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984B1 -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984B1
KR101335984B1 KR1020130094711A KR20130094711A KR101335984B1 KR 101335984 B1 KR101335984 B1 KR 101335984B1 KR 1020130094711 A KR1020130094711 A KR 1020130094711A KR 20130094711 A KR20130094711 A KR 20130094711A KR 101335984 B1 KR101335984 B1 KR 10133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sprinkler head
fixed
hand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Priority to KR102013009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984B1/ko
Priority to CN201310468306.5A priority patent/CN10396226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천정패널에 결합되며, 양단에서 사각바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사각바에 지지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몸체를 고정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파지부는 사각바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파지몸체와; 일측이 파지몸체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파지몸체와 결합하도록 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나사의 체결 없이도 손쉽게 스프링클러헤드를 고정시킬 수 있고, 스프링클러의 소화수 분사에 의한 수충격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Splinkler Head}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천정패널에 결합되며, 양단에서 사각바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사각바에 지지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몸체를 고정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파지부는 사각바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파지몸체와; 일측이 파지몸체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파지몸체와 결합하도록 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나사의 체결 없이도 손쉽게 스프링클러헤드를 고정시킬 수 있고, 스프링클러의 소화수 분사에 의한 수충격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헤드의 고정장치는 천정을 형성하는 천정판넬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화수 공급관(100)에 연결되는 스프링클러몸체(200)와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와 연결되어 소화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헤드(3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성된다.
종래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정판넬의 상부에 설치되는 T바 형상의 천정패널(400)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종래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1)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천정패널(400)에 고정되며, 사각바(50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측면브라켓(11)과; 상기 사각바(500)의 중간 부분에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간브라켓(12)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브라켓(11)은 상기 사각바(500)가 통과하는 삽입공(111a)과, 나사가 체결되는 제1나사공(111b)을 포함하는 한 쌍의 마주보는 수직편(111)과; 상기 수직편(111)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나사가 체결되는 제2나사공(112a)을 포함하는 상부수평편(112)과; 상기 수직편(111)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90도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수평편(113)과; 상기 하부수평편(113)에서 다시 90도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천정패널(400)에 밀착되는 밀착편(1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간브라켓(12)은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삽입되는 관통공(121a)을 포함하는 상,하의 고정판(121)과, 상기 상, 하의 고정판(121)을 연결하는 수직연결판(122)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결판(122)은 나사가 삽입되는 제3나사공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1)의 고정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측면브라켓(11)은 상기 천정패널(400)에 끼워진후 손으로 일정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나사공에 나사를 삽입하여 가압하며, 나사의 체결에 의해 상기 밀착편(114)이 가압되어 상기 천정패널(400)과 압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사각바(500)는 대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브라켓(11)의 삽입공(111a)에 삽입되며, 상기 제2나사공에 체결되는 나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측면 브라켓(11)에 고정된다. 그 다음, 상기 중간브라켓(12)이 상기 사각바(500)의 중앙측에 끼워지고, 상기 관통공(121a)에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삽입된 후, 제3나사공을 통해 체결되는 나사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와 중간브라켓(12)이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1)는 작업자가 손으로 좌우 위치와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상기 측면 브라켓(11)의 위치를 설정하여야 하고, 손으로 위치를 유지한 채로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측면 브라켓(11)을 고정시켜야 한다. 또한, 상기 중간 브라켓(12) 역시도 작업자가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의 위치를 손으로 고정시킨 후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시켜야 했다. 따라서, 종래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1)의 설치시, 천정 위로 올라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작업자 입장에서는 작업성이 좋지 않고, 시공성이 떨어지므로 전체적으로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균형 있는 위치 조절에 실패하여 쉽게 모양이 어긋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래 표시한 특허문헌에 있어서도, 구조가 개선된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손으로 직접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나사결합을 해야하고, 높이 조절이 필요하며, 소화수가 공급되는 수충격에 의하여 균형을 잃거나 파손될 우려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3695호(2008. 9. 2. 공개) "장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의 리듀서 지지장치"
이 뿐만 아니라, 상기 중간브라켓(12)은 나사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고정하므로, 소화수가 공급되는 수충격에 의하여 나사가 풀리게 되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와 중간브라켓(12)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지고, 결국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움직이거나 흔들리게 되어 기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측면브라켓(11)은 나사 풀림 뿐만 아니라, 상기 천정패널(400)과 밀착되는 밀착편(114)이 변형되거나 유격이 발생하여 고정이 느슨해짐으로써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1) 전체가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각바에 지지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몸체를 고정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파지부는 사각바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파지몸체와; 일측이 파지몸체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파지몸체와 결합하도록 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나사의 체결 없이도 손쉽게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파지몸체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하며, 외측면은 손잡이와 접촉되어 고정력을 제공받고, 내측면은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전달하는 가압체를 포함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더욱 강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소화수 분사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충격에도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파지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핀과, 가압체와 고정핀에 연결되어 가압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가압체를 포함하여, 손잡이 고정 해제시 손잡이의 회전과 함께 가압체도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수리나 이동, 해체시에도 손쉽게 해제되도록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가 가압체와 접촉되는 면에 누름부를 포함하여 가압체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가압체를 가압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롤러로 구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손잡이의 회전과 함께 롤러도 가압체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위치에서 가압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가압체를 누르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과 부딪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가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파지몸체와, 파지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부와 체결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걸림부가 한 쌍의 수평판 상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과, 관통홈에 삽입되어 걸림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하는 고정력을 유지하면서도 간편하게 결합과 해제을 실시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걸림수단이 돌출된 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스프링클러몸체의 굵기에 따라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스프링클러몸체에 적용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단부에서 "ㄱ" 모양으로 돌출되어 천정패널이 끼워지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고정브라켓이 한번에 천정패널에 끼워질 수 있고, 높이 조절이 필요없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단부를 내측으로 굴곡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천정패널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고정브라켓이 천정패널에 밀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절곡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상기 천정패널의 상단에 안착되어 고정브라켓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ㄱ"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절곡부의 양측에 절곡부와 같은 기능을 하는 돌출부를 추가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천정패널에 결합되며, 양단에서 사각바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사각바에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몸체를 고정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사각바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기 파지몸체와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몸체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하며, 외측면은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어 고정력을 제공받고, 내측면은 상기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전달하는 가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는 파지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가압체와 고정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가압체와 접촉되는 면에 누름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손잡이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몸체는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와 체결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몸체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클러몸체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한 쌍의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을 연결하며, 상기 수평판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바가 밀착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수평판 상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돌출된 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스위칭수단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의 굵기에 따라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사각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와, 하단부에서 "ㄱ" 모양으로 돌출되어 상기 천정패널이 끼워지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하단부를 내측으로 굴곡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천정패널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절곡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천정패널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ㄱ" 모양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나사가 체결되는 제1체결공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사각바가 통과하는 한 쌍의 마주보는 개구부와,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나사가 체결되는 제2체결공을 포함하여 상기 사각바를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각바에 지지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몸체를 고정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파지부는 사각바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파지몸체와; 일측이 파지몸체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파지몸체와 결합하도록 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나사의 체결 없이도 손쉽게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파지몸체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하며, 외측면은 손잡이와 접촉되어 고정력을 제공받고, 내측면은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전달하는 가압체를 포함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더욱 강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소화수 분사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충격에도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파지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핀과, 가압체와 고정핀에 연결되어 가압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가압체를 포함하여, 손잡이 고정 해제시 손잡이의 회전과 함께 가압체도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수리나 이동, 해체시에도 손쉽게 해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가 가압체와 접촉되는 면에 누름부를 포함하여 가압체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가압체를 가압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롤러로 구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손잡이의 회전과 함께 롤러도 가압체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위치에서 가압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가압체를 누르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과 부딪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가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파지몸체와, 파지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부와 체결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걸림부가 한 쌍의 수평판 상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과, 관통홈에 삽입되어 걸림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하는 고정력을 유지하면서도 간편하게 결합과 해제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걸림수단이 돌출된 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스프링클러몸체의 굵기에 따라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스프링클러몸체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단부에서 "ㄱ" 모양으로 돌출되어 천정패널이 끼워지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고정브라켓이 한번에 천정패널에 끼워질 수 있고, 높이 조절이 필요없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단부를 내측으로 굴곡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천정패널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고정브라켓이 천정패널에 밀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절곡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상기 천정패널의 상단에 안착되어 고정브라켓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ㄱ"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절곡부의 양측에 절곡부와 같은 기능을 하는 돌출부를 추가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파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파지부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도 3의 파지부의 해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의 파지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파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파지부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도 8의 파지부의 해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2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며,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공급관(100)과, 상기 소화수공급관(100)에 연결되는 스프링클러몸체(200)와, 상기 스프링클러몸체와 연결되어 화재시 상기 소화수공급관(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헤드(3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는 스프링클러 설비를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천정을 형성하는 천정판넬의 상부에 고정되는 T바 형상의 천정패널(400)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천정패널(400)은 넓은 바닥면이 천정판넬의 상부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며, 상기 천정패널(400)의 상단부는 "ㅁ" 모양의 단면을 갖는 돌출부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천정패널(400)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천정패널(400)에 결합되며, 양단에서 사각바(5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3)과; 상기 사각바(500)에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3)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고정시키는 파지부(2);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2)는 상기 사각바(500)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파지몸체(21)와; 상기 파지몸체(21)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기 파지몸체(21)와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3)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며, 먼저 상기 파지부(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파지부(2)는 상기 사각바(5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을 갖는 파지몸체(21)와; 상기 파지몸체(21)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하고,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23)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압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는 나사의 체결 없이 간단한 체결작업만으로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고정시킬 수 있고, 스프링클러에 의하여 소방수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수충격에도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파지몸체(21)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한 쌍의 수평판(211)과; 상기 수평판(211)을 연결하며, 상기 수평판(211)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바(500)가 밀착되는 측벽(2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지몸체(21)는 걸림부(213)를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23)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수평판(211)은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가압체(22)와 손잡이(23)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가압체(22)와 손잡이(23)의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판(211)은 수평판(211) 각각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측벽(212)에 의하여 연결되며, 타측으로는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각각의 수평판(211)에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삽입되는 공간은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의 외주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측벽(212)은 상기 한 쌍의 수평판(211)을 연결하며,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212)은 상기 사각바(500)의 일 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가압하여 고정할 때, 상기 사각바(500)의 타 측면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파지부(2)가 상기 사각바(500) 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213)는 상기 한 쌍의 수평판(211) 상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213a)과, 상기 관통홈(213a)에 삽입되는 스위칭수단(213b)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213)는 상기 손잡이(23)가 상기 파지몸체(21)와 결합하여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213)는 상기 손잡이(23)에 형성되는 걸림수단(232)과 맞물려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걸림수단(232)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걸림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232)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수단(232)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관통홈(213a)은 상기 상하의 수평판(211)에 대향되도록 관통되며, 상기 걸림수단(232)이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수단(213b)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232)의 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홈(213a)의 위치도 변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수단(213b)은 상기 걸림수단(232)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을 가진 핀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213a)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을 가진 핀은 굽은 채로 상기 관통홈(213a)에 삽입되며, 일단은 절곡되어 상기 파지몸체(21)에 밀착되고, 타단은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여 손가락에 의해 눌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손가락으로 상기 스위칭수단(213b)을 누름으로써 상기 걸림수단(232)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으며, 고정시에는 상기 핀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수단(232)이 손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수단(213b)을 이용한 상기 파지부(2)의 상세한 동작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체(22)는 상기 손잡이(23)와 상기 파지몸체(21)의 결합에 의한 고정력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체(22)는 내측면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23)에 의하여 가압, 고정될 때,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단단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체(22)는 외주면이 상기 손잡이(23)에 접촉되어, 상기 손잡이(23)가 회전하며 상기 파지몸체(21)를 향할 때, 함께 회전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가압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가압체(2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3)의 누름부(231)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가압체(22)의 회전중심은 상기 가압체(22)가 상기 파지몸체(21)에 고정되는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3)의 회전중심과 같은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가압체(22)는 상기 파지몸체(21)와 힌지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체(22)를 이용한 스프링클러몸체(200)의 고정작업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가압체(22)는 상기 파지몸체(21)에 고정되는 고정핀(221)과, 상기 가압체(22)와 상기 고정핀(221)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체(2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221)은 상기 상하의 수평판(211)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수단(222)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고정핀(221)은 상기 탄성수단(222)을 지지하여 상기 가압체(22)가 상기 탄성수단(222)의 복원력에 의해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가압체(22)의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탄성수단(222)은 탄성에 의하여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프링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이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체(22)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감싸지도록 구성되며, 그 타단이 상기 가압체(22)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는 비틀림스프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수단(222)은 상기 손잡이(23)가 상기 파지몸체(21)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압체(22)를 가압할 때, 상기 가압체(22)에 의하여 벌어져 비틀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3)와 상기 파지몸체(21)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손잡이(23)가 상기 파지몸체(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탄성수단(222)이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하여 상기 가압체(22)를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수단(22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체(22)와 손잡이(23)가 쉽게 상기 파지몸체(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파지부(2)의 해제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탄성수단(22)은 길이의 신장에 의하여 복원력이 발생하는 일반 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비틀림 스프링이 적용되어 좁은 공간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복원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23)는 상기 파지몸체(21)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기 파지몸체(21)와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한다. 상기 손잡이(23)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상단부는 매끄럽게 처리되어 손쉽게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3)의 회전중심은 상기 파지몸체(21)에 고정되는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체(22)의 회전중심과 같은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23)는 상기 가압체(22)와 접촉되는 면에 누름부(231)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체(22)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몸체(2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213)와 체결되는 걸림수단(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231)는 상기 손잡이(23)에 의하여 제공되는 고정력, 즉 상기 손잡이(23)가 상기 파지몸체(21)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파지몸체(21)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압력이 상기 가압체(22)에 정확하게 전달되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더욱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름부(231)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23)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는 상기 가압체(22)에 접촉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는 상기 손잡이(23)가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파지몸체(21)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체(22)와 접촉되어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23)가 자연스럽게 상기 가압체(22)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체결과정에 들어가는 힘이 절약되고, 무리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체(22) 또는 손잡이(23)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23)가 상기 파지몸체(21)와 결합하여 고정될 때, 상기 손잡이(23)가 상기 가압체(22)를 최적의 위치에서 누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를 통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걸림수단(232)은 상기 걸림부(213)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손잡이(23)에서 상기 파지몸체(2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수단(232)은 상기 손잡이(23)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3)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걸림부(213)도 상기 파지몸체(21)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232)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형성되게 된다. 상기 걸림수단(232)은 상기 파지몸체(21)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부(213)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걸림수단(232)은 고리형태, 탄성체 등 다양한 장착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수단(232)의 형태에 따라 상기 걸림부(213)도 그와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수단(232)은 돌출된 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돌기는 돌출된 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부(213)의 스위칭수단(213b)에 맞물려 고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스위칭수단(213b)을 형성하는 탄성을 갖는 핀이 상기 걸림돌기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의 굵기에 따라 상기 스위칭수단(213b)의 핀이 삽입되는 상기 걸림돌기 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는 다양한 스프링클러몸체(200)의 크기를 갖는 스프링클러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의 동작과정을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파지부(2)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상기 파지부(2)의 해제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파지부(2)의 결합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6의(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체(22)와 손잡이(23)가 벌려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몸체(21)의 내부공간에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삽입되면, 도 6의(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3)를 상기 파지몸체(21)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란 상기 누름부(231)와 상기 가압체(22)가 접촉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222)은 상기 가압체(22)의 회전에 따라 점점 벌어져 비틀어지게 된다. 도 6의(3)은 상기 파지부(2)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의 고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의 굵기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의 홈 중 적절한 위치에 상기 스위칭수단(213b)의 핀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스위칭수단(213b)은 탄성을 갖는 핀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상기 걸림돌기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6의(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의 외주면은 상기 가압체(22)의 내측면과 상기 파지몸체(21)에 의하여 둘러싸여 밀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파지부(2)의 해제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7의(1)은 상기 파지부(2)에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수단(213b)은 상기 걸림돌기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수단(222)은 벌어져 비틀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2)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해제하기 위하여 도 7의(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수단(213b)인 핀의 일단, 즉 앞서 설명한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을 누름으로써 상기 스위칭수단(213b)이 상기 걸림돌기의 홈에서 탈락되어 상기 손잡이(23)에 의하여 주어지던 고정력이 해제되게 된다. 도 7의(3)은 상기 스피링클러몸체(200)의 고정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손잡이(23)를 상기 파지몸체(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수단(221)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체(22)가 당겨지게 되고, 이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23)도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2)는 상기 탄성수단(222)으로 인해 상기 스위칭수단(213b)를 눌러주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손쉽게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파지부(2)와 고정브라켓(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3)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브라켓(3)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3)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의 파지부(2)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232)은 상기 손잡이(23)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13)는 상기 걸림수단(23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지부(2)는 상기 걸림부(213)의 위치를 제외한 상기 파지몸체(21)의 구성, 상기 가압체(22)의 구성, 상기 걸림수단(232)이 형성되는 위치를 제외한 상기 손잡이(23)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걸림수단(232)은 상기 손잡이(23)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 즉 상기 손잡이(23)가 고정되는 지점의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232)의 위치와 반대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13)가 상기 걸림수단(232)과 결합할 수 있는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부분을 살펴보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수단(232)의 모양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르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걸림수단(232)은 상기 손잡이(23)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일정 깊이의 홈을 가지는 걸림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에 상기 스위칭수단(213b)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2)의 결합과정과 해제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0은 상기 파지부(2)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상기 파지부(2)의 해제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파지부(2)의 동작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결합과정을 보면, 도 10의(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체(22)와 손잡이(23)가 벌려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가 상기 파지몸체(2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며, 그 다음 도 10의(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3)를 상기 파지몸체(2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가압체(22)를 가압하고, 최종적으로 도 10의(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232)이 상기 걸림부(213)와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몸체(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걸림수단(232)의 걸림돌기가 상기 파지몸체(21)의 바깥쪽을 향하면서 상기 걸림부(213)의 스위칭수단(213b)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해제과정은 도 11의(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3)와 파지몸체(21)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1의(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수단(213b)을 눌러 상기 걸림돌기의 홈에서 탈락시키며, 고정이 해제되도록 한다. 그 후에는 도 11의(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수단(222)에 의해 상기 손잡이(23)가 손쉽게 회전하여 상기 스프링클레몸체(200)가 고정에서 해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3)을 도 3 내지 도 4 및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3)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천정패널(400)에 결합되며, 양단에서 상기 사각바(500)를 지지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3)은 천정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천정패널(400)에 각각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사각바(500)의 양단을 고정하여 지지한다. 상기 고정브라켓(3)은 상기 사각바(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스프링클러에 의하여 공급되는 소화수의 수충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일정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일정 넓이를 갖는 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3)은 하단부에서 "ㄱ"모양으로 돌출되어 상기 천정패널(400)에 끼워지는 절곡부(31)와 상단부에서 상기 사각바(5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은 돌출부(33)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천정패널(40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31)는 상기 고정브라켓(3)의 하단부에서 90도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과 그 끝단에서 연장형성되어 다시 아래 90도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31)는 상기 천정패널(400)의 "ㅁ" 모양을 갖는 상단부와 밀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3)이 상기 천정패널(400)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절곡부(31)는 상기 고정브라켓(3)이 상기 천정패널(400)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천정패널(400)의 상단부를 감싸며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상하의 높이조절 없이도 상기 고정브라켓(3)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한 번의 끼움작업만으로 상기 고정브라켓(3)의 위치조절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고정브라켓(3)은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천정패널(400)에 고정되기 위하여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3)의 최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천정패널(40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천정패널(400)이 상기 절곡부(31)와 상기 고정브라켓(3)의 절곡된 최하단부에 의하여 완전하게 감싸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브라켓(3)이 흔들리지 않고 상기 천정패널(4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32)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3)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각바(500)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사각바(500)가 통과하는 한 쌍의 마주보는 개구부(321)와, 상기 한 쌍의 개구부(321)를 연결하는 상판(322)과 하판(323)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323)은 나사가 체결되는 제2체결공(323a)을 포함하여 상기 사각바(500)를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개구부(321)는 상기 사각바(500)가 통과하는 공간으로 하나는 상기 고정브라켓(3)의 상단부에, 또 하나는 상기 상판(322)과 하판(323)으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각바(500)는 상기 한 쌍의 개구부(321) 상에 걸쳐지게 되고, 상기 하판(323)에 형성되는 제2체결공(323a)을 통해 나사가 체결되어 가압, 고정된다.
상기 상판(322)과 하판(323)은 상기 한 쌍의 개구부(321)를 연결하여 상기 사각바(500)를 지지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판(323)에는 제2체결공(323a)이 형성되어 나사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2체결공(323a)을 통하여 체결되는 나사는 상기 사각바(500)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사각바(500)는 상기 개구부(321)의 밑단에 지지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2체결공(323a)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가 삽입되어 상기 사각바(500)를 가압하며, 이 때 상기 제2체결공(323a)은 상기 상판(322)이 아닌 하판(323)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천정 밑에서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자가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33)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31)와 같은 높이에서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절곡부(31)의 양측에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3)는 상기 천정패널(400)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3)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33)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끝단에서 다시 아래방향으로 90도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31)와 같은 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3)은 상기 절곡부(31)와 돌출부(33)에 의해 상기 천정패널(400)을 더욱 강하게 감싸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천정패널(4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파지부(2)와 고정브라켓(3)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2)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브라켓(3)은 상기 절곡부(31)와 지지부(32), 돌출부(33)를 포함하며,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부(31)는 나사가 체결되는 제1체결공(31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3)은 상기 절곡부(31)에 의하여 손쉽게 위치조절을 하고 천정패널(40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지만, 상기 고정브라켓(3)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천정패널(4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절곡부(31)에 나사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311)은 상기 절곡부(31)의 "ㄱ"자 모양으로 돌출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천정패널(400)과 평행을 이루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311)은 상기 제1체결공(311)을 통해 나사가 체결되도록 하고, 체결되는 나사는 상기 천정패널(400)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브라켓(3)과 상기 천정패널(400)이 더욱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제1체결공(311)을 통한 나사의 체결작업은 상기 파지부(2)와 고정브라켓(3)의 모든 설치가 완료된 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체결공(311)을 통하여 나사를 체결하기 전에도 상기 고정브라켓(3)은 상기 천정패널(4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나사를 체결하는 과정이 추가되더라도 여전히 종래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1)에 비하여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소화수공급관 200: 스프링클러몸체 300: 스프링클러헤드
400: 천정패널 500: 사각바
1: 종래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11: 측면브라켓
111: 수직편 111a: 삽입공 111b: 제1나사공
112: 상부수평편 112a: 제2나사공
113: 하부수평편 114: 밀착편
12: 중간브라켓
121: 고정판 121a: 관통공
122: 수직연결판 122a: 제3나사공
2: 파지부
21: 파지몸체 211: 수평판 212: 측벽
213: 걸림부 213a: 관통홈 213b: 스위칭수단
22: 가압체 221: 고정핀 222: 탄성수단
23: 손잡이 231: 누름부 232: 걸림수단
3: 고정브라켓
31: 절곡부 311: 제1체결공
32: 지지부 321: 개구부
322: 상판 323: 하판 323a: 제2체결공
33: 돌출부

Claims (17)

  1. 삭제
  2.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천정패널에 결합되며, 양단에서 사각바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사각바에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몸체를 고정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사각바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기 파지몸체와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와; 상기 파지몸체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전하며, 외측면은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어 고정력을 제공받고, 내측면은 상기 스프링클러몸체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전달하는 가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는 상기 파지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가압체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가압체와 접촉되는 면에 누름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손잡이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몸체는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와 체결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몸체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클러몸체가 삽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한 쌍의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을 연결하며, 상기 수평판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바가 밀착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수평판 상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돌출된 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스위칭수단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클러몸체의 굵기에 따라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사각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와, 하단부에서 "ㄱ" 모양으로 돌출되어 상기 천정패널이 끼워지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하단부를 내측으로 굴곡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천정패널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절곡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천정패널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ㄱ"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나사가 체결되는 제1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사각바가 통과하는 한 쌍의 마주보는 개구부와,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나사가 체결되는 제2체결공을 포함하여 상기 사각바를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KR1020130094711A 2013-08-09 2013-08-09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KR101335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711A KR101335984B1 (ko) 2013-08-09 2013-08-09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CN201310468306.5A CN103962269B (zh) 2013-08-09 2013-10-09 洒水喷头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711A KR101335984B1 (ko) 2013-08-09 2013-08-09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984B1 true KR101335984B1 (ko) 2013-12-04

Family

ID=4998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711A KR101335984B1 (ko) 2013-08-09 2013-08-09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5984B1 (ko)
CN (1) CN103962269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11B1 (ko) * 2013-06-05 2014-11-03 김형수 레듀샤 설치용 클램핑 구조
KR101603863B1 (ko) * 2015-01-12 2016-03-17 정운택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WO2020236108A1 (en) * 2019-05-21 2020-11-26 Haci Ayvaz Endüstri̇yel Mamüller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Upper clamp lock of sprinkler bracket
KR200493271Y1 (ko) * 2019-09-18 2021-03-03 백창선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원터치 고정장치
KR200493270Y1 (ko) * 2019-09-18 2021-03-04 백창선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원터치 고정장치
WO2021100963A1 (ko) * 2019-11-22 2021-05-27 임영순 락기능을 갖는 소방용 스프링클러 앤드브라켓트
KR20210091607A (ko) * 2020-01-14 2021-07-22 김주완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CN115916354A (zh) * 2020-05-04 2023-04-04 车宗炫 消防管道固定装置
KR102541725B1 (ko) 2023-01-27 2023-06-13 임영순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0548B (zh) * 2015-11-30 2022-02-22 维克托里克公司 喷洒器适配器和管插塞件
CN107362486B (zh) * 2016-05-13 2020-06-23 (株) 永进波纹管 喷淋设备的伸缩软管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337A (ko) * 2010-09-28 2012-04-05 (주)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9893B1 (fr) * 1988-04-11 1991-04-05 Sofanou Sa Piece de fixation et de raccord pour tubes anneles
US6213140B1 (en) * 2000-01-05 2001-04-10 The Lisle Corporation Hose clamp tool and method for clamping hoses of multiple size
CN2695753Y (zh) * 2004-04-29 2005-04-27 杭州稳可精密电子有限公司 易索扣
KR101074209B1 (ko) * 2009-08-17 2011-10-14 장규철 사면 보강 철근과 호스의 고정용 클램프
CN201505386U (zh) * 2009-09-25 2010-06-16 昆山展宇波纹管有限公司 消防软管的定位装置
CN101748774B (zh) * 2010-01-12 2011-08-10 厦门松霖科技有限公司 拨钮滑座
KR101289274B1 (ko) * 2013-01-21 2013-07-24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337A (ko) * 2010-09-28 2012-04-05 (주)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11B1 (ko) * 2013-06-05 2014-11-03 김형수 레듀샤 설치용 클램핑 구조
KR101603863B1 (ko) * 2015-01-12 2016-03-17 정운택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WO2020236108A1 (en) * 2019-05-21 2020-11-26 Haci Ayvaz Endüstri̇yel Mamüller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Upper clamp lock of sprinkler bracket
KR200493271Y1 (ko) * 2019-09-18 2021-03-03 백창선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원터치 고정장치
KR200493270Y1 (ko) * 2019-09-18 2021-03-04 백창선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원터치 고정장치
WO2021100963A1 (ko) * 2019-11-22 2021-05-27 임영순 락기능을 갖는 소방용 스프링클러 앤드브라켓트
KR20210091607A (ko) * 2020-01-14 2021-07-22 김주완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2340752B1 (ko) 2020-01-14 2021-12-16 김주완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CN115916354A (zh) * 2020-05-04 2023-04-04 车宗炫 消防管道固定装置
KR102541725B1 (ko) 2023-01-27 2023-06-13 임영순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62269A (zh) 2014-08-06
CN103962269B (zh)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984B1 (ko)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US7264214B2 (en) Stock bar and T-bar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sprinkler
KR100745018B1 (ko) 스프링쿨러의 장착구조
KR101603863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KR101248460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1540244B1 (ko)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604191B1 (ko) 스프링쿨러 조인트 고정용 사이드 브라켓
CN105358775A (zh) 隔板组件
KR101429422B1 (ko)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 고정장치
KR100882550B1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1356687B1 (ko)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 고정 브라켓
KR101065516B1 (ko) 세트형으로 구성한 소방용 스프링클러시공 장치
JP6410114B2 (ja) 天井用照明装置の設置構造
JP5133078B2 (ja) 貯湯タンクユニット
KR101551730B1 (ko) 다용도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1260045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0817307B1 (ko) 케이블 트레이 제조장치
KR20100010561A (ko) 갱폼 고정장치
JP2007322512A (ja) スタンド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50015090A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JP2008187069A (ja) リモコン装置の取付け構造
CN203856152U (zh) 拼接式装饰板
KR102218000B1 (ko)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 고정장치
KR101031867B1 (ko) 배전 박스용 연결구
JP6738451B1 (ja) 足場板用固定具および足場板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