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402B1 -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402B1
KR101281402B1 KR1020110043579A KR20110043579A KR101281402B1 KR 101281402 B1 KR101281402 B1 KR 101281402B1 KR 1020110043579 A KR1020110043579 A KR 1020110043579A KR 20110043579 A KR20110043579 A KR 20110043579A KR 101281402 B1 KR101281402 B1 KR 10128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re
gasket
extension pipe
air conditione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867A (ko
Inventor
류정운
문창성
민경기
Original Assignee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4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with a rigid pressure ring between the screwed member and the exterior of the flared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배관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와 실내기가 연장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연장배관의 일단부에 확장되어 이루어진 플레어부; 연장배관의 일단부를 비롯하여 플레어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개스킷; 개스킷의 외면에 밀폐되도록 끼워진 플레어너트; 및 종단부와 플레어부 내면 사이에 개스킷의 선단부가 개재되도록 플레어너트와 체결되는 플레어볼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연장배관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함에 따라 구리보다 부식에 강하면서 가볍고,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단가가 저렴하여 제작 비용이 저감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pipes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연장배관의 결합을 위한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 조화기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실내기에는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통상적인 증발기와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한 순환팬이 구비되고, 실외기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외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실내기와 실외기는 냉매의 유동을 유도하는 연장배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이를 통해 냉각사이클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1은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것으로, 실내기(10)는 본체(11) 및 증발기(12)가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본체(11)는 상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구(13) 및, 하부에 형성되어 흡입그릴(14)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15)가 포합되어 이루어졌다.
증발기(12)는 본체(11) 내부에 장착되고, 이 증발기(12)에는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접속관(16), 이 접속관(16)에 연결된 연장배관(17) 및, 접속관(16)과 연장배관(17)의 연결을 위한 플레어너트(18)가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여기서, 연장배관(17)은 실내기(10)와 실외기(미도시) 간의 냉매 유동을 위해 실내기(10)와 실외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었다.
만약, 공기 조화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게 되면, 실외기와 실내기(10)가 분리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연장배관(17)이 접속관(16)이 분리되어야 한다. 이때, 접속관(16)은 도면상 실내기(10)가 도시된 경우로 한정되었지만, 실외기에도 설치되어 있고, 또한 연장배관(17)과 연결되어 있다.
연장배관(17)과 접속관(16)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한 종래의 구조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관(16), 연장배관(17) 및, 플레어너트(18)이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연장배관(17)은 접속관(16)측 일단부가 확장된 형상의 플레어부(17a)가 형성되었다.
플레어너트(18)는 플레어부(17a)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연장배관(17)에 장착되고, 일단부가 연장배관(17)과 동일선상에 위치된 접속관(16)에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었다. 또한, 플레어너트(18)와 접속관(16)의 체결 이완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풀림방지너트(19)가 접속관(16)에 위치되도록 체결되었다.
여기서, 연장배관(17)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구리(Cu)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설치 위치 변경시, 연장배관(17)의 연결 및 결합은 물론 이송할 때 무거운 자중(自重)에 따른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속관(16)의 외면에 플레어너트(18)와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접속관(16)이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한계치가 급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속관(16)과 플레어너트(18)의 접속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풀림방지너트(19)가 체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불편함이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자중이 가볍고, 강한 내식(耐蝕)성의 알루미늄(Aluminum)으로 연장배관이 제작되어 연결 및 결합, 이송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된 공기 조화기의 배관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연장배관과 구리로 제작된 플레어너트 사이에 개스킷이 개재되어 연장배관과 플레어너트와의 접촉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고, 연장배관의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한 공기 조화기의 배관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배관 조립체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연장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연장배관의 일단부에 확장되어 이루어진 플레어부; 연장배관의 일단부를 비롯하여 플레어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개스킷; 개스킷의 외면에 밀폐되도록 끼워진 플레어너트; 및 종단부와 플레어부 내면 사이에 개스킷의 선단부가 개재되도록 플레어너트와 체결되는 플레어볼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개스킷은 연질 또는 탄성 재질로, 일단부에 전면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1개구; 타단부에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부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2개구; 및 제2개구의 둘레에 형성되어 플레어부 내면을 감싸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잔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플레어너트의 내면에는 플레어부의 경사 외면을 감싸는 개스킷을 가압하기 위한 제1가압경사면이 형성되고, 일단부의 직경이 플레어볼트측 일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플레어너트의 직경이 작은 일단부에는 내향 돌출된 연장부가 더 형성된다.
플레어볼트의 종단부 외면에는 플레어부의 내면에 개스킷의 선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제2가압경사면이 형성된다.
연장배관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조립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은, 연장배관의 일단부에 확장되도록 형성된 플레어부에 개스킷이 감싸지게 끼워지는 단계(S100); 연장배관에 플레어너트가 삽입되면서 개스킷의 외면에 밀봉되게 장착되는 단계(S200); 플레어부를 감싸는 개스킷이 개재되도록 플레어너트에 플레어볼트가 체결되는 단계(S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개스킷이 끼워지는 단계(S100)에서는, 개스킷의 개방된 일단부가 연장배관에 끼워져 연장배관의 일부 및 플레어부의 외면을 감싸고, 개스킷에서 플레어부의 최외단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중앙이 일부 개방된 타단부가 플레어부의 내면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플레어너트와 플레어볼트가 장착되는 단계S300)에서는, 플레어부의 내면 및 외면에 개스킷이 밀착되도록 플레어너트의 내면에 형성된 제1가압경사면과 플레어볼트의 종단부 외면에 형성된 제2가압경사면이 개스킷을 가압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장배관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함에 따라 구리보다 부식(腐蝕)에 강하면서 가볍고,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단가가 저렴하여 제작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장배관이 가벼워져 이동은 물론 결합 및 해체 작업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 재질의 연장배관과 구리 재질의 플레어너트 및 플레어볼트 간의 접촉이 개스킷에 의해 차단되어 연장배관과 플레어너트 간의 접촉에 의한 부식이 미연에 방지되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장배관의 일단부에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플레어부의 외면 및 내면을 개스킷이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연장배관과 접속관의 체결부위에 대한 밀폐력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스킷이 연질 또는 탄성 재질이므로, 복원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플레어너트와 플레어볼트 간의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플레어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접속관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접속관의 파손 한계치가 저하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접속관이 플레어볼트에 체결되고, 플레어볼트가 플레어너트와 체결되도록 하여 접속관의 본래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본연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어볼트와 플레어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종래의 플레어너트와 접속관의 체결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 체결된 풀림방지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관 구조체의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관 구조체의 조립과정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배관 구조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배관 구조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가 첨부된 도면이 참조되어 상세히 설명된다.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100)는 대략 연장배관(110), 개스킷(120), 플레어너트(130) 및, 플레어볼트(1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연장배관(110)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일단부에 직경이 확장된 플레어부(111)가 형성된다. 이 플레어부(111)는 플레어너트(130)와 플레어볼트(140)에 개재되고, 플레어부(111)를 감싸도록 개스킷(120)이 장착된다.
개스킷(120)은 연질 또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고, 연장배관(110) 및 플레어부(111)에 끼워지는 대략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다. 또한, 개스킷(120)의 일단부는 전면(全面)이 개방된 제1개구(121)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부위가 개방된 제2개구(122)가 형성된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제2개구(122)의 주변에는 내향 돌출된 잔여부(123)가 형성된다. 이는, 제1개구(121)를 통해 플레어부(111)측으로 개스킷(120)이 삽입되도록 하고, 제2개구(122)의 둘레에 형성된 잔여부(123)가 개스킷(120)의 내면을 감싸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개스킷(120)이 연장배관(110) 및 플레어부(111)에 끼워진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잔여부(123)가 플레어부(111)로부터 이탈되어 위치되고, 제2개구(122)의 직경은 플레어부(111)의 최외단 직경 즉, 최대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플레어너트(130)는 일단부의 직경이 플레어볼트(140)와 체결되는 타단부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고, 내면에 플레어부(111)의 확장 경사면과 상응하도록 경사진 제1가압경사면(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직경이 작은 일단부는 연장배관(11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의 개스킷(120) 외면에 밀폐되도록 끼워지고, 직경이 큰 일단부는 플레어볼트(140)와 체결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플레어너트(130)에서 플레어볼트(140)측 타단부의 내면에는 플레어볼트(140)와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132)가 형성된다. 또한, 플레어너트(130)의 연장배관(110)측 단부에 내향 돌출된 연장부(133)가 더 형성된다. 이 연장부(133)는 연장배관(110)에 장착된 개스킷(120)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개스킷(120)이 연장배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스킷(120)이 연장배관(110)에 삽입되는 최대 길이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플레어볼트(140)에는 플레어너트(130)측 종단부의 외면에 플레어부(111)의 확장 경사면과 상응하도록 경사진 제2가압경사면(141)이 형성된다. 또한, 플레어볼트(140)에는 제2가압경사면(141)이 형성된 종단부로부터 중심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외면에 플레어너트(130)에 형성된 암나사부(132)와 체결되는 숫나사부(142)가 형성된다. 또한, 플레어너트(130)의 암나사부(132)가 형성된 일단부위의 내경에 상응하도록 숫나사부(142)가 형성된 플레어볼트(140)의 중앙부측 외경이 제2가압경사면(141)이 형성된 종단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플레어볼트(140)의 외면에 별도의 확장경사면(143)이 형성된다. 또한, 플레어볼트(140)의 연장배관(110) 반대측 단부에는 실내기의 증발기(12, 도 1 참조)에 연결된 접속관(16, 도 1 참조)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144)가 형성된다.
<연장배관과 개스킷의 결합>
연장배관(110)에 끼워지는 개스킷(12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120)의 전면이 개방된 제1개구(121)를 통해 연장배관(110)에 끼워지고, 제2개구(122)가 형성된 단부의 절곡된 부위가 플레어부(111)의 최외곽 부위에 위치되도록 끼워진다. 따라서, 개스킷(120)의 대부분은 연장배관(110)의 외면에 밀착되고, 잔여부(123)와 연접된 일부위는 플레어부(111)의 확장 경사면을 따라 확장되며, 잔여부(123)는 플레어부(111)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제2개구(122)의 직경은 내향플레어부(111)의 최외곽 직경보다 더 작게 축소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개스킷(120)의 잔여부(123)는 플레어너트(130)와 플레어볼트(140)가 체결되면 플레어부(111)의 내면에 밀착되는 부위이다.
<조립방법>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관 구조체의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관 구조체의 조립과정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배관 구조체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배관 구조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구조체(100)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은, 먼저 연장배관(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플레어부(111)에 개스킷(120)이 장착(S100)된다. 이때, 개스킷(120)의 제1개구(121)를 통해 플레어부(111)를 통과하여 개스킷(120)의 잔여부(123)를 제외한 부위가 연장배관(110) 및 플레어부(111)의 외면에 밀착된다. 또한, 잔여부(123)는 플레어부(111)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제2개구(122)의 직경이 플레어부(111)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은 형상으로 배치된다. 개스킷(120)이 연질 또는 탄성 재질이므로, 개스킷(120)의 제1개구(121)가 연장배관(110)의 일단부에서 확장되도록 형성된 플레어부(111)를 통과하는데 무리가 없고,개스킷(120)의 대부분이 연장배관(110)의 외면에 완전 밀착된다. 또한, 개스킷(120)이 연질인 경우, 잔여부(123)에는 외력이 가해져 길이방향의 중심측으로 굴절시켜 제2개구(122)의 직경이 플레어부(111)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개스킷(120)이 탄성 재질인 경우, 잔여부(123)는 도 6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의 중심측으로 자연스레 탄성에 의해 축소 위치됨으로써 제2개구(122)의 직경이 플레어부(111)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연장배관(110)에 끼워진 개스킷(120)의 외면에 플레어너트(130)가 밀봉되게 장착(S200)된다. 플레어너트(130)의 양단부 중 직경이 작은 일단부가 연장배관(11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의 개스킷(120) 외면에 밀봉되도록 끼워진다. 이때, 개스킷(120) 외면에 끼워지는 일단부의 직경은 플레어부(111)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으므로 플레어너트(130)는 연장배관(110)의 플레어부(111) 반대측 단부로 끼우지게 되고, 직경이 큰 일단부가 반대측 단부보다 먼저 끼워진다. 또한, 플레어너트(130)는 내면에 형성된 제1가압경사면(131)이 플레어부(111)의 외면에 위치될 때까지 연장배관(110)에 끼워진다. 이때, 플레어너트(130)의 직경이 작은 단부에 형성된 연장부(133)가 도 7에서와 같이 개스킷(120)의 끝단과 접촉된다. 이 접촉으로 인해 개스킷(120)이 연장배관(110)에 과도하게 삽입되었을 때, 플레어너트(130)는 제1가압경사면(131)이 플레어부(111)에 근접될 때까지 삽입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개스킷(120)이 과도하게 삽입되었음을 인지하여 개스킷(120)을 적당하게 인출하게 된다. 물론, 연장부(133)는 개스킷(12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개스킷(120)의 길이가 짧을 경우, 제2개구(122)가 형성된 부위의 절곡된 부위가 플레어부(111)의 최외단에 위치되는 정상 위치에 끼워지더라도 연장부(133)와 개스킷(120)의 끝단은 닿지 않게 된다. 이때의 연장부(133)는 개스킷(12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만 할 수도 있고, 필요에 의해 연장부(133)가 제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레어너트(130)의 암나사부(132)에 플레어볼트(140)의 숫나사부(142)가 체결(S300)된다. 물론, 플레어볼트(140)의 연장배관(110) 반대측 단부에는 접속관( ,도 2 참조)이 장착된다. 따라서, 플레어너트(130)와 플레어볼트(140)가 체결되면 연장배관(110)과 접속관은 상호 연결된다. 플레어너트(130)에 플레어볼트(140)가 체결되는 동안, 플레어볼트(140)의 종단부 외면에 형성된 제2가압경사면(141)이 개스킷(120)의 잔여부(123)를 플레어부(111)의 내면에 밀착시키고, 플레어너트(130) 내면에 형성된 제1가압경사면(131)이 개스킷(120)의 일부위를 플레어부(111)의 외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플레어부(111)를 개스킷(120)이 감싸게 되어 플레어너트(130)와 플레어볼트(140)의 체결부위와 연장배관(110) 사이는 완전 밀폐된다. 또한, 플레어너트(130)와 플레어볼트(140)의 체결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풀림방지부재 설치가 배제된다. 여기서, 개스킷(120)이 연질 또는 탄성 재질이므로, 복원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플레어너트(130)와 플레어볼트(140)의 체결력은 더욱 강화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배관 구조체
110...연장배관
111...플레어부
120...개스킷
121...제1개구
122...제2개구
123...잔여부
130...플레어너트
131...제1가압경사면
132...암나사부
133...연장부
140...플레어볼트
141...제2가압경사면
142...숫나사부
143...확장경사면
144...체결구

Claims (9)

  1. 실외기와 실내기가 연장배관(110)에 의해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배관(110)의 일단부에 확장되어 이루어진 플레어부(111);
    상기 연장배관(110)의 일단부를 비롯하여 상기 플레어부(111)를 감싸도록 배치된 개스킷(120);
    상기 개스킷(120)의 외면에 밀폐되도록 끼워진 플레어너트(130); 및
    종단부와 상기 플레어부(111) 내면 사이에 상기 개스킷(120)의 선단부가 개재되도록 상기 플레어너트(130)와 체결되는 플레어볼트(1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개스킷(120)은 연질 또는 탄성 재질로, 일단부에 전면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1개구(121), 타단부에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부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2개구(122) 및 상기 제2개구(122)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어부(111) 내면을 감싸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잔여부(12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너트(130)의 내면에는 상기 플레어부(111)의 경사 외면을 감싸는 개스킷(120)을 가압하기 위한 제1가압경사면(131)이 형성되고,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플레어볼트(140)측 일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너트(130)의 직경이 작은 일단부에는 내향 돌출된 연장부(13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볼트(140)의 종단부 외면에는 상기 플레어부(111)의 내면에 개스킷(120)의 선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제2가압경사면(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배관(1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7. 제1항의 배관 구조체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의 배관 조립방법에 있어서,
    연장배관(110)의 일단부에 확장되도록 형성된 플레어부(111)에 개스킷(120)이 감싸지게 끼워지는 단계(S100);
    상기 연장배관(110)에 플레어너트(130)가 삽입되면서 개스킷(120)의 외면에 밀봉되게 장착되는 단계(S200);
    상기 플레어부(111)를 감싸는 개스킷(120)이 개재되도록 상기 플레어너트(130)에 플레어볼트(140)가 체결되는 단계(S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조립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120)이 끼워지는 단계(S100)에서는, 상기 개스킷(120)의 개방된 일단부가 연장배관(110)에 끼워져 연장배관(110)의 일부 및 플레어부(111)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개스킷(120)에서 상기 플레어부(111)의 최외단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중앙이 일부 개방된 타단부가 상기 플레어부(111)의 내면를 감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조립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너트(130)와 상기 플레어볼트(140)가 장착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플레어부(111)의 내면 및 외면에 상기 개스킷(120)이 밀착되도록 상기 플레어너트(130)의 내면에 형성된 제1가압경사면(131)과 상기 플레어볼트(140)의 종단부 외면에 형성된 제2가압경사면(141)이 상기 개스킷(12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조립방법.
KR1020110043579A 2011-05-09 2011-05-09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 KR101281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579A KR101281402B1 (ko) 2011-05-09 2011-05-09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579A KR101281402B1 (ko) 2011-05-09 2011-05-09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67A KR20120125867A (ko) 2012-11-19
KR101281402B1 true KR101281402B1 (ko) 2013-07-02

Family

ID=4751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579A KR101281402B1 (ko) 2011-05-09 2011-05-09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21Y1 (ko) * 2021-01-27 2022-09-21 오형동 냉매 관 연결부 기밀유지용 가스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9490A (ja) * 1988-12-09 1990-06-19 Junkosha Co Ltd 管継手
JPH08105583A (ja) * 1994-10-04 1996-04-23 Nichirin:Kk 配管用フレア継手
KR200437907Y1 (ko) * 2007-02-02 2008-01-07 김환영 에어콘용 배관 연결장치
KR20090054490A (ko) * 2007-11-27 2009-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9490A (ja) * 1988-12-09 1990-06-19 Junkosha Co Ltd 管継手
JPH08105583A (ja) * 1994-10-04 1996-04-23 Nichirin:Kk 配管用フレア継手
KR200437907Y1 (ko) * 2007-02-02 2008-01-07 김환영 에어콘용 배관 연결장치
KR20090054490A (ko) * 2007-11-27 2009-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21Y1 (ko) * 2021-01-27 2022-09-21 오형동 냉매 관 연결부 기밀유지용 가스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67A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8969B2 (ja)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が搭載された空気調和機
KR101281402B1 (ko)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조립방법
KR102021912B1 (ko) 플레어 너트 어셈블리
KR101440223B1 (ko) 에어컨 냉매관 연결용 서비스 밸브
EP2908040B1 (en) Block fitting for metal seal structures
CN104949228B (zh) 空调机组
US8561426B2 (en) Crimped orifice for flare fitting
CN201340149Y (zh) 一种空调连接管总成
KR20110021352A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US20120144858A1 (en) Flexible refrigeration connection tube
KR101039503B1 (ko) 냉매관 연결구
CN202327414U (zh) 管接头结构
CN107504303B (zh) 空调管路连接结构和空调器
KR200463863Y1 (ko)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US20150033471A1 (en) Vacuum device connected to hose
KR100542147B1 (ko) 관이음용 플랜지
KR200448977Y1 (ko) 배관 연결구
KR19980058072U (ko) 공기조화기
CN111396664A (zh) 工质管接头、连接结构、组件、汽车空调和汽车
KR20110033331A (ko) 벽체 매립형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US10488118B2 (en) Heat exchanger with liquid receiver
KR100881914B1 (ko) 내구성이 확보된 배관 연결구
CN110657293A (zh) 用于空调系统的块配装件及密封结构
KR200464849Y1 (ko) 맞춤형 벌크헤드 유니온
JP200712731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