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867B1 - 배전 박스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전 박스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867B1
KR101031867B1 KR1020110006594A KR20110006594A KR101031867B1 KR 101031867 B1 KR101031867 B1 KR 101031867B1 KR 1020110006594 A KR1020110006594 A KR 1020110006594A KR 20110006594 A KR20110006594 A KR 20110006594A KR 101031867 B1 KR101031867 B1 KR 10103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tube
distribution box
connector
supporting memb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석
Original Assignee
(주) 신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신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0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2Releasable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통신 및 계전용 전기 설비를 위한 배전 박스에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관과 연결구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플레시블관, 배전 박스 및 연결구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연결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는, 배전 박스에 형성된 관통공에 플렉시블관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일측에 상기 배전 박스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1 플랜지부와, 타측은 플렉시블관의 내측이 삽입되고 나사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배전 박스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2 플렌지부와, 상기 제2 플렌지부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제2 플렌지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에 플렉시블관이 수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절결된 ‘ㄷ’자 형상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압부가 구비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하는 마감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재의 나사산에 상기 마감부재가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플렉시블관의 외측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 박스용 연결구{Connector for Electric Box}
본 발명은 전기, 통신 및 계전용 전기 설비를 위한 배전 박스에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관과 연결구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플렉시블관, 배전 박스 및 연결구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연결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천정이나 벽체에는 전기, 통신 및 계전용 설비를 위한 배전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배전 박스에는 배선을 수용하기 위한 합성수지로 제작된 가요성의 주름관이 결합된다.
이러한 배전 박스에는 삽입공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에는 주름관과의 연결을 위한 중공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가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8409호의 종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연결공으로 일측이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면서 타측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관을 지지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플렉시블관이 삽입되는 측의 연결부재에 체결되어 한 번의 삽입 공정을 통하여 플렉시블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연결장치는, 배전함 내측에서 연결부재의 체결고정부가 너트에 의해 고정되므로 체결고정부가 너트 외측으로 상당부분 돌출하게 되어, 배전함 내부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다른 배선과의 배선 연결이나 다른 형태의 전기 통신 설비의 배선연결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는 플렉시블관의 주름 홈에 탄성 고정편이 걸려 있는 구조로 외력에 의해 플렉시블관의 분리 될 수 있어 결합력이 낮다.
또한, 배전함 내부에서 작은 부속품인 너트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체결작업이 어려우며, 배선함에 연결부재를 고정시킨 후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의 체결작업시 연결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 연결장치 전체가 회동될 수 있어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배선 박스와 플렉시블관의 체결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체결 작업 후 플렉시블관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배전 박스에 형성된 관통공에 플렉시블관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일측은 상기 배전 박스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1 플렌지부와, 타측은 플렉시블관의 내측에 삽입되고 나사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배전 박스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2 플렌지부와, 상기 제2 플렌지부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제2 플렌지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에 플렉시블관이 수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절결된 ‘ㄷ’자 형상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압부가 구비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된는 마감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재의 나사산에 상기 마감부재가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플렉시블관의 외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상기 제1 플렌지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전 박스의 내측으로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 의하면, 배전 박스 외측에서 너트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체결 작업을 신속하고 견고히 수행할 수 있으며, 체결구로부터 배전 박스와 플렉시블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전 박스 내측으로 연결구의 돌출부가 거의 없으므로, 배전 박스 내부 공간 활용률이 높다.
도 1은 종래의 연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배선 박스와 플렉시블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전 박스는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는 플렉시블관을 체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배전 박스에 끼워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압부를 가압하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배선이 수용되는 중공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서 보았을 때 일측에는 볼록부(313)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플렌지부(31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나사홈(3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플렌지부(311)의 양측면은 체결 작업시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재(320)는 상기 배전 박스(10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2 플렌지부(321)와, 상기 제2 플렌지부(321)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부재(310)의 나사홈(312)에 결합되는 너트부(322)와, 상기 제2 플렌지부(321)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에 플렉시블관(200)이 수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부(323)와, 상기 고정부(3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ㄷ’자 형상의 절결되어 돌출되는 가압부(3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부재(320)는 상기 배전 박스(100)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310)의 나사홈(312)과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을 위해 접속부재(320)의 제2 플렌지부(321)의 중앙에는 상기 나사홈(312)과 결합되기 위한 너트부(32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플렌지부(311)와 제2 플렌지부(321)는 상기 배전 박스(100)의 관통공(101)을 마주하여 체결된다.
상기 체결 작업을 위해서는, 상기 지지부재(310)는 상기 배전 박스(100)의 내부에서 나사홈(312)이 형성된 부분이 먼저 끼워진 후 상기 제1 플렌지부(311)에 의해 배전 박스(100)의 측면부와 면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310)의 나사홈(312)과 상기 접속부재(320)의 너트부(322)가 상호 나사 결합되고, 상기 나사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310)의 제1 플렌지부(311)에 형성된 볼록부(313)에 의해 탄성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재(310)와 접속부재(320)와의 체결 작업시, 작업자는 한 손으로 상기 지지부재(310)의 볼록부(313)에 형성된 요철부를 손으로 지지함으로써 나사 결합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재(320)의 너트부(322)가 결합되지 않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나사홈(312)의 상부와, 상기 접속부재(320)의 고정부(32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플렉시블관(200)이 내측으로 삽입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323)에는 제1 플렌지부(311)가 형성된 방향으로 절결된 ‘ㄷ’자 형상의 가압부(325)가 고정부(323)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고정부(323) 외측과 내측에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325)는 상기 접속부재(320)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마감부재(330)에 의한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가압부(325)를 누르게 되어, 플렉시블관(200)의 요부에 상기 가압부의 돌출 부분이 가압하게 된다.
상기 플렉시블관(200)과 연결구는 모두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일정한 정도의 탄성이 있어, 상기 가압부(325)와 플렉시블관(200)의 가압되는 부분의 체결은 상기 마감부재(330)의 나사 체결 정도에 따라 압착력이 증감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325)가 상기 플렉시블관(200)의 외측에 형성된 요부에 배치되면 걸림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플렉시블관(200)의 요부나 철부에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된다. 물론, 상기 요부에 가압부(325)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배전 박스101: 관통공
200: 플렉시블관310: 지지부재
311: 제1 플렌지부312: 나사홈
313: 볼록부320: 접속부재
321: 제2 플렌지부322: 너트부
323: 고정부325: 가압부
330: 마감부재

Claims (2)

  1. 배전 박스(100)에 형성된 관통공(101)에 플렉시블관(200)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일측은 상기 배전 박스(10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1 플렌지부(311)와, 타측은 플렉시블관(200)의 내측에 삽입되고 나사홈(312)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310)와;
    상기 배전 박스(10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2 플렌지부(321)와, 상기 제2 플렌지부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부재(310)의 나사홈(312)에 결합되는 너트부(322)와, 상기 제2 플렌지부(321)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에 플렉시블관(200)이 수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부(323)와, 상기 고정부(3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절결된 ‘ㄷ’자 형상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압부(325)가 구비되는 접속부재(320)와;
    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마감부재(330)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재(320)의 나사산에 상기 마감부재(330)가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325)가 상기 플렉시블관(200)의 외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박스용 연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렌지부(311)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전 박스(100)의 내측으로 볼록부(3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박스용 연결구.
KR1020110006594A 2011-01-23 2011-01-23 배전 박스용 연결구 KR101031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594A KR101031867B1 (ko) 2011-01-23 2011-01-23 배전 박스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594A KR101031867B1 (ko) 2011-01-23 2011-01-23 배전 박스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867B1 true KR101031867B1 (ko) 2011-05-02

Family

ID=4436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594A KR101031867B1 (ko) 2011-01-23 2011-01-23 배전 박스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212A (ko)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대봉이엔지 배전 박스용 연결구
KR20240022683A (ko) 2022-08-12 2024-02-20 주식회사 커넥터 소형화 방식의 커넥터 및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60U (ko) * 1999-06-14 2001-01-15 이명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연결구
KR20040011797A (ko) * 2002-07-30 2004-02-11 임동수 금속산화물/질화물 복합체 분말의 제조방법
KR200411797Y1 (ko) 2005-12-20 2006-03-17 주식회사 신동테크 파이프 연결장치
KR100803398B1 (ko) 2006-11-02 2008-02-13 황성수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60U (ko) * 1999-06-14 2001-01-15 이명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연결구
KR20040011797A (ko) * 2002-07-30 2004-02-11 임동수 금속산화물/질화물 복합체 분말의 제조방법
KR200411797Y1 (ko) 2005-12-20 2006-03-17 주식회사 신동테크 파이프 연결장치
KR100803398B1 (ko) 2006-11-02 2008-02-13 황성수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212A (ko)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대봉이엔지 배전 박스용 연결구
KR20240022683A (ko) 2022-08-12 2024-02-20 주식회사 커넥터 소형화 방식의 커넥터 및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984B1 (ko)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KR101031867B1 (ko) 배전 박스용 연결구
KR101178898B1 (ko)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KR101385613B1 (ko)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KR200474526Y1 (ko) 가요전선관 연결구
KR200446280Y1 (ko)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AU2014213714A1 (en) Device for fixing wires
JP2011014877A (ja) 太陽電池用太陽光パネル固定具
KR20160023436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30107061A (ko) 연기 감지기 설치 보조유닛 및 연기 감지기 설치방법
KR2016012825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037968B1 (ko) 스피커 장착 지지구
KR200444180Y1 (ko) 전기 플러그
KR20080023416A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KR2014013284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2014030870A (ja) ねじ回し工具用のアタッチメント
KR20100124458A (ko) 케이블그랜드용 어댑터
KR101709617B1 (ko) 변압기 커버용 고정구
KR200469189Y1 (ko) 배선 분기장치
KR20150010355A (ko) 배선관용 커넥터
CN210833895U (zh) 一种用于热偶的安装固定夹紧装置
KR101189607B1 (ko) 태양전지용 태양광판 고정장치
JP3246087U (ja) 固定具
CN210867149U (zh) 一种通用型电缆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