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460B1 -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460B1
KR101248460B1 KR1020100093932A KR20100093932A KR101248460B1 KR 101248460 B1 KR101248460 B1 KR 101248460B1 KR 1020100093932 A KR1020100093932 A KR 1020100093932A KR 20100093932 A KR20100093932 A KR 20100093932A KR 101248460 B1 KR101248460 B1 KR 10124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rinkler
cover
ceil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337A (ko
Inventor
심대민
Original Assignee
(주)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라다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0009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4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는 천장반자에 배치되는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며 바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천장지지레일에 상기 지지대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 브라켓, 및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스플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가 장착되는 센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브라켓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가 끼워지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삽입홈의 입구를 개방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입구를 덮는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볼트결합되며 상기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는 너트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APPARATUS FOR MOUNTING SPRINKLER AND SPRINKL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지지대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대를 천장지지레일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소화수를 일정압으로 방수시켜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소화설비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헤드가 소방대상물의 천정, 벽 등에 장착되고 화재를 감지하며 소화수를 소방대상물에 분사한다.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는 천장 안쪽에서 천장반자를 지지하는 천장지지레일(Ceiling Supporter Rail)에 지지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에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고정하며, 결합구의 하단에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는 각 부품간의 결합관계 때문에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결합구의 높이 조절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이 간편하고 다양한 규격의 천장지지레일 및 스프링클러 헤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위환경에 관계없이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다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는, 천장반자에 배치되는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며 바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천장지지레일에 상기 지지대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 브라켓, 및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스플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가 장착되는 센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브라켓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가 끼워지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삽입홈의 입구를 개방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입구를 덮는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볼트결합되며 상기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는 너트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하면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양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곡되는 절곡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일단부가 자유단을 이루도록 타단부가 상기 브라켓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커버의 자유단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너트에 의하여 상기 관통홀에 걸림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절곡부에서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는 지지봉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봉은 상기 지지봉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봉의 양단은 상기 가이드 홈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구비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직판들과, 상기 수직판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판과, 상기 삽입공의 하단에서 상기 수평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판과, 상기 수직판들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천장지지레일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절곡부와, 상기 수직판들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수직판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볼트 체결되는 조임볼트, 및 상기 지지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태핑나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지지판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판들은 상기 수직판들에서 각각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외부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정에서 소화수를 배출하도록 스프링클러 결합구에 연결되며 실내로 돌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는 커버에 장착되는 지지봉과, 이에 볼트 결합되는 너트와, 지지봉의 단부에 장착되어 브라켓 바디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봉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결합구의 높이를 보다 간편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홈이 지지대에 대하여 경사짐에 따라,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의 체결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판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볼트와, 지지대를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태핑나사를 통하여, 지지대를 천장지지레일에 보다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단일 규격의 장치로서도 여러 규격의 천장지지레일 및 스프링클러 헤드에 적용할 수 있는 고정 장치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가 적용된 스프링클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터 브라켓의 분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센터 브라켓의 동작도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브라켓의 분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브라켓의 종단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센터 브라켓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100)가 적용된 스프링클러(S)의 사시도이다.
개시된 스프링클러 헤드(210)는 감열체(211) 및 디플렉터(212)를 구비하며, 소화수를 공급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일 예로, 스프링클러 리듀서(Sprinkler Reducer)를 예시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열체(211)는 열감응체로서 열을 감지하여, 스프링클러 헤드(210)는 이를 이용하여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디플렉터(212)는 소화수를 확산시키도록 스프링클러 헤드(210)의 일단에 배치된다.
도시에 의하면, 스프링클러 헤드(210)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단부에 장착되며 스프링클러 결합구(220)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100)에 의하여 천정반자(230)에 고정됨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210)가 천정에서 실내를 향하여 돌출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스프링클러 고정장치(100)는 지지대(110), 센터 브라켓(120) 및 사이드 브라켓(130)을 포함한다.
지지대(110)는 천정반자(230)에 배치되는 천장지지레일(240)에 연결되며, 바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지지대(110)는 양단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장지지레일들(240a, 240b)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센터 브라켓(120)은 지지대(110)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천장지지레일(240)은 대략 철도레일과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며, 천장지지레일(240)과 지지대(110)는 사이드 브라켓(13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브라켓(130)은 지지대(110)의 단부에 장착되며, 천장지지레일(240)에 지지대(110)를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터 브라켓(12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센터 브라켓(120)의 동작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센터 브라켓(120)은 브라켓 바디(121), 커버(124) 및 푸시모듈(125)을 포함한다.
브라켓 바디(121)는 지지대(110)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110)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바디(121)는 베이스부(121a) 및 절곡부들(122a, 122b)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21a)는 지지대(110)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절곡부들(122a, 122b)은 지지대(110)의 상하면을 덮도록 베이스부(121a)의 양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곡된다. 예를 들면, 브라켓 바디(121)는 "ㄷ" 형태로 이루어지며, 오목한 부분에 지지대(110)가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센터 브라켓(120)은 지지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브라켓 바디(121)에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끼워지는 삽입홈(123)이 형성된다. 삽입홈(123)은 절곡부들(122a, 122b)의 각 단부에서 베이스부(121a)를 향하여 리세스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삽입홈(123)의 입구는 절곡부들(122a, 122b)의 각 단부에 배치된다. 삽입홈(123)과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외면이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외면은 각지도록 이루어지며, 삽입홈(123)을 한정하는 면은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각지게 이루어진다.
커버(124)는 삽입홈(123)의 입구를 개방하는 제1 상태(도 3a의 상태)에서 상기 입구를 덮는 제2 상태(도 3b 및 도 3c의 상태)로 회전되도록 브라켓 바디(1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버(124)는 일단부가 자유단을 이루도록 타단부가 브라켓 바디(1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절곡부들(122a, 122b)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커버(124)의 중앙부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각진 형태로 리세스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스프링클러 결합구(220)는 제1 상태에서 삽입홈(123)에 끼워지며, 도 3b에 의하면, 커버(124)의 회전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이탈이 제한된다. 즉,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삽입홈(123)에 잠금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124)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관통홀(124a)이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관통홀(124a)은 커버(124)의 자유단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커버(124)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이루어진다.
푸시모듈(125)은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삽입홈(123)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상태에서 커버(124)를 눌러주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시모듈(125)은 지지봉(125a) 및 너트(125b)를 포함한다.
지지봉(125a)은 커버(124)에 형성되는 관통홀(124a)에 삽입되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관통홀(124a)은 지지봉(125a)이 삽입된 상태에서 틸팅될 수 있도록 지지봉(125a)과 관통홀(124a)의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지봉(125a)이 유동가능하도록 관통홀(124a)은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너트(125b)는 커버(124)의 일면에 배치되며, 지지봉(125a)에 볼트결합된다. 즉, 지지봉(125a)은 너트(125b)에 의하여 관통홀(124a)에 걸림되며, 커버(124)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커버(124)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를 통하여, 지지봉(125a)은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커버(124)로부터 브라켓 바디(121)의 베이스부(121a)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2에 의하면, 브라켓 바디(121)의 절곡부들(122a, 122b)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 홈(125c, 125d)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들(125c, 125d)은 절곡부들(122a, 122b)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동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들(125c, 125d)은 절곡부들(122a, 122b)에서 지지대(110)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들(125c, 125d)은 절곡부들(122a, 122b)의 일변(외측 모서리)에서 시작하며, 삽입홈(123)을 향하여 특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홈들(125c, 125d)은 베이스부(121a)에 대하여 특정 각도만큼 경사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봉(125a)의 단부에는 가이드 봉(125e)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봉(125e)은 지지봉(125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지지봉(125a)의 단부에는 지지봉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봉(125e)은 상기 지지봉 관통홀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봉(125e)은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가이드 봉(125e)은 제2 상태에서 가이드 홈들(125c, 125d)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에, 가이드 봉(125e)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지지봉(125a)은 관통홀(124a)과의 유격을 이용하여 관통홀(124a)내에서 틸팅될 수 있다. 가이드 홈들(125c, 125d)의 경사를 통하여, 가이드 봉(125e)은 커버(124)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 홈들(125c, 125d)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가이드 봉(125e)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 홈들(125c, 125d)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서, 가이드 홈들(125c, 125d)에 삽입된 상태에서 절곡부들(122a, 122b)의 외면에 걸림되도록, 가이드 봉(125e)의 일단에는 걸림돌기(125f)가 형성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너트(125b)는 커버(124)의 관통홀(124a)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125a)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커버(124)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결합구(220)는 삽입홈(123)내에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들(125c, 125d)이 경사지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2 상태에서 작업자가 너트(125b)를 보다 많이 회전시키면 가이드 봉(125e)은 가이드 홈들(125c, 125d)의 내측단을 향하여 보다 끼워지게 된다.
상기 센터 브라켓(120)의 구조에 의하면, 스프링클러 결합구(220)는 지지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위치에 용이하게 끼워맞춤되며,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지지대(110)로부터 천정반자(230, 도 1 참조)를 향하여 돌출되는 정도가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 1를 참조하면, 지지대(110)는 사이드 브라켓(130)에 의하여 천장지지레일(240)에 고정되며, 이하, 사이드 브라켓(13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브라켓(130)의 분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브라켓(130)의 종단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천장지지레일(240)은 수직벽(241)과, 상기 수직벽(24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천장반자(230)가 결합되는 천장반자결합부(242) 및 상기 수직벽(24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대 결합부(24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 결합부(243)는 상면부(243a)와 측면부(243b) 및 상기 측면부(243b)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걸림턱(243c)으로 구성된다.
사이드 브라켓(130)은 걸림턱(243c)에 걸림된 상태로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브라켓(130)은 수직판들(131a, 131b), 수평판(133a), 지지판(133b), 걸림절곡부(134), 조임볼트(135) 및 태핑나사(136)를 포함한다.
수직판들(131a, 131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수직판들(131a, 131b)은 지지대(110)가 삽입되는 삽입공(132)을 구비한다. 지지대(110)는 사각 단면의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삽입공(132)은 지지대(110)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32)은 양측 수직판들(131a, 131b)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133a)은 수직판들(131a, 131b)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며 사이드 브라켓이 천장지지레일(2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천장반자(230, 도 1 참조)와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지지판(133b)은 상기 삽입공(132)의 하단에서 수평판(133a)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지지판(133b)은 삽입공(132)이 양측 수직판들(131a, 131b)에서 천공될 때 수직판들(131a, 131b)로부터 절곡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133b)은 복수로 구비되며, 각 수직판들(131a, 131b)에서 사이드 브라켓의 외부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걸림절곡부(134)는 수직판들(131a, 131b)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천장지지레일(240)의 걸림턱(243c)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걸림절곡부(134)의 내측단에는 직각으로 하향 절곡되어 천장지지레일(240)의 수직벽(24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34a)가 형성된다.
조임볼트(135)는 수직판들(131a, 131b)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수직판들(131a, 131b)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볼트 체결된다. 이러한 볼트 체결을 위하여 상기 수직판들(131a, 131b) 중 다른 하나에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브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조임볼트(135)가 회전하면 수직판들(131a, 131b)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수직판들(131a, 131b)이 천장지지레일(240)에 밀착될 수 있다.
태핑나사(136)는 지지대(110)를 고정시키도록, 지지판(133b)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110)를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대(110)에 체결된다.
지지판(133b)에 장착된 태핑나사(316)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대(1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을 관통할 때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지지대(11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결합관계는 간단하게 체결되나 지지대의 흔들림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센터 브라켓(32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시에 의하면, 가이드 봉(325e)과 지지봉(325a)는 서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 봉(325e)과 지지봉(325a)은 "T"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323)에는 완충패드(326)가 장착된다. 완충패드(326)는 기설정 된 두께로 이루어지며, 센터 브라켓(320)의 베이스부(321a)와 지지대(310)의 측면 사이에 끼워진다. 완충패드(326)는 센터 브라켓(320)과 스프링클러 결합구(220, 도 1 참조)를 간접 접촉시켜 양 요소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삽입홈(323)과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끼워맞춤 공차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천장반자에 배치되는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며, 바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천장지지레일에 상기 지지대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 브라켓; 및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스플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가 장착되는 센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브라켓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가 끼워지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브라켓 바디;
    상기 삽입홈의 입구를 개방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입구를 덮는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볼트결합되며, 상기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는 너트;
    상기 브라켓 바디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는 지지봉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봉은 상기 지지봉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봉의 양단은 상기 가이드 홈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하면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양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곡되는 절곡부들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단부가 자유단을 이루도록 타단부가 상기 브라켓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커버의 자유단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너트에 의하여 상기 관통홀에 걸림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구비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직판들;
    상기 수직판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판;
    상기 삽입공의 하단에서 상기 수평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판;
    상기 수직판들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천장지지레일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절곡부;
    상기 수직판들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수직판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볼트 체결되는 조임볼트; 및
    상기 지지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태핑나사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판들은 상기 수직판들에서 각각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외부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9. 천정에서 소화수를 배출하도록 스프링클러 결합구에 연결되며, 실내로 돌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KR1020100093932A 2010-09-28 2010-09-28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124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32A KR101248460B1 (ko) 2010-09-28 2010-09-28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32A KR101248460B1 (ko) 2010-09-28 2010-09-28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37A KR20120032337A (ko) 2012-04-05
KR101248460B1 true KR101248460B1 (ko) 2013-03-29

Family

ID=4613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932A KR101248460B1 (ko) 2010-09-28 2010-09-28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4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11B1 (ko) * 2015-12-14 2018-02-06 주식회사 비전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방사조절장치
KR102298210B1 (ko) * 2021-01-05 2021-09-06 (주)부흥이앤씨 길이와 폭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클램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8238B2 (en) * 2011-08-24 2016-03-08 Victaulic Company Bracket
AU2013250172B2 (en) * 2012-04-16 2016-02-11 Young Sun Lim Bracket for fixing fire protection sprinkler
KR101304747B1 (ko) * 2012-04-16 2013-09-05 임영순 소방용 앤드 브라켓
KR101418791B1 (ko) * 2013-01-21 2014-07-11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쿨러의 고정브라켓
KR101335984B1 (ko) * 2013-08-09 2013-12-04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KR101356687B1 (ko) * 2013-09-16 2014-01-29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 고정 브라켓
KR101429422B1 (ko) * 2014-02-18 2014-08-13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 고정장치
CN107362486B (zh) * 2016-05-13 2020-06-23 (株) 永进波纹管 喷淋设备的伸缩软管固定装置
KR102009773B1 (ko) 2018-03-02 2019-08-12 승진산업 (주)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KR102092791B1 (ko) 2018-07-13 2020-04-23 승진산업 (주) 소방자재용 관 잠금해제 장치
WO2020032887A2 (en) * 2018-06-12 2020-02-13 Haci Ayvaz Endüstri̇yel Mamüller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clamp sprinkler bracket
KR102217587B1 (ko) * 2019-11-01 2021-02-19 주식회사 동우금속 스프링쿨러용 중심브라켓
KR102428995B1 (ko) * 2021-08-10 2022-08-04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967A (ko) * 2006-06-23 2007-12-28 송병철 스프링클러의 레듀사의 상하승강을 유도하는 조절커버
KR20100019696A (ko) * 2008-08-11 2010-02-19 임영순 세트형으로 구성한 소방용 스프링클러시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967A (ko) * 2006-06-23 2007-12-28 송병철 스프링클러의 레듀사의 상하승강을 유도하는 조절커버
KR20100019696A (ko) * 2008-08-11 2010-02-19 임영순 세트형으로 구성한 소방용 스프링클러시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11B1 (ko) * 2015-12-14 2018-02-06 주식회사 비전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방사조절장치
KR102298210B1 (ko) * 2021-01-05 2021-09-06 (주)부흥이앤씨 길이와 폭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클램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37A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460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1335984B1 (ko)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JP6910648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固定構造及び固定ユニット
JP2011132780A (ja) 構造物設置架台、構造物設置用支持具、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0882550B1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1260045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1065516B1 (ko) 세트형으로 구성한 소방용 스프링클러시공 장치
KR20110021502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커튼월유니트 설치용 고정구
JP4796680B2 (ja) 折版構造屋根用の設置物取付金具
KR20040028978A (ko) 프로파일 엘리먼트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핑 엘리먼트 및로킹 엘리먼트, 시스템
US20120104199A1 (en) Fastening system for fastening a plate within an enclosure
JP5976339B2 (ja) 屋上設備機器設置用架台の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JP2013040524A (ja) 支持金具
KR100932992B1 (ko) 스프링클러 조인트의 고정구조
JP2012012778A (ja) ソーラーパネル用取付架台
JP5008358B2 (ja) ユニットパネルセット及びユニットパネル工法
KR20080094508A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절장치
WO2007035085A1 (en) Clamping mechanism for securing at least one object to a rail, as well as an assembly
JP2017017833A (ja) 太陽光パネル用架台
KR200415653Y1 (ko) 천정구조물 지지용 브래킷
JP2019090165A (ja) 屋根上設置物の取付構造
KR20036080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케트
JP3934453B2 (ja) 太陽電池パネルを有する屋根構造
JP4768515B2 (ja) パネル支持装置
KR20150003850U (ko) 생명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