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464B1 - 레진 난형관 - Google Patents

레진 난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464B1
KR102033464B1 KR1020180097497A KR20180097497A KR102033464B1 KR 102033464 B1 KR102033464 B1 KR 102033464B1 KR 1020180097497 A KR1020180097497 A KR 1020180097497A KR 20180097497 A KR20180097497 A KR 20180097497A KR 102033464 B1 KR102033464 B1 KR 10203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esin
inner space
cross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인식
신상훈
전병락
전성환
최진용
Original Assignee
(주)대광
(주)대원콘크리트
동양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애경레지콘(주)
유정레지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 (주)대원콘크리트, 동양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애경레지콘(주), 유정레지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대광
Priority to KR102018009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진 난형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면의 형상이 계란형인 레진관을 구성하여, 레진관의 하측부가 좁은 내측공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오수의 흐름이 있을 때, 보다 빠른 유속을 유도하여 레진관 내부에 오수가 고이는 문제를 방지하는 레진 난형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진 난형관 {Egg-Shaped Resin Pipes}
본 발명은 레진 난형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면의 형상이 계란형인 레진관을 구성하여, 레진관의 하측부가 좁은 내측공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오수의 흐름이 있을 때, 보다 빠른 유속을 유도하여 레진관 내부에 오수가 고이는 문제를 방지하는 레진 난형관에 관한 것이다.
흄관(Hume Pipe)이란, 원통형 골격 구조로 조립한 철근을 형틀에 넣은 후에 회전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이때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다져 만든 원통형 관으로서, 주택, 도로, 학교, 공장, 및 산업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이나 하천으로 배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흄관은 하수 발생지역의 지하에 매설되는데, 지하에 매설된 흄관은 토압이나 하중에 의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고강도 재료인 시멘트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시멘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흄관은 가격이 저렴하고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지만, 경년 변화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여 오폐수가 유출되거나 흄관 내벽이 무너져 지반침하, 싱크홀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시멘트 콘크리트 흄관의 강도 저하와 균열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는 하수 내의 황산에 의한 시멘트 콘크리트의 부식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흄관의 낮은 내부식성으로 인해 오수관으로는 사용되지 못하고, 보통 우수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흄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관이 레진관이다.
레진관(Resin Pipe)이란, 레진콘크리트관, 폴리에스테르 수지 콘크리트관, PRC(Polyester Resin Concrete)관 등으로 불리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골재(모래, 자갈), 플라이애시(Fly-Ash), 철선 등을 형틀에 삽입한 후 원심 회전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레진관은 내식성이 강하고, 강도는 흄관보다 2배 정도 더 높아서 주로 오수관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진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3982A호(2003.03.26)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레진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원형이었기 때문에, 레진관 내부를 흐르는 오수가 더 이상 밀려 흘러나가지 못하고 내부에 정체되어, 레진관의 내부 바닥면 상에 고이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고인 오수는 그 자체로도 악취가 발생하였는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더욱 부패 되어 극심한 악취를 불러일으켰는바, 이러한 악취는 관과 연결된 맨홀을 통해 지상으로 방출되어 레진관 설치 주변 지역에 심각한 악취를 발생시켰다.
또한, 제작된 원형의 레진관을 공장 또는 공사현장 근처에 야적하거나 레진관을 운송할 때, 원형의 레진관이 굴러가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을 마련해야 하는바, 이러한 별도의 수단을 마련하는데에 별도의 노고, 시간, 비용 등이 소비되었다.
뿐만 아니라, 레진관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시공시 레진관을 위치설정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레진관을 위치설정하기 위해서는 레진관을 설치하기 위한 지점에 터파기 후 별도의 베이스를 시공하고, 시공된 베이스 상에 레진관을 위치시켜 가고정하는 별도의 작업이 추가되었는바, 불필요한 공정이 늘어남에 따라 불필요한 노고, 시간,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었다.
최근에는 지반이 내려앉는 싱크홀이 심각한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레진관에 의하면 싱크홀 발생시 레진관의 관 이음상태가 흐트러져 누수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관련 업계에서는 기존 레진관의 형태를 변형하여, 레진관의 바닥면 상에 오수가 정체되어 있지 않도록 함에 따라 레진관으로부터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별도의 수단을 통해 야적, 보관, 운송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싱크홀이 발생하더라도 관의 이음상태를 유지해 관 내부를 흐르는 오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레진관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3982A호(2003.03.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횡단면의 형상이 계란형인 레진관을 구성하여, 레진관의 하측부가 좁은 내측공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오수의 흐름이 있을 때, 보다 빠른 유속을 유도하여 레진관 내부에 오수가 고이는 문제를 방지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진 난형관의 하측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성하여, 난형의 레진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진관의 야적, 보관, 운송, 시공 등을 용이하게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의 횡단면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의 레진관 지지 기능은 유지하면서, 재료의 과잉투입으로 인한 불필요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막고, 레진 난형관의 무게를 줄여 운반, 시공 등을 용이하게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의 하면을 수평하게 구성하여, 레진 난형관의 안정적인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의 하면 상에 함입된 지지슬롯을 구성하여, 지지부의 하면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소정의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의 전면이 전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지지력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축관부를 확관부에 삽입할 때 충분한 조립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의 전면이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레진 난형관을 서로 연결할 때 확관부 내측으로 축관부 및 몸체부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한 단차로 몸체부의 일단을 축소 연장한 축관부를 구성하여, 축관부의 외주면 상에 오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관부와 확관부를 서로 연결했을 때, 관 내의 기밀성능을 높이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부의 내측공간과 연통되는 안착공간을 포함하는 확관부를 구성하여, 확관부의 안착공간으로 축관부 및 몸체부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복수의 레진 난형관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안착공간이 내측공간과 단턱을 형성하도록 하여, 확관부로 삽입되는 레진 난형관의 일단이 단턱에 걸려 더 이상 추진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관 연결시 정확한 위치설정을 도모할 수 있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측으로 갈수록 안착공간의 횡단면적이 확대되는 제2안착공간을 구성하여, 공차가 타이트한 제1안착공간으로 직접적인 레진 난형관 삽입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중장비를 통한 시공시 레진 난형관 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단과 타단이 개방되며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과 연통된 내측공간을 포함하는 통형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관 내 유속을 높이도록 하측부 내측공간의 횡단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내측공간은, 횡단면 상의 최대수평길이를 포함하는 제1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상부내측공간의 횡단면적이 하측에 위치한 하부내측공간의 횡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내측공간은, 횡단면 상의 최대수직길이를 포함하는 제2축을 따라,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이 만나는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상부내측공간의 정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하부내측공간의 정점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내측공간은, 횡단면의 형상이 계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레진 난형관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횡단면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면 상에 상측방향으로 함입된 지지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전면이 전측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의 전면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는, 레진 난형관 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관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관부는, 상기 확관부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축관부는, 외주면 상에 오링이 안착되도록 일정한 단차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을 축소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확관부는, 상기 축관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공간과 연통되는 안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착공간은, 일정한 단차로 상기 내측공간의 후측단부보다 확대 형성되어 상기 내측공간과 연통되는 제1안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제1안착공간의 후측단부와 연결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안착공간의 횡단면적이 확대되는 제2안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횡단면의 형상이 계란형인 레진관을 구성하여, 레진관의 하측부가 좁은 내측공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오수의 흐름이 있을 때, 보다 빠른 유속을 유도하여 레진관 내부에 오수가 고이는 문제를 방지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레진 난형관의 하측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성하여, 난형의 레진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진관의 야적, 보관, 운송, 시공 등을 용이하게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의 횡단면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의 레진관 지지 기능은 유지하면서, 재료의 과잉투입으로 인한 불필요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막고, 레진 난형관의 무게를 줄여 운반, 시공 등을 용이하게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부의 하면을 수평하게 구성하여, 레진 난형관의 안정적인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지지부의 하면 상에 함입된 지지슬롯을 구성하여, 지지부의 하면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소정의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의 전면이 전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지지력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축관부를 확관부에 삽입할 때 충분한 조립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부의 전면이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레진 난형관을 서로 연결할 때 확관부 내측으로 축관부 및 몸체부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일정한 단차로 몸체부의 일단을 축소 연장한 축관부를 구성하여, 축관부의 외주면 상에 오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관부와 확관부를 서로 연결했을 때, 관 내의 기밀성능을 높이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의 내측공간과 연통되는 안착공간을 포함하는 확관부를 구성하여, 확관부의 안착공간으로 축관부 및 몸체부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복수의 레진 난형관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안착공간이 내측공간과 단턱을 형성하도록 하여, 확관부로 삽입되는 레진 난형관의 일단이 단턱에 걸려 더 이상 추진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관 연결시 정확한 위치설정을 도모할 수 있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후측으로 갈수록 안착공간의 횡단면적이 확대되는 제2안착공간을 구성하여, 공차가 타이트한 제1안착공간으로 직접적인 레진 난형관 삽입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중장비를 통한 시공시 레진 난형관 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난형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종래의 레진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난형관을 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레진 난형관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측면도.
도 7은 축관부 및 확관부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난형관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난형관을 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진 난형관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모래, 수지, 자갈 등을 섞어서 만드는 레진관의 일종으로 내측에 유체 등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을 하며,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레진 난형관(1)은, 몸체부(10), 지지부(30), 축관부(50), 확관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일단(10a)과 타단(10b)이 개방되며 상기 일단(10a) 및 상기 타단(10b)과 연통된 내측공간(11)을 포함하는 통형의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10)는, 관 내 유속을 높이도록 하측부 내측공간(11)의 횡단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측부 내측공간(11)의 횡단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면, 레진 난형관(1)의 하측부에 고이는 오수의 양이, 일반적인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레진관에 비해 적게 되고, 좁은 횡단면으로 인해, 오수의 흐름이 있을 때 보다 빠른 유속을 유도할 수 있는바, 관 내 오수의 정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관 내 오수 등이 정체되면, 관이 설치된 주변에 심한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오수 등의 정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관 주변의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11)은, 상측부의 횡단면적보다, 하측부의 횡단면적이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를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잘랐을 때, 횡단면 상에서 가장 긴 수평길이(H)를 가지는 지점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횡단면 상의 최대수평길이(H)를 포함하는 축을 그렸을 때(X1), 횡단면 상의 최대수평길이(H)를 포함하는 제1축(X1)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상부내측공간(111)의 횡단면적(A1)이 하측에 위치한 하부내측공간(113)의 횡단면적(A2)보다 작도록(A1<A2)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는 하측부 횡단면의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하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관 내부의 오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바, 전체적인 몸체부(10) 횡단면에서 하부내측공간(113)의 횡단면적을 넓혀 이러한 효과를 더욱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공간(11)은 횡단면 상의 최대수직길이(P)를 포함하는 제2축(X2)을 정했을 때, 상기 제2축(X2)을 따라, 상기 제1축(X1)과 상기 제2축(X2)이 만나는 교차점(C)으로부터 상기 상부내측공간(111)의 정점(1111)까지의 거리(L1)가 상기 하부내측공간(113)의 정점(1131)까지의 거리(L2)보다 작도록(L1<L2)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11)은, 횡단면의 형상이 계란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뾰족한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를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몸체부(10)의 횡단면 형상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란형으로 구성되었을 때, 상기 몸체부(10)의 안정적인 위치설정이 어려울 수 있다. 이는 곧 야적, 운송, 보관, 시공 등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는바, 이러한 상기 몸체부(10)의 하측에 상기 지지부(3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30)의 형상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부(30)의 기능적인 측면에 비추어 볼 때,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몸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 되는바, 불필요하게 상기 지지부(30)를 크게 구성할 경우, 제작비용의 상승 및 레진 난형관(1)의 무게 증가로 인한 운반, 시공의 어려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의 하면(31)은 상기 레진 난형관(1)이 놓이게 될 베이스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인바, 안정적인 위치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면(31)은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30)의 하면(31)은, 지지슬롯(311)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슬롯(311)은,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면(31) 상에 상측방향으로 함입된 부분을 말한다. 상기 지지부(30)의 하면(31) 전체를 평평하게 구성하는 실시예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의 하면(31)이 베이스 상에 안착되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베이스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소정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30)의 하면(31) 상에는 상기 지지슬롯(311)을 형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내용에 따르면, 상기 지지슬롯(311)의 상기 지지부(30)의 하면(31) 중앙부 상에 단수 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면(31)의 다양한 지점 상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0)의 전면(33)은, 전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몸체부(10)의 전측에는 축관부(5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후측에는 확관부(70)가 형성되어, 복수의 레진 난형관(1)을 연결할 때, 축관부(50)와 확관부(70)의 결합에 의해 관이 연결되어 갈 수 있다. 이때 축관부(50)가 확관부(70) 내측으로 삽입이 되는 구성이고,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몸체부(1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이를 지지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지지력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축관부(50)를 확관부(70)에 삽입할 때 충분한 조립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30)의 전면(3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 연결시 주변 토사 등에 의해 잘 보이지 않는 관 하측부의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0)의 전면(33)은, 상기 몸체부(10)의 일단(10a)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확관부(70) 내측으로 축관부(50) 및 상기 몸체부(10)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7은 축관부 및 확관부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도록 한다.
상기 축관부(50)는, 레진 난형관(1) 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부(10)의 일단(10a)에서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복수의 레진 난형관(1)들은 서로 연결되어 일 지점에서 타 지점에 이르기까지 관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단위 레진 난형관(1)간의 결합이 중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0)의 전측에는 상기 축관부(50)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축관부(50)는, 후술할 확관부(7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관부(50)는, 외주면 상에 오링(O)이 안착되도록 일정한 단차로 상기 몸체부(10)의 일단(10a)을 축소 연장한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축관부(50) 상에 오링(O)이 결합되고, 오링(O)이 결합된 축관부(50)가 확관부(70) 내측으로 삽입이 되면서, 이웃하는 레진 난형관(1)을 기밀하게 연결해, 레진 난형관(1) 연결부위에서 누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관부(70)는, 레진 난형관(1) 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부(10)의 타단(10b)에서 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상기 확관부(70)는, 상기 축관부(50)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어느 하나의 레진 난형관(1)의 확관부(70)를 통해 다른 하나의 레진 난형관(1)의 축관부(50)가 수용됨으로써, 레진 난형관(1)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확관부(70)는, 안착공간(71)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공간(71)은, 상기 축관부(50) 및 상기 몸체부(10)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10)의 내측공간(11)과 연통되는 구성으로, 상기 확관부(70) 내측에 비어 있는 공간을 지칭한다. 이러한 상기 안착공간(71)은, 제1안착공간(711), 제2안착공간(7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안착공간(711)은, 일정한 단차(D)로 상기 내측공간(11)의 후측단부보다 확대 형성되어 상기 내측공간(11)과 연통되는 부분을 말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공간(711)은 일정한 단차(D)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확관부(70)에 수용되는 레진 난형관(1)의 전측단부가 상기 단차(D)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턱(7111)에 걸려 더 이상 추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진 난형관(1)들을 서로 연결할 때, 사전에 계획된 알맞은 깊이로 관 삽입이 가능해 진다.
상기 제2안착공간(712)은, 상기 제1안착공간(711)의 후측단부와 연결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안착공간(71)의 횡단면적이 확대되는 부분을 말한다. 완성된 레진 난형관(1)의 무게는 상당하여 중장비를 이용해 시공하게 되는데, 공차가 타이트한 상기 제1안착공간(711)으로 직접적인 레진 난형관(1) 삽입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중장비를 통한 시공시 레진 난형관(1) 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공간(711)의 후측에 상기 제2안착공간(712)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레진 난형관(1)은 관로를 구성하는 일 단위체가 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레진 난형관(1)의 연결은, 상기 축관부(50)가 상기 확관부(70)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축관부(50)의 외주면 상에는 고무로 된 오링이 결합되어 관 연결부위를 기밀하게 할 수 있다.
레진 난형관(1)은 그 횡단면의 형상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란형을 이루게 되어 하측부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게 되므로, 관 내부로 오수(D) 등이 흐를 때, 유속을 빠르게 함으로써, 바닥에 고인 오수(D) 등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를 거두기 위한 난형의 레진관은 어느 한 쪽으로 기울 수 있어 야적, 보관, 운송, 시공 등이 어려울 수 있는바, 본 발명인 레진 난형관(1)은 상기 몸체부(10)의 하측에 상기 지지부(30)를 구성하여, 레진 난형관(1)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레진 난형관
10: 몸체부
10a: 일단
10b: 타단
11: 내측공간
111: 상부내측공간
1111: 정점
113: 하부내측공간
1131: 정점
30: 지지부
31: 하면
311: 지지슬롯
33: 전면
50: 축관부
70: 확관부
71: 안착공간
711: 제1안착공간
7111: 단턱
712: 제2안착공간

Claims (15)

  1. 일단과 타단이 개방되며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과 연통된 내측공간을 포함하는 통형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관 내 유속을 높이도록 하측부 내측공간의 횡단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계란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안정적인 위치설정이 가능하도록 그 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횡단면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하고, 전면이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 형성되면서 전측방향으로 경사져 추가적인 작업공간을 생성함에 따라 관의 하측부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난형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공간은, 횡단면 상의 최대수평길이를 포함하는 제1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상부내측공간의 횡단면적이 하측에 위치한 하부내측공간의 횡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난형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공간은, 횡단면 상의 최대수직길이를 포함하는 제2축을 따라,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이 만나는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상부내측공간의 정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하부내측공간의 정점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난형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면 상에 상측방향으로 함입된 지지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난형관.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레진 난형관 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관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관부는, 상기 확관부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난형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부는, 외주면 상에 오링이 안착되도록 일정한 단차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을 축소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난형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는, 상기 축관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공간과 연통되는 안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난형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은, 일정한 단차로 상기 내측공간의 후측단부보다 확대 형성되어 상기 내측공간과 연통되는 제1안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난형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제1안착공간의 후측단부와 연결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안착공간의 횡단면적이 확대되는 제2안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난형관.
KR1020180097497A 2018-08-21 2018-08-21 레진 난형관 KR102033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97A KR102033464B1 (ko) 2018-08-21 2018-08-21 레진 난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97A KR102033464B1 (ko) 2018-08-21 2018-08-21 레진 난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464B1 true KR102033464B1 (ko) 2019-10-17

Family

ID=6842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97A KR102033464B1 (ko) 2018-08-21 2018-08-21 레진 난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4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240U (ko) * 1996-10-11 1998-07-15 이종호 하수용 고강성 난형관
KR20030023982A (ko) 2001-09-14 2003-03-26 전형진 콘크리트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30635Y1 (ko) * 2006-08-08 2006-11-10 김우빈 냉매배관 연결장치
KR101412093B1 (ko) * 2014-01-08 2014-06-26 주식회사 파스텍 관로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240U (ko) * 1996-10-11 1998-07-15 이종호 하수용 고강성 난형관
KR20030023982A (ko) 2001-09-14 2003-03-26 전형진 콘크리트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30635Y1 (ko) * 2006-08-08 2006-11-10 김우빈 냉매배관 연결장치
KR101412093B1 (ko) * 2014-01-08 2014-06-26 주식회사 파스텍 관로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256B2 (en) Smooth interior water collection and storage assembly
US4170248A (en) Method for repairing sewer pipes
US9580898B2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US3428077A (en) Soil and surface water disposal system
US20160363248A1 (en) Pipe fitting
JP2009180019A (ja) 透水セグメントおよびこの透水セグメントを用いたトンネル
US10214892B2 (en) Wastewater pipe structure
KR100873007B1 (ko) 보강수단을 갖는 합성수지 관
KR102033464B1 (ko) 레진 난형관
KR102169152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정화조 거푸집
KR200417094Y1 (ko) 원형맨홀
JP2006090047A (ja) マンホール直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KR100635233B1 (ko) 도로의 침하방지용 맨홀
JP2006194033A (ja) マンホール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371151B1 (ko) 밸브실
KR20060109377A (ko) 현장제관 관로 설치공법
US20080040989A1 (en) Pipe construction kit for sewer pipeline
KR200315928Y1 (ko) 맨홀용 거푸집 구조
JP2694203B2 (ja) 汚水中継槽
CN105952988B (zh) 薄壁内衬钢质管道
JP2012162855A (ja) スペーサ
KR101104870B1 (ko) 맨홀용 인버터
KR200298291Y1 (ko) 배수구가 형성된 맨홀
KR20000009258U (ko) 보강된 이중벽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