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929B1 - 소방설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소방설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929B1
KR102163929B1 KR1020200074097A KR20200074097A KR102163929B1 KR 102163929 B1 KR102163929 B1 KR 102163929B1 KR 1020200074097 A KR1020200074097 A KR 1020200074097A KR 20200074097 A KR20200074097 A KR 20200074097A KR 102163929 B1 KR102163929 B1 KR 10216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 support
pipe
steel bea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주
Original Assignee
김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주 filed Critical 김희주
Priority to KR102020007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설비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설비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에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을 결합하는 단계와,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부를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과 강재보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강재보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와, 상부 플랜지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웨브부와, 웨브부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은, 하부 플랜지부에 지지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가압 핸드부와, 가압 핸드부에 연결되며, 가압 핸드부를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에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을 결합하고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부를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과 강재보에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를 위해 천정 슬래브를 천공할 필요가 없어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설비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fire-figh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현장의 오염 없이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소화 설비인 스프링클러 설비는 통상 실내의 천장에 위치하면서 화재로 인한 실내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합금편이 용융되고 개방하여 화염에 물을 분사하는 자동 소화 설비로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과 동시에 소화용수의 분무가 시작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설비는 초기화재 진압에 적합하고, 소화약제가 물이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감지부가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오동작이 적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설비는 조작이 쉽고 안전하며 자동적으로 화재의 감지 및 소화를 시작하므로, 실내 거주 인원이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인 화재진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고층빌딩 등에 설치되는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 천장 부위에서 고압의 물을 급수하여 살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보통 천장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주배관(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러한 주배관에 다수의 가지배관(분기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교차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주배관, 가지배관, 연결관은 천정 슬래브에 설치된 행거를 통해 지지되는데, 이러한 행거는 천정 슬래브의 콘크리트층에 앵커볼트로 고정된다.
그런데, 행거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 시공은 천정 슬래브를 천공하는 천공작업을 수반하게 되고, 이러한 천공 작업에 의해 많은 분진이 발생되어 작업 현장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3149호(2007.06.2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 분진 등을 발생시키는 천정 슬래브 천공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 현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방설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에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을 결합하는 단계; 및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부를 상기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과 상기 강재보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강재보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 상기 상부 플랜지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웨브부; 및 상기 웨브부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은, 상기 하부 플랜지부에 지지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가압 핸드부; 및 상기 가압 핸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 핸드부를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핸드부는, 상기 핸드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가로 플레이트부; 및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웨브부에 연결되는 세로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 구동부는, 구동부 프레임부; 상기 구동부 프레임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부;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기 가압 핸드부에 결합되는 랙 기어부; 상기 랙 기어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랙 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구동부 프레임부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기어용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지지부는,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1 걸림고리에 걸림결합되는 고정 걸림부; 상기 고정 걸림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부를 가압하는 가압 클램퍼부; 상기 고정 걸림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받침부; 및 상기 배관 받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로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2 걸림고리에 걸림결합되는 회동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클램퍼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에 연결되는 가압용 헤드부; 상기 가압용 헤드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부; 상기 나사봉부에 연결되며, 사각의 봉 형상으로 형성된 사각 몸체부; 상기 나사봉부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연통되며 상기 사각 몸체부가 삽입되는 사각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삽입 블록부; 및 상기 삽입 블록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나사봉부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용 헤드부를 상기 삽입 블록부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가압용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에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을 결합하고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부를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과 강재보에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를 위해 천정 슬래브를 천공할 필요가 없어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소방설비 시공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관 지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C-C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배관 지지부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소방설비 시공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관 지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C-C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반대편에 위치된 가압 핸드부(111)를 도시하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소방설비 시공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미도시)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10)에 결합되는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과,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과 강재보(10)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강재보(10)는 벽체(미도시) 또는 기둥(미도시)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재보(10)는,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11)와, 상부 플랜지부(11)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웨브부(12)와, 웨브부(12)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플랜지부(11)와 웨브부(1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부 플랜지부(13)는 웨브부(12)에 용접결합된다.
상부 플랜지부(11)의 하부벽에는 배관 지지부(120)의 후술할 가압용 헤드부(122a)에 형성된 제1 걸림용 그루브(K1)에 삽입되는 제1 걸림용 돌출부재(11a)가 형성된다. 제1 걸림용 돌출부재(11a)는 상부 플랜지부(11)의 길이방향(도 1을 뚫고 나오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은 강재보(10)에 결합된다. 이러한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 핸드부(111)와 핸드 구동부(113)를 포함한다.
가압 핸드부(111)는 하부 플랜지부(13)에 지지된다. 이러한 가압 핸드부(11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가압 핸드부(111)는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핸드부(111)는 가로 플레이트부(111a)와 세로 플레이트부(111b)를 구비한다.
가로 플레이트부(111a)는 핸드 구동부(113)에 연결된다. 이러한 가로 플레이트부(111a)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 플랜지부(13)의 상부면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 플레이트부(111a)의 상부면에는 제1 걸림고리(G1)가 형성된다. 제1 걸림고리(G1)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 걸림고리(G1)에는 후술할 고정 걸림부(121)가 끼워져 결합된다.
세로 플레이트부(111b)는 가로 플레이트부(111a)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세로 플레이트부(111b)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웨브부(12)의 외측벽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로 플레이트부(111b)의 외벽에는 제2 걸림고리(G2)가 형성된다. 제2 걸림고리(G2)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2 걸림고리(G2)에는 후술할 회동 걸림부(124)의 말단부 영역이 끼워져 결합된다.
핸드 구동부(113)는 가압 핸드부(111)에 연결된다. 이러한 핸드 구동부(113)는 가압 핸드부(111)를 웨브부(12)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 구동부(1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 프레임부(114)와,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내부에 배치되며 구동부 프레임부(1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부(115)와, 피니언 기어부(115)에 치합되며 가압 핸드부(111)에 결합되는 랙 기어부(116)와, 랙 기어부(11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랙 기어부(116)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부(117)와,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외부에 배치되며 피니언 기어부(115)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부(115)를 회전시키는 기어용 핸들부(118)를 포함한다.
구동부 프레임부(114)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프레임부(114)에는 랙 기어부(116)가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114b)이 형성된다.
또한,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하부 내벽면에는 랙 기어부(11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배치된다.
피니언 기어부(115)는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내부 중앙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피니언 기어부(115)는 구동부 프레임부(1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랙 기어부(116)는 피니언 기어부(115)에 치합된다. 이러한 랙 기어부(116)는 가압 핸드부(111)에 결합되어 가압 핸드부(111)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랙 기어부(116)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부(115)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랙 기어부(116)가 피니언 기어부(115)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랙 기어부(116) 각각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117)는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동 가이드부(117)는 랙 기어부(11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술한 가이드 레일(미도시)과 함께 랙 기어부(116)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가이드부(117)는 길이가 긴 원통의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어용 핸들부(118)는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기어용 핸들부(118)는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하부 외벽을 관통하여 피니언 기어부(115)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어용 핸들부(118)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 기어부(115)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랙 기어부(116)에 결합된 가압 핸드부(111)가 웨브부(12)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배관 지지부(120)는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과 강재보(1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배관 지지부(120)는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부(120)는,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플레이트부(111a)의 제1 걸림고리(G1)에 걸림결합되는 고정 걸림부(121)와, 고정 걸림부(121)에 결합되며 상부 플랜지부(11)에 연결되어 상부 플랜지부(11)를 가압하는 가압 클램퍼부(122)와, 고정 걸림부(121)에 연결되며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하는 배관 받침부(123)와, 배관 받침부(1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세로 플레이트부(111b)의 제2 걸림고리(G2)에 걸림결합되는 회동 걸림부(124)를 포함한다.
가압 클램퍼부(122)는 상부 플랜지부(11)와 가로 플레이트부(111a)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가압 클램퍼부(122)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가압 클램퍼부(122)는, 길이가 신축되어 상부 플랜지부(11)를 상측으로 가압하고 가로 플레이트부(111a)를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배관 지지부(120)를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과 강재보(10)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클램퍼부(122)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용 헤드부(122a)와 나사봉부(122b)와, 사각 몸체부(122c)와, 삽입 블록부(122d)와, 가압용 핸들부(122e)를 포함한다.
가압용 헤드부(122a)는 상부 플랜지부(11)의 하부벽에 연결된다. 이러한 가압용 헤드부(122a)의 상단부에는 제1 걸림용 돌출부재(11a)가 삽입되는 제1 걸림용 그루브(K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압용 헤드부(122a)에는 상부 플랜지부(11)의 하부벽에 형성된 제1 걸림용 돌출부재(11a)가 삽입되는 제1 걸림용 그루브(K1)가 형성됨으로써, 배관 지지부(120)가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과 강재보(10) 사이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나사봉부(122b)는 가압용 헤드부(122a)에 연결된다. 이러한 나사봉부(122b)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사각 몸체부(122c)는 나사봉부(122b)에 연결되어 나사봉부(122b)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사각 몸체부(122c)는 사각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 블록부(122d)의 내부에는 나사봉부(122b)가 관통하는 관통홀(H)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 블록부(122d)의 내부에는 관통홀(H)에 연통되며 사각 몸체부(122c)가 삽입되는 사각홈(S)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각홈(S)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각홈(S)의 내벽면이 사각 몸체부(122c)의 외벽면에 접촉됨으로써 나사봉부(122b)의 회전을 제한된다.
가압용 핸들부(122e)는 삽입 블록부(122d)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용 핸들부(122e)는 나사봉부(122b)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가압용 헤드부(122a)를 삽입 블록부(122d)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시킨다.
배관 받침부(123)는 고정 걸림부(121)에 지지된다. 이러한 배관 받침부(123)는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받침부(1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걸림부(121)에 결합되는 세로벽(123a)과, 세로벽(123a)에 연결되며 스프링클러용 배관(P)에 접촉되는 가로벽(123b)을 포함한다.
세로벽(123a)에는 회동 걸림부(1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중심축(123c)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배관 받침부(123)는 한 쌍의 가압 클램퍼부(122)의 사이에 배치된다.
회동 걸림부(124)는 배관 받침부(1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동 걸림부(124)는 세로 플레이트부(111b)에 형성된 제2 걸림고리(G2)에 걸림결합된다. 이와 같이 회동 걸림부(124)가 세로 플레이트부(111b)에 형성된 제2 걸림고리(G2)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스프링클러용 배관(P)의 하중에 의해 배관 받침부(123)의 세로벽(123a)에 인가되는 모멘트(moment)에 의해 세로벽(123a)이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소방설비 시공장치를 이용한 소방설비 시공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데크 플레이트(W)가 강재보(10) 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강재보(10)와 데크 플레이트(W)의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후, 기어용 핸들부(118)를 회전시켜 한 쌍의 가압 핸드부(111)의 사이를 벌린 후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상부면을 하부 플랜지부(13)의 하부면에 밀착시킨다.
다음, 기어용 핸들부(118)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가압 핸드부(111)의 사이를 좁혀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을 강재보(10)에 결합시킨다.
이후, 배관 지지부(120)의 고정 걸림부(121)를 제1 걸림고리(G1)에 끼운다. 다음, 가압 클램퍼부(122)의 가압용 핸들부(122e)를 회전시켜 가압용 헤드부(122a)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상측으로 이동된 가압용 헤드부(122a)는 상부 플랜지부(11)에 연결되어 상부 플랜지부(11)를 가압하고, 이러한 가압 클램퍼부(122)의 가압에 의해 배관 지지부(120)가 상부 플랜지부(11)와 세로 플레이트부(111b)의 사이에 고정된다.
이후, 회동 걸림부(124)를 회전시켜 회동 걸림부(124)를 제2 걸림고리(G2)에 걸림결합시킨다. 다음, 스프링클러용 배관(P)이 배관 지지부(12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10)에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을 결합하고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부(120)를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과 강재보(10)에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프링클러용 배관(P)의 설치를 위해 천정 슬래브를 천공할 필요가 없어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배관 지지부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배관 지지부(220)의 일부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6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배관 지지부(220)의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배관 지지부(220)는, 가로 플레이트부(111a)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 걸림용 돌출부재(R)가 삽입되는 제2 걸림용 그루브(K2)가 형성된 베이스 블록부(221)를 구비한다. 제2 걸림용 돌출부재(R)는 가로 플레이트부(111a)의 길이방향(도 7을 뚫고 나오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부(220)는, 가로 플레이트부(111a)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 걸림용 돌출부재(R)가 삽입되는 제2 걸림용 그루브(K2)가 형성된 베이스 블록부(221)를 구비함으로써,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과 강재보(10) 사이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강재보 11: 상부 플랜지부
12: 웨브부 13: 하부 플랜지부
110: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 111: 가압 핸드부
111a: 가로 플레이트부 111b: 세로 플레이트부
113: 핸드 구동부 114: 구동부 프레임부
115: 피니언 기어부 116: 랙 기어부
117: 이동 가이드부 118: 기어용 핸들부
120: 배관 지지부 121: 고정 걸림부
122: 가압 클램퍼부 122a: 가압용 헤드부
122b: 나사봉부 122c: 사각 몸체부
122d: 삽입 블록부 122e: 가압용 핸들부
123: 배관 받침부 124: 회동 걸림부
221: 베이스 블록부 G1: 제1 걸림고리
G2: 제2 걸림고리 H: 관통홀
S: 사각홈 P: 스프링클러용 배관

Claims (3)

  1.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10)에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을 결합하는 단계; 및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부(120)를 상기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과 상기 강재보(10)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재보(10)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11);
    상기 상부 플랜지부(11)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웨브부(12); 및
    상기 웨브부(12)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13)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지지용 브라켓유닛(110)은,
    상기 하부 플랜지부(13)에 지지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가압 핸드부(111); 및
    상기 가압 핸드부(111)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 핸드부(111)를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핸드부(111)는,
    상기 핸드 구동부(113)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부(13)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가로 플레이트부(111a); 및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111a)에서 연장되며, 상기 웨브부(12)에 연결되는 세로 플레이트부(111b)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 구동부(113)는,
    구동부 프레임부(114);
    상기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 프레임부(1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부(115);
    상기 피니언 기어부(115)에 치합되며, 상기 가압 핸드부(111)에 결합되는 랙 기어부(116);
    상기 랙 기어부(11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랙 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부(117); 및
    상기 구동부 프레임부(114)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부(115)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부(115)를 회전시키는 기어용 핸들부(118)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부(120)는,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111a)에 형성된 제1 걸림고리(G1)에 걸림결합되는 고정 걸림부(121);
    상기 고정 걸림부(121)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부(11)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부(11)를 가압하는 가압 클램퍼부(122);
    상기 고정 걸림부(121)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하는 배관 받침부(123); 및
    상기 배관 받침부(1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로 플레이트부(111b)에 형성된 제2 걸림고리(G2)에 걸림결합되는 회동 걸림부(124)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클램퍼부(122)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11)에 연결되는 가압용 헤드부(122a);
    상기 가압용 헤드부(122a)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부(122b);
    상기 나사봉부(122b)에 연결되며, 사각의 봉 형상으로 형성된 사각 몸체부(122c);
    상기 나사봉부(122b)가 관통하는 관통홀(H)과 상기 관통홀(H)에 연통되며 상기 사각 몸체부(122c)가 삽입되는 사각홈(S)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부(122b)의 회전을 제한하는 삽입 블록부(122d); 및
    상기 삽입 블록부(122d)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나사봉부(122b)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용 헤드부(122a)를 상기 삽입 블록부(122d)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가압용 핸들부(122e)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시공방법.
KR1020200074097A 2020-06-18 2020-06-18 소방설비 시공방법 KR10216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097A KR102163929B1 (ko) 2020-06-18 2020-06-18 소방설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097A KR102163929B1 (ko) 2020-06-18 2020-06-18 소방설비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929B1 true KR102163929B1 (ko) 2020-10-12

Family

ID=7288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097A KR102163929B1 (ko) 2020-06-18 2020-06-18 소방설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9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157A (en) * 1996-04-10 1998-02-03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Deck hanger
KR100733149B1 (ko) 2007-01-31 2007-06-28 (주)설화엔지니어링 건축천정 설비배관 매달기 레벨조정장치
KR101778487B1 (ko) * 2017-01-17 2017-09-26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KR20180028722A (ko) * 2016-09-09 2018-03-19 김병찬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가대
KR101928361B1 (ko) * 2018-05-25 2018-12-13 성마기업(주)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KR20200000050U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가이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157A (en) * 1996-04-10 1998-02-03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Deck hanger
KR100733149B1 (ko) 2007-01-31 2007-06-28 (주)설화엔지니어링 건축천정 설비배관 매달기 레벨조정장치
KR20180028722A (ko) * 2016-09-09 2018-03-19 김병찬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가대
KR101778487B1 (ko) * 2017-01-17 2017-09-26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KR101928361B1 (ko) * 2018-05-25 2018-12-13 성마기업(주)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KR20200000050U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가이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0700B (zh) 支座
CN201313619Y (zh) 预制模块化整体舱室单元房间
US3798839A (en) Movable wall panel
JP4796195B1 (ja) 作業用足場装置
KR101814376B1 (ko)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KR102163929B1 (ko) 소방설비 시공방법
KR101778487B1 (ko)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KR102145226B1 (ko)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KR10079103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조립체
KR20210091607A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2117113B1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101928361B1 (ko)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JP2001140461A (ja) 建築物外壁塗装装置
JP5033393B2 (ja) 壁体建て起こし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壁体の建て起こし工法
KR102286566B1 (ko) 소방용 스프링쿨러
JP4038130B2 (ja) 連層式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CN215741537U (zh) 建筑外表面灭火装置
JP4418232B2 (ja) スプレー装置
KR101925948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설치용 가벽 구조체
KR102323859B1 (ko) 건축물 실내에 설치가 용이한 간이 소방 설비
JP6151528B2 (ja) 空調ユニットの施工方法
CN220014168U (zh) 一种万向调节器和一种建筑装饰结构与消防设备一体化装置
KR102592724B1 (ko) 샌드위치 패널용 방화수 분사기
JP5532547B2 (ja) 作業方法
KR101925947B1 (ko)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