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59B1 -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59B1
KR101887659B1 KR1020180027917A KR20180027917A KR101887659B1 KR 101887659 B1 KR101887659 B1 KR 101887659B1 KR 1020180027917 A KR1020180027917 A KR 1020180027917A KR 20180027917 A KR20180027917 A KR 20180027917A KR 101887659 B1 KR101887659 B1 KR 10188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undproof panel
fixed
cove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희
Original Assignee
청구머티리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구머티리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구머티리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양측으로 이웃하는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과 대향되게 구비되어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을 체결하여 베이스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서 방음패널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체결수단을 덮어 커버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로서, 고정프레임은 그 중앙부에 체결수단이 관통 결합되는 결합홈부와, 결합홈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만곡되어 방음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결합홈부로 누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 assembly for soundproof panel}
본 발명은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음터널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방음패널을 누수를 차단한 상태로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등에 설치되는 소음방지 시설로서, 방음벽 또는 방음터널이 많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물은 대부분 PMMA나 PC 소재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된 투명 패널들과, 이 패널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패널 연결 구조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526181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도 개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배치된 하부 프레임 상에 패널을 각각 거치한 상태로 하부 프레임과 대응하는 상부 프레임을 결합함으로써 패널을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직결 피스나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는데, 패널을 하부 프레임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는 작업을 할 때, 패널이 정위치에 놓여있지 않거나, 움직이는 등의 문제로 인해 결합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보통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거치되는 패널에 직접적으로 직결 피스를 사용하여 하부 프레임에 패널을 임시 고정시킴으로써 프레임들의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작업된 연결 구조로 형성된 방음벽이나 방음터널은, 외부 환경에 노출된 패널이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라 패널이 수축하거나 팽창함에 따라 유동하여야 하는데, 패널에 직결 피스가 직접 체결된 상태로 있는 경우, 패널이 유동하려고 하는 수축 또는 팽창 압력으로 인하여 체결 부위에 무리가 발생하면서 크랙 등의 깨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심하게는 패널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지붕 구조는, 패널 연결 작업시, 하부 프레임에 패널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기 전에 임시적으로 패널을 가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패널과 하부 프레임을 직결 피스 등으로 직접 체결하여 1차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후에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결합하여 패널을 최종적으로 2차 고정하는 작업 순서로 진행하였다.
하지만, 패널이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계절 또는 날씨에 따른 온도 변화의 영향으로 패널이 팽창하거나 수축함에 따라 패널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구조에서는 패널을 직결 피스로 직접 체결하여 임시 고정한 부분이 존재하므로, 이 임시 고정 부위로 인해서 패널이 프레임 상에서 유동되지 못하게 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패널의 수축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패널의 수축 팽창시, 임시 고정 부위에 의해서 패널이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여 이에 따른 응력이 임시 고정 부위에 집중되면서 그 부분을 중심으로 무리한 힘이 쏠리게 되어 패널에 일부 깨짐이나 크랙이 발생되고 있으며, 심하게는 패널이 완전히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패널이 유리 재질로 형성된 구조의 경우에는, 전술한 직결 피스에 의한 임시고정 방법을 그나마도 사용할 수 없으며, 유리 패널을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패널이 정위치에 놓이지 않거나 움직이는 등의 문제들로 인하여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 고정하는 작업이 난해하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26181호
따라서, 본 발명은 방음패널을 고정하는 상하 양 프레임 사이에 별도의 고정프레임을 구비하여 방음패널의 재질에 무관하게 방음패널을 상하 양 프레임 사이에서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압부를 일정한 각도의 아치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다양한 두께의 방음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하 양 프레임 사이에서 고정되는 방음패널을 견고히 실링 및 방진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는, 양측으로 이웃하는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과 대향되게 구비되어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을 체결하여 베이스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서 방음패널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체결수단을 덮어 커버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로서, 고정프레임은 그 중앙부에 체결수단이 관통 결합되는 결합홈부와, 결합홈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만곡되어 방음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결합홈부로 누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의 가압부에는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의 결합홈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에는 베이스프레임에 접하는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돌부는 체결수단의 체결시 베이스프레임에 접촉되면서 체결수단의 과체결을 방지하게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커버프레임은 중앙부가 양측 단부보다 높은 위치를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커버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스커트부가 돌출 형성되며, 스커트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걸림돌기에 대응한 고정프레임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프레임에는 고정프레임의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끼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끼움돌부에는 고정프레임의 결합홈부 단부에 걸림되어 끼움돌부의 과체결을 방지하는 멈춤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에 결합된 커버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는 커버프레임을 고정프레임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에는 방음패널과의 접촉면을 실링하기 위한 제 1,2 가스켓이 각각 구비되고, 방음패널과 대향되는 제 1,2 가스켓의 일면에는 방음패널과의 실링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밀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제 1 가스켓이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의 가압부 외측 단부에는 제 1 가스켓에 접하여 밀착되는 가압돌부가 형성되어, 제 1 가스켓의 이탈 방지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에는 체결수단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비되되, 베이스프레임의 결합홈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체결수단의 볼트 머리부가 회전불가하게 삽입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과 커버프레임 사이에 방음패널을 베이스프레임에 가압하여 커버프레임의 결합 전에 가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하여 커버프레임의 결합시 방음패널을 정위치로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패널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은 내측 중앙부가 높고 외측 가장자리부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고정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에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누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압부를 일정한 각도의 아치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탄력(텐션)을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방음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프레임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누수가 체결부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패널의 상,하면에는 각각 가스켓이 구비되어 방음패널을 실링하면서 방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프레임을 고정프레임에 간편하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유지보수시 커버프레임의 훼손이나 파손이 없어 커버프레임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의 정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의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가스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에서 커버프레임의 분리과정을 보인 작동도로서, 도 6a는 커버프레임의 중앙부를 누르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6b는 눌림에 의한 커버프레임의 양측 단부가 벌어진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설치되는 방음벽이나 방음터널 등에 사용되는 방음패널들을 설치하기 위한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양측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방음패널(200)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100)과 대향되게 구비되어 방음패널(200)의 상면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300)과, 고정프레임(300) 및 베이스프레임(100)을 체결하여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300) 사이에서 방음패널(200)을 가압 고정시키는 체결수단(700)과, 고정프레임(300)에 결합되어 체결수단(700)을 덮어 커버하는 커버프레임(40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도 1에서와 같이,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격자 형태의 베이스프레임(100) 사이에는 방음패널(200)이 구비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0)은 도 1에서와 같이, 만곡된 형상의 지붕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평평한 측벽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베이스프레임(100)은 방음패널(20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종방향 및 횡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비되는바, 베이스프레임(100)은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메인부재(100a)와, 이 메인부재(100a)와 교차되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교차부재(10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00)의 메인부재(100a)는 도로상에 설치되는 H빔, 각관, 파이프 등을 포함한 기초구조물(800)이나 건물의 측벽(미도시) 상에 그 양단부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00)의 메인부재(100a)는 긴 부재로 제공될 수 있지만, 방음패널(200)의 길이나, 구조 또는 작업상의 제한적인 부분들로 인해 짧은 길이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의 메인부재(100a)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중공의 사각관으로 형성되고, 각 외측면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돌출된 결합홈부(110)가 각각 형성되며, 이 결합홈부(11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부(110)에는 후술될 체결수단(700)의 볼트(710)가 고정되게 구비되는바, 결합홈부(11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결합홈부(110)는 내측 바닥면(112)과, 바닥면(11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서로 마주하는 경사내벽(111)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서로 근접되게 형성됨으로써, 경사내벽(111)을 갖는 결합홈부(110) 중 일측 결합홈부(110)에는 후술될 체결수단(700)의 볼트 머리부(711)가 삽입되어 회전불가한 상태로 구비되고, 나머지 결합홈부(110)에는 교차부재(100b)의 결합돌부(12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비된다. 즉, 결합홈부(110)는 그 내경 중 내측 하부가 가장 큰 내경을 가지되, 이 하부 내경은 볼트 머리부(711)의 외경 중 머리부(711)의 평탄부를 잇는 직경보다는 크고, 각진 모서리를 잇는 직경보다는 작은 내경으로 형성됨으로써, 볼트(710)의 머리부(711)는 결합홈부(110)에 슬라이딩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은 불가하게 구비된다.
이때, 교차부재(100b)는 메인부재(100a)와 대동소이하게 형성되고, 메인부재(100a)의 결합홈부(110) 대신 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돌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교차부재(100b)의 결합돌부(120)는 메인부재(100a)의 결합홈부(110)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형상 맞춤 즉 도브테일 결합됨으로써 교차부재(100b)의 결합돌부(120)는 메인부재(100a)의 결합홈부(110)에 축방향을 슬라이딩 결합되지만,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는 분리 불가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00)은 메인부재(100a)의 결합홈부(110)에 교차부재(100b)의 결합돌부(120)가 형상 맞춤된 상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교차부재(100b)의 결합돌부(120)가 메인부재(100a)의 결합홈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홈부(110)의 경사내벽(111)에 걸림되어 지지됨으로써 별도의 수평 작업 없이 교차부재(100b)를 메인부재(100a)에 연결하여 구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베이스프레임(100)은 메인부재(100a)로서, 이의 혼용을 피하기 위해 메인부재(100a)를 베이스프레임(100)과 구분하지 않고 베이스프레임(100)으로 통칭하며, 교차부재(100b)는 필요시 베이스프레임(100)과 구분하여 따로 설명하기로 한다.
방음패널(20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결합홈부(110)를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안착되어 구비되는 방음 투명판으로서, 양 방음패널(200) 사이의 공간은 이웃하는 방음패널(200)이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는 유동영역(210)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음패널(200)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나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수지, 유리 재질 단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투명 재질의 4면 외측 테두리가 프레임의 형태로 조립된 방음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음패널(20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300)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비금속 소재와, 스틸 등의 금속 소재나,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타레이트(PET), 또는 ABS 수지 등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를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한 프로파일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3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패널(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방음패널(200)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방음패널(200)과 커버프레임(400)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300)은 커버프레임(400)을 설치하기 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베이스프레임(100)에 체결수단(700)으로 결합되어 방음패널(200)을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프레임(300)은 결합홈부(310)와, 결합홈부(310)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부(330), 결합홈부(31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320)를 포함한다.
결합홈부(310)는 고정프레임(300)의 중앙부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홈으로서, 양 방음패널(200) 사이의 유동영역(210)으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물론, 양 방음패널(200) 사이의 유동영역(210)으로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가 삽입되어도 결합홈부(310)와 양 방음패널(200) 사이에는 방음패널(200)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영역(210)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와 같은 결합홈부(310)는 그 내부에 체결수단(700)이 수용된 상태로 관통 결합되고, 이 체결수단(700)은 결합홈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용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홈부(310)는 체결수단(700)이 관통 결합되는 내측 바닥면(312)과, 바닥면(312)에서 상부의 개구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면(내주면)을 포함하되, 이 내측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져 확개되는 경사면(311)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홈부(310)의 경사면(311)에 의해 후술될 커버프레임(400)의 끼움돌부(410)가 결합홈부(310) 내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돌부(320)는 결합홈부(310)의 하면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접하는 부재로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한 쌍의 지지돌부(320)로 형성된다. 이에, 체결수단(700)으로 고정프레임(300)을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할 때 고정프레임(300)의 지지돌부(320)가 베이스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고정프레임(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체결수단(700)이 과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압부(330)는 결합홈부(310)에서 양 외측으로 하향 만곡되게 연장된 부재로서, 그 양측 단부가 양 방음패널(20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양 방음패널(200) 사이의 유동영역(210)을 덮으면서 양 방음패널(200)을 베이스프레임(100)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부(330)는 그 양측 단부의 하면에 후술될 제 1 가스켓(500)이 결합되는 결합홈(334)이 형성되고, 결합홈(334)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결합홈(334)에 삽입된 제 1 가스켓(500)을 가압하여 방음패널(200)에 밀착 고정시키는 가압돌부(332)가 돌출 형성된다. 이 가압돌부(332)는 제 1 가스켓(500)의 외측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제 1 가스켓(500)을 방음패널(200)에 견고히 밀착시키는 한편 제 1 가스켓(5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 1 가스켓(500)의 수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정프레임(300)은 방음패널(200)과의 사이에서 제 1 가스켓(500)을 개재한 상태로 구비되어 제 1 가스켓(500)을 방음패널(200)의 표면에 견고히 밀착시킴으로써 고정프레임(300)과 방음패널(200) 사이로 누수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여 결합홈부(310)에 구비된 체결수단(700)을 누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양 가압부(330)의 상면에는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진 요철부(331)가 각각 형성되고, 이 요철부(331)는 가압부(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프레임(300)은 가압부(330)의 형상이 양측 단부보다 중앙부가 높게 형성된 만곡 형상과 더불어 가압부(330)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331)에 의해서 고정프레임(300)과 후술될 커버프레임(400) 사이로 누수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여 결합홈부(310) 내의 체결수단(700)을 별도의 방수처리(실리콘 코킹 등)를 하지 않아도 누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프레임(300)의 외측면 즉 외주면에는 고정프레임(300)에 구비되는 커버프레임(400)을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홈(333)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333)은 고정프레임(300)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고정프레임(300)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프레임(300)은 양측의 가압부(33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안착돼 있는 양측의 방음패널(200)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프레임(30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체결수단(700)으로 결합되면서 가압부(330)를 통해 양측의 방음패널(200)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므로, 양측의 방음패널(200)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30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대응한 긴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방음패널(200)의 둘레측 단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전부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종래의 적어도 4번 이상의 체결 작업을 한 번의 결합 작업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방음패널(200)을 가압하는 면적 또한 상당히 커질 뿐 아니라 커진 면적을 고른 가압력으로 가압함에 따라 방음패널(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방음패널(200)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300)에는 방음패널(200)과의 접촉면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재로서 제 1,2 가스켓(500)(600)이 각각 구비된다.
제 1 가스켓(500)은 고정프레임(300)의 양 가압부(330) 하면에 구비되고, 제 2 가스켓(600)은 결합홈부(11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방음패널(200)과의 접촉 부위를 방수 목적의 실링과,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방진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의 패킹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스켓(500)은 그 상면에 고정프레임(300)의 가압부(330)에 형성된 결합홈(334)에 대응한 형상의 결합돌부(520)가 돌출 형성되어 형상 맞춤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그 하면에는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진 밀착부(510)가 형성되어 방음패널(200)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제 2 가스켓(600)은 그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외측면에 부착 고정되고, 그 상면에는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진 밀착부(610)가 형성되어 방음패널(200)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 1,2 가스켓(500)(600)은 체결수단(700)에 의해 고정프레임(300)과 베이스프레임(100)이 결합 고정되면, 도 5에서와 같이 밀착부(510)(610)가 방음패널(200)의 상,하 외측면에 완전히 밀착되면서 실링하게 되는데, 이때 가스켓(500)(600)의 각 밀착부(510)(610)는 요철들이 방음패널(200)의 외측면에 눌리면서 완전히 밀착되고, 밀착된 밀착부(510)(610)의 각 요철들은 각각 방음패널(200)의 외측면에 다수의 점 접촉으로 밀착됨에 따라 외부에서 발생하는 빗물이나 먼지 등의 침투를 견고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제 1,2 가스켓(500)(600)의 밀착부(510)(610)가 평평한 표면인 경우에는 밀착부(510)(610) 전면에 걸쳐서 방음패널(200)의 외측면과 밀착되는데, 이때에는 작업시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 등에 의해 그 밀착력이 쉽게 해제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요철 형태의 밀착부(510)(610)가 방음패널(200)의 외측면에 점 접촉으로 밀착됨으로써 전술한 구조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체결수단(700)은 볼트(710)와 너트(720)를 포함한다.
볼트(710)는 육각 머리부(711)와 나사산이 있는 나사축을 포함하고, 볼트(710)의 머리부(711)가 베이스프레임(100)의 결합홈부(110)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이때, 베이스프레임(100)의 결합홈부(110)는 그 내경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결합홈부(110)의 내경 중 가장 큰 하부에 볼트(710)의 머리부(711)를 슬라이딩 결합하면 볼트(710)는 결합홈부(110)에 회전불가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300)을 관통한 볼트(710)에 너트(720)를 체결하면, 너트(720)가 볼트(710)에 체결됨에 따라 볼트(710)의 머리부(110)가 결합홈부(110)의 내측 상부로 이동되어 끼임 고정된다.
따라서, 볼트(710)에 너트(720)의 체결시 고정프레임(300)의 지지돌부(320)가 베이스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너트(720)가 더 이상 볼트(710)에 체결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고정프레임(300)과 베이스프레임(1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체결수단(700)인 볼트(710)와 너트(720)의 체결로 인해 고정프레임(300)이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 고정되면, 고정프레임(300)의 가압부(330)가 제 1 가스켓(500)을 매개로 양 방음패널(200)을 실링한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00)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체결수단(700)은 패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패킹부재는 볼트 머리부(711)와 베이스프레임(100) 간의 접촉부위와, 너트(720)와 고정프레임(300) 간의 접촉부위에 구비되어, 관통 체결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거나 방진 기능을 갖게 된다.
한편, 커버프레임(4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에 구비된 체결수단(7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외부로부터의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부재로서, 고정프레임(300)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커버프레임(400)은 도 4에서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되, 그 중앙부가 양측 단부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위로 굽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커버프레임(400)이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서, 커버프레임(400)은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소정 탄성을 갖는 구조가 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자체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교량 등 진동이 잦은 구간에 방음터널이 설치될 시에도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커버프레임(400)이 아치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커버프레임(400)과 고정프레임(300) 사이에는 이격된 유격공간(430)이 형성되고, 이 유격공간(430)을 통해 커버프레임(400)이 눌림에 의해 하강될 수 있으며, 눌림된 커버프레임(400)은 그 중앙부와 양측 단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커버프레임(400)을 고정프레임(300)에서 분리하기 쉬운 구조로 변형된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커버프레임(400)의 중앙부를 누르면, 커버프레임(400)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눌려 이동되면서 후술될 양측 단부의 스커트부(420)가 도 6b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져 고정프레임(300)과의 고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커버프레임(400)을 고정프레임(300)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프레임(400)은 양측 단부에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스커트부(420)가 돌출 형성되고, 양 스커트부(420)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21)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커트부(420)의 걸림돌기(421)는 고정프레임(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333)에 걸림되어 고정되고, 스커트부(420)가 외측으로 벌어지면 걸림돌기(421)가 걸림홈(333)에서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커버프레임(400)의 하면 중앙부에는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에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돌부(410)가 돌출 형성되고, 끼움돌부(410)의 외측면에는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 상단부에 걸림되어 끼움돌부(410)의 과체결을 방지하는 멈춤돌기(411)가 돌출 형성된다.
끼움돌부(41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멈춤돌기(411)는 둥근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바, 커버프레임(400)의 중앙부를 하측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지면 멈춤돌기(411)가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에 삽입됨에 따라 끼움돌부(410)는 결합홈부(310)의 내측면 즉 경사면(311)을 타고서 내측 방향으로 오므려지면서 이동된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커버프레임(400)의 중앙부를 누르면 커버프레임(400)과 고정프레임(300) 사이의 유격공간(430)에 의해 커버프레임(400)의 중앙부가 고정프레임(300) 측으로 눌려 이동되면서 끼움돌부(410)의 멈춤돌기(411)가 결합홈부(310) 내로 삽입되어 경사면(311)에 접하게 된다. 이때,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는 그 양측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311)으로 형성되므로 누름에 의한 멈춤돌기(411)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프레임(400)의 중앙부가 눌림됨과 동시에 고정프레임(300)의 외측면에 접하여 있던 커버프레임(400)의 스커트부(420)는 도 6b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스커트부(420)의 걸림돌기(421)가 걸림홈(333)에서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되므로, 커버프레임(400)을 고정프레임(300)에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따른 분리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방음패널(200)의 설치시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결합홈부(110) 양측의 베이스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제 2 가스켓(600)을 부착 고정하고, 고정프레임(300)의 가압부(330) 하면의 결합홈(334)에 제 1 가스켓(500)을 결합하여 구비한다.
이후, 베이스프레임(100)의 결합홈부(110)에 체결수단(700)인 볼트(710)의 머리부(711)를 슬라이딩 결합하여 구비하고, 이와 같이 결합된 볼트(710)는 머리부(711)의 모서리부가 결합홈부(110)의 양 경사면(311)에 걸림되어 너트(720)의 원활한 체결을 위하여 회전불가하게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양 방음패널(200)을 각각 안착시켜 구비하고,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를 양 방음패널(200) 사이의 유동영역(210)으로 삽입시켜 고정프레임(300)의 가압부(330)가 양 방음패널(200)에 각각 접하도록 구비함과 동시에 볼트(710)를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에 관통시켜 구비한다.
이후,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를 관통한 볼트(710)에 너트(720)를 체결하면, 고정프레임(300)과 베이스프레임(100)이 결합 고정되고, 볼트(710)와 너트(720)의 체결과정에서 고정프레임(300)의 지지돌부(320)가 베이스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볼트(710)와 너트(720)의 과체결을 방지하면서 체결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300)과 베이스프레임(100)이 결합 고정됨에 따라 방음패널(200)의 상,하면이 제 1,2 가스켓(500)(600)의 밀착부(510)(610)에 의해 각각 가압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방음패널(200)은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300)에 의해 견고히 지지 고정될 뿐 아니라 제 1,2 가스켓(500)(600)에 의해 실링되어 누수로부터 체결수단(700)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진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된 고정프레임(300)의 상부에서 커버프레임(400)을 결합하되, 커버프레임(400)의 양 끼움돌부(410)를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에 삽입한다.
이때, 끼움돌부(410)의 삽입과정은 끼움돌부(410)의 멈춤돌기(411)가 결합홈부(310)의 상단부에 걸림될 때까지 이루어지고, 멈춤돌기(411)가 결합홈부(310)의 상단부에 걸림되면 커버프레임(400)의 스커트부(420)는 고정프레임(300)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가 된다.
그러면, 스커트부(420)의 걸림돌기(421)가 고정프레임(300)의 걸림홈(333)에 걸림되어 체결 고정되므로 커버프레임(400)을 고정프레임(300)에 결합 고정시켜 방음패널(200)의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투명한 방음패널(200)을 체결수단(700)으로 직접 체결하지 않고서도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300) 사이에서 가압된 상태로 지지 고정함으로써 이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양 방음패널(200)은 가압 고정되므로 기후(온도) 변화에 따른 방음패널(200)의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게 되어 방음패널(200)이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즉, 야외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는 방음패널(200)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되거나 팽창할 수 있게 되는데, 방음패널(200)은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300)에 의한 가압 방식으로 고정됨에 따라 유동영역(210)으로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방음패널(200)이 팽창 또는 수축되더라도 방음패널(200)에 응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응력에 의한 방음패널(200)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설치가 완료된 후에 방음패널(20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각 부재들을 손쉽게 분리하여 방음패널(200)의 유지관리시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지보수시는 도 6a에서와 같이, 커버프레임(400)의 상면 중앙부를 누르면, 커버프레임(400)의 중앙부와 고정프레임(300) 사이에 형성된 유격공간(430)만큼 커버프레임(400)의 중앙부가 하강된다.
이때, 커버프레임(400)의 끼움돌부(410)에 형성된 멈춤돌기(411)가 결합홈부(310)에 삽입됨에 따라 끼움돌부(410)는 결합홈부(310)의 양 경사면(311)을 타고서 내측 방향으로 오므려지면서 하강된다.
이와 같이 커버프레임(400) 중앙부가 눌려 하강됨과 동시에 커버프레임(400)의 스커트부(420)가 도 6b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300)의 외측면으로부터 벌어져 이격됨으로써 커버프레임(400)의 걸림돌기(421)가 고정프레임(300)의 걸림홈(333)에서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커버프레임(400)을 고정프레임(300)에서 당겨내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베이스프레임 100a : 메인부재
100b : 교차부재 110 : 결합홈부
111 : 경사내벽 112 : 바닥면
200 : 방음패널 210 : 유동영역
300 : 고정프레임 310 : 결합홈부
311 : 경사면 312 : 바닥면
320 : 지지돌부 330 : 가압부
331 : 요철부 332 : 가압돌부
333 : 걸림홈 334 : 결합홈
400 : 커버프레임 410 : 끼움돌부
411 : 멈춤돌기 420 : 스커트부
421 : 걸림돌기 430 : 유격공간
500 : 제 1 가스켓 510 : 밀착부
520 : 결합돌부 600 : 제 2 가스켓
610 : 밀착부 700 : 체결수단
710 : 볼트 711 : 머리부
720 : 너트 800 : 구조물

Claims (10)

  1. 양측으로 이웃하는 방음패널(200)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과 대향되게 구비되어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300)과, 고정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을 체결하여 베이스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서 방음패널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700)과,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체결수단을 덮어 커버하는 커버프레임(400)을 포함하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로서,
    고정프레임(300)은 그 중앙부에 체결수단이 관통 결합되는 결합홈부(310)와, 결합홈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만곡되어 방음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부(330)를 포함하여, 결합홈부로 누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되,
    고정프레임(300)의 결합홈부(31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개되도록 형성된 경사면(311)을 포함하고,
    커버프레임(400)은 중앙부가 양측 단부보다 높은 위치를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커버프레임(400)의 양측 단부에는 스커트부(420)가 돌출 형성되며, 스커트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21)가 돌출 형성되고, 걸림돌기에 대응한 고정프레임(300)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홈(333)이 형성되는 한편,
    커버프레임(400)에는 고정프레임의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끼움돌부(410)가 돌출 형성되고, 끼움돌부에는 멈춤돌기(411)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프레임에 결합된 커버프레임(400)과 고정프레임(300) 사이에는 커버프레임을 고정프레임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격공간(430)이 구비되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프레임의 가압부에는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프레임에는 베이스프레임에 접하는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돌부는 체결수단의 체결시 베이스프레임에 접촉되면서 체결수단의 과체결을 방지하게 되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에는 방음패널과의 접촉면을 실링하기 위한 제 1,2 가스켓이 각각 구비되고,
    방음패널과 대향되는 제 1,2 가스켓의 일면에는 방음패널과의 실링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밀착부가 구비되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 1 가스켓이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의 가압부 외측 단부에는 제 1 가스켓에 접하여 밀착되는 가압돌부가 형성되어, 제 1 가스켓의 이탈 방지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는 체결수단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비되되,
    베이스프레임의 결합홈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체결수단의 볼트 머리부가 회전불가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KR1020180027917A 2018-03-09 2018-03-09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KR10188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917A KR101887659B1 (ko) 2018-03-09 2018-03-09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917A KR101887659B1 (ko) 2018-03-09 2018-03-09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659B1 true KR101887659B1 (ko) 2018-08-13

Family

ID=6325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917A KR101887659B1 (ko) 2018-03-09 2018-03-09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5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774B1 (ko) * 2019-03-08 2019-12-03 박대순 방음터널용 누수차단 지붕패널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시공 방법
KR102081961B1 (ko) * 2018-11-07 2020-02-26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보수용 지주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물
KR102091111B1 (ko) * 2019-10-16 2020-03-20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 보수를 위한 지주 결합형 커버를 갖는 방음패널 고정장치
KR102090142B1 (ko) * 2019-08-07 2020-05-29 에스에이 주식회사 방수 및 내진 기능을 갖는 투명방음벽 고정장치를 포함한 방음터널
KR102126284B1 (ko) * 2020-03-20 2020-06-25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형 방음판 고정장치
KR102146675B1 (ko) * 2019-08-20 2020-08-21 피앤티코리아 주식회사 수밀형 방음터널
KR102175803B1 (ko) * 2020-05-25 2020-11-06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터널용 누수방지장치 및 시공방법
KR102241218B1 (ko) 2020-08-11 2021-04-16 주식회사 가온건설 방음터널의 패널결합장치
KR102340863B1 (ko) * 2020-10-05 2021-12-20 동아이엔지(주)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099A (ja) * 1996-12-10 1998-06-23 Misawa Homes Co Ltd 屋根パネル端部の防水部材および屋根パネル接合部の防水構造並びにその防水方法
JP2000240015A (ja) * 1999-02-23 2000-09-05 Sekisui Jushi Co Ltd 防音パネルにおける補強材の取付構造
KR20090005191U (ko) * 2007-11-26 2009-05-29 송주근 패널의 지지구조
KR101226170B1 (ko) * 2012-09-27 2013-01-24 (주)한성산업 차양 지붕 패널 고정장치
KR101526181B1 (ko) 2015-03-30 2015-06-05 주식회사 윈스틸 커튼월의 틀 구조
KR101786490B1 (ko) * 2017-05-31 2017-11-15 청구머티리얼스 주식회사 방음벽 패널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099A (ja) * 1996-12-10 1998-06-23 Misawa Homes Co Ltd 屋根パネル端部の防水部材および屋根パネル接合部の防水構造並びにその防水方法
JP2000240015A (ja) * 1999-02-23 2000-09-05 Sekisui Jushi Co Ltd 防音パネルにおける補強材の取付構造
KR20090005191U (ko) * 2007-11-26 2009-05-29 송주근 패널의 지지구조
KR101226170B1 (ko) * 2012-09-27 2013-01-24 (주)한성산업 차양 지붕 패널 고정장치
KR101526181B1 (ko) 2015-03-30 2015-06-05 주식회사 윈스틸 커튼월의 틀 구조
KR101786490B1 (ko) * 2017-05-31 2017-11-15 청구머티리얼스 주식회사 방음벽 패널 연결 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61B1 (ko) * 2018-11-07 2020-02-26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보수용 지주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물
KR102051774B1 (ko) * 2019-03-08 2019-12-03 박대순 방음터널용 누수차단 지붕패널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시공 방법
KR102090142B1 (ko) * 2019-08-07 2020-05-29 에스에이 주식회사 방수 및 내진 기능을 갖는 투명방음벽 고정장치를 포함한 방음터널
KR102146675B1 (ko) * 2019-08-20 2020-08-21 피앤티코리아 주식회사 수밀형 방음터널
KR102091111B1 (ko) * 2019-10-16 2020-03-20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 보수를 위한 지주 결합형 커버를 갖는 방음패널 고정장치
KR102126284B1 (ko) * 2020-03-20 2020-06-25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형 방음판 고정장치
KR102175803B1 (ko) * 2020-05-25 2020-11-06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터널용 누수방지장치 및 시공방법
KR102241218B1 (ko) 2020-08-11 2021-04-16 주식회사 가온건설 방음터널의 패널결합장치
KR102340863B1 (ko) * 2020-10-05 2021-12-20 동아이엔지(주)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659B1 (ko)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KR101786490B1 (ko) 방음벽 패널 연결 구조
US5226263A (en) Weather-tight roof flashing shield
US5553425A (en) Flashing and counterflashing
KR101321740B1 (ko) 커튼월 고정용 착탈식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이중 커튼월 결합구조
US20050178079A1 (en) Modular insert fenestration system
KR102021487B1 (ko) 터널 방음벽의 루프용 방음패널 고정장치
KR102051774B1 (ko) 방음터널용 누수차단 지붕패널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시공 방법
US7587870B2 (en) Grid system for mounting building blocks
KR101473997B1 (ko) 방음터널의 천장부 누수차단구조
KR20150123021A (ko) 방음터널 및 방음터널의 시공방법
KR101226170B1 (ko) 차양 지붕 패널 고정장치
KR102241218B1 (ko) 방음터널의 패널결합장치
KR20220072957A (ko) 방음터널용 지붕구조물
KR100675656B1 (ko) 외장 판넬 조립 구조물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JP2014181493A (ja) 支持架台固定構造
JP2018087444A (ja) 屋上スラブ貫通ユニット
KR101730589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보호용 조립식 패널
KR101441809B1 (ko) 방음터널의 천장부 누수차단구조
KR101296429B1 (ko) 알루미늄 일체형 커튼 월 유닛
KR102175803B1 (ko) 방음터널용 누수방지장치 및 시공방법
KR20150001076U (ko) 지붕판넬 어셈블리
KR102053650B1 (ko)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장치 및 이러한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교량 구조물
KR101676337B1 (ko) 볼트너트 보호캡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