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635Y1 - 냉매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냉매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635Y1
KR200430635Y1 KR2020060021154U KR20060021154U KR200430635Y1 KR 200430635 Y1 KR200430635 Y1 KR 200430635Y1 KR 2020060021154 U KR2020060021154 U KR 2020060021154U KR 20060021154 U KR20060021154 U KR 20060021154U KR 200430635 Y1 KR200430635 Y1 KR 200430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aluminum
valve
nipple
fl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빈
Original Assignee
김우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빈 filed Critical 김우빈
Priority to KR2020060021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6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냉장고 등의 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밸브 또는 니플과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한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부에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또는 니플에 형성된 경사면에 면접촉되도록 확관된 제1플래어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플래어부가 형성된 동(銅)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상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 또는 니플과의 조임결합에 의하여 상기 관체의 제1플래어부를 상기 밸브 또는 니플에 형성된 경사면에 기밀하게 접촉시키는 플래어너트와; 상기 관체의 제2플래어부내에 게재되고 내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강성이 적어도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의 강성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C형상의 보강링과; 상기 관체의 제2플레어부내에 게재되는 신축성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냉매배관 연결장치는 동재질의 냉매배관 대신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니플에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또한 알루미늄 냉매배관에 고압의 냉매가 통과되더라도 누기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니플과 알루미늄 냉배배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에어컨, 냉장고, 냉매배관

Description

냉매배관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REFRIGERANTS PIPE }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냉매배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매배관 연결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형상의 환형돌기를 갖는 C형의 고정링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내주면 및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가 각각 형성된 C형의 고정링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밸브 및 알루미늄배관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밸브 및 알루미늄배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관체의 제2플래어부를 압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압착된 제2플래어부 및 알루미늄 냉매배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냉매배관 연결장치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관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래어부를 압착공구에 의하여 압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70: 냉매배관 연결장치 110: 710: 관체
120: 제1플래어부 130: 제2플래어부
140, 740a, 740b: C형의 고정링 150, 750a, 750b: 오링
160: 플래어너트 30: 밸브
40: 알루미늄 냉매배관 720a, 720b: 플래어부
본 발명은 에어컨, 냉장고 등의 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밸브 또는 니플과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한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부에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또는 니플에 형성된 경사면에 면접촉되도록 확관된 제1플래어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플래어부가 형성된 동(銅)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상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 또는 니플과의 조임결합에 의하여 상기 관체의 제1플래어부를 상기 밸브 또는 니플에 형성된 경사면에 기밀하게 접촉시키는 플래어너트와; 상기 관체의 제2플래어부내에 게재되고 내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강성이 적어도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의 강성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C형상의 보강링과; 상기 관체의 제2플레어부내에 게재되는 신축성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 냉장고 등의 냉매배관으로서, 열전도율이 높고 강성 및 연성이 우수한 동(銅)재질의 냉매배관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세계의 공장인 중국과 대규모 투기펀드의 자금 유입 등에 의하여 구리 등의 비철금속의 가격이 대촉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의 구리 소비량이 2003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05년에는 세계 소비량의 20%인 320만톤에 이르고, 이같은 추세에 따라 2005년 10월에는 사상 최고인 구리 1톤당 4374달러를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구리의 가격의 상승으로 구리를 원재료로 사용하고 있는 에어컨, 냉장고 등의 냉매배관으로서 사용되는 동파이프의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고, 이러한 제조원가 상승은 동파이프의 제품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동파이프 제품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에어컨, 냉장고 등 동파이프가 이용되는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동파이프 가격의 상승에 따라 상대적으로 동파이프 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파이프를 냉매배관으로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파이프의 경우 동파이프에 피하여 연성이 크게 부족하여 플래어너트를 이용하여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니플 등에 연결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즉 알루미늄파이프의 일단부을 확관장치를 이용하여 확관하여 플래어부를 형성한 후 상기 플래어부가 형성된 알루미늄파이프상에 위치한 플래어너트를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니플에 조임방향으로 나사결합시킨 경우 상기 알루미늄파이프의 플래어부가 늘어나면서 상기 밸브, 니플 등에 기밀하게 접하지 못하고 연성이 부족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파이프의 플래어부가 찢겨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파이프의 플래어부가 찢기지 않은 상태로 상기 밸브, 니플에 기밀하게 접하였더라도, 상기 알루미늄파이프내에 고압의 냉매가 통과되어 상기 알루미늄파이프내의 분위기가 고압으로 되는 경우 상기 알루미늄파이프의 플래어부가 고압의 냉매에 의하여 찢겨져 누기(漏氣)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알루미늄파이프의 사용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재질의 냉매배관 대신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니플에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또한 알루미늄 냉매배관에 고압의 냉매가 통과되더라도 누기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에어컨, 냉장 고 등의 밸브, 니플과 알루미늄 냉배배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냉매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컨, 냉장고 등의 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밸브 또는 니플과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또는 니플에 형성된 경사면에 면접촉되도록 확관된 제1플래어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플래어부가 형성된 동(銅)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상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 또는 니플과의 조임결합에 의하여 상기 관체의 제1플래어부를 상기 밸브 또는 니플에 형성된 경사면에 기밀하게 접촉시키는 플래어너트와;
상기 관체의 제2플래어부내에 게재되고 내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강성이 적어도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의 강성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C형상의 보강링과;
상기 관체의 제2플레어부내에 게재되는 신축성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에어컨, 냉장고 등의 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2개의 알루미늄 냉매배 관을 연결하기 위한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2개의 알루미늄 냉매배관이 각각 삽입되는 플래어부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동(銅)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플래어부내에 게재되고 내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강성이 적어도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의 강성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C형상의 보강링과;
상기 관체의 플래어부내에 게재되는 신축성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냉매배관 연결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냉매배관 연결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매배관 연결장치(10)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냉매배관 연결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크게 양단부에 각각 제1플래어부(120) 및 제2플래어부(130)가 각각 구비된 관체(110)와, 상기 관체(110)상에 위치한 플래어너트(160)와, 상기 관체(110)의 제2플래어 부(130)에 게재되는 C형의 고정링(140) 및 오링(15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관체(110)는 에어컨, 냉장고 등에 설치된 밸브(도 6의 30) 또는 니플과, 동(銅)재질의 냉매배관 대신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을 간편하게 높은 결합력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또는 니플에 형성된 경사면(도 6의 310)에 면접촉되도록 확관된 제1플래어부(12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이 일정길이 삽입되도록 확관된 제2플래어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관체(110)의 재질은 연성 및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銅)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플래어너트(160)는 상기 관체(110)의 제1플래어부(120)를 상기 밸브 또는 니플의 플래어너트(160)(도 6의 310)에 기밀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체(110)의 제1플래어부(120)를 면접촉시켜 상기 밸브 또는 니플과의 조임방향의 나사결합에 따라 내측으로 가압시키는 경사부(162)가 구비된다.
즉, 상기 플래어너트(160)를 상기 밸브 또는 니플과 조임방향으로 나사결합하는 경우 상기 플래어너트(160)의 경사부가 상기 관체(110)의 제1플래어부(120)를 상기 밸브 또는 니플의 경사면(도 6의 310)으로 기밀하게 압착하게 되어 상기 밸브 또는 니플과 상기 관체(110)가 기밀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110)의 제2플래어부(130)는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이 수용되는 고정링수용부(132)와, 상기 고정링수용부(13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오링(150)이 수용되는 오링수용부(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플래어부(130) 중 상기 고정링수용부(132)는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확관 정도는 상기 고정링수용부(132)에 게재되어 수용되는 상기 C형 고정링(140)의 두께 및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의 외경을 감안하여 정해진다. 즉 상기 고정링수용부(132)의 내경이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의 외경과 상기 고정링(140)의 두께의 합보다 미소만큼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상기 고정링수용부(132)에 상기 C형 고정링(140)을 삽입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 냉배배관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은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이 고압의 냉매압력에 의하여 상기 관체(110)의 제2플래어부(130)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142)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관체(110)의 제2플래어부(130)를 내측으로 압착하는 경우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의 환형돌기(142)가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재질은 적어도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의 강성보다 큰 재질인 철금속 등의 금속재질을 사용한다.
도 3에서는 상기 C형의 고정링(140)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돌기(142)의 형상을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환형돌기(142)의 형상 및 구조는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을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에 압착하는 경우 상기 C형의 고정링(140)과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을 접촉면적 및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이 고압의 냉매압력에 의하여 인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이면 족하다.
그리고 도 4는 다른 형상의 환형돌기(142)를 갖는 C형의 고정링(140)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고압의 냉매압력에 의하여 더욱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이 상기 C형의 고정링(140)으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C형의 고정링(140)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돌기(142a)의 단면형상을 도 4와 같이 밑면과 상기 관체(110)의 중앙을 향하는 면의 각(α)이 90°이하이고, 상기 α각도가 밑면과 상기 관체(110)의 단부를 향하는 면의 각(β)보다 크게 형성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환형돌기(142)의 단면형상의 α각 및 β각이 『β<α≤90』의 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5는 내주면 및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142)가 각각 형성된 C형 의 고정링(140)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의 내주면에 한하여 복수의 환형돌기(142)(142a)를 형성하였으나, 압착공구에 의하여 상기 관체(110)를 압착한 경우 상기 관체(110)와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의 접촉면적 및 마찰계수를 극대화하여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이 상기 관체(110)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상기 C형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142b)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냉매배관 연결장치(10)에 밸브 및 알루미늄배관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냉매배관 연결장치(10)에 밸브 및 알루미늄배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관체(110)의 제2플래어부(130)를 압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압착된 제2플래어부(130) 및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상기 C형의 고정링(140) 및 상기 오링(150)이 삽입 수용된 상기 제2플래어부(130)에 도 7과 같이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을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도 8과 같이 상기 제2플래어부(130)를 압착하는 경우 상기 제2플래어부(130)는 압착 축관(130a)된다.
그리고 압착 축관된 상기 제2플래어부(130a)의 단면상태는 도 9와 같다. 즉 축관된 상기 제2플래어부(130a)내에 게재된 상기 C형의 고정링(140) 또한 압축되어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의 절개부 양단부(도 2의 144)가 서로 기밀하게 밀착되고, 또한 상기 C형의 고정링(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돌기(142)는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C형의 고정링(140)과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은 기밀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래어부(130) 중 오링수용부(134)에 수용된 상기 오링(150) 또한 상기 오링수용부(134)의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오링수용부(134)와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사이에 압착되어 상기 오링수용부(134)와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을 기밀하게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냉매배관 연결장치(10)의 경우 기존의 동(銅)재질의 냉매배관 대신에 사용되는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을 상기 관체(110)에 타단부에 형성된 제2플래어부(130)에 간편한 방법 즉 압착공구의 압착에 의하여 강한 결합력으로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기 플래어너트(160)를 에어컨, 냉장고 등에 구비된 밸브 또는 니플과 조임방향으로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관체(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플래어부(120)를 상기 밸브 또는 니플에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냉매배관 연결장치(70)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관체(710)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래어부(720a)(720b)를 압착공구에 의하여 압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냉매배관 연결장치(10)는 도 10과 같이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관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고압의 냉매가 통과되는 알루미늄 냉매배 관(40)이 삽입되는 플래어부(720a)(720b)가 형성된다.
상기 관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플래어부(720a)(720b)에는 도 10과 같이 C형의 고정링(740a)(740b)과 오링(750a)(750b)이 각각 삽입 수용된다.
상기 플래어부(720a)(720b)는 이미 설명한 제1실시예의 제2플래어부(130)와 동일하고, 상기 C형의 고정링(740a)(740b) 및 오링(750a)(750b)은 이미 설명한 제1실시예의 C형의 고정링(140) 및 오링(15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또한 압착공구를 이용한 상기 플래어부(720a)(720b)와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의 결합방법 또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인 냉매배관 연결장치(70)는 에어컨, 냉장고 등의 냉매배관으로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이 터져 누기(漏氣)발생한 경우 등 기타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을 상호 연결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도 11과 같이 2개의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을 각각 상기 관체(710)의 플래어부에 삽입한 후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관체(710)의 플래어부를 압착하여 축관함으로써, 간편하게 2개의 알루미늄 냉매배관(40)을 강한 결합력으로 기밀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냉매배관 연결장치의 경 우 동(銅)재질의 냉매배관 대신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니플에 간편한 방법 즉 상기 플래어너트의 조임, 압착공구를 이용한 제플래어부의 압착의 방법에 의하여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냉매배관 연결장치의 구성 중 관체의 제2플래어부와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이 강한 결합력으로 기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에 고압의 냉매가 통과되더라도 누기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냉매배관 연결장치의 경우 냉배배관으로서 사용되는 2개의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연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강한 결합력으로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에어컨, 냉장고 등의 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밸브 또는 니플과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밸브 또는 니플에 형성된 경사면에 면접촉되도록 확관된 제1플래어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플래어부가 형성된 동(銅)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상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 또는 니플과의 조임결합에 의하여 상기 관체의 제1플래어부를 상기 밸브 또는 니플에 형성된 경사면에 기밀하게 접촉시키는 플래어너트와;
    상기 관체의 제2플래어부내에 게재되고 내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강성이 적어도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의 강성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C형상의 보강링과;
    상기 관체의 제2플레어부내에 게재되는 신축성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링 및 상기 오링이 게재된 상기 제2플래어부내에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삽입한 후 상기 제2플래어부를 압축하여 상기 관체와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 연결장치.
  2. 에어컨, 냉장고 등의 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2개의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연 결하기 위한 냉매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2개의 알루미늄 냉매배관이 각각 삽입되는 플래어부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동(銅)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플래어부내에 게재되고 내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강성이 적어도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의 강성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C형상의 보강링과;
    상기 관체의 플래어부내에 게재되는 신축성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링 및 상기 오링이 게재된 상기 플래어부내에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삽입한 후 상기 플래어부를 압축하여 상기 관체와 상기 알루미늄 냉매배관을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 연결장치.
KR2020060021154U 2006-08-08 2006-08-08 냉매배관 연결장치 KR200430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154U KR200430635Y1 (ko) 2006-08-08 2006-08-08 냉매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154U KR200430635Y1 (ko) 2006-08-08 2006-08-08 냉매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635Y1 true KR200430635Y1 (ko) 2006-11-10

Family

ID=4177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154U KR200430635Y1 (ko) 2006-08-08 2006-08-08 냉매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6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103B1 (ko) * 2015-12-10 2016-12-20 (주) 디엔테크 금형의 가열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된 유체전달장치
KR102033464B1 (ko) * 2018-08-21 2019-10-17 (주)대광 레진 난형관
KR20230001131U (ko) * 2021-11-26 2023-06-02 김환영 호환성을 갖는 에어컨용 냉매관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103B1 (ko) * 2015-12-10 2016-12-20 (주) 디엔테크 금형의 가열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된 유체전달장치
KR102033464B1 (ko) * 2018-08-21 2019-10-17 (주)대광 레진 난형관
KR20230001131U (ko) * 2021-11-26 2023-06-02 김환영 호환성을 갖는 에어컨용 냉매관 연결장치
KR200497198Y1 (ko) * 2021-11-26 2023-08-25 김환영 호환성을 갖는 에어컨용 냉매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9464B (zh) 用于连接制冷剂管的结构和方法及具有该结构的空调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101740444B1 (ko)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JP2004060672A (ja) 蛇腹金属管付ホースの接続構造
AU2006320057A1 (en) Pipe joint
KR200430635Y1 (ko) 냉매배관 연결장치
KR20080102209A (ko) 플레어리스관 접속 구조, 플레어리스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JP6777177B2 (ja) 継手部材及び空気調和装置用ユニット
JP2010048373A (ja) フレアナット、これを備えた冷媒配管、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凍装置
KR101479288B1 (ko) 알루미늄 냉매관 연결 구조
AU2007225866A1 (en) Pipe fitting
WO2016039561A1 (ko) 시공이 용이한 냉매배관 연결 장치
JP2007192270A (ja) 管継手構造
JP2010031941A (ja) 配管接続構造
JP2008256091A (ja) 配管継手
JP2009074619A (ja) 配管継手
JP2008101788A (ja) 冷凍サイクルの配管用継手
JP2004347045A (ja) ステンレス鋼管用の伸縮管継手
KR20100124916A (ko) 소형 배관의 연결방법 및 그 실링 구조
JP2007192328A (ja) 金属シール部材を用いた継手構造
KR101096054B1 (ko) 냉매배관 연결장치
JP3955973B2 (ja) フレア管継手
JP2009063090A (ja) フレア式管接続構造、弁、フレア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CN211823288U (zh) 毛细管组件及制冷系统
JP2018146027A (ja) 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