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63Y1 -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63Y1
KR200463863Y1 KR2020120004881U KR20120004881U KR200463863Y1 KR 200463863 Y1 KR200463863 Y1 KR 200463863Y1 KR 2020120004881 U KR2020120004881 U KR 2020120004881U KR 20120004881 U KR20120004881 U KR 20120004881U KR 200463863 Y1 KR200463863 Y1 KR 200463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ocket
seawater
synthetic resi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진
Original Assignee
(주)블루에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5660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386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에어텍 filed Critical (주)블루에어텍
Priority to KR2020120004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중공부재; 상기 중공부재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관이음을 위한 다른 소켓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 상기 중공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호스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중공부재의 일측 외주면에 상기 나사결합부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도록 끼워지는 금속재의 보강링을 포함하도록 한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중관, 예컨대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에 사용되는 티타늄관과 강관의 마감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마감 부위에 대하여 뛰어난 가스 누기 방지 효과를 가지도록 하며, 해수 등으로 인한 부식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CONNECTING SYNTHETIC RESINE SOCKET OF HEAT PUMP USING SEAWATER HEAT SOURCE AND DOUBLE PIPE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관, 예컨대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에 사용되는 티타늄관과 강관의 마감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마감 부위에 대하여 뛰어난 가스 누기 방지 효과를 가지도록 하며, 해수 등으로 인한 부식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산업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어업 총생산량의 40%를 육박하고 있다. 한편, 국내 양식업계의 최대 고민은 겨울철 수온이 떨어질 때 기름값의 폭등으로 종래와 같이 기름보일러를 이용해 가온 사육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지열이나 폐열 이용 히트펌프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이중관 열교환기의 재질을 백동 또는 SUS를 사용함으로써 2~3년 후 부식문제가 발생되어, 이중관 열교환기의 교체에 많은 비용을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간접방식으로 히트펌프 내 열교환기는 동관을 사용하고, 순환수를 돌려 외부에 티타늄 판형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해수를 열교환하게 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간접방식의 열교환기는 해수로 인한 부식 문제를 해결하였으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복잡한 장치로 인해 관리에 어려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증발기에서 폐수로 열교환시 판형 열교환기가 막히거나 스케일 형성으로 인해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히트펌프 내 응축기, 증발기, 열교환기를 티타늄 재질을 사용하되, 이중관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겠으나, 이중관을 구성하는 티타늄관을 다른 재질의 관과 마감 내지 연결부분에서 용접할 수 없기 때문에 플랜지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플랜지 부분에서 가스 누기 문제를 유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중관, 예컨대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에 사용되는 티타늄관과 강관의 마감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마감 부위에 대하여 뛰어난 가스 누기 방지 효과를 가지도록 하며, 해수 등으로 인한 부식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에 사용되는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중공부재; 상기 중공부재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관이음을 위한 다른 소켓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 상기 중공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호스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중공부재의 일측 외주면에 상기 나사결합부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도록 끼워지는 금속재의 보강링을 포함하는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이 제공된다.
상기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에서, 상기 보강링은, 상기 중공부재의 외주면에서 끝단 모서리를 감싸도록 "ㄴ"자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에서, 상기 중공부재는, PVC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링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용 이중관 열교환기에 있어서, 이중관을 이루는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 상기 내측튜브와 상기 외측튜브 각각에 유체의 공급 내지 배출을 위해 연결되는 이중관용 금속소켓; 및 상기 이중관용 금속소켓에 연결되는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중공부재; 상기 중공부재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튜브와의 이음을 위한 상기 이중관용 금속소켓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 상기 중공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튜브에 유체의 공급 내지 배출을 위한 호스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중공부재의 일측 외주면에 상기 나사결합부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도록 끼워지는 금속재의 보강링을 포함하는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상기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에서, 상기 내측튜브는, 티타늄관으로 이루어지고, 나선형태로 꼬여진 스파이럴부가 형성되며, 해수의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외측튜브는,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튜브를 따라 이동하는 해수와의 열교환을 위한 냉매의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에서, 상기 이중관용 금속소켓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내측튜브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튜브가 연결되는 연결공간부; 상기 연결공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연결튜브; 상기 연결공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부를 통해서 삽입되는 상기 내측튜브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게 끼워지는 튜브밀착부; 상기 튜브밀착부에 삽입된 상기 내측튜브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튜브밀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확관홈; 및 상기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에서, 상기 몸체는,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공간부에 삽입된 금속재의 상기 외측튜브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측부에 금속재의 상기 연결튜브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에서, 상기 확관홈은, 상기 내측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도록 상기 튜브밀착부의 내측면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에서, 상기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은, 상기 중공부재가 PVC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에 고압스프링호스로 이루어진 상기 호스가 PVC용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에 의하면, 이중관, 예컨대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에 사용되는 티타늄관과 강관의 마감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마감 부위에 대하여 뛰어난 가스 누기 방지 효과를 가지도록 하며, 해수 등으로 인한 부식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의 이중관용 금속소켓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140)은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에 사용되는 소켓으로서, 일례로 후술하게 될 이중관용 금속소켓(130; 도 3 내지 도 7에 도시)에 연결되고, PVC 헤더에 연결되는 호스(150)와 이중관을 이루는 티타늄관인 내측튜브(110;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중공부재(141)와, 나사결합부(142)와, 연결부(143)와, 보강링(144)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100; 도 3 내지 도 7에 도시)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14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호스(150)는 바람직하게는 고압스프링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100)는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에 사용될 수 있는데, 내측튜브(110)와, 외측튜브(120)와, 이중관용 금속소켓(130)과, 연결용 합성수지소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튜브(110)와 외측튜브(120)는 서로 유격을 가지도록 내외로 겹쳐짐으로써 이중관을 이루게 되는데, 내측튜브(110)는 일례로 티타늄관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의 직관부(111)를 제외한 부분에 나선형태로 꼬여진 스파이럴부(112)가 형성되며, 해수의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내측튜브(110)는 티타늄관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해수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스파이럴부(112)에 의해 열교환을 위한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외측튜브(120)는 일례로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내측튜브(110)를 따라 이동하는 해수와의 열교환을 위한 냉매의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냉매는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냉매가스로서 기체 상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액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튜브(110)와 외측튜브(120)는 코일형태로 감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코일이 다수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양단에 해수 및 냉매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하여 이중관용 금속소켓(13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중관용 금속소켓(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31)와, 연결공간부(132)와, 연결튜브(133)와, 튜브밀착부(134)와, 확관홈(135)과, 결합부(1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이중관을 이루는 내측튜브(110)와 외측튜브(120) 각각에 유체의 공급 내지 배출을 위해 연결될 수 있다.
몸체(131)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중공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공간부(132)에 삽입된 금속재, 예컨대 강관으로 이루어진 외측튜브(120)가 용접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 1 용접부(13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측부에 금속재, 예컨대 동관으로 이루어진 연결튜브(133)가 용접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 2 용접부(131b)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공간부(132)는 몸체(131)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내측튜브(110)와의 사이에 유격에 의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외측튜브(120)가 연결된다.
연결튜브(133)는 연결공간부(132)의 측부에 연결되고, 이를 위해 몸체(131)의 측부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서 연결공간부(132)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연결공간부(132)에 삽입된 외측튜브(120)를 관통하도록 외측튜브(120)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연결 내지 관통될 수 있으며, 일례로 몸체(13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연결튜브(133)는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연결공간부(132)를 통해서 내측튜브(110)와 외측튜브(120) 사이의 유격 내지 공간을 통해서 이동하기 위한 공급 통로를 제공한다.
튜브밀착부(134)는 연결공간부(132)에 연결되어 몸체(131)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연결공간부(132)를 통해서 삽입되는 내측튜브(110)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게 끼워진다. 이때, 내측튜브(110)는 직관부(111)가 튜브밀착부(134)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고, 튜브밀착부(134) 내측에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필요에 따라 확관될 수 있다. 또한, 연결공간부(132)는 튜브밀착부(13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내측튜브(1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확관홈(135)은 튜브밀착부(134)에 삽입된 내측튜브(110)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튜브밀착부(134)의 내측면, 예컨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확관홈(135)은 내측튜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도록 튜브밀착부(134)의 내측면, 예컨대 내주면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3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관홈(135)은 내측튜브(110)의 직관부(111)가 튜브밀착부(134)에 삽입 후 확관하여 마감시 완전하게 밀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튜브밀착부(134)가 내측튜브(110)에 밀착되는 부위에 대하여 확장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내측튜브(110)의 확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다단계로 제공하고, 이로 인해 튜브밀착부(134)에서의 내측튜브(110) 밀착도를 높이도록 하여 기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결합부(136)는 몸체(131)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측튜브(110)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 예컨대 연결용 합성수지소켓(14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36)는 티타늄관으로 이루어지는 내측튜브(110)에 해수의 공급이나 배출을 위한 연결부재, 예컨대 연결용 합성수지소켓(140)의 암나사부인 나사결합부(142)에 나사 결합되기 위하여 수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용 합성수지소켓(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재(141)와, 나사결합부(142)와, 연결부(143)와, 보강링(144)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재(141)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PV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사결합부(142)는 중공부재(141)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관이음을 위한 다른 소켓, 예컨대 내측튜브(110)와의 이음을 위한 이중관용 금속소켓(130)의 결합부(136)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암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43)는 중공부재(141)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측튜브(110)에 유체의 공급 내지 배출을 위한 호스(150),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된 고압스프링호스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고압스프링호스가 억지 끼움이나 별도의 연결브라켓 또는 PVC용 접착제나 접착부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보강링(144)은 중공부재(141)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결합부(142)의 크랙(crack) 발생을 방지하도록 끼워지고, 금속재, 예컨대 SU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강링(144)은 나사결합부(142)에 이중관용 금속소켓(130)의 결합부(136)가 나사결합되거나, 특히 과도하게 나사결합됨으로써 발생되는 크랙 형성을 예방하도록 한다.
보강링(144)은 중공부재(141)의 외주면에서 끝단 모서리를 감싸도록 본 실시예에서처럼 "ㄴ"자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링(144)은 중공부재(141)의 외주면을 감쌀 뿐만 아니라, 중공부재(141)의 끝단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ㄴ"자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중공부재(141)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결합부(142)가 이중관용 금속소켓(130)의 결합부(136)와의 결합에 의해 팽창되더라도 이를 최대한 억제하여 나사결합부(142)에 대한 크랙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중공부재(141)는 내측에서 나사결합부(142)와 연결부(143) 사이에 이중관용 금속소켓(130)의 결합부(136) 나사결합 정도와 호스(150), 예컨대 고압스프링호스의 결합 정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걸림돌기(1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링(144)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14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장착홈(145)은 보강링(144)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보강링(144)이 중공부재(141)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례로 연결튜브(133)를 통해서 공급되는 냉매가 연결공간부(132)를 통해서 내측튜브(110)와 외측튜브(120) 사이의 유격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내측튜브(110)를 통해 이동하는 해수가 연결용 합성수지소켓(140)을 통해서 외부측에 삽입된 호스(150), 예컨대, 고압스프링호스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PVC 헤더로 토출되므로, 해수가 통과하는 부분에 부식될만한 재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호스(150), 예컨대 고압스프링호스를 PVC 특수접착제를 사용하여 연결용 합성수지소켓(140)의 연결부(143)에 밀착 삽입함으로써, 수압으로 인해 연결용 합성수지소켓(14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중관, 예컨대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에 사용되기 위한 티타늄관인 내측튜브(110)와 강관인 외측튜브(120)의 마감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마감 부위에 대한 가스 누기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티타늄관인 내측튜브(110)가 관통함으로써 해수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해수로 인한 부식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내측튜브 111 : 직관부
112 : 스파이럴부 120 : 외측튜브
130 : 이중관용 금속소켓 131 : 몸체
131a,131b : 용접부 132 : 연결공간부
133: 연결튜브 134 : 튜브밀착부
135 : 확관홈 136 : 결합부
140 :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141 : 중공부재
142 : 나사결합부 143 : 연결부
144 : 보강링 145 : 장착홈
146 : 걸림돌기 150 : 호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용 이중관 열교환기에 있어서,
    이중관을 이루는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
    상기 내측튜브와 상기 외측튜브 각각에 유체의 공급 내지 배출을 위해 연결되는 이중관용 금속소켓; 및
    상기 이중관용 금속소켓에 연결되는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중공부재;
    상기 중공부재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튜브와의 이음을 위한 상기 이중관용 금속소켓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
    상기 중공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튜브에 유체의 공급 내지 배출을 위한 호스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중공부재의 일측 외주면에 상기 나사결합부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도록 끼워지는 금속재의 보강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관용 금속소켓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내측튜브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튜브가 연결되는 연결공간부;
    상기 연결공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연결튜브;
    상기 연결공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부를 통해서 삽입되는 상기 내측튜브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게 끼워지는 튜브밀착부;
    상기 튜브밀착부에 삽입된 상기 내측튜브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튜브밀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확관홈; 및
    상기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튜브는,
    티타늄관으로 이루어지고, 나선형태로 꼬여진 스파이럴부가 형성되며, 해수의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외측튜브는,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튜브를 따라 이동하는 해수와의 열교환을 위한 냉매의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공간부에 삽입된 금속재의 상기 외측튜브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측부에 금속재의 상기 연결튜브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홈은,
    상기 내측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도록 상기 튜브밀착부의 내측면에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은,
    상기 중공부재가 PVC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에 고압스프링호스로 이루어진 상기 호스가 PVC용 접착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을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KR2020120004881U 2012-06-08 2012-06-08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KR200463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81U KR200463863Y1 (ko) 2012-06-08 2012-06-08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81U KR200463863Y1 (ko) 2012-06-08 2012-06-08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863Y1 true KR200463863Y1 (ko) 2012-11-29

Family

ID=4756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881U KR200463863Y1 (ko) 2012-06-08 2012-06-08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859B1 (ko) * 2012-12-14 2013-06-11 권용무 열교환기의 냉각코일 연결을 위한 이중관 연결기구
KR101616831B1 (ko) * 2014-11-14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화물 이송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유체 화물 이송 방법
KR102469317B1 (ko) 2022-04-15 2022-11-18 황필선 해수열교환기의 폐각류 부착 방지 및 제거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33B1 (ko) 2009-05-26 2009-09-08 (주)대호냉각기 열교환기용 연결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33B1 (ko) 2009-05-26 2009-09-08 (주)대호냉각기 열교환기용 연결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859B1 (ko) * 2012-12-14 2013-06-11 권용무 열교환기의 냉각코일 연결을 위한 이중관 연결기구
KR101616831B1 (ko) * 2014-11-14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화물 이송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유체 화물 이송 방법
KR102469317B1 (ko) 2022-04-15 2022-11-18 황필선 해수열교환기의 폐각류 부착 방지 및 제거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863Y1 (ko)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CN210909842U (zh) 一种管道对接预固定装置
CN205136880U (zh) 金属管道卡环式连接结构
US8967234B2 (en) Tube plug for a heat exchanger tube
KR200463149Y1 (ko)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이중관용 금속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CN105333251A (zh) 一种新型抗压法兰
CN210318857U (zh) 双金属耐蚀油套管及其连接装置
CN105423017A (zh) 一种高压管道接头的安装方法
CN202675999U (zh) 一种换热器结构
JP5846934B2 (ja) ステンレス鋼管と他の金属管の接続構造体
CN103438305A (zh) 一种新型抗压法兰
CN201539655U (zh) 高阻漏的法兰接头
CN201354900Y (zh) 一种管接头
CN206943623U (zh) 一种大直径管连接头
CN104896218A (zh) 一种双金属复合管管端连接装置
CN203258235U (zh) 一种钢骨架增强尼龙管道卡箍接头
KR20090005185U (ko) 공기조화기
CN103776293A (zh) 多功能翅管式水平支撑结构
CN203477637U (zh) 一种双金属复合管
CN207609888U (zh) 一种新型波纹管接头
KR20120007452U (ko)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KR20120008826U (ko) 배관용 알루미늄 피팅
CN215173071U (zh) 具有防脱固定结构的管路密封连接装置
CN216692482U (zh) 一种用于空调室内外机连接的连接管
CN103292107A (zh) 一种钢骨架增强尼龙管道快速连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616

Effective date: 201505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122

Effective date: 201601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122

Effective date: 2016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