가 결합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제 1,2 폼 승강부의 몸체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2 폼 승강부의 승하강에 따라 철재폼의 승하강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 연결부와 체결봉을 통해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철재폼에 앵커볼트로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빔에는 건축물이 3층 이상으로 축조될 때, 별도의 연장빔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건축물의 복수 벽면 동시 시공방법은,
작업대가 각각 부착된 복수개의 폼 상승시스템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코너선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제 1,2 벽면의 기초콘크리트에 결합하는 제 1 단계;
상기 폼 상승시스템에 포함되는 폼 이송부를 통해 복수개의 철재폼을 각각 코너선을 중심으로 건축할 제 1,2 벽면의 내측폼으로 밀착시켜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1층의 제 1,2 벽면을 동시에 양생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완성된 1층 제 1,2 벽면으로부터 각각 철재폼을 폼 이송부를 통해 빼내고, 상기 복수개의 철재폼에 각각 결합된 2단의 작업대를 폼 구동부를 통해 2층으로 상승시켜 앵커볼트로 상기 건축된 1층 제 1,2 벽면의 상단에 체결하는 제 3 단 계;
상기 2층으로 상승된 2단의 작업대와 철재폼을 상기 폼 이송부을 통해 각각 코너선을 중심으로 건축할 제 1,2 벽면의 내측폼으로 밀착시켜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2층의 제 1,2 벽면을 동시에 양생하는 제 4 단계;
상기 완성된 2층 제 1,2 벽면으로부터 각각 철재폼을 폼 이송부를 통해 빼내고, 폼 구동부를 통해 지지빔 및 이에 연결되는 연장빔을 상승시킨 후, 폼 구동부를 통해 철재폼과 결합된 작업대를 3층으로 상승시켜 앵커볼트로 건축된 2층 제 1,2 벽면의 상단에 체결하는 제 5 단계;
상기 3층으로 상승된 작업대 밑으로 3단과 4단의 작업대를 설치한 후, 폼 이송부를 통해 철재폼을 이동시켜 코너선을 중심으로 건축할 제 1,2 벽면의 내측폼으로 밀착시켜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3층의 제 1,2 벽면을 동시에 양생하는 제 6 단계;
상기의 제 5,6 단계를 반복하여 필요한 층까지 철재폼을 상승시켜 콘크리트 양생에 의한 추가적인 제 1,2 벽면을 동시에 건축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철재폼과 작업대는 지지빔과 상승빔이 앵커볼트와 체결플랜지를 통해 기초 콘크리트 벽면(또는 건축된 각 층의 제 1,2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폼 구동부의 구동으로부터 제 1,2 폼 승강부와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빔과 상승빔은 철재폼과 2단 작업대가 상승이 이루어진 후 앵커볼트와 체결플랜지를 통해 건축된 제 1,2 벽면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폼 구동부의 구동으로부터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 공사 후 건축물의 벽면을 시공함에 있어 폭이 비교적 좁은 복수개의 벽면에 대한 거푸집을 층별로 차례차례 동시에 형성한 것으로, 이에 따라 건축물에 대한 복수개의 벽면 시공이 한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진행하고, 이를 통해 벽면이 많은 건축물에 있어 벽면의 시공 공정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폼 상승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폼 승강부와 폼 이송부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폼 승강부와 폼 이송부에 대한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폼 구동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폼 구동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 개략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재폼이 전진 이송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재폼이 후진 이송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축물 코너선을 기준으로 꺽임 형태인 제 1, 2 벽면의 동시 건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은 지지빔(10), 상승빔(20), 제 1,2 폼 승강부(30)(40), 폼 구동부(50), 폼 이송부(60), 철재폼(70), 작업대(미도시), 그리고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빔(10)은 제 1,2 벽면의 기초 콘크리트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빔(10)에는 건축물이 3층 이상으로 축조될 때 별도의 연장빔(200)이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상승빔(20)은 상기 각각의 지지빔(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 1,2 벽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폼 구동부(50)에 의해 승하강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제 1 폼 승강부(30)는 제 1,2 벽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상승빔(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폼 구동부(50)의 구동으로부터 승하강하는 것으로, 몸체(31), 가이드롤러(3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1)는 양측부에 홀(표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안내편(31a)이 돌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롤러(32)는 상기 상승빔(20)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도록 상기 몸체(3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폼 승강부(40)는 제 1,2 벽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상승빔(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폼 구동부(50)의 구동으로부터 승하강하는 것으로, 몸체(41), 가이드롤러(42), 그리고 승하강너트(4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41)는 양측부에 홀(표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안내편(41a)이 돌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롤러(32)는 상기 상승빔(20)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도록 상기 몸체(41)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승하강너트(43)는 상기 몸체(41)의 내부에서 상기 몸체(41)와 일체로 체결 구성된다.
상기 폼 구동부(50)는 상기 제 1,2 폼 승강부(30)(40)를 승하강시키도록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모터(51), 수직 나사산 스크류(5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모터(51)는 감속기(미도시)가 부착된 것이며, 상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는 상기 승하강너트(43)에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51)의 회전구동시 제 1,2 폼 승강부(30)(40)를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상기 감속기의 축과 체인(53)을 통해 연결 구성된다.
상기 폼 이송부(60)는 상기 제 1,2 폼 승강부(30)(40)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 1,2 폼 승강부(30)(40)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 1,2 이송블럭(61)(62), 이송스크류(63), 스프로켓(64), 연결체인(65) 및, 가이드볼(6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이송블럭(61)은 제 1,2 폼 승강부(30)(40)에 포함되는 몸체(31)(41)의 선단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볼(66)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이송블럭(62)은 상기 제 1 이송블럭(61)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꺽임되게 구성된다.
상기 이송스크류(63)는 상기 제 1,2 이송블럭(61)(6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 1,2 이송블럭(61)(62)에 포함되는 몸체(31)(41)의 양측부에 마련되는 안내편(31a)(41a)의 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로켓(64)은 상기 이송스크류(63)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체인(65)은 상단(또는 하단)의 이송스크류(63)가 회전시 하단(또는 상단)의 이송스크류(63)를 연동회전시키도록 상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스프로켓(64)에 양단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볼(66)은 제 1,2 폼 승강부(30)(40)에 포함된 몸체(31)(41)의 선단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63)에 의한 제 1 이송블럭(61)의 이송상태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볼(66)은 제 1,2 벽면의 동시 건축이 이루어지도록 내측폼(100)으로 복수개의 철재폼(70)을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근접시킬 수 있게, 상기 제 1,2 이송블럭(61)(62)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철재폼(70)은 건축물의 내측폼(100)과 일정간극으르 유지하여 거푸집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2 폼 승강부(30)(40)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이며, 그 일면에는 수직으로 다수 배열되는 제 1 지지부(7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부(71) 위의 상하단측에는 상기 폼 이송부(60)의 제 2 이송블럭(62)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지지부(72)가 직교 배열된다.
상기 2단의 작업대는 상기 철재폼(70)의 상승시 연동하여 상승하는 것으로, 상기 철재폼(70)의 단부에 체결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2 폼 승강부(30)(40)와 철재폼(70)을 일체화되게 연결하는 것으로, 제 1,2 연결부(91)(9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91)는 제 1,2 폼 승강부(30)(40)에 포함되는 몸체(31)(41)에 각각 체결봉(93)을 통해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봉(93)을 통해 상기 제 2 연결부(92)와 연결 구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부(92)는 상기 제 1,2 폼 승강부(30)(40)의 승하강에 따라 철재폼(70)의 승하강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일단이 체결봉(93)을 통해 상기 제 1 연 결부(9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철재폼(70)에 앵커볼트(300)로 결합 구성된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400은 앵커볼트(300)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에 고정되면서 지지빔(20)이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플랜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코너선을 기준으로 동시에 제 1,2 벽면의 건축이 가능하도록 지반의 상부로 다소 돌출되는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1)에 2단의 작업대가 부착된 폼 상승 시스템에 포함되는 지지빔(10)을 앵커볼트(300)와 체결플랜지(400)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한 후, 상기 지지빔(10)에는 상승빔(20)을 앵커볼트(300)를 통해 결합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폼 상승 시스템의 폼 이송부(60)를 통해 건축할 제 1,2 벽면의 내측폼(100)으로 각각 일정간극이 형성되도록 철재폼(70)을 밀착시킨다.
즉, 상기 폼 이송부(60)는 제 1,2 폼 승강부(30)(40)에 포함되는 몸체(31)(41)의 선단부에 올려지면서 철재폼(70)의 상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제 1,2 이송블럭(61)(62), 상기 몸체(31)(41)의 양측부위에 마련되는 안내판(31a)(41a)의 홀을 관통하는 이송스크류(63), 상기 이송스크류(63)에 체결된 스프로켓(64)을 서로 연결한 연결체인(65), 그리고 상기 몸체(31)(41)의 선단부위에 다수 형성되는 가이드볼(66)을 포함하는 바,
상기 하단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류(63)를 회전시키면, 상기 하단의 이송스크류(63)에 체결된 스프로켓(64)과 상단의 이송스크류(63)에 체결된 스프로켓(64)이 연결체인(65)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상단의 이송스크류(63) 또한 상기 하단의 이송스크류(63)와 동일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송스크류(63)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제 1 이송블럭(61) 및 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이송블럭(62)은 전진동작을 하고, 상기 제 1 이송블럭(61)에 제 1,2 연결부(91)(92) 및 체결봉(93)을 통해 결합되는 철재폼(70)도 전진의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2 이송블럭(61)(62)과 철재폼(70)은 각각 코너선을 기준으로 동시에 건축할 제 1,2 벽면에 대응하는 개수가 마련되므로, 상기 제 1 이송블럭(61)은 직선 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이드볼(66)에 의해 그 이동방향은 가변적이고, 이에따라 내측폼(100)으로 복수개의 철재폼(70)이 각각 밀착될 때, 상기 복수개의 철재폼(70)은 건축할 제 1,2 벽면이 맞닿은 코너선에서 서로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철재폼(70)이 내측폼(100)으로 일정간극을 유지하는 상태로 밀착되면 거푸집이 형성되고, 이에따라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키면 1층의 제 1,2 벽면을 동시에 건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완성된 1층의 제 1,2 벽면 배후로부터 폼 이송부(60)를 통해 철재폼(70)을 후진시킨 후, 상기 철재폼(70)은 물론, 이에 결합된 2단의 작업대를 폼 구동부(50)를 통해 2층으로 상승시켜 앵커볼트(300)로 벽면에 체결한다.
즉, 상기 폼 구동부(50)는 감속기가 부착된 회전모터(51)가 있고, 상기 감속기의 축과 체인(53)을 통해서는 장형의 수직 나사산 스크류(52)가 연결됨은 물론, 상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는 제 2 폼 승강부(40)에 포함되는 승하강너트(43)에 끼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빔(10)과 상승빔(20)은 기초 콘트리트에 앵커볼트(300)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회전모터(51)의 회전구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가 결합된 승하강너트(43)를 구비한 하단의 제 2 폼 승강부(40)는 상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와 승하강너트(43)의 체결력으로부터 상승된다.
이때, 상기 제 2 폼 승강부(40)에는 폼 이송부(60)가 결합되고, 상기 폼 이송부(60)에는 연결부재에 포함되는 제 1,2 연결부(91)(92) 및 체결봉(93)을 통해 철재폼(7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폼 승강부(40)의 상승과 동시에, 상기 철재폼(70)은 물론 이에 결합되는 2단의 작업대도 동시에 상승동작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승이 이루어진 철재폼(70)과 2단의 작업대를 앵커볼트(300)를 이용하여 양생을 통해 건축된 제 1,2 벽면의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지지빔(10)과 상승빔(20)에서 앵커볼트(300)를 분리한 다음, 상기 회전모터(51)를 역회전 구동시키면, 상기 회전모터(51)의 역회전구동으로부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 또한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가 체결된 승하강너트(43)는 제 2 폼 승강부(4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폼 승강부(40)는 폼 이송부(60)와 연결부재를 통해 철재폼(7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철재폼(70)은 상기의 설명과 같이 이 동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승하강너트(43)는 고정된 상태로서, 상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는 승하강너트(43)와의 체결력으로부터 상승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의 일단은 상승빔(2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상승빔(20)은 물론 이에 연결 고정된 지지빔(10)은 상기 수직 나사산 스크류(52)의 상승동작으로부터 1층씩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에서와 같이 2층으로 상승된 2단의 작업대와 철재폼(70)을 다시 상기 폼 이송부(60)를 통해 이동시켜 건축할 제 1,2 벽면의 내측폼(100)과 일정간극을 유지하도록 밀착시켜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2층의 제 1,2 벽면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완성된 2층 제 1,2 벽면의 배후로부터 각각 철재폼(70)을 폼 이송부(60)를 통해 빼내고, 앞서의 설명과 가팅 상기 폼 구동부(50)를 통해 지지빔(10)을 상승시키는 한편, 상기 폼 구동부(50)를 통해 철재폼(70)과 이에 결합된 2단 작업대를 3층으로 상승시켜, 상기 철재폼(70)과 2단 작업대를 앵커볼트(300)를 이용하여 건축된 제 1,2 벽면의 상단에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폼 구동부(50)를 통해 앞서의 설명과 같이 지지빔(10)과 상승빔(20)을 상승시키면, 상기 지지빔(10)의 하단에 연결되는 또 하나의 연장빔(200)도 함께 상승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3층으로 상승된 2단의 작업대 밑으로 3단과 4단의 작업대를 설치하고, 폼 이송부(60)를 이용하여 철재폼(70)을 전진시켜 건축할 제 1,2 벽면의 내측폼(100)으로 밀착시켜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키면 3층의 제 1,2 벽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층까지 상기의 2,3층에 대한 제 1,2 벽면의 동시 형성 과정을 반복하면 원하는 층까지 제 1,2 벽면을 계속적으로 연장 신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폼 상승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폼 승강부와 폼 이송부에 대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폼 승강부와 폼 이송부에 대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폼 구동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폼 구동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재폼이 전진 이송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재폼이 후진 이송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빔 20 ; 상승빔
30 ; 제 1 폼 상승부 40 ; 제 2 폼 상승부
50 ; 폼 구동부 60; 폼 이송부
70 ; 철재폼 100; 내측폼
200; 연장빔 300; 앵커볼트
Claims (11)
- 건축물 코너선을 기준으로 꺽임 형태인 제 1,2 벽면의 동시 건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2 벽면의 기초 콘크리트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빔;상기 각각의 지지빔에 체결되고, 벽면 형성시 승강하는 상승빔;상기 상승빔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제 1,2 폼 승강부;상기 제 1,2 폼 승강부를 승하강시키도록 구동하는 폼 구동부;상기 제 1,2 폼 승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2 벽면의 동시 건축을 위한 복수의 거푸집 형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볼 타입의 롤러를 따라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이송블럭을 포함하는 폼 이송부;상기 폼 이송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 1,2 폼 승강부에 의해 승하강하고, 상기 폼 이송부의 이송동작에 따라 건축물의 내측폼과 일정간극을 유지하여 거푸집을 형성하는 철재폼;상기 철재폼의 단부에 체결되는 작업대; 및상기 제 1,2 폼 승강부와 철재폼을 일체화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폼 승강부는,양측부에 홀을 형성한 안내편이 돌출되는 몸체;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승빔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폼 승강부는,양측부에 홀을 형성한 안내편이 돌출되는 몸체;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승빔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몸체와 일체로 체결되는 승하강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 구동부는,감속기가 부착된 회전모터;상기 감속기의 축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고, 승하강너트에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구동시 제 1,2 폼 승강부를 승하강시키는 장형의 수직 나사산 스크류;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 이송부는,상기 제 1,2 폼 승강부에 포함되는 몸체의 선단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가이드볼에 의해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제 1 이송블럭과, 상기 제 1 이송블럭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꺽임되게 구성되는 제 2 이송블럭으로, 상기 이송블럭을 구성하고,상기 제 1,2 이송블럭을 관통하며, 상기 제 1,2 이송블럭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상기 이송스크류에 결합되는 스프로켓;상기 스프로켓에 연결되고, 하나(하단 또는 상단)의 이송스크류가 회전시 또 다른 하나(상단 또는 하단)의 이송스크류를 연동회전시키는 연결체인; 및,제 1,2 폼 승강부에 포함된 몸체의 선단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한 제 1 이송블럭의 이송상태를 안내하는 가이드볼;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재폼에는,수직으로 다수 배열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의 위에서 상하단측에 직교 배열되고 폼 이송부의 제 2 이송블럭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지지부가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제 1,2 폼 승강부의 몸체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및,상기 제 1,2 폼 승강부의 승하강에 따라 철재폼의 승하강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 연결부와 체결봉을 통해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철재폼에 앵커볼트로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에는 건축물이 3층 이상으로 축조될 때, 별도의 연장빔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
- 작업대가 각각 부착된 복수개의 폼 상승시스템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코너선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제 1,2 벽면의 기초콘크리트에 결합하는 제 1 단계;상기 폼 상승시스템에 포함되는 폼 이송부를 통해 복수개의 철재폼을 각각 코너선을 중심으로 건축할 제 1,2 벽면의 내측폼으로 밀착시켜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1층의 제 1,2 벽면을 동시에 양생시키는 제 2 단계;상기 완성된 1층 제 1,2 벽면으로부터 각각 철재폼을 폼 이송부를 통해 빼내고, 상기 복수개의 철재폼에 각각 결합된 2단의 작업대를 폼 구동부를 통해 2층으로 상승시켜 앵커볼트로 상기 건축된 1층 제 1,2 벽면의 상단에 체결하는 제 3 단계;상기 2층으로 상승된 2단의 작업대와 철재폼을 상기 폼 이송부을 통해 각각 코너선을 중심으로 건축할 제 1,2 벽면의 내측폼으로 밀착시켜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2층의 제 1,2 벽면을 동시에 양생하는 제 4 단계;상기 완성된 2층 제 1,2 벽면으로부터 각각 철재폼을 폼 이송부를 통해 빼내고, 폼 구동부를 통해 지지빔 및 이에 연결되는 연장빔을 상승시킨 후, 폼 구동부를 통해 철재폼과 결합된 작업대를 3층으로 상승시켜 앵커볼트로 건축된 2층 제 1,2 벽면의 상단에 체결하는 제 5 단계;상기 3층으로 상승된 작업대 밑으로 3단과 4단의 작업대를 설치한 후, 폼 이송부를 통해 철재폼을 이동시켜 코너선을 중심으로 건축할 제 1,2 벽면의 내측폼으로 밀착시켜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3층의 제 1,2 벽면을 동시에 양생하는 제 6 단계; 및상기의 제 5,6 단계를 반복하여 필요한 층까지 철재폼을 상승시켜 콘크리트 양생에 의한 추가적인 제 1,2 벽면을 동시에 건축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 동시 시공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철재폼과 작업대는 지지빔과 상승빔이 앵커볼트와 체결플랜지를 통해 기초 콘크리트 벽면(또는 건축된 각 층의 제 1,2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폼 구동부의 구동으로부터 제 1,2 폼 승강부와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 동시 시공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빔과 상승빔은 철재폼과 2단 작업대가 상승이 이루어진 후 앵커볼트와 체결플랜지를 통해 건축된 제 1,2 벽면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폼 구동부의 구동으로부터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상승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 동시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9110A KR100945426B1 (ko) | 2008-02-29 | 2008-02-29 |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9110A KR100945426B1 (ko) | 2008-02-29 | 2008-02-29 |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3544A KR20090093544A (ko) | 2009-09-02 |
KR100945426B1 true KR100945426B1 (ko) | 2010-03-05 |
Family
ID=4130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9110A KR100945426B1 (ko) | 2008-02-29 | 2008-02-29 |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54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05845B (zh) * | 2011-11-17 | 2014-07-02 | 柳雪春 | 高层建筑快速机械化施工的方法 |
CN103643794A (zh) * | 2013-11-19 | 2014-03-19 | 江苏沪武建设工程有限公司 | 工具式电梯井内模板支设与提升系统 |
CN105507580B (zh) * | 2016-01-27 | 2017-08-25 | 山东方圆建筑材料有限公司 | 一种电梯井整体提升模板装置 |
CN106013774B (zh) * | 2016-06-08 | 2018-06-29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适合调遣的滑模柔性平台装置 |
CN106337557B (zh) * | 2016-10-31 | 2019-01-11 |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 一种大型双体筒仓滑模抗扭的施工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30648A (en) | 1984-04-18 | 1985-07-23 | Economy Forms Corporation | Wall climbing form hoist |
JPH055361A (ja) * | 1991-06-27 | 1993-01-14 | Taisei Corp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多段打ち工法及び型枠装置 |
JPH0747888B2 (ja) * | 1991-07-30 | 1995-05-24 | 藤本商工株式会社 | セルフクライミングケーソン型枠工法、その装置、及びケーソン型枠剥離装置 |
KR100746551B1 (ko) | 2007-03-06 | 2007-08-06 | (주)세건이엔지 | 건축물의 폼을 상승시켜 건축하는 시공방법과 그폼상승시스템 |
-
2008
- 2008-02-29 KR KR1020080019110A patent/KR1009454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30648A (en) | 1984-04-18 | 1985-07-23 | Economy Forms Corporation | Wall climbing form hoist |
JPH055361A (ja) * | 1991-06-27 | 1993-01-14 | Taisei Corp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多段打ち工法及び型枠装置 |
JPH0747888B2 (ja) * | 1991-07-30 | 1995-05-24 | 藤本商工株式会社 | セルフクライミングケーソン型枠工法、その装置、及びケーソン型枠剥離装置 |
KR100746551B1 (ko) | 2007-03-06 | 2007-08-06 | (주)세건이엔지 | 건축물의 폼을 상승시켜 건축하는 시공방법과 그폼상승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3544A (ko) | 2009-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5426B1 (ko) |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 |
KR100746552B1 (ko) | 벽면 상승유니트 | |
US10280609B2 (en) | High rise building elevation concept | |
CN102888957A (zh) | 一种预制轻型板式楼梯 | |
KR100746551B1 (ko) | 건축물의 폼을 상승시켜 건축하는 시공방법과 그폼상승시스템 | |
CN105696788A (zh) | 提升电梯井道模系统 | |
US10829927B2 (en) | Vertical slip form construction system with multi-function plat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therewith | |
KR100665340B1 (ko) |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 |
US4180233A (en) |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 |
KR200384389Y1 (ko) |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 |
KR100972606B1 (ko) |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 |
KR101451877B1 (ko) |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 |
US3194532A (en) | Apparatus for pouring floors of a multi-story building | |
JP4623570B2 (ja) | ジャッキベース及び型枠支保工の施工方法 | |
KR200184988Y1 (ko) | 키커블럭을 이용한 철재 거푸집 설치구조 | |
JP2009024449A (ja) | 建物用内部階段およびその建造方法 | |
JP4456745B2 (ja) | 作業床 | |
CN1148497C (zh) | 上升浇筑墙体及下降浇筑楼板的施工方法 | |
FI127602B (fi) | Tehdas ja laiva | |
KR20060095076A (ko) |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 |
KR20090078322A (ko) | 거푸집 이동장치 | |
JPH0733688B2 (ja) | プツシユアツプ工法 | |
JP2754196B2 (ja) | 建物構造体の扛重設備 | |
JP2008214932A (ja) | 建物の構築方法 | |
JP2022096407A (ja) | パネルユニットを作製するための架台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