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490A -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490A
KR20090054490A KR1020070121179A KR20070121179A KR20090054490A KR 20090054490 A KR20090054490 A KR 20090054490A KR 1020070121179 A KR1020070121179 A KR 1020070121179A KR 20070121179 A KR20070121179 A KR 20070121179A KR 20090054490 A KR20090054490 A KR 20090054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connection pipe
coupling memb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환
쿠르기 에듀어드
모진용
김동준
곽지호
양경모
이수영
황준
김지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490A/ko
Priority to CNA2008100953280A priority patent/CN101446460A/zh
Publication of KR2009005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3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corr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비가 낮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 연결배관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은 일단이 실외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실내기와 결합되어 냉매를 안내하는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배관을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연결부사이에는 냉매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링을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Structure and method to connect pip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된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이루어졌으며, 이 실외기에는 압축기와 모세관이 설치되었으며, 이 실외기는 연결배관들에 의하여 실내기와 서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종래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배관의 체결구조의 일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 2000-0033159호의 종래기술부분에 개시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 양측에 플레아너트가 각각 체결되는 연결배관과, 이 연결배관의 양측에 체결된 플레아너트들이 각각 체결되어 연결되는 서비스밸브가 설치된 실외기와 플레아소켓이 설치된 실내기로 구성되었으며, 이 실내기와 실외기는 두 개의 연결배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되는 폐회 로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연결배관 체결구조는 실내기의 플레아소켓과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었고, 두 개의 플레아너트들이 각각 양측에 체결된 연결배관의 양쪽 끝단부에는 각각 나팔관모양의 플레아 가공부가 형성되었으며, 실내기의 플레아소켓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연결배관의 일측에 형성된 나팔관모양의 플레아 가공부를 끼운 다음 플레아너트를 사용하여 나사결합으로 견고하게 결합시켰고,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연결배관의 타측에 형성서 나팔관모양의 플레아 가공부를 끼운 다음 플레아너트를 사용하여 나사결합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배관 체결구조는 연성과 전성이 좋은 구리를 이용하여 서비스밸브와 연결배관을 형성하기 때문에 연결배관 체결시 플레아 가공부와 접촉부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품의 제조비용 절감을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체결구조를 사용하면 플레아 가공부와 접촉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기밀성이 저하되어 냉매가 누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조비용 절감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 서비스밸브를 구리로 형성하고 연결배관을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체결구조로는 서비스밸브와 연결배관의 결합부에서 갈바닉 부식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 절감을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 냉매배관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배관과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의 결합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이 실외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실내기와 결합되어 냉매를 안내하는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배관을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연결부사이에는 냉매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링을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결속부위에는 상기 금속링측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제를 주입한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연결부와 상기 결합부재는 제1금속재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링은 상기 제1금속재와 서로 다른 금속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관연결부는 상기 실외기에 마련된 서비스밸브와 상기 실내기에 마련된 냉매관체결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금속재는 알루미늄이고, 상기 제2금속재는 구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 결합한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의 단부에는 플레어가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금속링은 상기 플레어가공부의 내면과 상기 배관연결부의 선단면과 접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은 일단이 실외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실내기와 결합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배관을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연결부에는 금속링을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배관연결부 및 연결배관사이에는 상기 금속링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제를 주입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배관연결부와 상기 연결배관은 알루미늄으로 형 성되고, 상기 금속링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의 배관연결부사이에 금속링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연결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연결배관사이 및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배관연결부사이에 밀봉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실외기와 상기 연결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 결합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실외기와 실내기의 배관연결부와, 상기 배관연결부와 결합하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의 배관연결부사이에 비알루미늄재질의 금속링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연결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금속링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 연결배관의 체결부에 금속링을 삽입하여 결합부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제를 이용하여 금속링과 냉매배관과의 접촉부에 공기나 수분의 침투를 막아 갈바닉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가 요구되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와, 공기조화공간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2)와, 실내기(1)와 실외기(2)사이의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해 실외기(2)와 실내기(1)를 연결하는 연결배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록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실내기(1)에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해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실외기(2)에는 압축기와 모세관 과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포함한다. 이는 일반적인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내기(1)와 실외기(2)에는 냉매의 유,출입을 위한 배관연결부(10,20)가 형성되는데, 배관연결부(10,20)는 실내기(1)에 마련되어 실외기(2)측의 냉매를 유입하거나 실내기(1)의 냉매를 실외기(2)측으로 유출하는 니플(10)과, 실외기(2)에 마련되어 실내기(1)측의 냉매를 유입하거나 실외기(2)의 냉매를 실내기(1)측으로 유출시키는 서비스밸브(20)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를 나 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의 연결배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배관연결부(10,20)는 재조원가 절감을 위해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된다.
배관연결부(10,20)의 단부에는 연결배관(30)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경사부(10a,20a)가 형성된다. 또한 배관연결부(10,20)의 외주부에는 후술할 결합부재(50)와의 체결을 위한 수나사부(10b,20b)가 형성된다.
연결배관(30)은 배관연결부(10,20)와 마찬가지로 재조원가 절감을 위해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는데, 단부에는 플레어가공부(3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된 배관연결부(10,20)와 연결배관(30)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결배관의 체결구조로는 그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기 때문에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냉매 누설을 방지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연결배관(30)의 플레어가공부(31)의 내면(31a)과 배관연결부(10,20)의 경사부(10a,20a) 외면사이에 금속링(40)을 삽입한다.
금속링(40)은 바람직하게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구리와 유사한 전성 및 연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부재(50)는 연결배관(30)과 배관연결부(10,20)사이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배관(30)에 결합부재(50)를 삽입한 후 연결배관(30)의 양단부에 플레어가공부(31)를 형성하기 때문에 결합부재(50)는 연결배관(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아 니하고 연결배관(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결합부재(50)의 내부의 일측은 플레어가공부(31)의 경사와 유사한 경사를 가지며 플레어가공부(31)의 외면(31b)에 의해 지지되도록 경사면(5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관연결부(10,20)와의 결합을 위해 배관연결부(10,20)의 수나사부(10b,20b)와 대응하는 암나사부(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은 플레어가공부(31)와 배관연결부(10,20)의 경사부(10a,20a) 사이에 금속링(40)을 삽입한 후 결합부재(50)와 배관연결부(10,20)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부재(50)와 배관연결부(10,20)의 결합력에 의해 금속링(40)이 플레어가공부(31)와 경사부(10a,20a)와의 긴밀한 결합을 유지시켜 주며, 플레어가공부(31)의 외면(31b)과 결합부재(50)의 경사면(52)과의 결합도 견고하게 하기 때문에 플레어가공부(31)의 손상이나 그로 인한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링(40)은 결합부재(50)와 배관연결부(10,20) 및 연결배관(30)과는 이종 금속이기 때문에 접합부위에 공기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면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현상이 발생하여 손상이 야기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링(40)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결합부재(50)와 연결배관(30)사이 및 결합부재(50)와 배관연결부(10,20)사이에 밀봉제(60)를 주입한다.
밀봉제(60)는 일예로 미국의 록타이트(loctite)사의 배관밀봉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일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구리로 형성된 배관 및 배관연결부품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른 금속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이들을 결합하는 경우, 이들과 이종의 금속재질로 형성된 금속링을 삽입함으로써 냉매누설 및 플레어가공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밀봉제를 이용하여 금속링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5은 도4의 연결배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재질 및 구성으로 연결배관(70)과 배관연결부(10',20')를 구비하고, 연결배관(70)과 배관연결부(10',20')사이에 금속링(40)을 삽입하고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밀봉제(60)를 이용하여 금속링(40)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연결배관(70)에는 제1실시예와 달리 플레어가공부가 마련되지 아니하는데, 플레어가공부없이 연결배관(70)과 배관연결부(10',20')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제2실시예의 연결배관(70)의 두께(t2)는 제1실시예의 연결배관(30)의 두께(t1)보다 두껍게 하고 연결배관(70)의 중심측으로 함몰되는 형태의 제1경사 부(71)를 마련한다. 또한 연결배관(70)의 외주부에는 결합부재(50')와의 체결을 위한 수나사부(72)가 형성된다.
배관연결부(10',20')는 제1경사부(71)와 대응하여 제2경사부(10a',20a')가 형성되고, 연결배관(70)과 배관연결부(10',20')사이의 결합을 위해 결합부재(50')를 지지하는 걸림턱(11,21)이 형성된다.
결합부재(50')의 내면 일측에는 연결배관(70)의 수나사부(72)에 대응하여 암나사부(5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배관연결부(10',20')의 걸림턱(11,21)에 대응하여 걸림부(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은 연결배관(70)의 제1경사부(71)와 배관연결부(10',20')의 제2경사부(10a',20a')사이에 금속링(40)을 삽입하고 결합부재(50')를 연결배관(70)과 나사결합시킨다.
이 후, 금속링(40)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결합부재(50')와 연결배관(70)사이 및 결합부재(50')와 배관연결부(10',20')사이에 밀봉제(60)를 주입한다.
이와 같은 연결배관의 체결구조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연결배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재질 및 구성으로 연결배관(70)과 배관연결부(10'',20'')를 구비하고, 연결배관(70)과 배관연결부(10'',20'')사이에 금속링(40)을 삽입하고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밀봉제(60)를 이용하여 금속링(40)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연결배관(70)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배관연결부(10'',20'')는 제1경사부(71)와 대응하여 제2경사부(10a'',20a'')가 형성되고, 배관연결부(10'',20'')의 외주부에는 결합부재(50'')와의 체결을 위한 수나사부(12,22)가 형성된다.
결합부재(50'')의 내면 일측에는 연결배관(70)의 수나사부(72)에 대응하여 제1암나사부(5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배관연결부(10'',20'')의 수나사부(12,22) 대응하여 제2암나사부(52'')가 형성된다. 제1,2암나사부(51'',52'')는 나사산 방향이 대향되도록 마련되어 결합부재(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배관연결부(10'',20'')와 연결배관(70)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배관연결부(10'',20'')와 연결배관(70)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은 연결배관(70)의 제1경사부(71)와 배관연결부(10'',20'')의 제2경사부(10a'',20a'')사이에 금속링(40)을 삽입하고 결합부재(50'')를 연결배관(70) 및 배관연결부(10'',20'')에 나사 결합시 킨다.
이 후, 금속링(40)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결합부재(50'')와 연결배관(70)사이 및 결합부재(50'')와 배관연결부(10'',20'')사이에 밀봉제(60)를 주입한다.
이와 같은 연결배관의 체결구조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에서 제1,2,3실시예는 각각 실내기의 니플과 연결배관의 체결 및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와 연결배관의 체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연결배관과 니플의 체결과, 연결배관과 서비스밸브의 체결은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실시예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배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5는 도4의 연결배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배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실내기 2 : 실외기
10,20 : 배관연결부 10a,20a : 경사부
10b,20b : 수나사부 30 : 연결배관
31 : 플레어가공부 40 : 금속링
50 : 결합부재 60 : 밀봉제

Claims (15)

  1. 일단이 실외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실내기와 결합되어 냉매를 안내하는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배관을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연결부사이에는 냉매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링을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결속부위에는 상기 금속링측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연결부와 상기 결합부재는 제1금속재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링은 상기 제1금속재와 서로 다른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연결부는 상기 실외기에 마련된 서비스밸브와 상기 실내기에 마련 된 냉매관체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재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재는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의 단부에는 플레어가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금속링은 상기 플레어가공부의 내면과 상기 배관연결부의 선단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9. 일단이 실외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실내기와 결합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배관을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연 결부에는 금속링을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배관연결부 및 연결배관사이에는 상기 금속링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배관연결부와 상기 연결배관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은 구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12.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의 배관연결부사이에 금속링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연결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연결배관사이 및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배관연결부사 이에 밀봉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배관의 체결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실외기와 상기 연결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배관의 체결방법.
  15.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실외기와 실내기의 배관연결부와, 상기 배관연결부와 결합하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의 배관연결부사이에 비알루미늄재질의 금속링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배관연결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금속링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방법.
KR1020070121179A 2007-11-27 2007-11-27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KR20090054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179A KR20090054490A (ko) 2007-11-27 2007-11-27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CNA2008100953280A CN101446460A (zh) 2007-11-27 2008-04-25 空调机用连接配管的联结结构及联结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179A KR20090054490A (ko) 2007-11-27 2007-11-27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490A true KR20090054490A (ko) 2009-06-01

Family

ID=4074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179A KR20090054490A (ko) 2007-11-27 2007-11-27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54490A (ko)
CN (1) CN1014464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402B1 (ko) * 2011-05-09 2013-07-0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
WO2020036367A1 (en) 2018-08-13 2020-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444B1 (ko) * 2011-01-06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KR101375718B1 (ko) * 2011-02-21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매관의 연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2418961A (zh) * 2011-11-09 2012-04-18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立式空调室内机及立式空调装置
CN103470879B (zh) * 2012-06-08 2015-08-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接管螺母、管接头组件、空调器及接管螺母防拆卸的方法
CN103486705B (zh) * 2012-06-11 2015-1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连接管装置及空调器
JP6050670B2 (ja) * 2012-12-07 2016-12-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施工方法
CN104075387A (zh) * 2013-03-26 2014-10-01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室内外机联机管路的连接结构和连接方法
KR101659921B1 (ko) * 2015-06-17 2016-09-2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180393A (zh) * 2015-10-14 2015-1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管路连接件及空调系统
CN105972713A (zh) * 2016-06-24 2016-09-28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联机管结构及空调
CN107514511A (zh) * 2017-09-21 2017-1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管路连接组件、管路结构及空调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402B1 (ko) * 2011-05-09 2013-07-0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
WO2020036367A1 (en) 2018-08-13 2020-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EP3794288A4 (en) * 2018-08-13 2021-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454427B2 (en) 2018-08-13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6460A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4490A (ko)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US8146953B2 (en) Pipe joint cover structure and pipe connection method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101195425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EP1843072A3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KR101740444B1 (ko)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KR20080102209A (ko) 플레어리스관 접속 구조, 플레어리스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US20090008930A1 (en) Pipe Fitting
KR102021912B1 (ko) 플레어 너트 어셈블리
CN105715879A (zh) 一种管道的防松连接结构
JP6777177B2 (ja) 継手部材及び空気調和装置用ユニット
KR20110021352A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JP2004183761A (ja) 給湯・給水配管ヘッダー及び継手
JP2017180804A (ja) 配管継手、溶接方法、高圧ガス用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高圧ガス用装置
KR102229309B1 (ko)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
KR101135003B1 (ko) 에어컨 배관매립 조인트박스가 구비된 배관이음구조
KR100748618B1 (ko) 냉,난방용 체결 시스템에 구비된 연결장치
JP2017187167A (ja) 高圧ガス用配管、配管継手、溶接方法、高圧ガス用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高圧ガス用装置
KR101005637B1 (ko) 공조시스템의 배관 연결구조 및 공조시스템에 구비되는 배관 연결방법
KR101067445B1 (ko)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KR20100052787A (ko) 공조시스템의 배관 연결구조
KR100737158B1 (ko)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연결구조
KR20100099646A (ko) 에어컨 냉매순환라인의 수놈배관 및 그 제조방법
JP2011122628A (ja) 管体接続金具
KR200225289Y1 (ko) 배관연결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