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848B1 - 파이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848B1
KR101418848B1 KR1020070130744A KR20070130744A KR101418848B1 KR 101418848 B1 KR101418848 B1 KR 101418848B1 KR 1020070130744 A KR1020070130744 A KR 1020070130744A KR 20070130744 A KR20070130744 A KR 20070130744A KR 101418848 B1 KR101418848 B1 KR 10141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ealing
pipe
fluid passag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403A (ko
Inventor
황동우
이용흥
박대근
김형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8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매뿐만 아니라 일반 유체의 미세한 누설 방지, 즉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이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소통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를 서로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 통로가 구비되고, 일측에 실링면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면에 상기 유체 통로와 연통되게 돌출 형성된 돌출관부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면의 반대측면에 상기 제1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유체 통로에 결합되는 메일 플랜지와; 상기 돌출관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유체가 통과하도록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관부 주변의 실링면에 대응하여 상기 유체 통로의 주변에 대응 실링면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관부가 삽입된 유체 통로의 반대측에 상기 제2 파이프의 단부가 결합되는 피메일 플랜지와; 상기 메일 플랜지의 실링면과 상기 피메일 플랜지의 대응 실링면 사이에 안착 배치되어, 상기 메일 플랜지와 피메일 플랜지의 체결력에 의해 가압 밀착되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조립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조립위치 세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 결합, 실링

Description

파이프 결합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매뿐만 아니라 일반 유체의 미세한 누설 방지, 즉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체류나 기체류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금속 파이프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 파이프는 이송체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거리의 장단에 따라서 파이프와 파이프를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하여 이송 거리를 연장하거나 또는 공정시스템에 있어서 각 공정단계의 시스템으로부터 성형된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이송회로망을 형성하게 된다.
일례로,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 이용되는 냉각시스템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 이 냉각시스템은 구성품인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냉매 파이프로써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냉매 순환 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매 파이프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각 구성품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응축기측에서 연장된 냉매 파이프와 팽창밸브측에서 연장된 냉매 파이프를 서로 맞대어 접속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전술한 냉각시스템의 구성품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엔진룸내에 1차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가 설치하고, 이후 각 구성품으로부터 연장된 냉매 파이프를 서로 맞대어 접속 연결함으로써 냉매 순환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품들을 먼저 설치한 후 구성품간의 냉매 파이프끼리 접속 연결하는 이유는, 예기치 못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구성품을 교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엔진룸 장착 전에 냉매 파이프에 의해 상기 구성품들이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어셈블리로 제작하지 않는다.
한편, 냉매 파이프끼리의 접속 연결구조는,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구성품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여야 관계로, 분리의 용이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용접 방법을 이용하는 대신에 플랜지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많이 채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냉매가 소통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냉매 파이프(10)와 제2 냉매 파이프(40)를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 냉매파이프끼리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플랜지를 이용한 종래 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통로(21)와 연통되게 형성된 돌출관부(22)를 갖는 메일 플랜지(20)와, 돌출관부(22)가 삽입되는 유체 통로(31)가 관통된 피메일 플랜지(30)로 이루어져 있다.
메일 플랜지(20)의 돌출관부(22)의 반대측 유체통로(21)에는 제1 냉매 파이프(10)가 삽입 결합되어 있고, 피메일 플랜지(30)의 돌출관부(22)가 삽입되는 반대측 유체통로(31)에는 제2 냉매 파이프(30)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돌출관부(22)의 외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요입홈(2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입홈(22a)에 대응되는 피메일 플랜지(30)의 유체통로(31)의 개구부측 내면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수용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입홈(22a)과 수용부(31a)에는 돌출관부(22)를 에워싸도록 링형상의 실링부재(25)가 내재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4는 메일 플랜지(20)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이고, 부호 34는 피메일 플랜지(30)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이며, 부호 50은 상기 결합공(24)(34)를 관통하는 결합볼트이며, 부호 51은 결합볼트(50)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너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이프 결합구조에 따르면, 실링부재(25)의 일부는 돌출관부(22)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입홈(22a)에, 실링부재(25)의 나머지는 상기 요홈(22a)에 대응되는 피메일 플랜지(30)의 유체 통로(31)의 내측벽면에 형성된 단차지게 형성된 수용부(31a)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볼트(50)에 의해 결합되는 메일/피메일 플랜지(20)(30)의 상호 체결력이 작용하는 방향(g,g1)과, 요입홈(22a)과 수용부(31a)에 의해 작용하는 밀착 방향(f,f1)이 서로 상이한 관계로 실링부재(25)는 비틀어지면서 압착되며, 실링 성능이 저하되어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언하면,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결합볼트(50)에 의해 결합되는 메일/피메일 플랜지(20)(30)의 상호 체결력이 작용하는 방향(g,g1)과, 요입홈(22a)과 수용부(31a)에 의해 작용하는 밀착 방향(f,f1)중 g,g1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보다는 f,f1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대부분 실링부재(25)가 가압 밀착되기 때문에 링부재(25)의 외면과 요입홈(22a) 또는 수용부(31a)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되는 등 실링 성능이 저하되어 냉매가 미세하게 누설된다.
한편, 전술한 종래 기술 이외에도 도 1과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관부(22)의 중앙부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요입홈(22a)만을 형성한 종래 기술에서는, 실링부재(25)의 일부가 돌출관부(22)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입홈(22a)에, 실링부재(25)의 나머지는 요입홈(22a)에 대응되는 피메일 플랜지(30)의 유체 통로(31)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볼트(50)에 의해 결합되는 메일/피메일 플랜지(20)(30)의 상호 체결력이 작용하는 방향(g,g1)과, 요입홈(22a)과 유체통로(31)의 내벽면에 의해 작용하는 밀착 방향(h,h1)이 서로 상이한 관계로 실링부재(25)는 비틀어지면서 압착되며, 실링 성능이 저하되어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언하면, 결합볼트(50)에 의해 결합되는 메일/피메일 플랜지(20)(30)의 상호 체결력이 작용하는 방향(g,g1)과, 요입홈(22a)과 수용부(31a)에 의해 작용하는 밀착 방향(h,h1)중 g,g1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보다는 h,h1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대부분 실링부재(25)가 가압 밀착되기 때문에 실링부재(25)의 외면과 요입홈(22a) 또는 유체통로(31)의 내벽면과의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되는 등 실링 성능이 저하되어 냉매가 미세하게 누설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차량의 냉각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매뿐만 아니라 일반 유체의 미세한 누설 방지, 즉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이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소통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를 서로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 통로가 구비되고, 일측에 실링면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면에 상기 유체 통로와 연통되게 돌출 형성된 돌출관부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면의 반대측면에 상기 제1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유체 통로에 결합되는 메일 플랜지와; 상기 돌출관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유체가 통과하도록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관부 주변의 실링면에 대응하여 상기 유체 통로의 주변에 대응 실링면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관부가 삽입된 유체 통로의 반대측에 상기 제2 파이프의 단부가 결합되는 피메일 플랜지와; 상기 메일 플랜지의 실링면과 상기 피메일 플랜지의 대응 실링면 사이에 안착 배치되어, 상기 메일 플랜지와 피메일 플랜지의 체결력에 의해 가압 밀착되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조립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조립위치 세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결합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의 냉각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매뿐만 아니라 일반 유체의 미세한 누설 방지, 즉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실링부재의 조립 위치를 세팅함으로써, 메일 플랜지와 피메일 플랜지의 상호 결합시 또는 메일 플랜지의 운반시 실링부재가 조립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가이드 리브에 슬릿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돌출관부의 외곽에 에워싸도록 설치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체가 소통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를 서로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일 플랜지(Male Flange)(300)와 피메일 플랜지(Female Flange)(400)와 실링부재(500)와 조립위치 세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중 메일 플랜지(300)는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 통로(310)가 구비되고, 일측에 실링면(301)이 구비되며, 실링면(301)에 유체 통로(310)와 연통되게 돌출 형성된 돌출관부(320)가 구비되며, 실링면(301)의 반대측면(302)에 제1 파이프(100)의 단부가 유체 통로(310)에 결합된다.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은 평탄한 형상의 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관부(320)는 유체 통로(310)와 연통되게 돌출 형성되되, 실링 면(301)과 직각이 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외관 형상은 일례로 원통형 파이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나, 원통형 파이프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피메일 플랜지(400)의 유체 통로(410)의 내부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그리고, 돌출관부(320)의 유체 통로(320a)와 메일 플랜지(300)의 유체 통로(310)는 동일한 내경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 반대측에는 유체 통로(3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파이프(100)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파이프 결합부(311)가 구비된다.
여기서, 파이프 결합부(311)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1 파이프(100)를 직접 유체 통로(310)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삽입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메일 플랜지(300)의 돌출관부(320)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결합공(330)이 유체 통로(310)의 관통 방향과 동일하게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유체 통로(310)와 나란하게 관통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중 피메일 플랜지(400)는, 메일 플랜지(300)의 돌출관부(320)가 삽입됨과 아울러 유체가 통과하도록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 통로(410)가 구비되고, 돌출관부(320) 주변의 실링면(301)에 대응하여 유체 통로(410)의 주변에 대응 실링면(401)이 구비되며, 돌출관부(320)가 삽입된 유체 통로(410)의 반대측에 제2 파이프(200)의 단부가 결합된다.
그리고, 피메일 플랜지(400)의 실링면(401)은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면접촉이 되게 평탄한 형상의 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메일 플랜지(400)의 유체통로(410)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결합공(430)이 유체 통로(410)의 관통 방향과 동일하게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유체 통로(410)와 나란하게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피메일 플랜지(400)의 실링면(401) 반대측에는 유체 통로(4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파이프(200)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파이프 결합부(411)가 구비된다.
여기서, 파이프 결합부(411)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2 파이프(200)를 직접 유체 통로(410)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삽입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메일 플랜지(300)의 돌출관부(320)를 피메일 플랜지(400)의 유체 통로(410)내로 삽입하여,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이 서로 접촉되도록 조립한 후, 메일 플랜지(300)의 결합공(330)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결합공(43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 다음, 결합볼트(600)를 결합공(330)(430)으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결합 너트(610)를 결합볼트(600)에 나사 결합하게 되면,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메일 플랜지(300)에 결합공(330)을 관통 형성한 경우에는 피메일 플랜지(400)에 결합공(430)을 형성하지 않고 요입 형태의 결합 나사홈을 형 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피메일 플랜지(400)에 결합공(430)을 관통 형성한 경우에는 메일 플랜지(300)에 결합공(330)을 형성하지 않고 요입 형태의 결합 나사홈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 너트(61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구성중 실링부재(500)는, 압축 및 압축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되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중 일례로 고무가 사용될 수 있는 바, 그 외관 형상은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원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반드시 원형 단면 구조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상기 실링부재(5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데, 그 일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입의 링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원형 타입 이외에 각형 타입의 링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링부재(500)의 내경은 본 발명의 돌출관부(320)의 외부를 에워싸도록, 돌출관부(3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링부재(500)는 전술한 결합 볼트(600)의 조립전에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 사이에 안착 배치되는 것으로, 메일 플랜지(300)와 피메일 플랜지(400)의 체결력에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과 접촉되면서 가압 밀착된다.
즉, 본 발명의 실링부재(500)가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 사이에 안착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실링부재(500)가 가압되는 방향이 메일 플랜지(300)와 피메일 플랜지(400)의 체결력(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B)이 작용하는 방향과 일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실링 성능이 향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구성중 조립위치 세팅수단은, 실링부재(500)의 조립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는 실링부재(50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리브(510)가 돌출 형성되고, 실링부재(500)가 돌출관부(32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돌출관부(320)의 외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가이드 리브(510)가 삽입되는 요홈(3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이드 리브(510)의 내경(D1)은 돌출관부(320)의 외경(D2)보다 크게 형성되고, 요홈(321)의 외경(D3)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홈(321)이 돌출관부(320)에 형성되는 위치는 실링부재(500)가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상에 접촉되는 상태로 안착되어 조립 위치가 세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 리브(510)의 휘어짐 정도를 고려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메일 플랜지(300)에 실링부재(500)와 가이드 리브(510)를 조립시, 돌출관부(320)의 중심과 실링부재(500)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실링부재(500)를 실링면(301)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가이드 리브(510)의 내경(D1)이 돌출관부(320)의 외경(D2)보다 크기 때문에 가이드 리브(510)는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돌출관부(320)의 외면과 접촉되면서 실링부재(50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 며, 가이드 리브(510)가 돌출관부(320)의 요홈(321)내에 삽입되게 되면 실링부재(500)가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상에 안착되어 조립 위치가 세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리브(510)가 실링부재(500)의 조립 위치를 세팅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메일 플랜지(300)와 피메일 플랜지(400)의 상호 결합시 또는 피메일 플랜지(400)가 조립되지 않은 단독의 메일 플랜지(300)의 운반시 실링부재(500)가 조립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있다.
여기서, 가이드 리브(510)는 탄력에 의해 휨성을 가진 것으로, 실링부재(500)와 일체로 사출 성형 제작되며, 실링부재(500)와 동일한 재질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요홈(321)의 폭(W1)은 돌출관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리브(510)의 폭(W2)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는바, 그 이유는 가이드 리브(510)가 요홈(321)내에서 돌출관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실링부재(500)의 조립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세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실링부재(500)와 가이드 리브(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사출 성형시 상하 금형이 맞닿는 부분으로 인해 성형품에 라인처럼 생긴 자국인 파팅라인(경계선)(500c)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500)의 실링면(500a)(500b) 이외에 외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파팅라인이 실링면(500a)(500b)상에 형성되도록 할 경우에는 상하 금형의 분리시 생기는 파팅라인에 의해 냉매 누설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링부재(500)의 구성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510)에는 다수의 슬릿(511)을 형성할 수 있는바, 이 슬릿(511)은 실링부재(500)를 돌출관부(320)의 외곽에 이를 에워싸도록 설치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메일 플랜지(300)에 실링부재(500)와 가이드 리브(510)를 조립시, 돌출관부(320)의 중심과 실링부재(500)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실링부재(500)를 실링면(301)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가이드 리브(510)의 내경(D1)이 돌출관부(320)의 외경(D2)보다 크고 슬릿(5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리브(510)는 보다 쉽게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돌출관부(320)의 외면과 접촉되면서 실링부재(50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이에 대응되는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은 메일 플랜지(300)와 피메일 플랜지(400)의 체결력에 의해 서로 면접촉되고, 실링부재(500)에 대응되는 위치의 피메일 플랜지(400) 대응 실링면(401)에는 가압 요홈(401a)이 형성되며, 실링부재(500)는 가압 요홈(401a)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가압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실링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유체의 누설량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상에 가압 요홈(401a)을 반드시 구비하지 않고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만으로 실링부재(500)를 가압 밀 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가압 요홈(401a)을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상에 형성하지 않고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상에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압 요홈(401a)과 같은 구성을 실링면(301) 또는 대응 실링면(401)상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에 형성하는 구성 이외에 실링면(301) 또는 대응 실링면(401)상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일 플랜지(300)에 돌출 형성된 돌출관부(320)의 중심과 실링부재(500)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실링부재(500)를 실링면(301)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가이드 리브(510)의 내경(D1)이 돌출관부(320)의 외경(D2)보다 크기 때문에 가이드 리브(510)는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돌출관부(320)의 외면과 접촉되면서 실링부재(50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며, 결국에는 실링부재(500)의 실링면(500a)가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상에 접촉되는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메일 플랜지(300)에 실링부재(500)가 돌출관부(320)의 외곽에 조립된다.
이후, 메일 플랜지(300)의 돌출관부(320)를 피메일 플랜지(400)의 유체 통로(410)내로 삽입하는 과정을 진행하여,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이 서로 접촉되도록 조립한 후, 메일 플랜지(300) 의 결합공(330)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결합공(43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 다음, 결합볼트(600)를 결합공(330)(430)으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결합 너트(610)를 결합볼트(600)에 나사 결합하게 되면,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링부재(500)가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 사이에 안착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실링부재(500)를 가압 밀착하는 요소가 메일 플랜지(300)와 피메일 플랜지(400)의 체결력(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B)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실링부재(500)의 가압 밀착 방향이 메일 플랜지(300)와 피메일 플랜지(400)의 체결력(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B)이 작용하는 방향과 일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실링부재(500)가 비틀어지거나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압축되지 않아 실링 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을 미세한 유체 누설에 대해 테스트하여 본 결과,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 미세한 유체 누설량을 100이라고 하였을 때,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의 미세한 유체 누설량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대략 65.4이었고,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보다는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적은 35.3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이프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링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링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지시선 "C-C"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 파이프
200 : 제2 파이프
300 : 메일 플랜지
301 : 실링면
310 : 유체 통로
320 : 돌출관부
321 : 요홈
400 : 피메일 플랜지
401 : 대응 실링면
410 : 유체 통로
500 : 실링부재
510 : 가이드 리브
511 : 슬릿

Claims (4)

  1. 유체가 소통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를 서로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 통로(310)가 구비되고, 일측에 실링면(301)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면(301)에 상기 유체 통로(310)와 연통되게 돌출 형성된 돌출관부(320)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면(301)의 반대측면(302)에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단부가 상기 유체 통로(310)에 결합되는 메일 플랜지(300)와;
    상기 돌출관부(320)가 삽입됨과 아울러 유체가 통과하도록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 통로(410)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관부(320) 주변의 실링면(301)에 대응하여 상기 유체 통로(410)의 주변에 대응 실링면(401)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관부(320)가 삽입된 유체 통로(410)의 반대측에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단부가 결합되는 피메일 플랜지(400)와;
    상기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상기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 사이에 안착 배치되어, 상기 메일 플랜지(300)와 피메일 플랜지(400)의 체결력에 의해 가압 밀착되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500)와;
    상기 실링부재(500)의 조립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조립위치 세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위치 세팅수단은,
    상기 실링부재(50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리브(51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500)가 상기 돌출관부(32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돌출관부(320)의 외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리브(510)가 삽입되는 요홈(32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510)에는 다수의 슬릿(5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511)은 가이드 리브(510)의 내경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됨과 아울러 가이드 리브(5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파이프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플랜지(300)의 실링면(301)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피메일 플랜지(400)의 대응 실링면(401)은 상기 메일 플랜지(300)와 피메일 플랜지(400)의 체결력에 의해 서로 면접촉되고,
    상기 실링부재(500)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피메일 플랜지(400) 대응 실링면(401)에는 가압 요홈(401a)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가압 요홈(401a)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합구조.
KR1020070130744A 2007-12-14 2007-12-14 파이프 결합구조 KR10141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744A KR101418848B1 (ko) 2007-12-14 2007-12-14 파이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744A KR101418848B1 (ko) 2007-12-14 2007-12-14 파이프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403A KR20090063403A (ko) 2009-06-18
KR101418848B1 true KR101418848B1 (ko) 2014-07-15

Family

ID=4099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744A KR101418848B1 (ko) 2007-12-14 2007-12-14 파이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8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271A (ja) * 1998-06-19 2000-01-11 Denso Corp 配管継手
JP2005042815A (ja) * 2003-07-22 2005-02-17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用配管継手
KR100692992B1 (ko) 2006-04-05 2007-03-12 주식회사 두원공조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및연결방법
JP2007232100A (ja) 2006-03-01 2007-09-13 Calsonic Kansei Corp 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271A (ja) * 1998-06-19 2000-01-11 Denso Corp 配管継手
JP2005042815A (ja) * 2003-07-22 2005-02-17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用配管継手
JP2007232100A (ja) 2006-03-01 2007-09-13 Calsonic Kansei Corp 継手構造
KR100692992B1 (ko) 2006-04-05 2007-03-12 주식회사 두원공조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및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403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1546B2 (en) Sprung coupling
AU2018267610B2 (en) Coupling having tabbed retainer
US5468030A (en) Tube clamp and coupling
KR19990083642A (ko) 관형 결합체
US11781686B2 (en) Quick-fitting pipe fitting assembly
KR20110021352A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WO2008077013A2 (en) Connection of tubes for air conditioning and seal adapted thereto
JP2007192270A (ja) 管継手構造
KR101418848B1 (ko) 파이프 결합구조
KR100927104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CN110657293B (zh) 用于空调系统的块配装件及密封结构
US7108296B2 (en) Fluid quick connector for threaded fluid components
JPH07239082A (ja) ワンタッチ継手
EP3677825B1 (en) Pipeline adapter
US20070170721A1 (en) Interlocking coupling
KR101125446B1 (ko) 에어컨 냉매관 연결용 플랜지 구조
JP2007192368A (ja) 管継手
CN114688259A (zh) 一种膨胀阀及其安装方法
JP2000320680A (ja) 管継ぎ手用シール
KR19990036892U (ko) 관형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