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445B1 -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 Google Patents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445B1
KR101067445B1 KR1020080097047A KR20080097047A KR101067445B1 KR 101067445 B1 KR101067445 B1 KR 101067445B1 KR 1020080097047 A KR1020080097047 A KR 1020080097047A KR 20080097047 A KR20080097047 A KR 20080097047A KR 101067445 B1 KR101067445 B1 KR 10106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flannel
service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783A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희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4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 F16K11/02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with an 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덴서(300)와, 팽창부(400)와, 냉각기(500)와, 압축기(600)와, 이들을 연결하며 냉매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관(700)으로 이루어지는 공조기 시스템에서 상기 압축기(600)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관(700)의 알루미늄 연결관부(710)의 끝단이 확관된 확관부(711)가 연결되는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관부(71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플래어너트(151)의 내측 단부를 지지돌기(114)가 지지하게 되므로 플래어너트(151) 체결시 확관부(711)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체결에 의하여 확관부(711)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래어너트(151)와 제1 분지부(111)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1)를 한정함으로써 과도한 체결을 방지함과 동시에 과소 체결에 의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촉부(129)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촉부(129)에 미소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냉매가 손상 부분을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조기, 냉매, 지지돌기, 연장부

Description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Service Valve And Service Valve For Air Conditioning System Of Aluminum Pipe Connecting}
본 발명은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어너트 체결시 과도한 체결에 의하여 확관부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도한 체결을 방지함과 동시에 과소 체결에 의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와 접촉하는 본체의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외측'은 본체와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은 본체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서비스밸브는 에어컨이나 냉동기기에 냉매 또는 냉동유를 보충하거나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동 공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이며, 도 2는 냉동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어 냉매나 냉동유를 보충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서비스밸브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서비스밸브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서비스밸브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냉동 공조 시스템(1000)은 콘덴서(300)와, 팽창부(400)와, 이배퍼레이터(500)와, 압축기(600)와,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여 냉매의 순환 통로가 되는 배관(7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들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각 구성들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밸브(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700)에 연결되어 압축기(600)의 일측으로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서비스밸브(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네 방향으로 분지된 중공의 제1 분지부(211), 제2 분지부(225), 냉매주입부(223) 및 제3 분지부(217)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지된 구성들은 내측으로 형성된 통로(212)로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분지부(211)에는 플래어너트(251)가 체결되며, 상기 제1 분지부(211)와 플래어너트(251) 사이에는 배관(700)에서 연장된 연결관부(710)의 확관부(71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분지부(211)에는 외측으로 수나사인 나사부(213)가 형성되며 끝단의 일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플래어너트(25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면에 상기 나사부(213)에 치합하는 암나사인 나사부(253)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253) 외측으로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제1 경사부(255)가 형성된다. 상기 플래어너트(251)가 제1 분지부(211)에 나사 체결될 때, 상기 제1 분지부(211)의 끝단 일부에 테이퍼지게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1 경사부(255) 사이에 연결관부(710)의 확관부(71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플래어너트(251)에 의하여 확관부(711)는 가압된다.
상기 제2 분지부(225)에는 연결관(701)이 삽입 연결된다. 상기 제2 분지부(225)의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227)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227)에 가압캡(261)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가압캡(261)과 제2 분지부(225) 사이에는 원추체(263)가 위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캡(261)은 내측으로 원추체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부(265)를 구비한다. 상기 원추체(263)는 가압부(265)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부에서 연결관(701)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냉매관주입부(223)의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224)가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밸브코어(245)가 삽입되고, 내경면에 나사가 형성된 코어캡(243)이 상기 나사부(224)에 체결되어 냉매관주입부(223)를 밀폐하게 된다. 냉매를 주입 보충하거나 주입된 냉매를 방출하는 경우 냉매관주입부(223)로부터 코어캡(243)을 분리하고 밸브코어(245)를 가압하게 된다. 밸브코어(245)의 작용은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 분지부(217)에는 외경면으로 수나사인 나사부(221)가 형성되어 캡너트(239)가 체결되며, 내경면으로 암나사인 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외경면으로 수나사인 나사부(233)가 형성된 밸브(23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230)의 상부로 제3 분지부(217) 내측에는 밸브(2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링(238)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밸브(230)에는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씰링(237)이 설치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219는 오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밸브(230)의 하단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부(231)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230)의 경사부(231)는 제2 분지부(225)의 상부 모서리의 접촉부(229)와 접촉하면서 제2 분지부(225)를 통하여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분지부(211)에 대하여 제2 분지부(225)와 제3 분지부(217)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분지부(225)에 대하여 제3 분지부(217)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냉매주입부(223)도 제1 분지부(211)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종래에 상기 냉매관(700)과, 냉매관(700)의 연장부인 연결관부(710)는 황동으로 제조되었으며, 이종 재질이 서로 접촉하는 문제(예를 들면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한 연결 부분에서의 누설이나 이종 재질의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부식) 등으로 인하여 상기 서비스밸브(200)를 이루는 본체(210), 캡너트(239), 밸브(230), 플래어너트(241) 및 코어캡(243)은 황동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황동 재질의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하여 상기 냉매관(700)과, 냉매관(700)의 연장부인 연결관부(710)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종 재질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비스밸브(200)도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시도가 있으나 밸브(230)와 제2 분지부(225) 사이에서 접촉부(229)에 손상이 발생하여 냉매가 누설되거나, 제1 분지부(211)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과도하게 플래어너트가 체결되거나 과소하게 체결되어 확관부 위치 부분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촉부의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로 접촉부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제2 분지부를 통하여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공조기 시스템은 콘덴서와, 팽창부와, 냉각기와, 압축기와, 이들을 연결하며 냉매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관과, 상기 압축기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배관으로 연결되는 서비스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비스밸브로 연결되는 배관의 연결관부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에는 확관된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서비스밸브는 제1 분지부를 포함하여 네 방향으로 분지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제1 분지부에 나사 체결되는 플래어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지부는 끝단에 끝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지름이 증가하는 외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가 형성되며,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가 형성되고, 끝단에서 이격되어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어너트는 내면에 상기 나사부에 치합하는 암나사인 나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경사 방향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는 상기 제2 경사부와 제1 경사부에 접촉하여 위치하며, 상기 플래어너트의 내측 단부는 지지돌기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어너트가 제1 분지부에 체결되어 플래어너트의 내측 단부가 지지돌 기에 접촉하였을 때 제2 경사부와 제1 경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는 확관부 두께의 70∼90%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분지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분지부와 상기 제1 분지부에 수직하며 제3 분지부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분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분지부의 내경면으로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본체에 형성된 중공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밸브는 하측으로 지름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는 제1 씰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분지부는 내측 반지름 방향으로 모서리로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하부로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내경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서비스 밸브는 콘덴서와, 팽창부와, 냉각기와, 압축기와, 이들을 연결하며 냉매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공조기 시스템에서 상기 압축기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관의 알루미늄 재질의 연결관부의 끝단이 확관된 확관부가 연결되며; 제1 분지부를 포함하여 네 방향으로 분지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제1 분지부에 나사 체결되는 플래어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지부는 끝단에 끝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지름이 증가하는 외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가 형성되며,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가 형성되고, 끝단에서 이격되어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어너트는 내면에 상기 나사부에 치합하는 암나사인 나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경사 방향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는 상기 제2 경사부와 제1 경사부에 접촉하여 위치하며, 상기 플래어너트의 내측 단부는 지지돌기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어너트가 제1 분지부에 체결되어 플래어너트의 내측 단부가 지지돌기에 접촉하였을 때 제2 경사부와 제1 경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는 연결될 확관부 두께의 70∼90%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분지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분지부와 상기 제1 분지부에 수직하며 제3 분지부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분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분지부의 내경면으로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본체에 형성된 중공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밸브는 하측으로 지름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는 제1 씰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분지부는 내측 반지름 방향으로 모서리로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하부로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내경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100)는 플래어너트(151)가 체결되는 제1 분지부(111)의 끝단으로부터 이격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114)를 구비함으로써 연결관(710)이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도 플래어너트(151)의 내측 단부를 지지돌기(114)가 지지하게 되므로 플래어너트(151) 체결시 확관부(711)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체결에 의하여 확관부(711)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래어너트(151)와 제1 분지부(111)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1)를 확관부(711) 두께(t1)의 70∼90%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과도한 체결을 방지함과 동시에 과소 체결에 의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130)가 경사부(131)에서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2)를 구비하고 연장부(132)에 제1 씰링(135)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씰링(135)이 제2 분지부(125)의 통로 내측으로 접촉함으로써 경사부(131)와 접촉부(129)가 접촉할 때 접촉부(129)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촉부(129)에 미소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냉매가 손상 부분을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조기용 서비스밸브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공조기용 서비스밸브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분해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도 6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서비스밸브에서 제1 분지부에 플래어너트가 체 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연결관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300)와, 팽창부(400)와, 냉각기(500)와, 압축기(600)와, 이들을 연결하며 냉매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관(700)과, 상기 압축기(60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배관(700)으로 연결되는 서비스밸브(1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서비스밸브(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네 방향으로 분지된 중공의 분지부로 이루어진다. 네 방향으로 분지된 분지부는 제1 분지부(111)와, 상기 제1 분지부(11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분지부(125)와, 상기 제1 분지부(11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2 분지부(125)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분지부(117)와, 상기 제1 분지부(111)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매주입부(123)이다. 상기 네 방향의 분지부들은 중공이며 서로 연통된 통로(112)를 가진다.
상기 제2 분지부(125)에는 연결관(701)이 연결되도록 가압캡(161)이 체결된다. 상기 제2 분지부(125)의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127)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캡(161)은 내경면에 상기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내경 방향으로 이격된 가압부(165)를 구비하며, 가압캡(161)이 제2 분지부(125)에 체결되면서 가압부(165)가 원추형으로 형성된 원추체(163)의 하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원추체(163)는 하단부가 외향 가압되면서 상단부가 내측으로 위치하는 연결관(701)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냉매주입부(123)에는 밸브코어(145)가 삽입 설치되며, 코어캡(143)이 체결된다. 상기 냉매주입부(123)의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124)가 형성되어 내경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코어캡(143)이 나사 체결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밸브(100)로 연결되는 배관(700)의 연결관부(71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에는 확관된 확관부(7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분지부(111)에는 플래어너트(151)가 나사 체결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지부(111)는 끝단에 끝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지름이 증가하는 외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116)가 형성되며,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113)가 형성되고, 끝단에서 이격되어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4)를 구비한다. 상기 나사부(113)는 지지돌기(114)의 외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래어너트(151)는 내면에 상기 나사부(113)에 치합하는 암나사인 나사부(15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부(116)의 경사 방향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플래어너트(151)의 나사부(153)가 제1 분지부(111)의 나사부(113)에 치합하여 체결되면 상기 제1 경사부(155)는 제2 경사부(116)와 마주하게 된다.
상기 확관부(711)는 상기 제2 경사부(116)와 제1 경사부(155) 사이에서 제2 경사부(116)와 제1 경사부(155)에 접촉하여 위치하며, 상기 플래어너트(151)의 내측 단부(도 7에서 우측 단부)는 지지돌기(114)와 접촉하게 되면, 지지돌기(114)에 의하여 플래어너트(151)는 더 이상 우측으로 전진할 수 없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플래어너트(151)가 제1 분지부(111)에 체결되어 플래어너트(151)의 내측 단부가 지지돌기(114)에 접촉하였을 때 제2 경사부(116)와 제1 경사부(155) 사이에 틈새(t1)가 형성된다. 제2 경사부(116)와 제1 경사부(155)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1)는 확관부(711) 두께(t2)의 70∼90%범위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제2 경사부(116)와 제1 경사부(155) 사이에 틈새(t1)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체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과소 체결에 의한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제1 분지부(111)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분지부(117)와 상기 제1 분지부(111)에 수직하며 제3 분지부(117)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분지부(125)를 구비한다. 상기 제3 분지부(117)의 내경면으로는 나사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22)에는 밸브(130)가 나사 체결되어 본체(110)에 형성된 중공의 통로를 개폐한다.
상기 나사부(122)에 나사 체결되는 밸브(130)는 하측으로 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테이퍼부(131)와, 상기 테이퍼부(13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의 연장부(132)와, 상기 연장부(132)에 설치되는 제1 씰링(135)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분지부(125)는 내측 반지름 방향으로 모서리로 형성된 접촉부(129)와, 상기 접촉부(129)의 하부로 형성되는 단턱부(128)와, 상기 단턱부(128)의 내경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130)는 테이퍼부(131)의 상부로 외경면에 수나사인 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122)에 체결되며, 냉매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137)을 구비한다. 상기 밸브(130)가 나사부(122)에 체결되면서 하향하면 연장부(132)가 통로에 삽입되며 제1 씰링(135)이 통로 내면에 접촉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1 씰링(135)의 접촉을 감지하여 밸브(130)를 서서히 회전시켜 하향 운동시킬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테이퍼부(131)가 모서리인 접촉부(129)에 접촉하면서 상기 밸브(130)에 의하여 제2 분지부(125)가 차단된다. 상기 테이퍼부(131)가 접촉부(129)에 접촉될 것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므로 급격한 접촉에 의한 접촉부(12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130)에 구비된 테이퍼부(131)는 접촉부(129)와 접촉하며, 상기 테이퍼부(131)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원통형 연장부(132)는 상기 단턱부(128)의 내경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통로로 삽입된다. 원통형 연장부(132)에 설치된 상기 제1 씰링(135)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통로의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분지부(117)에는 캡너트(139)가 체결되며, 내경면으로 밸브(130)가 체결되어 위치하는 상부로 상기 밸브(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링(138)이 설치된다. 도 7에서 도면부호 126은 제3 분지부(117)의 외경면에 형성되어 캡너트(139)가 체결되도록 하는 나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냉방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냉방 시스템에 구비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서비스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서비스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서비스밸브의 분해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서비스밸브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서비스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서비스밸브의 분해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B"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분지부(111)에 플래어너트(151)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연결관부(710)의 확관부(711)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Claims (6)

  1. 콘덴서(300)와, 팽창부(400)와, 냉각기(500)와, 압축기(600)와, 이들을 연결하며 냉매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관(700)과, 상기 압축기(60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배관(700)으로 연결되는 서비스밸브(100)로 이루어지는 공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밸브(100)로 연결되는 배관(700)의 연결관부(71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에는 확관된 확관부(711)가 형성되며; 상기 서비스밸브(100)는 제1 분지부(111)를 포함하여 네 방향으로 분지된 중공의 본체(110)와, 상기 제1 분지부(111)에 나사 체결되는 플래어너트(15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지부(111)는 끝단에 끝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지름이 증가하는 외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116)가 형성되며,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113)가 형성되고, 끝단에서 이격되어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4)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어너트(151)는 내면에 상기 나사부(113)에 치합하는 암나사인 나사부(153)와, 상기 제2 경사부(116)의 경사 방향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155)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711)는 상기 제2 경사부(116)와 제1 경사부(155)에 접촉하여 위치하며, 상기 플래어너트(151)의 내측 단부는 지지돌기(114)와 접촉하며 상기 플래어너트(151)가 제1 분지부(111)에 체결되어 플래어너트(151)의 내측 단부가 지지돌기(114)에 접촉하였을 때 제2 경사부(116)와 제1 경사부(155)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1)는 확관부(711) 두께(t2)의 70∼90%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제1 분지부(111)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분지부(117)와 상기 제1 분지부(111)에 수직하며 제3 분지부(117)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분지부(125)를 구비하며, 상기 제3 분지부(117)의 내경면으로는 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122)에 나사 체결되어 본체(110)에 형성된 중공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122)에 나사 체결되는 밸브(130)는 하측으로 지름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테이퍼부(131)와, 상기 테이퍼부(13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의 연장부(132)와, 상기 연장부(132)에 설치되는 제1 씰링(135)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분지부(125)는 내측 반지름 방향으로 모서리로 형성된 접촉부(129)와, 상기 접촉부(129)의 하부로 형성되는 단턱부(128)와, 상기 단턱부(128)의 내경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4. 콘덴서(300)와, 팽창부(400)와, 냉각기(500)와, 압축기(600)와, 이들을 연결하며 냉매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관(700)으로 이루어지는 공조기 시스템에서 상기 압축기(600)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관(700)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관부(710)의 끝단이 확관된 확관부(711)가 연결되는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100)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밸브(100)는 제1 분지부(111)를 포함하여 네 방향으로 분지된 중공의 본체(110)와, 상기 제1 분지부(111)에 나사 체결되는 플래어너트(15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지부(111)는 끝단에 끝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지름이 증가하는 외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116)가 형성되며,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113)가 형성되고, 끝단에서 이격되어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4)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어너트(151)는 내면에 상기 나사부(113)에 치합하는 암나사인 나사부(153)와 상기 제2 경사부(116)의 경사 방향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155)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711)는 상기 제2 경사부(116)와 제1 경사부(155)에 접촉하여 위치하며, 상기 플래어너트(151)의 내측 단부는 지지돌기(114)와 접촉하며, 상기 플래어너트(151)가 제1 분지부(111)에 체결되어 플래어너트(151)의 내측 단부가 지지돌기(114)에 접촉하였을 때 제2 경사부(116)와 제1 경사부(155)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1)는 연결될 확관부(711) 두께(t2)의 70∼90%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100).
  5. 삭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제1 분지부(111)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분지부(117)와 상기 제1 분지부(111)에 수직하며 제3 분지부(117)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분지부(125)를 구비하며, 상기 제3 분지부(117)의 내경면으로는 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122)에 나사 체결되어 본체(110)에 형성된 중공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122)에 나사 체결되는 밸브(130)는 하측으로 지름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테이퍼부(131)와, 상기 테이퍼부(13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의 연장부(132)와, 상기 연장부(132)에 설치되는 제1 씰링(135)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분지부(125)는 내측 반지름 방향으로 모서리로 형성된 접촉부(129)와, 상기 접촉부(129)의 하부로 형성되는 단턱부(128)와, 상기 단턱부(128)의 내경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100).
KR1020080097047A 2008-10-02 2008-10-02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KR10106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047A KR101067445B1 (ko) 2008-10-02 2008-10-02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047A KR101067445B1 (ko) 2008-10-02 2008-10-02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783A KR20100037783A (ko) 2010-04-12
KR101067445B1 true KR101067445B1 (ko) 2011-09-27

Family

ID=4221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047A KR101067445B1 (ko) 2008-10-02 2008-10-02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447B1 (ko) 2019-06-04 2020-10-15 박길승 에어컨 냉매관 연결용 서비스 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634B1 (ko) * 1999-09-01 2002-08-01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
KR100803398B1 (ko) * 2006-11-02 2008-02-13 황성수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634B1 (ko) * 1999-09-01 2002-08-01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
KR100803398B1 (ko) * 2006-11-02 2008-02-13 황성수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447B1 (ko) 2019-06-04 2020-10-15 박길승 에어컨 냉매관 연결용 서비스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783A (ko) 201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617B1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20090054490A (ko)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US20120299292A1 (en) Fluid passage connecting device and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224230B2 (ja) パイプ接続構造、二元燃料エンジンの高圧流体ラインシステム、二元燃料エンジン、およびテンションナットの使用法
KR101067445B1 (ko)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US20090008930A1 (en) Pipe Fitting
KR101039503B1 (ko) 냉매관 연결구
KR101248382B1 (ko) 다단 밀봉구조를 갖는 밸브장치
KR20120062207A (ko) 냉매관 연결장치
US20140339818A1 (en) Connection system for pipes in refrigeration plants
WO2008077013A2 (en) Connection of tubes for air conditioning and seal adapted thereto
KR101153412B1 (ko) 공기 조화기용 서비스밸브
JP2008101788A (ja) 冷凍サイクルの配管用継手
US7331615B2 (en) Pipe union with extension
KR100346634B1 (ko)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
JP2018146027A (ja) 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空調システム
JP2003254475A (ja) フレア管継手
KR100955944B1 (ko) 공조기용 서비스 밸브
KR101183755B1 (ko) 냉매관 연결구
JP2007198549A (ja) 冷凍サイクルの配管用継手
JP7366401B2 (ja) パワーエレ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膨張弁
KR101005637B1 (ko) 공조시스템의 배관 연결구조 및 공조시스템에 구비되는 배관 연결방법
JP2007162743A (ja) フレア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9065987A (ja) 配管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