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791B1 -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791B1
KR102092791B1 KR1020180081583A KR20180081583A KR102092791B1 KR 102092791 B1 KR102092791 B1 KR 102092791B1 KR 1020180081583 A KR1020180081583 A KR 1020180081583A KR 20180081583 A KR20180081583 A KR 20180081583A KR 102092791 B1 KR102092791 B1 KR 10209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tube
cover
individual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449A (ko
Inventor
정운택
Original Assignee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승진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8008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791B1/ko
Priority to US16/284,816 priority patent/US10753513B2/en
Publication of KR2020000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는, 직방형의 안착 바닥체와 안착 바닥체의 양 가장자리에서 마주하게 기립(起立)되는 두 개의 안착 벽체를 갖는 관 안착 구조물; 두 개의 안착 벽체를 단속적으로 덮도록 두 개의 안착 벽체에 일 측부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두 개의 덮개 벽체와, 두 개의 덮개 벽체를 이어주는 덮개 천장체를 갖는 관 덮개 구조물; 두 개의 덮개 벽체의 타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두 개의 안착 벽체에 대해 단속적으로 고정되는 핸들 고정부와, 핸들 고정부로부터 돌출하는 핸들 가압부를 갖는 관 고정 구조물; 및 덮개 천장체에 탈부착되어 덮개 천장체에 부착시 두 개의 덮개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관 압착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TUBE LOCKING AND RELEASING DEVICE FOR FIRE-FIGHTING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소방 배관으로부터 소방용수를 공급받는 스프링 클러를 소정 위치에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소방법은 천재 지변(지진 발생 또는 화산 활동)에 대응하여 화재를 예방, 경계 및 진압해서 거주자 및/ 또는 근무자의 생명, 재산 등을 화재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소방시설의 내진설계기준을 건축물에 적극적으로 적용시키도록 시행되고 있다. 상기 내진설계기준은 천재 지변시 건축물의 소방 배관의 진동에 따른 건축물 내 스프링클러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건축물로부터 지지되는 버팀대에 스프링클러 고정 도구의 설치를 요구한다.
이 경우에, 상기 스프링클러 고정 도구는 스프링클러 상에 위치되는 리듀서와 버팀대를 접촉시켜 버팀대에 스프링클러를 간접적으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스프링클러 고정 도구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32337 호에 발명의 명칭으로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에서 종래기술로 개시되고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스프링클러 리듀서)를 둘러싼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는 센터 브라켓과 지지대를 갖는다. 상기 센터 브라켓은 브라켓 바디, 커버와 푸시모듈을 갖는다. 상기 커버는 브라켓 바디의 일 측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푸시모듈은 커버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커버가 브라켓 바디를 덮기 전, 상기 스플링클러 결합구는 브라켓 바디의 삽입홈에 삽입된다.
상기 커버가 브라켓 바디를 덮는 때, 상기 푸시 모듈은 커버에 지지되는 지지봉을 브라켓 바디의 내부에 삽입하고, 가이드 봉을 사용하여 브라켓 바디와 지지봉을 관통한다. 즉, 상기 가이드 봉은 브라켓 바디의 가이드 홈에 삽입된다. 그러나, 상기 커버는 브라켓 바디 상에 덮히는 동안 브라켓 바디의 모양과 스프링클러 결합구의 직경 때문에 지지대를 향해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미는데 어려운 구조를 갖는다.
왜냐하면, 상기 커버가 브라켓 바디를 덮는 때, 상기 푸시 모듈의 길이는 커버와 브리켓 바디의 접촉 그리고 커버와 스프링클러 결합구의 접촉을 통해 제한되어 브라켓 바디의 내부에서 증감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푸시 모듈의 길이는 브라켓 바디 상에 커버를 덮기 전 스프링클러 결합구의 크기 변경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푸시 모듈은 브라켓 바디의 가이드 홈에 끼워지기 때문에 건축물의 진동 시 브라켓 바디로부터 쉽게 이격되어 지지대와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분리시킨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32337 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듀서의 환형 외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레듀서의 겉돌기를 방지하고, 레듀서의 직경에 관계없이 레듀서에서 환형 외관의 좁은 영역에 보조관의 밀착력을 집속시키며, 원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진동시 레듀서와 보조관의 분리를 억제시키면서 레듀서와 보조관의 밀착 관련한 작업 공수를 최소화시키는데 적합한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는, 소정 폭을 가지면서 일 방향을 향하는 안착 바닥체와, 상기 안착 바닥체의 양 가장자리에서 마주하게 기립(起立)되어 개별적으로 볼 때 상부측에서 개구되며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해 만곡(彎曲) 형상을 한정하는 두 개의 안착 벽체를 갖는 관 안착 구조물;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의 상기 상부측에서 개별 안착 벽체의 외주 면을 단속적으로 덮도록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대해 일측부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두 개의 덮개 벽체와, 상기 개별 안착 벽체 상에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를 이어주는 덮개 천장체를 갖는 관 덮개 구조물;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의 타측부에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개별 덮개 벽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대해 단속적으로 고정되는 핸들 고정부와, 상기 핸들 고정부 상에서 상기 핸들 고정부로부터 굴곡지게 돌출하는 핸들 가압부를 갖는 관 고정 구조물; 및 상기 덮개 천장체에 탈부착되어 상기 덮개 천장체에 부착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관 압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관 안착 구조물과 상기 관 덮개 구조물과 상기 관 고정 구조물과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은 스프링클러 상에서 건축물에 고정되는 보조관과 상기 보조관에 밀착되는 레듀서를 둘러싸고, 상기 관 덮개 구조물은 상기 레듀서와 접촉하는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별 안착 벽체는 중앙 영역에서 만곡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 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안착 구루브의 둘레를 따라 마주하는 두 개의 마찰 부여 날개를 가지고, 상기 안착 그루브의 입구의 맞은 편에서 상기 안착 그루브의 상기 둘레를 따라 탄성 부여 홈 띠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별 안착 벽체는, 상기 안착 그루브의 입구 주변에 활 모양으로부터 유래(由來)하는 양 단부를 가지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외주면을 볼 때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양 단부에서 일 단부에 곧은 형상과 타 단부에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는,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볼 때, 상기 안착 바닥체 상에서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동일한 폭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개별 덮개 벽체는,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서 상기 안착 그루브의 상기 입구에 봉합 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봉합 그루브의 둘레에서 상기 두 개의 마찰 부여 날개 사이의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들은 상기 봉합 그루브의 상기 둘레 중 중앙 영역에서 상기 봉합 그루브의 중심을 향해 첨점을 갖는 제1 접촉 돌기들, 그리고 상기 봉합 그루브의 상기 둘레 중 양 가장자리 영역에서 서로를 향해 마주하는 첨점을 갖는 제2 및 제3 접촉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 덮개 벽체는, 상기 안착 바닥체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일측부에서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타측부보다 더 높은 레벨에 위치되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외주면을 덮는 때,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상기 일측부를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탄성 부여 홈 띠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상기 타측부를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탄성 부여 홈 띠에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는,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일측부의 덮개 홀을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일 단부의 안착 홀에 제1 힌지 리벳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개별 덮개 벽체를 통해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외주면을 덮는 때,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타측부의 덮개 홀에 제2 힌지 리벳을 관통시켜 상기 제2 힌지 리벳을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타 단부에서 상기 계단 형상의 단차 구조에 받쳐질 수 있다.
상기 덮개 천장체는, 상기 개별 덮개 벽체를 통해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외주면을 덮는 때,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타 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걸림 턱, 압박 수단 및 두 개의 제2 걸림 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제1 걸림턱은,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일 단부 바로 위에 위치되는 천장 걸림 홀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의 영역을 향해 돌출하며 서로를 향해 굴곡지게 절곡할 수 있다.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덮개 천장체의 외주면 상에서 볼 때 중앙 영역에서 두꺼운 폭 그리고 양 가장자리에서 얇은 폭을 가진 우주의 가스 성운(星雲)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덮개 천장체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덮개 천장체의 내주면을 향해 상기 가스 성운 형상으로 함몰되고, 상기 가스 성운 형상의 상기 중앙 영역에 압박 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제2 걸림턱은,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타 단부 바로 위에 위치되는 천장 걸림 홈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의 영역을 향해 돌출하며 서로를 향해 굴곡지게 절곡할 수 있다.
상기 핸들 고정부와 상기 핸들 가압부는,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볼 때, 상기 관 고정 구조물의 내주면을 따라 중공을 한정하면서 상기 관 고정 구조물의 상기 내주면을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의 외부에 노출시키고, 서로에 대해 소정 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핸들 고정부는, 상기 덮개 천장체의 외주면을 볼 때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타측부에서 상기 개별 안착 벽체와 상기 개별 덮개 벽체를 상기 덮개 천장체의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덮개 천장체의 더미 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 고정부는,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 사이에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 핸들 고정 상부턱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 핸들 고정 하부턱을 가지고,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에 대해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의 움직임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적용 홈 띠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은,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 사이에서 결합 홀을 가지고, 상기 결합 홀에 상기 제2 힌지 리벳을 끼워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은,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상기 타 측부 아래에서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를 이어주는 잠금 리벳을 물기 위해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 사이의 영역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내지 제3 개구부를 한정하고, 제1 및 제2 개구부에 상기 잠금 리벳을 단속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은,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 아래에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일측 개구된 고리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 사이에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를 이어주는 잠금 리벳을 물리는 때,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은,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의 개구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수직으로 정렬되어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상기 레듀서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은,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의 개구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 아래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상기 레듀서와 접촉하는 고립된 산 형상의 접촉 돌기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적용 홈 띠는,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에서 주걱 형상으로 위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면에 위치되고, 상기 핸들 고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은, 상기 개별 안착 벽체와 상기 개별 덮개 벽체 사이에서 얇은 두께의 판 스프링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덮개 천장체의 내주면에서 볼 때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의 중앙 영역에 'ㅁ' 자형의 스프링 프레임과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의 양 가장자리에 상기 스프링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프레임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두 개의 끼움편을 가지고, 개별 끼움편은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프레임보다 더 작은 점유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끼움편은, 상기 덮개 천장체에서, 상기 두 개의 제1 걸림턱에 하나의 끼움편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2 걸림턱에 나머지 끼움편을 끼우고, 상기 스프링 프레임은, 상기 두 개의 끼움편으로부터 상기 덮개 천장체 아래를 향해 활 모양으로 휘어지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활 모양의 하부에서 곡면을 통해 상기 레듀서를 밀어 상기 레듀서를 상기 보조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끼움편은, 상기 덮개 천장체에서, 상기 두 개의 제1 걸림턱에 하나의 끼움편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2 걸림턱에 나머지 끼움편을 끼우고, 상기 스프링 프레임은, 상기 두 개의 끼움편으로부터 상기 덮개 천장체 아래를 향해 활 모양으로 휘어지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활 모양의 하부에서 곡면에 형성되어 고립된 산 형상의 접촉 돌기를 통해 상기 레듀서를 밀어 상기 레듀서를 상기 보조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은, 상기 개별 안착 벽체와 상기 개별 덮개 벽체 사이에서 오뚜기 탄성체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덮개 천장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ㅁ' 자형의 고무 탄성 바디와 상기 고무 탄성 바디 상에 상기 고무 탄성 바디와 일체로 형성된 고무 끼움부를 가지고, 상기 고무 끼움부는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상기 고무 탄성 바디보다 더 작은 점유 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끼움부는, 상기 덮개 천장체에서, 상기 압박 수단의 상기 압박 구에 끼워지는 고무 끼움목 그리고 상기 고무 끼움 목 상에 상기 고무 끼움목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덮개 천장체의 상기 외주면에 노출되는 고무 끼움 머리를 가지고, 상기 고무 탄성 바디는, 상기 고무 끼움 목 아래에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고무 탄성 바디의 최하부 면을 통해 상기 레듀서를 밀어 상기 레듀서를 상기 보조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고무 끼움부는, 상기 덮개 천장체에서, 상기 압박 수단의 상기 압박 구에 끼워지는 고무 끼움목 그리고 상기 고무 끼움 목 상에 상기 고무 끼움목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덮개 천장체의 상기 외주면에 노출되는 고무 끼움 머리를 가지고, 상기 고무 탄성 바디는, 상기 고무 끼움 목 아래에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고무 탄성 바디의 최하부 면에 형성되어 고립된 산 형상의 접촉 돌기를 통해 상기 레듀서를 밀어 상기 레듀서를 상기 보조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관 안착 구조물에서 두 개의 안착 벽체, 그리고 개별 안착 벽체에서 안착 그루브 주변에 마찰 부여 날개, 그리고 관 덮개 구조물에서 개별 덮개 벽체의 봉합 그루브에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들, 그리고 관 압착 구조물을 구비하여, 두 개의 안착 벽체를 통해 레듀서와 보조관을 둘러싸는 동안 레듀서의 환형 외관과 환형 각진 외관에 마찰 부여 날개와 접촉 돌기들을 접촉시키고 레듀서의 환형 외관 또는 환형 각진 외관에 관 압착 구조물을 탄성 접촉시키므로 건축물의 진동 동안 두 개의 안착 벽체에 대해 레듀서의 상대적인 겉돌기를 방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관 안착 구조물에서 두 개의 안착 벽체, 관 덮개 구조물에서 덮개 천장체, 관 고정 구조물의 핸들 고정부, 그리고 관 압착 구조물을 구비하여, 두 개의 안착 벽체, 덮개 천장체, 핸들 고정부를 통해 레듀서와 보조관을 둘러싸는 동안 덮개 천장체에 부착되는 관 압착 구조물을 사용하여 보조관을 향해 레듀서를 밀어 레듀서를 보조관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므로 레듀서의 크기 변경에 관계없이 관 안착 구조물과 관 덮개 구조물과 관 고정 구조물과 관 압착 구조물 사이에서 레듀서와 보조관을 서로 적절히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관 안착 구조물에서 두 개의 안착 벽체, 관 덮개 구조물에서 덮개 천장체, 그리고 관 고정 구조물의 핸들 고정부와 핸들 가압부를 구비하여, 두 개의 안착 벽체와 덮개 천장체를 통해 레듀서와 보조관을 둘러싸는 동안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 핸들 고정부와 핸들 가압부를 일체로 형성시켜 두 개의 안착 벽체에 핸들 고정부와 핸들 가압부를 힌지 결합시키므로 두 개의 안착 벽체에 대해 핸들 고정부와 핸들 가압부의 회전 동안 핸들 고정부를 사용하여 두 개의 안착 벽체를 이어주는 잠금 리벳을 원터치 방식으로 견고하게 물어 건축물의 진동시 관 안착 구조물과 관 덮개 구조물로부터 레듀서와 보조관의 분리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관 안착 구조물, 관 덮개 구조물, 그리고 관 고정 구조물을 구비하여, 관 안착 구조물에 관 덮개 구조물을 힌지 결합시키고 관 덮개 구조물에 관 고정 구조물을 힌지 결합시키므로, 관 안착 구조물과 관 덮개 구조물과 관 고정 구조물을 통해 레듀서와 보조관을 둘러싸는 동안 또는 관 안착 구조물과 관 덮개 구조물과 관 고정 구조물로부터 레듀서와 보조관을 분리하는 동안 관 안착 구조물에 대해 관 덮개 구조물과 관 고정 구조물의 회전 만을 요구하여 레듀서와 보조관의 밀착 관련한 작업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를 보여주는 다면도(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관 안착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관 덮개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관 덮개 구조물에서 개별 덮개 벽체에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돌기들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관 고정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관 고정 구조물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다면도(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압착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관 압착 구조물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7a는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압착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관 압착 구조물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관 안착 구조물과 관 덮개 구조물과 관 압착 구조물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의 이용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를 보여주는 다면도(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관 안착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관 덮개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관 덮개 구조물에서 개별 덮개 벽체에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돌기들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관 고정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관 고정 구조물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다면도(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압착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관 압착 구조물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다면도(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7a는 도 2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압착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면도(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관 압착 구조물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에서 관 안착 구조물과 관 덮개 구조물과 관 압착 구조물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160)는 관 안착 구조물(30), 관 덮개 구조물(70), 관 고정 구조물(100) 및 관 압착 구조물(120)을 도 1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관 안착 구조물(30), 관 덮개 구조물(70), 관 고정 구조물(100) 및 관 압착 구조물(120)은 스프링클러(도면에 미 도시) 상에서 건축물(도면에 미 도시)에 고정되는 보조관(도 10의 180)과 보조관(180)에 밀착되는 레듀서(도 10의 200)를 둘러싼다. 상기 관 덮개 구조물(7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서(200)와 접촉하는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도 4b의 49)들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관 안착 구조물(30)은, 안착 바닥체(30B)와 두 개의 안착 벽체(30S)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 바닥체(30B)는 소정 폭을 가지면서 일 방향을 향해 연장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 바닥체(30B)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30S)는 안착 바닥체(30B)의 양 가장자리에서 마주하게 기립(起立)되어 개별적으로 볼 때 상부측에서 개구되며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해 만곡(彎曲) 형상을 도 3과 같이 한정한다.
여기서, 상기 개별 안착 벽체(30S)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서 만곡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 그루브(14)를 가지고, 안착 구루브(14)의 둘레를 따라 마주하는 두 개의 마찰 부여 날개(18)를 가지고, 안착 그루브(14)의 입구의 맞은 편에서 안착 그루브(14)의 둘레를 따라 탄성 부여 홈 띠(25)를 갖는다. 상기 개별 안착 벽체(30S)는, 안착 그루브(14)의 입구 주변에 활 모양으로부터 유래(由來)하는 양 단부를 가지고, 도 3에서 개별 안착 벽체(30S)의 외주면을 볼 때 개별 안착 벽체(30S)의 양 단부에서 일 단부에 곧은 형상과 타 단부에 계단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개별 안착 벽체(30S)는 일 단부에서 타 단부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개별 안착 벽체(30S)는 일 단부와 타 단부에서 두 개의 안착 홀(21, 23)을 각각 갖는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30S)는,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에서 볼 때, 안착 바닥체(30B) 상에서 개별 안착 벽체(30S)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동일한 폭으로 이격된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관 덮개 구조물(70)은, 두 개의 덮개 벽체(70S), 그리고 덮개 천장체(70C)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70S)는 두 개의 안착 벽체(30S)의 상부측에서 개별 안착 벽체(30S)의 외주 면을 단속적으로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덮도록 개별 안착 벽체(30S)에 대해 일측부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개별 덮개 벽체(70S)는, 개별 안착 벽체(30S)에서 안착 그루브(14)의 입구에 봉합 그루브(41)를 가지고, 봉합 그루브(41)의 둘레에서 두 개의 마찰 부여 날개(도 3의 18) 사이의 영역과 마주하는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49)들을 갖는다.
상기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49)들은 봉합 그루브(41)의 둘레 중 중앙 영역에서 봉합 그루브(41)의 중심을 향해 첨점을 갖는 제1 접촉 돌기(43)들, 그리고 봉합 그루브(41)의 둘레 중 양 가장자리 영역에서 서로를 향해 마주하는 첨점을 갖는 제2 및 제3 접촉 돌기들(45, 47)을 포함한다.
상기 개별 덮개 벽체(70S)는, 안착 바닥체(도 1 또는 도 3의 30B)를 기준으로 볼 때 개별 덮개 벽체(70S)의 일측부에서 개별 덮개 벽체(70S)의 타측부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되고, 개별 안착 벽체(30S)의 외주면을 덮는 때,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덮개 벽체(70S)의 일측부를 개별 안착 벽체(30S)의 탄성 부여 홈 띠(25)로부터 이격시키고, 개별 덮개 벽체(70S)의 타측부를 개별 안착 벽체(30S)의 탄성 부여 홈 띠(25)에 접촉시킨다.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70S)는, 개별 덮개 벽체(70S)의 일측부의 덮개 홀(도 4a의 54)을 개별 안착 벽체(30S)의 일 단부의 안착 홀(도 3의 21)에 제1 힌지 리벳(도 1의 135)으로 결합시키고, 개별 덮개 벽체(70S)를 통해 개별 안착 벽체(30S)의 외주면을 덮는 때, 개별 덮개 벽체(70S)의 타측부의 덮개 홀(도 4a의 58)에 제2 힌지 리벳(도 1의 145)을 관통시켜 제2 힌지 리벳(145)을 개별 안착 벽체(30S)의 타 단부에서 계단 형상의 단차 구조에 도 2와 같이 받쳐진다.
상기 덮개 천장체(70C)는 개별 안착 벽체(30S) 상에서 두 개의 덮개 벽체(70S)를 이어준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덮개 천장체(70C)는, 개별 덮개 벽체(70S)를 통해 개별 안착 벽체(30S)의 외주면을 덮는 때, 개별 안착 벽체(30S)의 일 단부로부터 개별 안착 벽체(30S)의 타 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걸림 턱(P1), 압박 수단(65) 및 두 개의 제2 걸림 턱(P2)을 갖는다. 상기 두 개의 제1 걸림 턱(P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 걸림 턱(P2)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두 개의 제1 걸림턱(P1)은, 개별 안착 벽체(30S)의 일 단부 바로 위에 위치되는 천장 걸림 홀(61)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여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의 영역을 향해 돌출하며 서로를 향해 굴곡지게 절곡한다. 상기 압박 수단(65)은, 덮개 천장체(70C)의 외주면 상에서 볼 때 중앙 영역에서 두꺼운 폭 그리고 양 가장자리에서 얇은 폭을 가진 우주의 가스 성운(星雲) 형상을 이루도록, 덮개 천장체(70C)의 외주면으로부터 덮개 천장체(70C)의 내주면을 향해 가스 성운 형상으로 함몰되고, 가스 성운 형상의 중앙 영역에 압박 구(H)를 갖는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제2 걸림턱(P2)은, 개별 안착 벽체(30S)의 타 단부 바로 위에 위치되는 천장 걸림 홈(63)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여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의 영역을 향해 돌출하며 서로를 향해 굴곡지게 절곡한다.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관 고정 구조물(100)은, 핸들 고정부(98)와 핸들 가압부(99)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 고정부(98)와 핸들 가압부(99)는,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에서 볼 때, 관 고정 구조물(100)의 내주면을 따라 중공을 한정하면서 관 고정 구조물(100)의 내주면을 두 개의 안착 벽체(30S)의 외부에 노출시키고, 서로에 대해 소정 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핸들 고정부(98)는 두 개의 덮개 벽체(70S)의 타측부에서 두 개의 덮개 벽체(70S) 사이에 위치되어 개별 덮개 벽체(70S)에 힌지 결합되고 개별 안착 벽체(30S)에 대해 단속적으로 고정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 고정부(98)는, 덮개 천장체(70C)의 외주면을 볼 때 개별 덮개 벽체(70S)의 타측부에서 개별 안착 벽체(30S)와 개별 덮개 벽체(70S)를 덮개 천장체(70C)의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덮개 천장체(70C)의 더미 홀(4의 67)에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위치된다. 상기 핸들 고정(98)부는, 두 개의 덮개 벽체(70S) 사이에 그리고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에 핸들 고정 상부턱(97)을 가지고,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에 핸들 고정 하부턱(93)을 가지고, 핸들 고정 상부턱(97)에 대해 핸들 고정 하부턱(93)의 움직임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적용 홈 띠(91)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97)은, 두 개의 덮개 벽체(70S) 사이에서 결합 홀(95)을 가지고, 결합 홀(95)에 제2 힌지 리벳(도 1 또는 도 2의 145)을 끼워 두 개의 덮개 벽체(70S)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핸들 고정 하부턱(93)은, 개별 덮개 벽체(70S)의 타 측부 아래에서 두 개의 안착 벽체(30S)를 이어주는 잠금 리벳(도 1 또는 도 2의 155)을 물기 위해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핸들 고정 하부턱(93) 사이의 영역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내지 제3 개구부(83, 86, 89)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개구부(83, 86)에 잠금 리벳(155)을 단속적으로 접촉시킨다.
상기 잠금 리벳(155)이 제1 개구부(83)를 통해 제2 개구부(86)에 완전히 끼워지는 때, 상기 핸들 고정부(98)는 외부 힘의 적용을 받지 않으면 제1 및 제2 개구부(83, 86) 사이의 단 턱에 의해 제1 및 제2 개구부(83, 86) 사이에서 잠금 리벳(155)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93)은, 핸들 고정 상부턱(97) 아래에서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일측 개구된 고리 형상(83, 86, 89)을 이루면서 핸들 고정 상부턱(97)에 일체로 형성되며,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핸들 고정 하부턱(93) 사이에 두 개의 안착 벽체(30S)를 이어주는 잠금 리벳(155)을 물리는 때, 핸들 고정 상부턱(97)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93)은, 도 2와 도 5a와 도 10과 도 12를 고려하면,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핸들 고정 하부턱(93)의 개구 방향에서 볼 때, 개별 안착 벽체(30S)에 핸들 고정부(98)의 고정시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수직으로 정렬되어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에서 레듀서(200)로부터 이격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93)은, 도 2와 도 5b와 도 10과 도 12를 고려하면,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핸들 고정 하부턱(93)의 개구 방향에서 볼 때, 개별 안착 벽체(30S)에 핸들 고정부(98)의 고정시 핸들 고정 상부턱(97) 아래로부터 소정 길이(L)만큼 돌출되어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에서 레듀서(200)와 접촉하는 고립된 산 형상의 접촉 돌기(92)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적용 홈 띠(91)는,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핸들 고정 하부턱(93)에서 주걱 형상으로 위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면에 위치되고, 핸들 고정부(98)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해 돌출한다. 상기 탄성 적용 홈 띠(91)는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핸들 고정 하부턱(93)의 변형에 대해 핸들 고정 상부턱(97)과 핸들 고정 하부턱(93)의 초기 형상으로 복원력을 야기시킨다. 한편, 상기 핸들 가압부(99)는 핸들 고정부(98) 상에서 핸들 고정부(99)로부터 굴곡지게 돌출한다. 상기 핸들 가압부(99)는 관 고정 구조물(100)의 외부로부터 외부 힘을 적용받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그리고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관 압착 구조물(도 6a의 120A 또는 도 6b의 120B)은 덮개 천장체(70C)에 탈부착되어 덮개 천장체(70C)에 부착시 두 개의 덮개 벽체(70S)로부터 도 2 및 도 10과 같이 돌출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관 압착 구조물(120A)은, 개별 안착 벽체(30S)와 개별 덮개 벽체(70S) 사이에서 얇은 두께의 판 스프링 형상으로 돌출되고, 덮개 천장체(70C)의 내주면에서 볼 때 관 압착 구조물(120A)의 중앙 영역에 'ㅁ' 자형의 스프링 프레임(114)과 관 압착 구조물(120A)의 양 가장자리에 스프링 프레임(114)으로부터 스프링 프레임(114)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두 개의 끼움편(112)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 프레임(114)은 중앙 영역에서 개구 홀(118)을 한정한다. 개별 끼움편(112)은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에서 스프링 프레임(114)보다 더 작은 점유 면적을 차지한다. 상기 두 개의 끼움편(112)은, 덮개 천장체(70C)에서, 두 개의 제1 걸림턱(도 4a의 P1)에 하나의 끼움편(112) 그리고 두 개의 제2 걸림턱(도 4a의 P2)에 나머지 끼움편(112)을 도 1, 도 2, 도 8 및 도 10과 같이 끼운다. 상기 스프링 프레임(114)은, 두 개의 끼움편(112)으로부터 덮개 천장체(70C) 아래를 향해 활 모양으로 휘어지고, 도 1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안착 벽체(30S)에 핸들 고정부(도 5의 98)의 고정시 활 모양의 하부에서 곡면(S)을 통해 레듀서(도 11의 200)를 밀어 레듀서(200)를 보조관(180)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관 압착 구조물(120A)은 도 6b의 관 압착 구조물(120B)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관 압착 구조물들(120A, 120B)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관 압착 구조물(120B)의 두 개의 끼움편(112)이, 덮개 천장체(70C)에서, 두 개의 제1 걸림턱(P1)에 하나의 끼움편(112) 그리고 두 개의 제2 걸림턱(P2)에 나머지 끼움편(112)을 끼우지만, 상기 스프링 프레임(114)은, 두 개의 끼움편(112)으로부터 덮개 천장체(70C) 아래를 향해 활 모양으로 휘어지고, 도 1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안착 벽체(30S)에 핸들 고정부(98)의 고정시 활 모양의 하부에서 곡면(S)에 형성되어 고립된 산 형상의 접촉 돌기(116)들을 통해 레듀서(200)를 밀어 레듀서(200)를 보조관(180)에 밀착시킨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상기 관 압착 구조물(도 7a의 120C)은, 도 13과 같이, 개별 안착 벽체(30S)와 개별 덮개 벽체(70S) 사이에서 오뚜기 탄성체 형상으로 돌출(도면에 미도시)되고, 덮개 천장체(70C)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ㅁ' 자형의 고무 탄성 바디(113)와 고무 탄성 바디(113) 상에 고무 탄성 바디(113)와 일체로 형성된 고무 끼움부(119)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고무 끼움부(119)는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에서 고무 탄성 바디(113)보다 더 작은 점유 체적을 차지한다. 상기 고무 끼움부(119)는, 덮개 천장체(70C)에서, 압박 수단(도 4a의 65)의 압박 구(H)에 끼워지는 고무 끼움목(115) 그리고 고무 끼움 목(115) 상에 고무 끼움목(115)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면서 덮개 천장체(70C)의 외주면에 노출되는 고무 끼움 머리(117)를 갖는다.
상기 고무 탄성 바디(113)는, 고무 끼움목(115) 아래에서 두 개의 덮개 벽체(70S)로부터 돌출(도면에 미도시)하고, 개별 안착 벽체(30S)에 핸들 고정부(98)의 고정시 고무 탄성 바디(113)의 최하부 면(S2)을 통해 레듀서(200)를 밀어 레듀서(200)를 보조관(180)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관 압착 구조물(120C)은 도 7b의 관 압착 구조물(120D)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관 압착 구조물들(120C, 120D)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관 압착 구조물(120D)의 고무 끼움부(115)가, 덮개 천장체(70C)에서, 압박 수단(65)의 압박 구(H)에 끼워지는 고무 끼움목(115) 그리고 고무 끼움 목(115) 상에 고무 끼움목(115)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면서 덮개 천장체(70C)의 외주면에 노출되는 고무 끼움 머리(117)를 갖지만, 상기 고무 탄성 바디(113)는, 고무 끼움 목(115) 아래에서 두 개의 덮개 벽체(70S)로부터 돌출하고, 개별 안착 벽체(30S)에 핸들 고정부(98)의 고정시 고무 탄성 바디(113)의 최하부 면(S2)에 형성되어 고립된 산 형상의 접촉 돌기(111)들을 통해 레듀서(200)를 밀어 레듀서(200)를 보조관(18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160)에서, 상기 관 덮개 구조물(70)과 관 고정 구조물(100)은 보조관(도 10의 180)과 레듀서(도 10의 200)를 둘러싸기 위해 관 안착 구조물(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관 덮개 구조물(70)은 관 안착 구조물(30)의 두 개의 안착 벽체(30S)를 덮기 위해 두 개의 안착 벽체(30S)에 대해 제1 힌지 리벳(135) 주위로 두 개의 덮개 벽체(70S)와 덮개 천장체(70C)를 상대적으로 제1 회전(도 8의 R1)시킨다.
또한, 상기 관 고정 구조물(100)은 보조관(180)과 레듀서(200)에 대한 관 안착 구조물(30)과 관 덮개 구조물(70)의 결속력을 견고히 하기 위해 두 개의 안착 벽체(30S)에 대해 제2 힌지 리벳(145) 주위로 핸들 고정부(98)와 핸들 가압부(99)를 상대적으로 제2 회전(R2)시킨다. 여기서, 상기 핸들 고정부(98)는 제2 힌지 리벳(145) 주위로 제2 회전(R2)하여 제2 개구부(86)를 통해 잠금 리벳(155)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의 이용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소방배관(도면에 미도시)에 스프링클러(도면에 미도시)를 접속시키기 위해,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160), 보조관(180)과 레듀서(200)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소방자재용 관 고정 장치(160)는 관 안착 구조물(30)과 관 덮개 구조물(70)과 관 고정 구조물(100)과 관 압착 구조물(120A)을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소방자재용 관 고정 장치(160)는 관 안착 구조물(30)과 관 덮개 구조물(70)에 제1 힌지 리벳(135)를 삽입하여 관 안착 구조물(30)에 대해 관 덮개 구조물(7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방자재용 관 고정 장치(160)는, 관 덮개 구조물(70)과 관 고정 구조물(100)에 제2 힌지 리벳(145)을 삽입하여 관 덮개 구조물(70)에 대해 관 고정 구조물(1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 덮개 구조물(70)은 덮개 천장체(70C)에 부착된 관 압착 구조물(도 6a의 120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 압착 구조물(120A)은 도 6a, 도 7a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상의 관 압착 구조물(120A)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관 안착 구조물(30)의 안착 그루브(14)가 관 덮개 구조물(70)에 의해 열린 상태일 때, 상기 보조관(180)은 관 안착 구조물(30)에서 두 개의 안착 벽체(30S) 사이의 안착 바닥체(30B)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관(18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관 안착 구조물(30)의 안착 그루브(1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레듀서(200)는 관 안착 구조물(30)에서 두 개의 안착 벽체(30S)에 형성된 안착 그루브(14)들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레듀서(200)가 두 개의 안착 벽체(50)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레듀서(200)의 환형 각진 외관(194)은 개별 안착 벽체(30S)에서 안착 그루브(14)의 테두리와 안착 그루브(14) 주변에 위치되는 두 개의 마찰 부여 날개(18)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듀서(2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개별 안착 벽체(30S)의 안착 그루브(14)를 통해 보조관(180)과 접촉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보조관(180)은 두 개의 안착 벽체(30S)에 레듀서(200)보다 나중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관 안착 구조물(30)에 보조관(180)과 레듀서(200)의 삽입 후, 상기 관 덮개 구조물(70)이 관 안착 구조물(30)에 대해 소정 방향으로 제1 회전(R1)될 때, 상기 관 안착 구조물(30)의 안착 그루브(14)는 관 덮개 구조물(70)에 의해 닫힌 상태로 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관 안착 구조물(30)과 관 덮개 구조물(70)은 안착 그루브(14)와 봉합 그루브(41)를 통해서 레듀서(200)를 둘러쌀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 안착 구조물(30)의 안착 그루브(14)와 관 덮개 구조물(70)의 봉합 그루브(41)는 레듀서(200)의 환형 외관(198)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관 덮개 구조물(70)은 봉합 그루브(41)의 둘레에 위치되는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49)들을 레듀서(200)의 환형 각진 외관(194) 및 환형 외관(198)에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여 날개(18), 그리고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49)들은 관 안착 구조물(30)의 안착 그루브(14)에서 레듀서(200)의 겉돌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 압착 구조물(120A)은 관 안착 구조물(30)을 관 덮개 구조물(70)에 의해 덮는 동안 레듀서(200)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 압착 구조물(120A)은 도 6b, 도 7a 또는 도 7b의 관 압착 구조물(120B, 120C 또는 120D)로 도 2 또는 도 13에서 대체될 수도 있다.
이후로, 상기 관 잠금해제 장치(160)에서, 상기 관 고정 구조물(100)은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관 덮개 구조물(70)에 대해 소정방향으로 제2 회전(R2)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관 고정 구조물(100)은 관 덮개 구조물(70)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관 덮개 구조물(70)에서 두 개의 덮개 벽체(70S)를 이어주는 제2 힌지 리벳(145) 주위로 회전되고, 제2 힌지 리벳(145) 아래에서 두 개의 안착 벽체(30S)를 이어주는 잠금 리벳(155)을 원터치 방식으로 물어 관 안착 구조물(30)과 관 덮개 구조물(7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 압착 구조물(120A)은 봉합 그루브(41)를 통해 레듀서(200)을 밀어 보조관(180)에 레듀서(200)를 밀착시킬 수 있다.
30; 관 안착 구조물, 30B; 안착 바닥체
30S; 안착 벽체, 61; 천장 걸림 홀
63; 천장 걸림 홈, 65: 압박 수단
70; 관 덮개 구조물, 70S: 덮개 벽체
70C: 덮개 천장체, 100: 관 고정 구조물
120A; 관 압착 구조물, 135; 제1 힌지 리벳
145; 제2 힌지 리벳, 155; 잠금 리벳
160; 관 잠금해제 장치

Claims (27)

  1. 소정 폭을 가지면서 일 방향을 향하는 안착 바닥체와, 상기 안착 바닥체의 양 가장자리에서 마주하게 기립(起立)되어 개별적으로 볼 때 상부측에서 개구되며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해 만곡(彎曲) 형상을 한정하는 두 개의 안착 벽체를 갖는 관 안착 구조물;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의 상기 상부측에서 개별 안착 벽체의 외주 면을 단속적으로 덮도록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대해 일측부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두 개의 덮개 벽체와, 상기 개별 안착 벽체 상에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를 이어주는 덮개 천장체를 갖는 관 덮개 구조물;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의 타측부에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개별 덮개 벽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대해 단속적으로 고정되는 핸들 고정부와, 상기 핸들 고정부 상에서 상기 핸들 고정부로부터 굴곡지게 돌출하는 핸들 가압부를 갖는 관 고정 구조물; 및
    상기 덮개 천장체에 탈부착되어 상기 덮개 천장체에 부착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관 압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관 안착 구조물과 상기 관 덮개 구조물과 상기 관 고정 구조물과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은 스프링클러 상에서 건축물에 고정되는 보조관과 상기 보조관에 밀착되는 레듀서를 둘러싸고,
    상기 관 덮개 구조물은 상기 레듀서와 접촉하는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들을 가지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는 중앙 영역에서 만곡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 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안착 그루브의 둘레를 따라 마주하는 두 개의 마찰 부여 날개를 가지고, 상기 안착 그루브의 입구의 맞은 편에서 상기 안착 그루브의 상기 둘레를 따라 탄성 부여 홈 띠를 가지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는, 상기 안착 그루브의 입구 주변에 활 모양으로부터 유래(由來)하는 양 단부를 가지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외주면을 볼 때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양 단부에서 일 단부에 곧은 형상과 타 단부에 계단 형상을 갖는 관 잠금해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는,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볼 때, 상기 안착 바닥체 상에서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동일한 폭으로 이격되는 관 잠금해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덮개 벽체는,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서 상기 안착 그루브의 상기 입구에 봉합 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봉합 그루브의 둘레에서 상기 두 개의 마찰 부여 날개 사이의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들을 갖는 관 잠금해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톱니 형상의 접촉 돌기들은 상기 봉합 그루브의 상기 둘레 중 중앙 영역에서 상기 봉합 그루브의 중심을 향해 첨점을 갖는 제1 접촉 돌기들, 그리고 상기 봉합 그루브의 상기 둘레 중 양 가장자리 영역에서 서로를 향해 마주하는 첨점을 갖는 제2 및 제3 접촉 돌기들을 포함하는 관 잠금해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덮개 벽체는, 상기 안착 바닥체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일측부에서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타측부보다 더 높은 레벨에 위치되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외주면을 덮는 때,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상기 일측부를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탄성 부여 홈 띠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상기 타측부를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탄성 부여 홈 띠에 접촉시키는 관 잠금해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는,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일측부의 덮개 홀을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일 단부의 안착 홀에 제1 힌지 리벳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개별 덮개 벽체를 통해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외주면을 덮는 때,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타측부의 덮개 홀에 제2 힌지 리벳을 관통시켜 상기 제2 힌지 리벳을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타 단부에서 상기 계단 형상의 단차 구조에 받쳐지는 관 잠금해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천장체는, 상기 개별 덮개 벽체를 통해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외주면을 덮는 때,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타 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걸림 턱, 압박 수단 및 두 개의 제2 걸림 턱을 갖는 관 잠금해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1 걸림턱은,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일 단부 바로 위에 위치되는 천장 걸림 홀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의 영역을 향해 돌출하며 서로를 향해 굴곡지게 절곡하는 관 잠금해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덮개 천장체의 외주면 상에서 볼 때 중앙 영역에서 두꺼운 폭 그리고 양 가장자리에서 얇은 폭을 가진 우주의 가스 성운(星雲)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덮개 천장체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덮개 천장체의 내주면을 향해 상기 가스 성운 형상으로 함몰되고, 상기 가스 성운 형상의 상기 중앙 영역에 압박 구를 갖는 관 잠금해제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2 걸림턱은, 상기 개별 안착 벽체의 상기 타 단부 바로 위에 위치되는 천장 걸림 홈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의 영역을 향해 돌출하며 서로를 향해 굴곡지게 절곡하는 관 잠금해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부와 상기 핸들 가압부는,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볼 때, 상기 관 고정 구조물의 내주면을 따라 중공을 한정하면서 상기 관 고정 구조물의 상기 내주면을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의 외부에 노출시키고, 서로에 대해 소정 각을 이루는 관 잠금해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부는, 상기 덮개 천장체의 외주면을 볼 때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타측부에서 상기 개별 안착 벽체와 상기 개별 덮개 벽체를 상기 덮개 천장체의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덮개 천장체의 더미 홀에 위치되는 관 잠금해제 장치.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부는,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 사이에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 핸들 고정 상부턱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 핸들 고정 하부턱을 가지고,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에 대해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의 움직임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적용 홈 띠를 갖는 관 잠금해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은,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 사이에서 결합 홀을 가지고, 상기 결합 홀에 상기 제2 힌지 리벳을 끼워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에 힌지 결합되는 관 잠금해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은, 상기 개별 덮개 벽체의 상기 타 측부 아래에서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를 이어주는 잠금 리벳을 물기 위해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 사이의 영역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내지 제3 개구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개구부에 상기 잠금 리벳을 단속적으로 접촉시키는 관 잠금해제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은,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 아래에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일측 개구된 고리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 사이에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를 이어주는 잠금 리벳을 물리는 때,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관 잠금해제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은,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의 개구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수직으로 정렬되어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상기 레듀서로부터 이격하는 관 잠금해제 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은,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의 개구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 아래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상기 레듀서와 접촉하는 고립된 산 형상의 접촉 돌기들을 가지는 관 잠금해제 장치.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적용 홈 띠는, 상기 핸들 고정 상부턱과 상기 핸들 고정 하부턱에서 주걱 형상으로 위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면에 위치되고, 상기 핸들 고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관 잠금해제 장치.
  2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은, 상기 개별 안착 벽체와 상기 개별 덮개 벽체 사이에서 얇은 두께의 판 스프링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덮개 천장체의 내주면에서 볼 때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의 중앙 영역에 'ㅁ' 자형의 스프링 프레임과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의 양 가장자리에 상기 스프링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프레임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두 개의 끼움편을 가지고,
    개별 끼움편은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프레임보다 더 작은 점유 면적을 차지하는 관 잠금해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끼움편은, 상기 덮개 천장체에서, 상기 두 개의 제1 걸림턱에 하나의 끼움편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2 걸림턱에 나머지 끼움편을 끼우고,
    상기 스프링 프레임은, 상기 두 개의 끼움편으로부터 상기 덮개 천장체 아래를 향해 활 모양으로 휘어지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활 모양의 하부에서 곡면을 통해 상기 레듀서를 밀어 상기 레듀서를 상기 보조관에 밀착시키는 관 잠금해제 장치.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끼움편은, 상기 덮개 천장체에서, 상기 두 개의 제1 걸림턱에 하나의 끼움편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2 걸림턱에 나머지 끼움편을 끼우고,
    상기 스프링 프레임은, 상기 두 개의 끼움편으로부터 상기 덮개 천장체 아래를 향해 활 모양으로 휘어지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활 모양의 하부에서 곡면에 형성되어 고립된 산 형상의 접촉 돌기를 통해 상기 레듀서를 밀어 상기 레듀서를 상기 보조관에 밀착시키는 관 잠금해제 장치.
  2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 압착 구조물은, 상기 개별 안착 벽체와 상기 개별 덮개 벽체 사이에서 오뚜기 탄성체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덮개 천장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ㅁ' 자형의 고무 탄성 바디와 상기 고무 탄성 바디 상에 상기 고무 탄성 바디와 일체로 형성된 고무 끼움부를 가지고,
    상기 고무 끼움부는 상기 두 개의 안착 벽체 사이에서 상기 고무 탄성 바디보다 더 작은 점유 체적을 차지하는 관 잠금해제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끼움부는, 상기 덮개 천장체에서, 상기 압박 수단의 상기 압박 구에 끼워지는 고무 끼움목 그리고 상기 고무 끼움 목 상에 상기 고무 끼움목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덮개 천장체의 상기 외주면에 노출되는 고무 끼움 머리를 가지고,
    상기 고무 탄성 바디는, 상기 고무 끼움 목 아래에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고무 탄성 바디의 최하부 면을 통해 상기 레듀서를 밀어 상기 레듀서를 상기 보조관에 밀착시키는 관 잠금해제 장치.
  27.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끼움부는, 상기 덮개 천장체에서, 상기 압박 수단의 상기 압박 구에 끼워지는 고무 끼움목 그리고 상기 고무 끼움 목 상에 상기 고무 끼움목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덮개 천장체의 상기 외주면에 노출되는 고무 끼움 머리를 가지고,
    상기 고무 탄성 바디는, 상기 고무 끼움 목 아래에서 상기 두 개의 덮개 벽체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개별 안착 벽체에 상기 핸들 고정부의 고정시 상기 고무 탄성 바디의 최하부 면에 형성되어 고립된 산 형상의 접촉 돌기를 통해 상기 레듀서를 밀어 상기 레듀서를 상기 보조관에 밀착시키는 관 잠금해제 장치.

















KR1020180081583A 2018-03-02 2018-07-13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KR102092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583A KR102092791B1 (ko) 2018-07-13 2018-07-13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US16/284,816 US10753513B2 (en) 2018-03-02 2019-02-25 Tube locking and releasing device for fire suppre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583A KR102092791B1 (ko) 2018-07-13 2018-07-13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449A KR20200007449A (ko) 2020-01-22
KR102092791B1 true KR102092791B1 (ko) 2020-04-23

Family

ID=6936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583A KR102092791B1 (ko) 2018-03-02 2018-07-13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666B1 (ko) * 2020-12-02 2023-12-08 승진산업 (주) 센터 브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863B1 (ko) * 2015-01-12 2016-03-17 정운택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KR101813010B1 (ko) * 2016-03-16 2017-12-28 김민재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60B1 (ko) 2010-09-28 2013-03-29 (주)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863B1 (ko) * 2015-01-12 2016-03-17 정운택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KR101813010B1 (ko) * 2016-03-16 2017-12-28 김민재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449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3513B2 (en) Tube locking and releasing device for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548496B1 (ko) 은폐형 스프링클러
KR102092791B1 (ko)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EP2380635B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US20210178195A1 (en) Shuttle For A Climbing Protection System
EP3229924B1 (en) Shuttle for a climbing protection system
US20190128299A1 (en) Tube locking device for fire suppression system
US6035556A (en) Shoe closure mechanism
KR102009773B1 (ko)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US6618985B1 (en) Mouse trap
JPH0426343Y2 (ko)
KR101626836B1 (ko) 조립식 관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418878B1 (ko) 립스틱 용기
KR101183578B1 (ko) 안전핀 봉인 구조를 갖는 소화기용 그립유닛
EP1208889A1 (en) Device for preventing rope of toy swing from bending
KR102649701B1 (ko) 난간 벽용 로프 피팅 장치
KR100315175B1 (ko) 방충망의 고정장치
KR101142794B1 (ko) 방화셔터 비상도어 잠금장치
KR102148262B1 (ko) 탐조등 홀더
AU2014201946B2 (en) Concealed sprinkler
US998396A (en) Climbing and scaling device.
KR20190090194A (ko) 소방자재용 관 고정 장치
JP2021087257A (ja) 線条体保持具
JPH0638626U (ja) プッシュ式紐調節具
FR2729576A1 (fr) Appareil pour exercices corpor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