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607A -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607A
KR20210091607A KR1020200004993A KR20200004993A KR20210091607A KR 20210091607 A KR20210091607 A KR 20210091607A KR 1020200004993 A KR1020200004993 A KR 1020200004993A KR 20200004993 A KR20200004993 A KR 20200004993A KR 20210091607 A KR20210091607 A KR 20210091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shaft
support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752B1 (ko
Inventor
김주완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주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완 filed Critical 김주완
Priority to KR102020000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52B1/ko
Priority to US16/816,175 priority patent/US11219791B2/en
Publication of KR2021009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오픈브라켓 형태로 형성되어 스프링클러의 레듀샤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의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스프링클러의 레듀샤를 고정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는 제2 프레임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중간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을 관통해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서브프레임에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당겨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회동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Fixing apparatus for reduer of sprinkler}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오픈브라켓 형태로 형성되어 스프링클러의 레듀샤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할 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는 화재진압기구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화재진압기구가 점차적으로 실용화 되고 대중화 되면서 건물 각 층의 천정부위에서 고압의 물을 급수하여 살포하므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쿨러가 의무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천장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스프링쿨러를 결합하여 화재가 발생한 부분에 용수를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였다.
도 1에는 레듀샤 고정구조에 대한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듀샤 고정구조는 통상의 플렉시블조인트에 하측으로 레듀샤(10)로 연결되어져서 소정의 장소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로 구성된 화재진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듀샤(10)의 네 측면부분에 형성된 접촉면(12)이 끼워지는 사각끼움공(32)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바(20)가 끼워지는 개방부(34)를 갖는 레듀샤 고정브라켓(30)의 측면부에 형성된 소정의 갯수를 갖는 나사공(36)에 체결되어 사각바(20)를 가압하여 레듀샤(10)의 접촉면(12)을 가압하도록 하는 다수의 나비나사(38)로 구성되며, 상기 레듀샤 고정브라켓(30)의 측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35)이 형성되어져서 천정으로 부터 인출된 나사지지대에 상부너트 및 하부너트에 의해 체결되어져 구성된다.
상기 레듀샤(10)의 접촉면(12)은 외측면의 라운딩져 있는 부분을 커팅하여 형성하도록 하고, 레듀샤(10)의 하측에는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는 스프링클러설치부(26)가 형성되어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레듀샤 고정구조는 사각바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먼저 클램프를 사각바에 미리 설치해 두어야 하고, 설치와 해체 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레듀샤가 사각바를 가압하는 나비나사에 의해서만 가압이 이루어져 한쪽으로만 힘을 받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레듀샤가 클램프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2946호 :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다양한 형태나 크기의 레듀샤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의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스프링클러의 레듀샤를 고정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는 제2 프레임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중간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을 관통해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서브프레임에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당겨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회동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가 타측으로 당겨질 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중간프레임과의 접촉면을 따라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듀샤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프레임은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과 접촉하는 양 측면이, 상기 중간프레임의 중심위치에서 상기 샤프트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을따라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은 상기 중간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중간프레임의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에 상기 메인프레임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돌출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중간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을 관통해 연장되되,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단부에 상기 회동레버와 연결되는 레버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의 타단부에는 지지나사가 체결되되, 상기 지지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사이에 지지되는 레듀샤의 폭이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사이의 체결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된 레버연결부에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연결부와 연결되는 회동레버의 핀연결부는 상기 회동핀이 관통할 수 있는 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메인프레임과 접촉하는 핀연결부의 외주면은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핀홀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거리가 점점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동레버를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메인프레임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상기 회동레버가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레버의 단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레듀샤를 고정하기 위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회동레버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해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고리가 상기 샤프트와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축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프레임과 접촉하는 제1 프레임연결부와, 상기 제1 프레임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레듀샤를 지지하는 제1 지지바디와, 상기 제1 지지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지지프레임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연장되는 제1 연장판과, 상기 제1 연장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제1 측면판과, 상기 제1 측면판의 하단에서 지지프레임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게 소정길이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제2 축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프레임과 접촉하는 제2 프레임연결부와, 상기 제2 프레임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레듀샤를 지지하는 제2 지지바디와, 상기 제2 지지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지지프레임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연장되는 제2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지지부가 지지프레임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레듀샤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중간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의 구조에 따르면, 시공 후에도 해체 및 재시공, 위치변경 등이 용이하며, 레듀샤의 크기에 따라 고정되는 클램프의 고정폭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사용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가 잠금상태일 때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가 열림상태일 때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가 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레듀샤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서브프레임이 회동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7은 레듀샤가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8은 고정고리가 생략된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100)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천장구조물의 지지프레임(20)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프레임(130),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중간프레임(130) 및 서브프레임(120)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샤프트(140), 샤프트(140)를 감싸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160), 상기 샤프트(14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샤프트(140)의 일측을 당겨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이 가까워지도록 구동하거나, 구속력을 해제하는 회동레버(17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제1 프레임연결부(111)와, 제1 프레임연결부(111)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지지바디(113)와, 제1 지지바디(11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레임지지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연결부(111)는 후술하는 중간프레임(130)과 연결되는 부분이며, 제1 축관통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축관통홀(112)은 후술하는 샤프트(140)가 관통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이다.
제1 프레임연결부(111)에서 후술하는 중간프레임(130)과 접촉하는 부분을 내측, 그 반대편을 외측이라고 하면, 상기 제1 축관통홀(112)은 제1 프레임연결부(111)의 외측면에서 소정길이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구간과, 제1 구간의 단부에서 제1 프레임연결부(111)의 내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구간에 비해 제2 구간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구간은 샤프트(14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홀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제2 구간은 샤프트(140)를 감싸는 탄성부재(16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제1 구간과 제2 구간의 직경차에 의해 제1 구간과 제2 구간이 연결되는 연결부에는 탄성부재(160)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턱(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 프레임연결부(111)는 내측면이 후술하는 중간프레임(1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바디(113)는 제1 프레임연결부(111)로부터 샤프트(14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지지바디(113)는 레듀샤(10)를 설치할 때 레듀샤(10)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지지부(114)는 지지프레임(20)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제1 지지바디(113)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판(115)과, 제1 연장판(115)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판(116)과, 제1 측면판(116)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17)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연장판(115)은 지지프레임(2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지지바디(113)의 단면과 제1 측면판(116)의 사이에 지지프레임(20)이 체결된다.
그리고 제1 프레임지지부(114)가 걸림턱(117)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레듀샹의 장착 시공 중에 먼저 메인샤프트(140)를 지지프레인에 걸어주고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뛰어나다.
상기 서브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서브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후술하는 중간프레임(130)과 연결되는 제2 프레임연결부(121)와, 제2 프레임연결부(121)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지지바디(123)와, 제2 지지바디(123)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지지부(124)를 포함한다.
제2 프레임연결부(121)는 중간프레임(130)과 접촉하는 일측을 내측, 그 반대편 타측을 외측이라고 하면, 제2 프레임 연결부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140)가 연장될 수 있게 제2 축관통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축관통홀(122)도 제1 축관통홀(112)과 마찬가지로 외측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내측으로 인입된 제1 구간과, 제1 구간의 단부에서 내측면을 관통하는 제2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구간은 샤프트(140)의 외경에 대응하고, 제2 구간은 탄성부재(16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연결부(121)는 중간프레임(130)과 접하는 내측면이 후술하는 중간프레임(1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바디(123)는 제1 지지바디(113)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2 프레임지지부(124)는 제2 연장판(125)과, 제2 측면판(126)을 포함한다. 제2 연장판(125)은 지지프레임(20)의 상면을 덮으며, 제2 측면판(126)은 지지프레임(20)의 측면을 덮도록 설치되는데, 제2 측면판(126)에는 제1 측면판(116)과 달리 걸림턱(117)에 대응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서브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을 지지프레임(20)에 걸어둔 상태에서 후술하는 샤프트(140)를 중심으로 상기 제2 프레임지지부(124)가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서브프레임(120)을 회동시키는 것은 장착할 레듀샤(10)를 제1 지지바디(113)와 제2 지지바디(123)의 사이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간프레임(130)은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메인프레임(110)의 제1 프레임연결부(111)와 접하는 제1 경사부(131), 서브프레임(120)의 제2 프레임연결부(121)와 접하는 제2 경사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부(131)에는 양측 가장자리에 메인프레임(110)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돌출턱(13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서브프레임(120)이 레듀샤(10)의 장착을 위해 회동할 때, 서브프레임(120)과 함께 회동하지 않도록 메인프레임(110)에 걸려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간프레임(130)에도 샤프트(140) 및 탄성부재(160)가 관통할 수 있는 제3 축관통홀(1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3 축관통홀(133)은 탄성부재(16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상기 중간프레임(130)이 제1 경사부(131) 및 제2 경사부(132)에서 메인프레임(110) 및 서브프레임(120)과 경사면을 접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은 상기 제1 경사부(131)와 제2 경사부(13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호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140)는 상술한 것처럼 메인프레임(110)의 제1 축관통홀(112)과 중간프레임(130)의 제3 축관통홀(133), 서브프레임(120)의 제2 축관통홀(122)을 관통해 연장된다.
메인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140)의 일측단부에는 후술하는 회동레버(170)와 연결되는 레버연결부(141)가 형성되어 있고, 서브프레임(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타측단부에는 나사산(1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연결부(141)는 회동레버(170)와 회동핀(150)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제1 핀홀(1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프레임(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140)의 타단부에는 지지나사(144)가 체결되는데, 지지나사(144)를 회동시켜 샤프트(140) 상에서 지지나사(144)가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후술하는 회동레버(170)에 의해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때,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레듀샤(10)의 크기에 따라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 사이의 거리 조절을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160)는 샤프트(14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이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에 지지된다. 그래서 후술하는 회동레버(170)에 의해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이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때에는 탄성부재(160)가 압축되고, 회동레버(170)를 돌려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듀샤(10)에 대한 결속이 해제된다.
상기 회동레버(170)는 상술한 것처럼 샤프트(1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레버연결부(1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레버(170)는 상기 제1 핀홀(142)에 대응하는 제2 핀홀(172)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핀(150)이 제2 핀홀(172)과 제1 핀홀(142)을 관통하도록 체결됨으로써 회동레버(170)가 상기 회동핀(15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버연결부(141)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핀홀(172)이 형성된 핀연결부(171)는 외주면이 메인프레임(110)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데, 이 핀연결부(171)의 외주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될수록 점점 상기 제2 핀홀(172)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회동레버(170)가 연장되는 연장방향과 샤프트(140)가 연장되는 연장방향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메인프레임(110)과 접촉하는 핀연결부(171)의 외주면과 제2 핀홀(172)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고, 반대로 회동레버(170)가 연장되는 연장방향과 샤프트(140)가 연장되는 연장방향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수록 메인프레임(110)과 접촉하는 핀연결부(171)의 외주면과 제2 핀홀(17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동레버(170)를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을 향해 가까워지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핀(150)이 연결되어 있는 제2 핀홀(172)이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140)의 일측 단부가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레버(170)의 단부에는 고정고리(17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고리(173)는 샤프트(140)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고리(173)에는 샤프트(140)의 타측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홀(17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레버(170)를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회동시켜 레듀샤(10)가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 사이에 결속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고리(173)를 서브프레임(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샤프트(140)의 단부에 걸어 상기 회동레버(170)가 회전하면서 레듀샤(10)에 대한 결속이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고리(173)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100)의 장착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메인프레임(110)의 제1 프레임지지부(114)가 지지프레임(20)에 걸리도록 장착한다. 이 때, 상기 제1 프레임지지부(114)의 걸림턱(117)이 지지프레임(20)의 하단에 걸리기 때문에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서브프레임(120)의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샤프트(14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레듀샤(10)가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통로를 확보하여 레듀샤(10)를 진입시킨 다음 다시 서브프레임(120)을 회전시켜 제2 프레임지지부(124)가 지지프레임(20)에 체결되도록 장착한다.
레듀샤(10)가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동레버(170)를 샤프트(140)와 나란한 방향을 연장될 수 있게 회전시키면 상기 샤프트(140)의 일측 단부가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레듀샤(10)는 지지프레임(20)과 메인프레임(110), 중간프레임(130) 및 서브프레임(120)에 의해 4면이 지지되어 결속된 상태가 된다.
결속이 되면, 고정고리(173)를 서브프레임(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140)의 단부에 걸어 회동레버(170)를 고정한다.
이후 장착위치를 조정하거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등, 레듀샤(10)의 결속을 해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회동레버(170)를 돌려 샤프트(140)에 대한 인출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60)에 의해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이 이격되면서 레듀샤(10)에 대한 결속이 해제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레듀샤 20: 지지프레임
100: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110: 메인프레임
111: 제1 프레임연결부 112: 제1 축관통홀
113: 제1 지지바디 114: 제1 프레임지지부
115: 제1 연장판 116: 제1 측면판
117: 걸림턱
120: 서브프레임
121: 제2 프레임연결부 122: 제2 축관통홀
123: 제2 지지바디 124: 제2 프레임지지부
125: 제2 연장판 126: 제2 측면판
130: 중간프레임
131: 제1 경사부 132: 제2 경사부
133: 제3 축관통홀 134: 돌출턱
140: 샤프트
141: 레버연결부 142: 제1 핀홀
143: 나사산 144: 지지나사
150: 회동핀
160: 탄성부재
170: 회동레버
171: 핀연결부 172: 제2 핀홀
173: 고정고리 174: 고정홀

Claims (9)

  1. 천장구조물의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스프링클러의 레듀샤를 고정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는 제2 프레임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중간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을 관통해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서브프레임에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당겨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회동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가 타측으로 당겨질 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중간프레임과의 접촉면을 따라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듀샤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프레임은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과 접촉하는 양 측면이, 상기 중간프레임의 중심위치에서 상기 샤프트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을따라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은 상기 중간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중간프레임의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에 상기 메인프레임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돌출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중간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을 관통해 연장되되,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단부에 상기 회동레버와 연결되는 레버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의 타단부에는 지지나사가 체결되되, 상기 지지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사이에 지지되는 레듀샤의 폭이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사이의 체결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된 레버연결부에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연결부와 연결되는 회동레버의 핀연결부는 상기 회동핀이 관통할 수 있는 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메인프레임과 접촉하는 핀연결부의 외주면은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핀홀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거리가 점점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동레버를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메인프레임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상기 회동레버가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메인프레임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의 단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레듀샤를 고정하기 위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회동레버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해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고리가 상기 샤프트와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축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프레임과 접촉하는 제1 프레임연결부와,
    상기 제1 프레임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레듀샤를 지지하는 제1 지지바디와,
    상기 제1 지지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지지프레임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연장되는 제1 연장판과, 상기 제1 연장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제1 측면판과, 상기 제1 측면판의 하단에서 지지프레임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게 소정길이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제2 축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프레임과 접촉하는 제2 프레임연결부와,
    상기 제2 프레임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레듀샤를 지지하는 제2 지지바디와,
    상기 제2 지지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지지프레임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연장되는 제2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지지부가 지지프레임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레듀샤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중간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20200004993A 2020-01-14 2020-01-14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234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93A KR102340752B1 (ko) 2020-01-14 2020-01-14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US16/816,175 US11219791B2 (en) 2020-01-14 2020-03-11 Sprinkler reducer fix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93A KR102340752B1 (ko) 2020-01-14 2020-01-14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607A true KR20210091607A (ko) 2021-07-22
KR102340752B1 KR102340752B1 (ko) 2021-12-16

Family

ID=7676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993A KR102340752B1 (ko) 2020-01-14 2020-01-14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19791B2 (ko)
KR (1) KR102340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897B1 (ko) * 2018-10-15 2020-03-30 임영순 캠레버 풀림방지용 로커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센터 브라켓
AU2021204663A1 (en) * 2021-05-14 2022-12-01 Youngsoon Lim Center Bracket for Adjusting Sprinkler Body
WO2022255514A1 (ko) * 2021-06-02 2022-12-08 에스와이플렉스㈜ 스프링클러 시스템용 일체형 브래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311A (ja) * 1996-03-29 1997-10-07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配管用固定構造
KR100822946B1 (ko) 2007-02-27 2008-04-16 동아금속주름관(주)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1260045B1 (ko) * 2011-07-19 2013-04-30 (주)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1335984B1 (ko) * 2013-08-09 2013-12-04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KR101603863B1 (ko) * 2015-01-12 2016-03-17 정운택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8238B2 (en) * 2011-08-24 2016-03-08 Victaulic Company Bracket
AU2013250172B2 (en) * 2012-04-16 2016-02-11 Young Sun Lim Bracket for fixing fire protection sprinkler
US9255652B2 (en) * 2013-06-05 2016-02-09 Hyung Soo Kim Clamping structure for mounting reducer
US9308407B2 (en) * 2014-06-11 2016-04-12 Seung Jin Ind. Co., Ltd. Fixing bracket of reducer for sprinkler
US9731156B2 (en) * 2015-01-12 2017-08-15 Seungjin Ind. Co., Ltd. Fixing bracket of sprinkler
US9341286B1 (en) * 2015-01-29 2016-05-17 Kofulso Co., Ltd. Sprinkler reducer fixing bracket
KR101969535B1 (ko) * 2017-03-09 2019-04-16 승진산업 (주) 소방 스프링클러의 리듀서 고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311A (ja) * 1996-03-29 1997-10-07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配管用固定構造
KR100822946B1 (ko) 2007-02-27 2008-04-16 동아금속주름관(주)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1260045B1 (ko) * 2011-07-19 2013-04-30 (주)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1335984B1 (ko) * 2013-08-09 2013-12-04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KR101603863B1 (ko) * 2015-01-12 2016-03-17 정운택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752B1 (ko) 2021-12-16
US11219791B2 (en) 2022-01-11
US20210213315A1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752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US6488097B1 (en) Fire protection sprinkler head support
US6119784A (en) Support system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s
JP6130381B2 (ja) パイプ間ブレース組立体
KR100705046B1 (ko)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US7296634B2 (en) Decorative support panel
US9255652B2 (en) Clamping structure for mounting reducer
US8726607B1 (en) Sway brace assembly and method of restraining pipe relative to a building structure
KR20170107701A (ko)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KR100882550B1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20120047833A (ko) 시스템 레일 및 시스템 레일 유닛
JP6410114B2 (ja) 天井用照明装置の設置構造
KR102353898B1 (ko) 비계 버팀대
KR102279572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2145226B1 (ko)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KR100435300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구조
KR200340988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2400446B1 (ko) 배관 고정장치
JP2009095638A (ja) スプリンクラー装置を天井パネルに対して固定する固定装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JP3195276B2 (ja) 配管支持金具
KR20080033823A (ko) 원터치형 스프링클러 배관용 체결장치
KR200366066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구조
KR102310527B1 (ko) 소방 관구속 장치
KR20110006975U (ko)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CN220792290U (zh) 一种用于超高层建筑的泵送管道支撑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