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701A -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701A
KR20170107701A KR1020160031359A KR20160031359A KR20170107701A KR 20170107701 A KR20170107701 A KR 20170107701A KR 1020160031359 A KR1020160031359 A KR 1020160031359A KR 20160031359 A KR20160031359 A KR 20160031359A KR 20170107701 A KR20170107701 A KR 20170107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anel
panel portion
slit
reducer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010B1 (ko
Inventor
김민성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민성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성,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성
Priority to KR102016003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01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0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devices for holding the open end of a h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지지패널부의 양 측에서 꺾여 제1측면 패널부와 제2측면 패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인 지지패널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단부 측에서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레듀서가 관통되는 설치구멍이 형성된 설치용 브라켓트부재 및 상기 설치용 브라켓트부재의 개방부 측에서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설치구멍에 삽입된 레듀서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캡부재를 포함하여 설치 조건에 따라 오픈형태와 캡형태로 구분하여 설치될 수 있어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설치 작업 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설치 조건에서 간편하게 스프링쿨러의 레듀서를 설치할 수 있어 스프링쿨러의 설치 작업 소요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for Reducer of Sprinkler}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이나 대형건물에서의 화재는 대형참사를 불러오기 때문에, 최근 고층건물이나 대형건물에는 다양한 종래의 화재진압장비들이 설치되고 있다.
건물 내 설치되는 화재진압장비 중 스프링쿨러는 화염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 스프링클러의 헤드의 가용부(可溶部)가 이를 감지하여 용해 또는 파열됨으로서 배관 속에 상시 가압되어 있는 물을 방수하여 소화(消火)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장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러한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스프링쿨러를 결합한다.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를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플랙시블하게 구부러지고 금속재로 제작된 플랙시블 튜브(Flexible Tube)가 많이 사용되는 있다.
플랙시블 튜브는 플랙시블하게 구부러지게 하기 위해 외주면을 나선 형상으로 주름져서 형성하고 고압으로 용수가 흐를 때 압력으로 인하여 관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지급수관과 연결되는 부분에 오링과 체결링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한다.
플랙시블 튜브는 일단이 분지급수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스프링쿨러가 고정되는 레듀서(Reducer)라고 하는 연결관과 결합한다.
천장에는 스프링쿨러의 설치를 위한 사각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사각 프레임에 상기 레듀서의 설치를 위한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가 설치된다.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는 상기 레듀사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오픈타입의 종래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오픈타입의 종래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는 복수개의 볼트(2)가 관통되어 체결되며 레듀서(3)가 세워져 관통되는 구멍(1a)이 형성된 브라켓트(1)를 포함하고, 브라켓트(1)를 체결되는 볼트가 사각 프레임(4)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는 여러 개의 볼트(1a)로 브라켓트(1)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조립 구조가 복잡하고 번거롭고 설치 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1)는 볼트 조임 방식으로 볼트(1a)를 조이고 풀기 위해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고 이동시 볼트(1a)의 이탈 및 분실로 인해 설치 작업시 불편한 문제점이 많다.
도 2는 캡타입의 종래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캡타입의 종래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는 브라켓트 본체(5)의 개구된 정면으로 캡(6)이 회전축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져 사각 프레임(7)을 브라켓트 본체(5)의 양측 방향으로 관통시켜 결합해야 한다.
즉, 사각 프레임(7)의 양 단부가 메인 설치 프레임(8)에 각각 고정 설치된 후 캡타입의 종래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의 브라켓트 본체(5)는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사각 프레임(7)에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브라켓트 본체(5)를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사각 프레임(4)에 결합시켜 설치할 수 없고 사각 프레임(7)을 메인 설치 프레임(8)에서 해체한 후 브라켓트 본체(5)의 측방향으로 관통시켜 브라켓트 본체(5)와 결합한 후 다시 메인 설치 프레임(8)에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6975호 (2011.07.13) 등록실용신안 제20-0360803호 (2004.08.24)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에 설치된 프레임에 스프링쿨러의 레듀서를 설치 조건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에 결합되어 스프링쿨러의 레듀서를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이며, 프레임 지지패널부의 양 측에서 꺾여 제1측면 패널부와 제2측면 패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인 지지패널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단부 측에서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레듀서가 관통되는 설치구멍이 형성된 설치용 브라켓트부재 및 상기 설치용 브라켓트부재의 개방부 측에서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설치구멍에 삽입된 레듀서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내측면에는 각각 상기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을 걸어 지지하는 프레임 걸림돌기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패널부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캡부재는,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개방부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패널부와 상기 커버패널부의 양 측에서 꺾여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각각 겹쳐지는 제1축지지 패널부와 제2축지지패널부를 구비하는 캡 본체브라켓트부, 상기 제1축지지 패널부와 상기 제2축지지패널부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부, 상기 제1축지지 패널부와 상기 제2축지지패널부에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레듀서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는 상기 결합축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단부 측으로 개방된 축결합 슬릿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결합 슬릿부는 상기 설치구멍 측에서 상기 개방부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단부 측으로 개방되는 제1슬릿, 상기 제1슬릿에서 상기 설치구멍 측의 단부 측에서 상기 제1슬릿과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슬릿, 상기 제2슬릿의 단부 측에서 상기 제2슬릿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축부가 회전되게 위치하는 제3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슬릿은 상기 제1슬릿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슬릿은 상기 제2슬릿에서 수직인 상기 제1슬릿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 본체브라켓트부는 상기 결합축이 상기 제3슬릿에 위치될 때 상기 커버패널부의 단부가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는 보강용 엠보싱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용 엠보싱부는 설치구멍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구멍보강용 엠보싱과, 상기 구멍보강용 엠보싱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축결합 슬릿부와 상기 제1측면 패널부의 단부 사이, 상기 축결합 슬릿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슬릿보강용 엠보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축부의 양단부는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축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측면 패널부가 사이에 끼워지는 제1스냅링과 제2스냅링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측면 패널부가 사이에 끼워지는 제3스냅링과 제4스냅링이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 본체브라켓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잡고 상기 캡 본체브라켓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레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 조건에 따라 오픈형태와 캡형태로 구분하여 설치될 수 있어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설치 작업 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설치 조건에서 간편하게 스프링쿨러의 레듀서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의 설치 작업 소요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오픈 타입의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캡 타입의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에서 설치용 브라켓트부재의 측면도.
도 5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에서 가압캡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에 대한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에서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스프링쿨러의 레듀서(10)를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는 프레임 지지패널부(110)의 양 측에서 꺾여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가 형성되는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를 포함한다.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는 프레임 지지패널부(110)를 기준으로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는 ㄷ자 형상을 가지고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은 4개의 면을 포함한 사각 프레임인 것을 일 예로 한다.
프레임 지지패널부(110)에 대향되는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단부 측은 개방된 개방부(100a)가 형성된다.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에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구멍(140)이 형성되고, 설치구멍(140)으로는 레듀서(10)가 관통되어 결합된다.
프레임 지지패널부(110)는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에서 4개의 면 중 제1면을 지지하고,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는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에서 4개의 면 중 제1면과 이어진 제2면과 제4면을 지지한다.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내측면에는 각각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을 걸어 지지하는 프레임 걸림돌기부(150)가 돌출된다.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는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단부 측 개방부(100a)를 통해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사이로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이 삽입되고 프레임 지지패널부(110)가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의 일면을 지지하고 프레임 걸림돌기부(150)가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의 타면을 걸어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에 1차적으로 설치 고정된다.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의 개방부(100a) 측에서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에는 설치구멍(140)에 삽입된 레듀서(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캡부재(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프레임 지지패널부(110)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구멍(111)이 형성되어 가압캡부재(200)를 분리하고 오픈 타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가압캡부재(200)는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사이로 삽입되어 개방부(100a)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패널부(211)와 커버패널부(211)의 양 측에서 꺾여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에 각각 겹쳐지는 제1축지지 패널부(212)와 제2축지지 패널부(213)를 구비하는 캡 본체브라켓트부(210); 제1축지지 패널부(212)와 제2축지지 패널부(213)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부(220); 제1축지지 패널부(212)와 제2축지지 패널부(213)에 양단부가 지지되며 레듀서(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롤부(230)를 포함한다.
캡 본체브라켓트부(210)는 커버패널부(211)를 기준으로 제1축지지 패널부(212)와 제2축지지 패널부(213)가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는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에는 결합축부(22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단부 측으로 개방된 축결합 슬릿부(160)가 형성되며, 축결합 슬릿부(160)는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양측으로 관통된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축부(220)의 양 단부가 각각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축결합 슬릿부(160)는 설치구멍(140) 측에서 개방부(100a) 측으로 형성되어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단부 측으로 개방되는 제1슬릿(161), 제1슬릿(161)에서 설치구멍(140) 측의 단부 측에서 제1슬릿(161)과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슬릿(162), 제2슬릿(162)의 단부 측에서 제2슬릿(162)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결합축부(220)가 회전되게 위치하는 제3슬릿(163)을 포함한다.
제2슬릿(162)은 제1슬릿(161)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3슬릿(163)은 제2슬릿(162)에서 수직인 방향 즉, 제1슬릿(161)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캡 본체브라켓트부(210)는 결합축부(220)가 제1슬릿(161)을 통해 제2슬릿(162)을 거쳐 제3슬릿(163)에 위치되어 회전되고 결합축이 제3슬릿(163)에 위치될 때 커버패널부(211)의 단부는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커버패널부(211)의 돌출된 부분을 눌러 용이하게 캡 본체브라켓트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에는 보강용 엠보싱부(170)가 돌출된다.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에는 설치구멍(140)과 축결합 슬릿부(160)가 형성되어 레듀서(10) 설치 시 변형되거나 레듀서(10) 설치 후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보강용 엠보싱부(170)는 설치구멍(14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구멍보강용 엠보싱(171)과, 구멍보강용 엠보싱(171)에서 연장 형성되고 축결합 슬릿부(160)와 제1측면 패널부(120)의 단부 사이 및 축결합 슬릿부(16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슬릿보강용 엠보싱(172)을 포함한다.
슬릿보강용 엠보싱(172)은 제1슬릿(161)과 제3슬릿(163) 사이로 연장 형성되어 제1슬릿(161)과 제3슬릿(163) 사이에서의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강성을 보강하여 변형을 방지한다.
도 5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에서 가압캡부재(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결합축부(220)의 양단부는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결합축부(220)의 일단부에는 제1측면 패널부(120)가 사이에 끼워지는 제1스냅링(221a)과 제2스냅링(222a)이 결합되고 결합축부(220)의 타단부에는 제2측면 패널부(130)가 사이에 끼워지는 제3스냅링(223a)과 제4스냅링(224a)이 결합된다.
결합축부(220)의 일단부는 제1스냅링(221a)과 제2스냅링(222a) 사이에서 제1측면 패널부(120)의 축결합 슬릿부(160) 내로 삽입되고, 결합축부(220)의 타단부는 제3스냅링(223a)과 제4스냅링(224a) 사이에서 제2측면 패널부(130)의 축결합 슬릿부(160) 내로 삽입된다.
결합축의 일단부 측에는 제1스냅링(221a)과 제2스냅링(222a)이 결합되는 제1링결합홈(221), 제2링결합홈(222)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결합축의 타단부 측에는 제3스냅링(223a)과 제4스냅링(224a)이 결합되는 제3링결합홈(223), 제4링결합홈(224)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결합축부(220)의 양단부는 각각 제1스냅링(221a)과 제2스냅링(222a) 사이에서 제1측면 패널부(120)가 삽입되고 제3스냅링(223a)과 제4스냅링(224a) 사이에서 제2측면 패널부(130)가 삽입되어 제1축지지 패널부(212)와 제2축지지 패널부(213)가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와 이격되어 캡 본체브라켓트부(210)가 원활하게 회전 작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a, 도 7b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에 대한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는 캡 본체브라켓트부(210)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단부 측 개방부(100a)가 개방되고, 개방된 개방부(100a)를 통해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사이로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이 삽입될 수 있다.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는 프레임 지지패널부(110)와 대향되고 개방된 개방부(100a)를 통해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으로 결합되고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은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개방된 단부 측을 통해 제1측면 패널부(120)와 제2측면 패널부(130)의 사이로 삽입된다.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는 프레임 지지패널부(110)가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의 일면을 지지하고 프레임 걸림돌기부(150)가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의 타면을 걸어 지지함으로써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에 1차적으로 설치 고정된다.
도 7의 (a) 및 (b)를 참고하면,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는, 캡 본체브라켓트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자가 잡고 캡 본체브라켓트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레버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레버부재(300)의 단부에는 상기 커버패널부(211)의 단부가 삽입되는 패널삽입홈(310)이 구비된다.
회전레버부재(300)는 작업자가 캡 본체브라켓트부(2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캡 본체브라켓트부(210)를 작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회전레버부재(3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른 구조물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최대한 길이를 확보하여 작업자가 캡 본체브라켓트(210)를 최대한 적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작업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회전레버부재(300)는 캡 본체브라켓트부(210)를 회전시켜 레듀서를 고정시키거나 캡 본체브라켓트부(210)를 반대로 회전시켜 레듀서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데 사용된 후 캡 본체브라켓트부(210)에서 분리되어 보관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7의 (a) 및 (b)를 참고하면,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가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에 설치된 후 결합축부(220)를 축결합 슬릿부(160)에 결합시켜 즉, 제1슬릿(161)을 통해 제2슬릿(162)을 거쳐 제3슬릿(163)에 위치시킨 다음 설치구멍(140) 내에 레듀서(10)를 관통시켜 위치시킨 후 캡 본체브라켓트부(210)를 회전시켜 가압롤부(230)로 레듀서(1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레듀서(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레듀서(10)는 가압롤부(230)와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20)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위치가 간단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는 가압캡부재(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용 브라켓트부재(100)로 오픈형태로 레듀서(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설치 조건에 따라 오픈형태와 캡형태로 구분하여 설치될 수 있어 스프링쿨러의 레듀서(10) 설치 작업 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설치 조건에서 간편하게 스프링쿨러의 레듀서(10)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의 설치 작업 소요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설치용 브라켓트부재 100a : 개방부
110 : 프레임 지지패널부 111 : 볼트체결구멍
120 : 제1측면 패널부 130 : 제2측면 패널부
140 : 설치구멍 150 : 프레임 걸림돌기부
160 : 축결합 슬릿부 161 : 제1슬릿
162 : 제2슬릿 163 : 제3슬릿
170 : 보강용 엠보싱부 171 : 구멍보강용 엠보싱
172 : 슬릿보강용 엠보싱 200 : 가압캡부재
210 : 캡 본체브라켓트부 211 : 커버패널부
212 : 제1축지지 패널부 213 : 제2축지지 패널부
220 : 결합축부 221 : 제1링결합홈
221a : 제1스냅링 222 : 제2링결합홈
222a : 제2스냅링 223 : 제3링결합홈
223a : 제3스냅링 224 : 제4링결합홈
224a : 제4스냅링 230 : 가압롤부
300 : 회전레버부재

Claims (11)

  1. 천장에 설치되는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에 결합되어 스프링쿨러의 레듀서를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이며,
    프레임 지지패널부의 양 측에서 꺾여 제1측면 패널부와 제2측면 패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인 지지패널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단부 측에서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레듀서가 관통되는 설치구멍이 형성된 설치용 브라켓트부재; 및
    상기 설치용 브라켓트부재의 개방부 측에서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설치구멍에 삽입된 레듀서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캡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내측면에는 각각 상기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을 걸어 지지하는 프레임 걸림돌기부가 돌출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패널부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가압캡부재는,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개방부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패널부와 상기 커버패널부의 양 측에서 꺾여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각각 겹쳐지는 제1축지지 패널부와 제2축지지패널부를 구비하는 캡 본체브라켓트부;
    상기 제1축지지 패널부와 상기 제2축지지패널부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부;
    상기 제1축지지 패널부와 상기 제2축지지패널부에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레듀서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는 상기 결합축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단부 측으로 개방된 축결합 슬릿부가 형성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축결합 슬릿부는 상기 설치구멍 측에서 상기 개방부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단부 측으로 개방되는 제1슬릿, 상기 제1슬릿에서 상기 설치구멍 측의 단부 측에서 상기 제1슬릿과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슬릿, 상기 제2슬릿의 단부 측에서 상기 제2슬릿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축부가 회전되게 위치하는 제3슬릿을 포함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2슬릿은 상기 제1슬릿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슬릿은 상기 제2슬릿에서 수직인 상기 제1슬릿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캡 본체브라켓트부는 상기 결합축이 상기 제3슬릿에 위치될 때 상기 커버패널부의 단부가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8. 제4항에서,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에는 보강용 엠보싱부는 돌출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보강용 엠보싱부는 설치구멍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구멍보강용 엠보싱과, 상기 구멍보강용 엠보싱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축결합 슬릿부와 상기 제1측면 패널부의 단부 사이, 상기 축결합 슬릿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슬릿보강용 엠보싱을 포함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10. 제4항에서,
    상기 결합축부의 양단부는 상기 제1측면 패널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축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측면 패널부가 사이에 끼워지는 제1스냅링과 제2스냅링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측면 패널부가 사이에 끼워지는 제3스냅링과 제4스냅링이 결합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11. 제4항에서,
    상기 캡 본체브라켓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잡고 상기 캡 본체브라켓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레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KR1020160031359A 2016-03-16 2016-03-16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KR10181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59A KR101813010B1 (ko) 2016-03-16 2016-03-16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59A KR101813010B1 (ko) 2016-03-16 2016-03-16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701A true KR20170107701A (ko) 2017-09-26
KR101813010B1 KR101813010B1 (ko) 2017-12-28

Family

ID=6003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359A KR101813010B1 (ko) 2016-03-16 2016-03-16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791B1 (ko) * 2018-07-13 2020-04-23 승진산업 (주)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KR102009773B1 (ko) * 2018-03-02 2019-08-12 승진산업 (주)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KR102094897B1 (ko) * 2018-10-15 2020-03-30 임영순 캠레버 풀림방지용 로커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센터 브라켓
KR20200050211A (ko) 2018-11-01 2020-05-11 서상민 플렉시블 튜브와 체결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와 그 고정장치를 이용한 동결방지 스프링클러 및 그 고정장치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의 시공방법
KR102195038B1 (ko) * 2020-05-04 2020-12-24 차종현 소방배관 고정기구
KR20240026619A (ko) 2022-08-22 2024-02-29 에스와이플렉스(주)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엘보 레듀사 키트 장치
KR20240027985A (ko) 2022-08-24 2024-03-05 에스와이플렉스(주)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엘보 레듀샤 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36Y1 (ko) * 2008-10-10 2010-12-21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스프링클러 육각레듀싱니플 고정클립
KR101322235B1 (ko) * 2010-02-25 2013-10-28 임관빈 스프링클러 클램프
KR101014385B1 (ko) * 2010-09-14 2011-02-15 임영순 소방용 스프링클러의 장착 클램프
KR101289274B1 (ko) * 2013-01-21 2013-07-24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010B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010B1 (ko)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JP2008095961A (ja) ホースクランプ
KR102340752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JP2006258280A (ja) 水管継手構造
JP2019049358A (ja) 継手用台座
JP4732772B2 (ja) パイプ継手の固定構造
NO313771B1 (no) Rörkopling
JP6313737B2 (ja) ブレース連結金具
JP2007291605A (ja) 水栓取付具および水栓取付方法
JP6097121B2 (ja) ブレース取付金具
JP5452523B2 (ja) パイプ継手の固定構造
KR101204817B1 (ko) 호스 연결 및 분리용 커플링 장치
KR200415188Y1 (ko) 스프링클러의 연결소켓 고정용 클램프
KR20080033823A (ko) 원터치형 스프링클러 배관용 체결장치
KR102180711B1 (ko)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KR20100005276U (ko) 배관용 고정클램프
JP2014152531A (ja) 他物固定具
JP2022551247A (ja) フィッティング装置及びこれを含むサービスバルブ
KR20210004569A (ko) 다중 가스 라인용 고정 브라켓 장치
JP2019007519A (ja) 吊りボルト固定金具及びブレース連結金具
JP4339080B2 (ja) 水栓器具へのサプライ管の接続構造
JP2007321477A (ja) 竪樋支持具
JP2005233327A (ja) 配管用ヘッダ−の固定装置
CN221003492U (zh) 一种天花机面板螺栓连接组件及空调器
KR20170003403U (ko) 이동형 등기구 멀티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