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352A -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352A
KR20110021352A KR1020090079086A KR20090079086A KR20110021352A KR 20110021352 A KR20110021352 A KR 20110021352A KR 1020090079086 A KR1020090079086 A KR 1020090079086A KR 20090079086 A KR20090079086 A KR 20090079086A KR 20110021352 A KR20110021352 A KR 20110021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expansion
sealing
service valv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617B1 (ko
Inventor
박용석
권태생
Original Assignee
희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6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 Housing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으로 유동로(1113)와, 상기 유동로(1113)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끝단까지 연장되며 씰링(170)과 냉매관연결부(710)가 차례로 삽입되는 확장유로(1115)와, 상기 유동로(1113)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확장유로(1115)로 연결되며 확장유로(1115)로 삽입된 씰링(170)의 측부와 접하는 걸림턱면(1117)이 형성되며, 확장유로(1115)에 삽입된 냉매관연결부(710)를 걸림턱면(1117)으로 가압하는 가압너트(151)가 체결되도록 외경면에 수나사(1111)가 형성된 중공체인 제1 분지부(111)를 구비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100) 및 그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관(700)이 압착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다양한 재질로 배관(70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씰링(170)의 변형을 수용하는 요홈(1119)이 형성되므로 씰링(170)의 변형에 의하여 유로 단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조기, 냉매, 씰링

Description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Service Valve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관이 압착되지 않는 구조이며, 가압된 씰링에 의하여 유로 단면적이 감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서비스 밸브는 에어컨이나 냉동기기에 냉매 또는 냉동유를 보충하거나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동 공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것으로 냉동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어 냉매나 냉동유를 보충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서비스 밸브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서비스 밸브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서비스 밸브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냉방 공조 시스템(1000)은 콘덴서(300)와, 팽창부(400)와, 이배퍼레이터(500)와, 압축기(600)와,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여 냉매의 순환 통로가 되는 배관(7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들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각 구성들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밸브(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700)에 연결되어 이배퍼레이터(500)와 압축기(600) 사이에, 그리고 콘덴서(300)와 압축기(600) 사이에 설치된다. 도 1에서 화살표는 냉방 사이클에서 냉매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온방 사이클인 경우에는 반대 방향으로 유동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서비스 밸브(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체인 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네 방향으로 분지된 중공의 제1 분지부(211), 제2 분지부(225), 냉매주입부(223) 및 제3 분지부(217)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지된 구성들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분지부(211)에는 플래어너트(251)가 체결되며, 상기 제1 분지부(211)와 플래어너트(251) 사이에는 배관(700)에서 연장된 냉매관연결부(710)의 확관부(71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분지부(211)에는 외측으로 수나사인 나사부(213)가 형성되며 끝단의 일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플래어너트(25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면에 상기 나사부(213)에 치합하는 암나사인 나사부(253)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253) 외측으로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제1 경사부(255)가 형성된다. 상기 플래어너트(251)가 제1 분지부(211)에 나사 체결될 때, 상기 제1 분지부(211)의 끝단 일부에 테이퍼지게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1 경사부(255) 사이에 냉매관연결부(710)의 확관부(711)가 위치하여, 상기 플래어너트(251)가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분지부(211)의 끝단 일부에 테이퍼지게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1 경사부(255) 사이에서 압착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212는 제1 분지부(211)의 내측으로 형성된 유동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 분지부(225)에는 연결관(701)이 삽입 연결된다. 상기 제2 분지부(225)의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227)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227)에 가압캡(261)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가압캡(261)과 제2 분지부(225) 사이에는 원추체(263)가 위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캡(261)은 내측으로 원추체(263)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부(265)를 구비한다. 상기 원추체(263)는 가압부(265)에 의하여 가압되어 그 상부에서 연결관(701)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냉매관주입부(223)의 외경면에는 수나사인 나사부(224)가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밸브코어(245)가 삽입되고, 내경면에 나사가 형성된 코어캡(243)이 상기 나사부(224)에 체결되어 냉매관주입부(223)를 밀폐하게 된다. 냉매를 주입 보충하거나 주입된 냉매를 방출하는 경우 냉매관주입부(223)로부터 코어캡(243)을 분리하고 밸브코어(245)를 가압하게 된다. 밸브코어(245)의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 분지부(217)에는 외경면으로 수나사인 나사부(221)가 형성되어 캡너트(239)가 체결되며, 내경면으로 암나사인 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외경면으로 수나사인 나사부(233)가 형성된 밸브(23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230)의 상부로 제3 분지부(217) 내측에는 밸브(2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링(238)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밸브(230)에는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씰링(237)이 설치된다. 상기 밸브(230)의 하단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부(231)가 형성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230)의 경사부(231)는 제2 분지부(225)의 상부 모서리가 접촉부(229)와 접촉하면서 본체(210)의 내측에서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분지부(211)에 대하여 제2 분지부(225)와 제3 분지부(217)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분지부(225)에 대하여 제3 분지부(217)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냉매주입부(223)는 제1 분지부(211)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에서 냉매관연결부(710)는 제1 분지부(211)로 연결되는 냉매관(700)의 일부분이며, 냉매관(700)과 같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냉매관(700)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종래에 상기 냉매관(700)과, 냉매관(700)의 연장부인 냉매관연결부(710)는 황동으로 제조되었으며, 이종 재질이 서로 접촉하는 문제(예를 들면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한 연결 부분에서의 누설이나 이종 재질의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부식) 등으로 인하여 상기 서비스 밸브(200)를 이루는 본체(210), 캡너트(239), 밸브(230), 플래어너트(251) 및 코어캡(243)도 황동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황동 재질의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하여 상기 냉매관(700)과, 냉매관(700)의 연장부인 냉매관연결부(710)를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성 재질인 알루미늄 냉매관(700)으로 하는 경우, 플래어너트(251)과 제1 분지부(211) 사이에서 압착되는 확관부(711)에 크랙이 발생하여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낮은 강도로 인하여 과도하게 압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매관이 압착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알루미늄 재질로 냉매관을 제조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도 냉매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냉매관이 과도하게 압착되지 않으며, 씰링의 변형에 의하여 유로가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으로 유동로와, 상기 유동로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끝단까지 연장되며 씰링과 냉매관연결부가 차례로 삽입되는 확장유로와, 상기 유동로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확장유로로 연결되며 확장유로로 삽입된 씰링의 측부와 접하는 걸림턱면이 형성되며, 확장유로에 삽입된 냉매관연결부를 걸림턱면으로 가압하는 가압너트가 체결되도록 외경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중공체인 제1 분지부를 구비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턱면과 확장유로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외향 확장되어, 상기 걸림턱면과 확장유로에 삽입되는 냉매관연결부 사이에서 가압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씰링이 수용되는 환형의 요홈이 형성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내측으로 유동로와, 상기 유동로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끝단까지 연장되며 씰링과 냉매관연결부가 차례로 삽입되는 확장유로와, 상기 유동로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확장유로로 연결되며 확장유로로 삽입된 씰링의 측부와 접하는 걸림턱면이 형성되며, 외경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중공체인 제1 분지부를 구비하는 서비스 밸브와; 내경면에 상기 수나사에 치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분지부에 체결되며,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어 상기 제1 분지부의 단부와 마주하는 중공의 가압부를 구비하는 가압너트와; 상기 가압부와 확장유로에 삽입되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와 제1 분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냉매관연결부와; 상기 냉매관연결부와 걸림턱면에 사이에 위치하여 가압되는 씰링으로 이루어지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 밸브의 확장유로와 걸림턱면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외향 확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되어, 냉매관연결부와 걸림턱면 사이에서 가압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씰링이 수용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홈의 폭은 씰링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서비스 밸브(100)는 배관(700)이 직접 압착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배관(700)을 알루미늄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씰링(170)의 외경 쪽으로 형성되어 씰링(170)의 변형의 변형을 수용하는 요홈(1119) 이 형성되므로 씰링(170)의 변형에 의하여 유로 단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밸브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의 "A" 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가압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에 구비되는 제1 분지부와 씰링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8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가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서 도 6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즉, 서비스 밸브(100)에 삽입되는 냉매관연결부(710)의 축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내향"은 반지름이 감소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외향"은 반지름이 증가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밸브(100)는 중공체인 본체(11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0)는 네 방향으로 분지된 중공의 제1 분지부(111), 제2 분지부(125), 냉매주입부(123) 및 제3 분지부(117)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지된 구성들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분지부(111)에는 가압너트(151)가 체결되며, 상기 제 2 분지부(125)에는 체결되는 가압캡(161)에 의하여 연결관(701)이 삽입 연결되며, 상기 냉매관주입부(123)에는 코어캡(143)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3 분지부(117)에는 캡너트(139)가 나사 체결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124는 냉매관주입부(123)의 외경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인 나사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밸브(100)의 제1 분지부(111)와 냉매관연결부(710)가 연결되는 연결 구조에 대한 것으로, 제1 분지부(111)를 제외한 구성들은 종래 기술과 유사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100)는 중공의 본체(1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1 분지부(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분지부(111)의 내측으로는 유동로(1113)와, 상기 유동로(1113)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끝단까지 연장된 확장유로(1115)와, 상기 유동로(1113)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확장유로(1115)로 연결되는 환상의 걸림턱면(1117)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분지부(111)의 외경면에는 수나사(1111)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유로(1115)에는 환형의 씰링(170)과 냉매관연결부(710)가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씰링(170)은 걸림턱면(1117)과 냉매관연결부(7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밸브(100)의 확장유로(1115)와 걸림턱면(1117)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외향 확장되어 오목하게 요홈(1119)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1119)은 환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홈(1119)의 폭(t1)은 씰링(170)의 두께(t2)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면(1117)으로부터 연장되는 요홈(1119) 부분에는 요홈(1119)의 폭(t1)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부(111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확장유로(1115)와 걸림턱면(1117) 사이에 요홈(1119)을 형성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면(1117)과 냉매관연결부(710) 사이에서 가압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씰링(170) 부분은 요홈(1119)으로 용이하게 수용되어, 가압에 의하여 씰링(170)이 내경쪽으로 확장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요홈(1119)의 폭(t1)을 씰링(170)의 두께(t2)보다 크게 형성하여 요홈(1119)과 씰링(170)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경사부(111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170)의 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져 양측면은 각각 걸림턱면(1117)과 냉매관연결부(710)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씰링(170)의 단면 형태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할 수 있으며, 원형, 타원형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매관연결부(710)의 외경은 확장유로(1115)의 지름보다 작고 유동로(1113)의 지름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걸림턱면(1117)에 걸리게 된다. 상기에서 냉매관연결부(710)와 확장유로(1115)는 헐거운끼워맞춤 관계를 가진다. 물론 상기 냉매관연결부(710)의 외경을 확장유로(1115) 보다 크게 형성하여 확장유로(1115)와 억지끼워맞춤 관계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냉매관연결부(710)의 내경은 유동로(1113)의 지름과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170)의 외경은 확장유로(1115)의 지름보다 작거나, 약간 크게 하여 억지끼워맞춤 관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에서 상기 제1 분지부(111)에는 가압너트(151)가 나사 체결된다. 상기 가압너트(151)는 내경면에 상기 수나사(111)에 치합하는 암나사(1513)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분지부(111)에 체결되며,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어 상기 제1 분지부(111)의 단부와 마주하는 중공의 가압부(1511)를 구비한다.
냉매관(700)의 일부분인 냉매관연결부(710)는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7101)를 구비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7101)가 가압부(1511)와 제1 분지부(111)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측은 가압부(1511)로 삽입되며, 단부를 가지는 타측은 확장유로(1115)로 삽입된다. 상기 걸림돌기(7101)는 가압부(1511)에 걸리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7101)는 가압부(7101)에 제1 분지부(111)의 단부를 향하는 면으로 접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7101)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7101)의 외경은 가압부(15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유로(1115)에 씰링(170)을 삽입한 후, 가압부(1511)에 삽입된 냉매관연결부(710)를 확장유로(1115)에 삽입하고, 가압너트(151)를 제1 분지부(111)에 체결하면, 가압너트(151)는 도 7에서 우측으로 전진하며, 냉매관연결부(710)의 걸림돌기(7101)도 가압부(1511)에 걸리어 냉매관연결 부(710)도 함께 전진하여 씰링(170)은 냉매관연결부(710)의 단부와 걸림턱면(1117)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착되면서 두께는 감소하고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다. 상기 씰링(170)은 양측으로 냉매관연결부(710)의 단부와 걸림턱면(1117)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확장유로(1115)와 걸림턱면(1117) 사이에 요홈(1119)이 형성되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씰링(170)은 요홈(1119)으로 수용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씰링(170)의 내경과 유동로(1113)의 내경 사이에 틈새(t3)를 가지도록 상기 씰링(170)은 그 내경이 유동로(1113)의 내경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권리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로서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서비스 밸브를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서비스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서비스 밸브의 분해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밸브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가압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에 구비되는 제1 분지부와 씰링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가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5)

  1. 내측으로 유동로(1113)와, 상기 유동로(1113)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끝단까지 연장되며 씰링(170)과 냉매관연결부(710)가 차례로 삽입되는 확장유로(1115)와, 상기 유동로(1113)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확장유로(1115)로 연결되며 확장유로(1115)로 삽입된 씰링(170)의 측부와 접하는 걸림턱면(1117)이 형성되며, 확장유로(1115)에 삽입된 냉매관연결부(710)를 걸림턱면(1117)으로 가압하는 가압너트(151)가 체결되도록 외경면에 수나사(1111)가 형성된 중공체인 제1 분지부(1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면(1117)과 확장유로(1115)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외향 확장되어, 상기 걸림턱면(1117)과 확장유로(1115)에 삽입되는 냉매관연결부(710) 사이에서 가압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씰링(170)이 수용되는 환형의 요홈(111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100).
  3. 내측으로 유동로(1113)와, 상기 유동로(1113)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끝단까지 연장되며 씰링(170)과 냉매관연결부(710)가 차례로 삽입되는 확장유로(1115)와, 상기 유동로(1113)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확장유로(1115)로 연결되며 확장유로(1115)로 삽입된 씰링(170)의 측부와 접하는 걸림턱면(1117) 이 형성되며, 외경면에 수나사(1111)가 형성된 중공체인 제1 분지부(111)를 구비하는 서비스 밸브(100)와; 내경면에 상기 수나사(111)에 치합하는 암나사(1513)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분지부(111)에 체결되며,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어 상기 제1 분지부(111)의 단부와 마주하는 중공의 가압부(1511)를 구비하는 가압너트(151)와; 상기 가압부(1511)와 확장유로(1115)에 삽입되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1151)와 제1 분지부(11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부(1511)에 의하여 가압되는 걸림돌기(7101)를 가지는 냉매관연결부(710)와; 상기 냉매관연결부(710)와 걸림턱면(1117)에 사이에 위치하여 가압되는 씰링(1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밸브(100)의 확장유로(1115)와 걸림턱면(1117)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외향 확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되어, 확장유로(1115)와 걸림턱면(1117) 사이에서 가압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씰링(170)이 수용되는 요홈(111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1119)의 폭은 씰링(17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연결 구조.
KR1020090079086A 2009-08-26 2009-08-26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KR101111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86A KR101111617B1 (ko) 2009-08-26 2009-08-26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86A KR101111617B1 (ko) 2009-08-26 2009-08-26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352A true KR20110021352A (ko) 2011-03-04
KR101111617B1 KR101111617B1 (ko) 2012-02-14

Family

ID=4393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086A KR101111617B1 (ko) 2009-08-26 2009-08-26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6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9270A1 (en) 2011-07-12 2013-01-17 Valf Sanayii A.S. A valve combined is integrated to the service valve with quick coupling and an internal core
CN107101288A (zh) * 2017-03-28 2017-08-29 广西圣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7449117A (zh) * 2017-03-28 2017-12-08 广西圣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设备
CN107449056A (zh) * 2017-03-28 2017-12-08 广西圣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107514511A (zh) * 2017-09-21 2017-1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管路连接组件、管路结构及空调器
CN109084057A (zh) * 2018-10-12 2018-12-25 浙江易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螺母单向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839A (ja) * 2001-03-15 2002-09-27 Sony Corp データアクセス管理システム、メモリ搭載デバイス、およびデータアクセス管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305354Y1 (ko) * 2002-11-26 2003-02-25 김판곤 에어컨 및 냉동기용 냉매관 연결밸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9270A1 (en) 2011-07-12 2013-01-17 Valf Sanayii A.S. A valve combined is integrated to the service valve with quick coupling and an internal core
CN107101288A (zh) * 2017-03-28 2017-08-29 广西圣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7449117A (zh) * 2017-03-28 2017-12-08 广西圣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设备
CN107449056A (zh) * 2017-03-28 2017-12-08 广西圣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107514511A (zh) * 2017-09-21 2017-1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管路连接组件、管路结构及空调器
CN109084057A (zh) * 2018-10-12 2018-12-25 浙江易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螺母单向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617B1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617B1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KR20090054490A (ko)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US8827318B2 (en) Fluid passage connecting device and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40116627A (ko) 플레어 너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120062207A (ko) 냉매관 연결장치
KR101153412B1 (ko) 공기 조화기용 서비스밸브
KR101067445B1 (ko)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KR100927104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KR200394121Y1 (ko)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밀봉캡 설치구조
KR100737159B1 (ko)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연결구조
US20130193683A1 (en) High pressure fitting
KR100346634B1 (ko)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
KR100955944B1 (ko) 공조기용 서비스 밸브
JP2007198549A (ja) 冷凍サイクルの配管用継手
KR100894311B1 (ko) 열교환기 시스템용 필터드라이어
KR10144811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냉매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460236Y1 (ko) 가스배관 연결장치
JP2019065987A (ja) 配管接続構造
KR20110001999A (ko) 에어컨 호스의 결합구조
CN219154191U (zh) 一种汽车空调管路压板结构
EP3767137B1 (en) Gasket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US11054155B2 (en) Resin-coated aluminum pipe connector fo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KR101394790B1 (ko) 서비스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8848B1 (ko) 파이프 결합구조
CN118167851A (zh) 管路连接组件及热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