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241B1 -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241B1
KR102096241B1 KR1020190015107A KR20190015107A KR102096241B1 KR 102096241 B1 KR102096241 B1 KR 102096241B1 KR 1020190015107 A KR1020190015107 A KR 1020190015107A KR 20190015107 A KR20190015107 A KR 20190015107A KR 102096241 B1 KR102096241 B1 KR 102096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main plate
exhaust communication
flang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섭
Original Assignee
(주)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 filed Critical (주)세원
Priority to KR102019001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8Door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smoke-boxes, flues, or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7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건물 벽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일부영역이 상기 건물 벽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배기연통을 고정함과 동시에 관통홀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벽에 일측면이 결합되고, 배기연통이 관통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홀과 제1 삽입홀로부터 배기연통의 축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관통홀에 끼워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메인플레이트와, 메인플레이트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제1 삽입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고, 배기연통이 제2 삽입홀에 관통 삽입될 때 제2 삽입홀의 가장자리 영역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탄성변형되어 배기연통의 외주면 일부영역을 가압하여 밀착하는 밀폐부재 및, 밀폐부재가 외부와 격리되도록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형성된 제3 삽입홀을 갖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Flange assembly for boiler exhaust pipe}
본 개시는 건물 벽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일부영역이 건물 벽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배기연통을 고정함과 동시에 관통홀을 마감할 수 있는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덴싱형 가스/기름보일러는 기존의 일반형 가스/기름 보일러에 비하여 주 열교환기를 통과하고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한번 더 보조 열교환기에서 2차로 통과시켜 폐열을 재차 흡수하도록 한 구조로서 열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보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콘덴싱형의 보일러인 경우에는 연소 시 발생하여 배기용 연통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가 건물의 외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배기용 연통을 건물의 벽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여 응축수를 보일러 내부로 유도시킨 후 옥내 배수설비로 배수시킨다.
또한, 건물의 벽에 형성된 관통부에는 배기용 연통을 고정함과 동시에 관통부를 마감하기 위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플랜지가 설치된다. 이 경우 플랜지의 내주면과 배기용 연통의 외주면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통해 빗물 및 대기중의 미세먼지가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플랜지의 내주면과 배기용 연통의 외주면 사이에 실리콘을 도포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시공이 용이하지 못하고 실리콘 도포부분이 대기 중의 먼지 등으로 오염되어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단점과, 실리콘 도포작업을 완벽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배기용 연통의 외주면과 플랜지의 내주면 사이를 통해 빗물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누수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배기용 연통의 외주면과 플랜지의 내주면이 실리콘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용 연통의 교체시 플랜지를 건물의 벽면으로부터 분리해야 하고, 배기용 연통의 교체 후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벽면에 플랜지를 새로 설치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더불어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설치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보일러 배기용 연통의 외주면과 플랜지의 내주면 사이에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하여 빗물과 대기 중의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기용 연통의 교체시 건물의 벽에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를 그대로 보존한 상태에서 배기용 연통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배기용 연통의 외주면과 플랜지의 내주면에 사이에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오염물질 접착으로 인한 실리콘 도포부분의 건물 외면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원래상태의 외면을 유지 할 수 있는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는 건물 벽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일부영역이 건물 벽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배기연통을 고정함과 동시에 관통홀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벽에 일측면이 결합되고, 배기연통이 관통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홀과 제1 삽입홀로부터 배기연통의 축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관통홀에 끼워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메인플레이트와, 메인플레이트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제1 삽입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고, 배기연통이 제2 삽입홀에 관통 삽입될 때 제2 삽입홀의 가장자리 영역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탄성변형되어 배기연통의 외주면 일부영역을 가압하여 밀착하는 밀폐부재 및, 밀폐부재가 외부와 격리되도록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제1 삽입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3 삽입홀을 갖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플레이트의 일부영역에는 메인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절곡 형성되고, 커버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커버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부가 형성되며, 돌출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체결부에는 제1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 제2 삽입홀로부터 커버플레이트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폐부재의 외주면에는 제1 삽입홀의 가장자리 일부영역 및 플랜지부를 감싸도록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플레이트는 돌출부의 후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단부에 메인플레이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메인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갖는 패킹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의한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는 보일러 배기용 연통의 외주면과 플랜지의 내주면 사이에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하여 빗물과 대기 중의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용 연통의 교체시 건물의 벽에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를 그대로 보존한 상태에서 배기용 연통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기용 연통의 외주면과 플랜지의 내주면에 사이에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오염물질 접착으로 인한 실리콘 도포부분의 건물 외면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원래상태의 외면을 유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100)는 건물 벽(1)에 형성된 관통홀(2)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일부영역이 건물 벽(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배기연통(10)을 고정함과 동시에 관통홀(2)을 마감하는 것으로서, 메인플레이트(110), 밀폐부재(120), 커버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메인플레이트(110)는 건물 벽(1)에 일측면이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배기연통(10)이 관통 삽입되는 제1 삽입홀(112)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삽입홀(112)에는 건물 벽(1)에 형성된 관통홀(2)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플랜지부(114)가 배기연통(10)의 축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밀폐부재(120)는 메인플레이트(11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제1 삽입홀(11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삽입홀(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밀폐부재(120)는 배기연통(10)이 제2 삽입홀(122)에 관통 삽입될 때 제2 삽입홀(122)의 가장자리 영역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면서 탄성변형되어 배기연통(10)의 외주면 일부영역을 가압하여 밀착하여 빗물 등이 배기연통(10)의 외부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배기연통(10)의 외부 표면을 따라 빗물 등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해 건물의 벽면이 오염되거나, 유입된 빗물 등이 건물의 벽면을 타고 하부층으로 흘러간 후 창틀 등의 틈새로 스며들어 건물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밀폐부재(120)의 외주면에는 결합부(1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124)는 제1 삽입홀(112)의 가장자리 일부영역 및 플랜지부(114)를 감싸도록 메인플레이트(110)에 결합된다. 즉, 밀폐부재(120)를 메인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자 할 때 결합부(124)를 작업자가 탄성변형시켜 결합부(124)가 제1 삽입홀(112)의 가장자리 일부영역 및 플랜지부(114)를 감싸도록 끼움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결합부(124)가 제1 삽입홀(112)의 가장자리 일부영역 및 플랜지부(114)를 감싸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관통홀(2)과 플랜지부(114)의 사이 및 제1 삽입홀(112)의 내주면과 배기연통(10)의 외주면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30)는 밀폐부재(120)가 자외선에 의한 손상 및 균열되지 않도록 메인플레이트(110)에 결합되어 밀폐부재(120)가 외부와 격리되게 하여 밀폐부재(120)의 내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커버플레이트(130)의 중심부에는 제3 삽입홀(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플레이트(130)는 메인플레이트(110)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메인플레이트(110)의 일부영역에는 메인플레이트(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116)가 절곡 형성되고, 커버플레이트(130)의 외주면에는 커버플레이트(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부(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116)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제1 나사부(116a)가 형성되고, 체결부(134)에는 제1 나사부(116a)에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부(13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플레이트(130)는 메인프레이트(110)의 재질에 따라 융착, 용접, 리벳팅 및, 걸림체결 등을 통해 메인플레이트(110)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메인플레이트(110)와 커버플레이트(130)는 재질에 따라 프레스성형 또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체결부(134)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형성하고, 이 체결홀에 고정볼트를 결합하여 체결부(134)의 제2 나사부(134a)가 돌출부(116)의 제1 나사부(116a)에 나사결합되었을 때 제1 나사부(116a)의 일부영역을 고정볼트가 가합하도록 하여 체결부(134)와 돌출부(116)의 나사결합이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 풀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플레이트(1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136)가 제3 삽입홀(132)로부터 커버플레이트(130)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커버플레이트(130)의 내주면과 배기연통(1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빗물 등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아울러, 메인플레이트(110)에 절곡 형성된 돌출부(116)의 후면에 형성된 수용부(117)에는 건물 벽과 마주보는 패킹(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패킹(140)은 건물 벽(1)과 메인플레이트(110)의 후면 사이를 통해 제1 삽입홀(112)로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돌출부(116)의 후면에 삽입되는 삽입부(142)와, 삽입부(142)의 단부에 메인플레이트(1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메인플레이트(110)의 일측면 일부영역에 밀착되는 밀착부(144)를 갖는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되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건물 벽
2; 관통홀
110; 메인플레이트
112; 제1 삽입홀
114; 플랜지부
116; 돌출부
116a; 제1 나사부
120; 밀폐부재
122; 제2 삽입홀
124; 결합부
130; 커버플레이트
132; 제3 삽입홀
134; 체결부
134a; 제2 나사부
136; 유로
140; 패킹
142; 삽입부
144; 밀착부

Claims (5)

  1. 건물 벽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일부영역이 상기 건물 벽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배기연통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을 마감하기 위한 플랜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건물 벽의 외부 표면에 위치되고, 상기 배기연통이 관통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홀을 갖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건물 벽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고, 중심부에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연통이 상기 제2 삽입홀에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가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형성된 제3 삽입홀을 갖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 상기 제3 삽입홀로부터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부영역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삽입홀로부터 상기 배기연통의 축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는 플랜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삽입홀의 가장자리 일부영역 및 상기 플랜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부영역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후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갖는 패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KR1020190015107A 2019-02-08 2019-02-08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KR102096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07A KR102096241B1 (ko) 2019-02-08 2019-02-08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07A KR102096241B1 (ko) 2019-02-08 2019-02-08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241B1 true KR102096241B1 (ko) 2020-04-02

Family

ID=7028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107A KR102096241B1 (ko) 2019-02-08 2019-02-08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2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964B1 (ko) * 2021-10-25 2022-06-28 주식회사 벨맥스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0222A (ja) * 1988-06-09 1989-12-14 Sanyo Electric Co Ltd 燃焼器具の給排気装置
JPH11182905A (ja) * 1997-12-25 1999-07-06 Asahi Chem Ind Co Ltd ダクトの外壁開口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0222A (ja) * 1988-06-09 1989-12-14 Sanyo Electric Co Ltd 燃焼器具の給排気装置
JPH11182905A (ja) * 1997-12-25 1999-07-06 Asahi Chem Ind Co Ltd ダクトの外壁開口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964B1 (ko) * 2021-10-25 2022-06-28 주식회사 벨맥스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7528A (en) Sealable drain fitting
US5937450A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fittings to receptacle
US92286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lace vent pipe restoration
KR101887659B1 (ko)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US20150056903A1 (en) Exhaust adapter, exhaust structure for water heater, and method for installing exhaust adapter
KR102096241B1 (ko) 보일러 배기연통용 플랜지 조립체
JP6240998B2 (ja) 分岐継手
US5983924A (en) Water diverting device
KR102361134B1 (ko) 입상슬리브 조립체
KR200438815Y1 (ko) 수직배기덕트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
KR100803398B1 (ko)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CZ17794A3 (en) Device for joining two pieces of a chimney ceramic inner tube
KR1020520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 이음부의 누수방지 시공방법
JP3069313B2 (ja) 排水管接続用ソケット
KR20170129573A (ko) 배관 결속용 구조체
KR100721594B1 (ko) 소음방지용 삼중이음관
KR20050098608A (ko) 금속 커튼월 연결구조
KR100561620B1 (ko) 배수용 엘티형 이음관
JP6203042B2 (ja) 分岐継手
KR200370849Y1 (ko)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JP6425322B1 (ja) 漏水防止型ドレン
JP7462162B2 (ja) 樋接続部材
JP6315175B2 (ja) 分岐継手
JP5401238B2 (ja) 配管部材の連結構造、排水集合管および排水集合管と立管との連結方法
KR20120056955A (ko) 싱크대 배수구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