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398B1 -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398B1
KR100803398B1 KR1020060107536A KR20060107536A KR100803398B1 KR 100803398 B1 KR100803398 B1 KR 100803398B1 KR 1020060107536 A KR1020060107536 A KR 1020060107536A KR 20060107536 A KR20060107536 A KR 20060107536A KR 100803398 B1 KR100803398 B1 KR 10080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main body
cap
stator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수
Original Assignee
황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수 filed Critical 황성수
Priority to KR102006010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이 취부된 상태로 조인트박스에 장착되고 캡을 이용하여 개폐가 자유로워 매립 조인트박스에 대한 매립배수관의 설치가 깔끔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담수시험시 압력게이지 장착 및 매립배수관의 시공이 대단히 용이하며, 건축물 준공 후의 에어컨 배수관 관리 및 연결이 극히 간편하고 외관도 미려하여 공기 및 시공비용을 현저히 감축시킴과 아울러 시공품질의 고급화를 달성하도록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기로부터 발생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매립배수관과 외부배수관이 조인트박스에서 연결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박스에 고정되고 매립배수관과 외부배수관이 삽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매립측에 체결되며 매립배수관을 본체에 고정하는 매립측 고정자; 상기 본체의 외부측에 체결되며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외부배수관을 고정하는 외부측 고정자; 및 상기 외부측 고정자에 결합되어 본체의 입구를 막아주기 위한 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A CONNECTOR FOR DRAIN OF A1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본체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설치상태 단면도1
도 5는 도 2의 설치상태 단면도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외부측 고정자와 캡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결합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외부측 고정자와 캡의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캡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2: 조인트박스 3: 외부배수관 4: 매립배수관
10: 본체 11: 제1단 13: 제3단
14: 매립측 체결부 15: 요입홈 16: 외부측 체결부
20: 매립측 고정자 21: 플랜지 30: 외부측 고정자
31: 걸림플랜지 35: 캡결합부 50: 캡
51: 마구리 53: 삽지부 55: 육각파지부
57: 슬리브 65: 오링
본 발명은 배수관이 취부된 상태로 조인트박스에 장착되고 캡을 이용하여 개폐가 자유로워 조인트박스에 대한 매립배수관의 설치가 깔끔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담수시험시 압력게이지 장착 및 매립배수관의 시공이 대단히 용이하며, 건축물 준공 후의 에어컨 배수관 관리 및 연결이 극히 간편하고 외관도 미려하여 공기 및 시공비용을 현저히 감축시킴과 아울러 시공품질의 고급화를 달성하도록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의 상변환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는 분리형 에어컨은 증발기와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실내에 놓이는 실내기와, 압축기, 응측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실외에 놓여지는 실외기로 분리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순환 연결하는 냉매 통로용 배관 및 배수관이 구비된다.
이러한 냉매 통로용 배관 및 배수관에서 벽체 배관은 대개 벽체 콘크리트 타 설시 매립관으로 시공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와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배관과의 연결은 벽체에 설치되는 조인트박스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배관 중 매립배수관은 시공 중에는 물을 채우고 압력게이지를 장착하여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누수 여부를 점검하는 담수시험을 하는 한편 건축물 준공 후 에어컨이 설치되기 전까지는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개구를 막아주어야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매립배수관 끝단이 조인트박스 내로 노출 설치되고, 외부배관과 용접 연결되므로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고 시공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담수시험시 기밀이 유지되도록 압력게이지 장착이 어려워 작업진행에 막대한 지장을 주며 실내기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개구를 테이프를 이용하여 밀봉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외관이 지저분하여 시공품질 전체의 인상을 흐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배수관이 취부된 상태로 조인트박스에 장착되고 캡을 이용하여 개폐가 자유로워 조인트박스에 대한 매립배수관의 설치가 깔끔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담수시험시 압력게이지 장착 및 매립배수관의 시공이 대단히 용이하며, 건축물 준공 후의 에어컨 배수관 관리 및 연결이 극히 간편하고 외관도 미려하여 공기 및 시공비용을 현저히 감축시킴과 아울러 시공품질의 고급화를 달성토록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는,
실내기로부터 발생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매립배수관과 외부배수관이 조인트박스에서 연결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박스에 고정되고 매립배수관과 외부배수관이 삽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매립측에 체결되며 매립배수관을 본체에 고정하는 매립측 고정자;
상기 본체의 외부측에 체결되며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외부배수관을 고정하는 외부측 고정자; 및
상기 외부측 고정자에 결합되어 본체의 입구를 막아주기 위한 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본체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설치상태 단면도1(캡을 닫은 상태)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1)는 실내기로부터 발생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매립배수관과 대개 플랙시블관으로 되는 외부배수관이 조인트박스에서 연결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박스(2)에 고정되고 매립배수관(3)과 외부배수관(4)이 삽지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매립측에 체결되며 매립배수관(3)을 본체(10)에 고정하는 매립측 고정자(20), 상기 본체(10)의 외부측에 체결되며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외부배수관(4)을 고정하는 외부측 고정자(30) 및 상기 외부측 고정자(30)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입구를 막아주기 위한 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내부가 매립배수관(3)이 삽입되는 제1단(11)과 상기 제1단으로부터 내경이 축소되는 제2단(12)과 상기 제2단으로부터 내경이 축소되며 외부배수관(4)이 삽입되는 제3단(13)이 연하여 형성되고, 매립측으로 상기 제1단(11)부 외주연에 상기 매립측 고정자(20)가 고정되며 멈춤턱(17)이 구비된 매립측 체결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제3단(13)과 겹을 이루어 상기 외부측 고정자(30)가 삽입 체결되는 요입홈(15)을 형성하며 조인트박스(10)에 대한 멈춤단을 겸하도록 상기 제1단(11)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외부측 체결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와 매립측 고정자(20)는 나사결합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착탈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립측 고정자(20)에는 매립배수관(3)을 파지하는 내향플랜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 요철(23)이 형 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측 고정자(30)는 외주연 일측에 조인트박스(10)에 걸리기 위한 걸림플랜지(31)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플랜지(31) 일측 외주연에 상기 본체의 외부측 체결부(16)에 나합되는 나사(33)가 형성되고 걸림플랜지 타측으로 상기 캡(50)이 고정되기 위한 캡결합부(35)가 형성되며, 일측 선단에 외부배수관(4)을 파지하는 내향 플랜지(3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50)은 마구리(51) 일측에 상기 외부측 고정자(30)의 내향 플랜지(37)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제3단(13)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지부(53)가 형성되고, 상기 삽지부(53) 외주연에는 오링(65)이 설치되는 요홈(53a)이 형성되며, 마구리(51) 타측에는 공구 물림을 위한 육각파지부(55)가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지부(53)는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캡(50)은 마구리(51)에 내주연으로 나사(57a)가 형성된 슬리브(57)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측 고정자(30)와 나사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50)은 마구리(51)에 상기 외부측 고정자(30)에 체결되기 위하여 선단에 방사상으로 내향 걸림요철(57b)이 형성되는 슬리브(57)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측 고정자의 캡결합부(35)는 상기 내향 걸림요철(57b)에 대응하는 외향 걸림요철(35b)이 형성되는 클립결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립결합식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의 삽지부 에 외향 걸림요철(53b)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내향 걸림요철(35c)이 외부측 고정자(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50)에는 외부배수관이(4) 끼움고정되는 외부배관 삽지홈(59)이 더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외부배수관이 캡에 삽입가능하게 구성될 경우, 캡이 탈거되기까지 외부배수관(4)이 캡에(50) 고정되어 있다가 캡 탈거시에 곧바로 플래어너트를 이용하여 배관될 수 있어 외부배관(4)의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제1단(11)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멈춤링(61)과 시일(63) 및 오링(65)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요입홈(15)에는 오링(65)이 부여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1)의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매립배수관(3)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된 상기 매립측 고정자(20)를 상기 본체의 매립측 체결부(14)에 결합함으로써 본체(10)에 대한 매립배수관(3)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매립측 고정자(20)가 원터치식으로 결합시에는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이렇게 매립배수관(3)이 고정된 본체(10)를 조인트박스(2)의 통공을 통하여 매립측에서 투입되고 외측에서 상기 외부측 고정자(30)를 본체의 외부측 체결부(16)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부측 고정자의 걸림플랜지(31)와 본체의 외부측 체 결부(16) 사이에 조인트박스(2)가 끼워지는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매립배수관 담수시험을 위하여 매립배수관(3)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상기 캡(50)을 탈거시키고 그 자리에 압력게이지를 장착하여 누수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 준공 후 실내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캡(50)을 체결하여 매립배수관과 연결되는 본체(10)의 입구를 봉쇄함으로써 먼지 및 이물질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캡(50)을 탈거시키고 외부배수관(4)을 삽입하는 것으로 에어컨의 매립배수관과 외부배수관(3)(4)의 연결이 간편하게 종결되어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축시켜주고 상기 오링(65) 등의 기밀유지 구조에 의하여 누수가 방지되는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때, 외부배수관(4)은 매립배수관(3) 내부까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매립배수관(3)이 취부된 상태로 조인트박스(2)에 장착되고 캡(50)을 이용하여 개폐가 자유로워 매립 조인트박스에 대한 매립배수관의 설치가 깔끔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배수관 담수시험시 압력게이지 장착 및 매립배수관의 시공이 대단히 용이하여 공수를 획기적으로 절감시켜 준다.
또한, 건축물 준공 후의 외부배수관 및 매립배수관 관리 및 연결이 간편하고 외관도 미려하여 시공비용을 절감시킴과 아울러 시공품질을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 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는 매립배수관이 취부된 상태로 조인트박스에 장착되고 캡을 이용하여 개폐가 자유로워 조인트박스에 대한 매립배수관의 설치가 깔끔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담수시험시 압력게이지 장착 및 매립배수관의 시공이 대단히 용이하며, 건축물 준공 후의 에어컨 배수관 관리 및 연결이 극히 간편하고 외관도 미려하여 공기 및 시공비용을 현저히 감축시킴과 아울러 시공품질이 고급스럽게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실내기로부터 발생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매립배수관과 외부배수관이 조인트박스에서 연결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박스(2)에 고정되고 매립배수관(3)과 외부배수관(4)이 삽지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매립측에 체결되며 매립배수관(3)을 본체(10)에 고정하는 매립측 고정자(20);
    상기 본체(10)의 외부측에 체결되며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외부배수관(4)을 고정하는 외부측 고정자(30); 및
    상기 외부측 고정자(30)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입구를 막아주기 위한 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내부가 매립배수관(3)이 삽입되는 제1단(11)과 상기 제1단으로부터 내경이 축소되는 제2단(12)과 상기 제2단으로부터 내경이 축소되며 외부배수관(4)이 삽입되는 제3단(13)이 연하여 형성되고,
    매립측으로 상기 제1단(11)부 외주연에 상기 매립측 고정자(20)가 고정되며 멈춤턱(17)이 구비된 매립측 체결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제3단(13)과 겹을 이루 어 상기 외부측 고정자(30)가 삽입 체결되는 요입홈(15)을 형성하며 조인트박스(10)에 대한 멈춤단을 겸하도록 상기 제1단(11)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외부측 체결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매립측 고정자(20)는 나사결합 또는 원터치 착탈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립측 고정자(20)에는 매립배수관(3)을 파지하는 내향플랜지(2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측 고정자(30)는 외주연 일측에 조인트박스(10)에 걸리기 위한 걸림플랜지(31)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플랜지(31) 일측 외주연에 상기 본체의 외부측 체결부(16)에 나합되는 나사(33)가 형성되고 걸림플랜지 타측으로 상기 캡(50)이 고정되기 위한 캡결합부(35)가 형성되며,
    일측 선단에 외부배수관(4)을 파지하는 내향 플랜지(3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50)은 마구리(51) 일측에 상기 외부측 고정자(30)의 내향 플랜지(37)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제3단(13)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지부(53)가 형성되고,
    상기 삽지부(53) 외주연에는 오링(65)이 설치되는 요홈(53a)이 형성되며,
    마구리(51) 타측에는 공구 물림을 위한 육각파지부(55)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50)은 마구리(51)에 내주연으로 나사(57a)가 형성된 슬리브(57)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측 고정자(30)와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50)은 마구리(51)에 상기 외부측 고정자(30)에 체결되기 위하여 선단에 방사상으로 내향 걸림요철(57b)이 형성되는 슬리브(57)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측 고정자의 캡결합부(35)는 상기 내향 걸림요철(57b)에 대응하는 외향 걸림요철(35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50)에는 외부배수관이(4) 끼움고정되는 외부배관 삽지홈(59)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단(11)에는 멈춤링(61)과 시일(63) 및 오링(6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KR1020060107536A 2006-11-02 2006-11-02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KR100803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536A KR100803398B1 (ko) 2006-11-02 2006-11-02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536A KR100803398B1 (ko) 2006-11-02 2006-11-02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398B1 true KR100803398B1 (ko) 2008-02-13

Family

ID=3934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536A KR100803398B1 (ko) 2006-11-02 2006-11-02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3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67B1 (ko) 2011-01-23 2011-05-02 (주) 신담엔지니어링 배전 박스용 연결구
KR101067445B1 (ko) * 2008-10-02 2011-09-27 희성정밀 주식회사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EP3745060A4 (en) * 2018-01-22 2021-03-10 Qingdao Haier Co., Ltd. REFRIGERATOR, PIPE ARRANGEMENT AND PIPE JOINT
KR102283595B1 (ko) * 2021-01-28 2021-07-30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콘크리트구조물 연결용 더블커플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6728U (ko) 1979-10-29 1981-06-03
JPS57190176A (en) 1981-05-15 1982-11-22 Misawa Homes Co Piping facility for air conditioner
KR940023028U (ko) * 1993-03-02 1994-10-20 이원종 분리형 에어콘설치용 유도관의 구조
KR200387090Y1 (ko) 2005-03-28 2005-06-17 강철 수전이음쇠 내장형 매립 커버
KR200396618Y1 (ko) 2005-07-02 2005-09-23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관용 방수 슬리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6728U (ko) 1979-10-29 1981-06-03
JPS57190176A (en) 1981-05-15 1982-11-22 Misawa Homes Co Piping facility for air conditioner
KR940023028U (ko) * 1993-03-02 1994-10-20 이원종 분리형 에어콘설치용 유도관의 구조
KR200387090Y1 (ko) 2005-03-28 2005-06-17 강철 수전이음쇠 내장형 매립 커버
KR200396618Y1 (ko) 2005-07-02 2005-09-23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관용 방수 슬리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45B1 (ko) * 2008-10-02 2011-09-27 희성정밀 주식회사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KR101031867B1 (ko) 2011-01-23 2011-05-02 (주) 신담엔지니어링 배전 박스용 연결구
EP3745060A4 (en) * 2018-01-22 2021-03-10 Qingdao Haier Co., Ltd. REFRIGERATOR, PIPE ARRANGEMENT AND PIPE JOINT
KR102283595B1 (ko) * 2021-01-28 2021-07-30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콘크리트구조물 연결용 더블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398B1 (ko)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US20130032746A1 (en) Gasket structure for floor drain valves
US10914404B2 (en) Stub-out configuration for plumbing assembly
US4813569A (en) Pressure test cap for plumbing drain pipes
KR20100023281A (ko) 배수커플러
KR20130007113U (ko) 에어컨용 드레인호스 연결구
CN106940080A (zh) 一种连通接头、导水装置及空调器
JPS6362995A (ja) 給液管継手部等における漏液防止用のボツクス
KR102286404B1 (ko) 배관 교체가 가능한 구조체 매립 배수이중배관 시스템
KR102096241B1 (ko)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CN202791066U (zh) 管道承插式快捷连接件
KR20210158576A (ko) 입상배수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수관 시공방법
KR20170127619A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438817Y1 (ko) 행거기능이 구비된 덕트 연결용 밴드
KR100424216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TWM582516U (zh) Pipeline gas barrier
KR102440207B1 (ko)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KR0125127Y1 (ko) 공기조화기용 배수호스 연결장치
KR200249032Y1 (ko) 배기덕트용 이음관
CN209026328U (zh) 一种空调穿墙安装密封套
KR100248774B1 (ko) 배관 벽 고정장치
JP2023090065A (ja) 屋内排気管とパイプフードとの接続構造、連通管及び屋内排気管とパイプフードとを接続する施工方法
CZ285800B6 (cs) Průchodka pro ploché střec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