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175B1 - 방충망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방충망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175B1
KR100315175B1 KR1019990051150A KR19990051150A KR100315175B1 KR 100315175 B1 KR100315175 B1 KR 100315175B1 KR 1019990051150 A KR1019990051150 A KR 1019990051150A KR 19990051150 A KR19990051150 A KR 19990051150A KR 100315175 B1 KR100315175 B1 KR 100315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member
coupled
window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988A (ko
Inventor
임진득
Original Assignee
김영근
주식회사 이건창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근, 주식회사 이건창호시스템 filed Critical 김영근
Priority to KR101999005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175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간편하게 창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충망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한 몸체와 결합부재의 사이에 일정한 탄성력을 보유하면서 탄지되고, 이 몸체가 결합부재로 압축될 때 몸체를 압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한 몸체의 일면과 프레임의 일면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몸체에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창틀에 걸치면서 긴밀하게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충망의 고정장치{FIXATION DEVICE OF INSECT INTERCEPTION NET}
본 발명은 방충망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간편하게 창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충망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에는 실외로부터 모기나 파리등의 벌레 등이 창문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통풍을 위하여 방충망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충망은 대체적으로 창틀에 장착되는데, 창틀에 장착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슬라이딩식과, 여닫이식과, 고정식으로 크게 분류된다.
상기한 고정식은 대체적으로 프레임과 망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프레임은 건물의 공사시 건물의 외부에서 고정 볼트를 이용하여 창틀에 고정시켜 주는 방식으로, 주로 빌딩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충망은 프레임을 건물의 외부에서 고정 볼트를 이용하여 창틀에 고정시켜 주게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건물의 외부로 이동해야 함은 물론 건물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고정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고정 작업을 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간편하게 창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충망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한 몸체와 결합부재의 사이에 일정한 탄성력을 보유하면서 탄지되고, 이 몸체가 결합부재로 압축될 때 몸체를 압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한 몸체의 일면과 프레임의 일면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몸체에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창틀에 걸치면서 긴밀하게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고정장치는 벌레등을 방충함과 아울러 통풍을 위한 망사부(3)가 설치되는 프레임(1)을 실내에서 창틀(10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충망의 고정장치는 프레임(1)의 일면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요입 형성된 삽입홈(2)에 삽입 결합되거나, 프레임(1)의 일면 하부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충망의 고정장치는 프레임(1)의 일면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몸체(5)와;
상기한 몸체(5)의 일단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프레임(1)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7)와;
상기한 몸체(5)와 결합부재(7)의 사이에 일정한 탄성력을 보유하면서 탄지되고, 이 몸체(5)가 결합부재(7)의 결합부위로 압축될 때 몸체를 압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탄성부재(9)와;
상기한 몸체(5)의 일면과 프레임(1)의 일면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프레임(1)을 창틀(10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5)에 작용하는 탄성부재(9)의 탄성력에 의하여 창틀(100)에 걸치면서 긴밀하게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재(11)를 포함한다.
상기한 몸체(5)의 일단부에는 원통형상의 지지축(13)이 일정한 크기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한 결합부재(7)의 일단부에는 지지축(13)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5)이 일정한 크기로 요입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은 삽입홈(2)이 제공되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양측이 돌출되는 걸림턱(2a)이 제공된다. 이러한 걸림턱(2a)은 상술한 몸체(5) 및 결합부재(7)가 프레임(1)의 삽입홈(2)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삽입홈(15)은 탄성부재(9)가 결합부재(7)의 일단부에 탄지될 수 있도록 이 탄성부재(9)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몸체(5)의 일면부에는 외부에서 지지축(13)과 탄성부재(9)가 보이지 않도록 지지축(13)과 탄성부재(9)를 덮어주기 위한 커버부재(17)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한 몸체(5)의 타단부에는 상측 프레임(1)에 제공되는 구멍(도시생략)에 끼워지기 위한 돌기부(19)가 제공된다. 이러한 돌기부(19)는 단지 위쪽에 배치되는 프레임(1)에 몸체(5)가 탄성부재(9)에 의하여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결합부재(7)의 외측 일면부 즉, 상기 삽입홈(2)과 마주하는 면과 반대부분에는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3)가 도 1과 같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부재(7)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돌기(23)는 삽입홈(2)의 아래부분에 제공되는 또 다른 걸림턱(2b) 걸리어 아래 측으로 결합부재(7)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결합부재(7) 또는 결합부재(7)에 배치되는 결합돌기(23)에는 힌지핀(2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부재(7)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고정판(27)이 제공되며, 상기한 결합부재(7) 또는 결합돌기(23)에는 힌지핀(25)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29)이 제공된다. 즉, 고정판(27)이 결합부재(7)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17)에 의하여 몸체(5)가 하방으로(도1 기준)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어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가 창틀(100)에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고정판(27)이 결합부재(7)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17)가 고정판(27)에 걸리지 않으므로 커버부재(17)를 고정하고 있는 몸체(5)가 삽입홈(2)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가 창틀(100)에서 이탈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부재(11)는 몸체(5) 또는 프레임(1, 지지부재(11)가 프레임(1)의 하단에 배치되는 경우)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볼트(31)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33)와;
상기한 고정부(33)의 일단부에 적어도 일회 이상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고, 창틀(100)에 걸치면서 탄성부재(9)의 탄성력 또는 창틀(100)에 의하여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3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삽입홈(2)에는 몸체(5), 결합부재(7), 커버부재(17) 등이 삽입되어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는 프레임(1)의 일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한 프레임(1)의 일면 하부에는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가 프레임(1)의 일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1)의 일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1)을 창틀(100)에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이 프레임을 용이하게 잡게 해주는 손잡이(37)가 제공된다.
상기한 손잡이(37)는 프레임(1)의 전면에 고정볼트(39)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41)와;
상기한 고정부재(41)의 일단부에는 힌지축(4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고정부재(41)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재(4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손잡이부재(45)의 일단부에는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이 손잡이부재가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때 걸리게 하기 위한 스토퍼(47)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충망 고정장치는 프레임(1)의 일면 상,하부에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가 프레임(1)의 일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2)에는 몸체(5), 결합부재(7), 커버부재(17)등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방충망 고정장치는 상측에 배치되는 프레임(1)을 결합하기 전에 삽입홈(2) 내로 삽입되도록 위방향에서(도 1기준) 결합부재(7), 탄성부재(9) 그리고 몸체(5)를 순차적으로 넣고 상측 프레임(1)를 세로측 프레임(1)에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판(27)을 결합부재(7)에 힌지결합하고, 지지부재(11)를 몸체(5)에 결합한다. 그러면 탄성부재(9)에 의하여 몸체(2)는 상측으로 밀려 배치되고, 결합부재(7)는 하측으로 밀려 결합돌기(23)가 걸림턱(2b)에 걸리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충망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방충망을 창틀(100)에 고정시켜 주려면, 먼저 손잡이(37)의 손잡이부재(45)를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프레임(1)의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이 손잡이부재(45)를 잡고서 건물의 내부에서 프레임(1)을 창틀(100)의 내측면으로 삽입한 후, 프레임(1)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몸체(5)에 결합된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를 창틀(100)에 삽입하여 고정시켜 주고, 상기한 손잡이부재(45)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레임(1)의 일면 상부에 위치한 몸체(5)에 결합된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를 탄성부재(9)의 탄성력이 극복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7) 쪽으로 이동시켜 주면, 지지축(13)이 삽입홈(15)을 따라 이동 됨과 아울러 탄성부재(9)가 압축된다. 이대 지지축(13)은 삽입홈(15)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한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를 창틀(100)에 걸치면서 지지시킨다. 그러면 상기한 결합부재(7)의 결합돌기(23)는 탄성부재(9)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턱(2b)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한 지지부재(11)는 몸체(5)에 고정되어 있어 지지부(35)에 몸체(5)를 통하여 탄성부재(9)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창틀(100)에 밀착된다. 따라서 프레임(1)이 도 3과 같이 창틀(100)에 간편하면서도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판(27)을 힌지핀(25)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결합부재(7)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면, 상기한 프레임(1)이 탄성부재(9) 및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에 의하여 창틀(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을 창틀(100)에 고정하여 사용하다가 상기한 프레임을 창틀로부터 분리하려고 하면, 먼저 고정판(27)을 힌지핀(25)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결합부재(7)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9)가 압축되도록 지지부재(11)를 삽입홈(2)을 따라 결합부재(7) 쪽으로 이동시켜 준 상태에서 지지부재(11)의 지지부(35)를 창틀로부터 분리시켜 준다.
이때, 상기한 손잡이부재(45)를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프레임(1)의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이 손잡이부재(45)를 잡고서 프레임(1)을 창틀(100)로부터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충망은 실내에서 간편하게 창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프레임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몸체와 결합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가 결합부재로 압축될 때 몸체를 압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면 및 프레임의 일면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몸체에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창틀에 걸치면서 지지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방충망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길이 방향으로 지지축이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방충망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프레임에 제공된 걸림턱에 걸리어 상기 결합부재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방충망의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에는 힌지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이 제공되는 방충망의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몸체 또는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볼트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에 적어도 일회 이상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고, 창틀에 걸치면서 탄성부재의 탄성력 또는 창틀에 의하여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방충망의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을 창틀에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을 용이하게 잡게 해주는 손잡이가 제공되는 방충망의 고정장치.
KR1019990051150A 1999-11-17 1999-11-17 방충망의 고정장치 KR100315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150A KR100315175B1 (ko) 1999-11-17 1999-11-17 방충망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150A KR100315175B1 (ko) 1999-11-17 1999-11-17 방충망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988A KR20000006988A (ko) 2000-02-07
KR100315175B1 true KR100315175B1 (ko) 2001-11-26

Family

ID=1962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150A KR100315175B1 (ko) 1999-11-17 1999-11-17 방충망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73B1 (ko) * 2010-01-12 2010-04-12 이용운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200474035Y1 (ko) * 2013-10-01 2014-08-18 주식회사 대현상공 방충창 이탈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988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1883408B1 (ko)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100315175B1 (ko) 방충망의 고정장치
KR200410662Y1 (ko) 방충창틀의 흔들림 방지구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CA2098759C (en) Window grill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KR200318021Y1 (ko)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장치
KR101530325B1 (ko) 권취형 방충 장치
JP2000054741A (ja) 内倒し窓
JP2987122B2 (ja) 扉の上部ヒンジピン昇降装置
JP2986390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取付装置
EP4361391A1 (en) Compact spring unit and latch device for a hinge system
KR20200112351A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JP4986586B2 (ja)
JP2986356B2 (ja) 袖障子の固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74246B1 (ko) 방충망장치용 안내레일
KR20140133066A (ko) 다기능 방충망 및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를 갖춘 안전창
JP2528427Y2 (ja) 網 戸
JPH076425Y2 (ja) 仮 錠
KR100610568B1 (ko) 건축물 출입구 구조
JP2690224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操作ハンドル取り付け構造
KR20210012592A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0132896Y1 (ko) 방충패드를 갖는 문틀부재
KR100406942B1 (ko) 창문용 괘정장치
KR101628031B1 (ko) 공동주택용 내부도어 열림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