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207A - 냉매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냉매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207A
KR20120062207A KR1020100123365A KR20100123365A KR20120062207A KR 20120062207 A KR20120062207 A KR 20120062207A KR 1020100123365 A KR1020100123365 A KR 1020100123365A KR 20100123365 A KR20100123365 A KR 20100123365A KR 20120062207 A KR20120062207 A KR 20120062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fastening member
clip
connec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천
Original Assignee
성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천 filed Critical 성기천
Priority to KR102010012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2207A/ko
Publication of KR2012006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냉매관을 좀 더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금속관 이외 합성수지관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냉매관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해주는 냉매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냉매관(1)을 연결하는 냉매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4)가 형성되며, 일단부면 또는 양단부면에 상기 관통공(11)보다 확경된 형태의 결합홈(12)이 형성된 연결구(10); 상기 냉매관(1)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는 결합부(31)가 형성되며, 둘레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부재(20); 및 일단에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에 걸려지는 걸림턱(51)이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연결구(10)의 숫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52)가 형성된 고정캡(5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0)이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체결부재(50)의 결합부(31)가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매관 연결장치{A connecter for refrigerant pipe}
본 발명은 냉매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냉매관을 좀 더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금속관 이외 합성수지관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냉매관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해주는 냉매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란 냉매를 상온에서 증발시켜 주변의 대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흡수된 열을 다른 계에 방출하여 주변의 대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대체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모세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일체형과 분리형이 있는데, 그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증발기 및 송풍팬이 구비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응축기 등이 탑재되어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상기의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냉매의 순환을 위하여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관으로 연결 설치한다.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관의 연결은 실외기 측의 냉매관의 일측에 연결구를 용접하고, 실내기 측의 냉매관에 너트를 삽입시켜서 상기 너트를 연결구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실내기 측의 냉매관의 일측은 나팔 형상의 확관부가 형성된다. 연결구는 내부가 관통되어 있고 일측은 냉매관과 용접되며 타측은 상기 확관부의 내주면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확관부의 내주면과 밀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냉매관 연결구조는 연결구를 냉매관에 용접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외기의 진동 등에 의해 용접 부위가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냉매가 누설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되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내기 측의 냉매관에 확관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해야 하므로, 제작이 더욱 번거롭고 성형하는데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나 너트는 일측 냉매관이 타측 냉매관의 확관부에 삽입 고정되도록만 해줄 뿐이며 냉매관을 직접 가압하지 않으므로, 상기 용접부위가 파손될 경우에는 연결구가 냉매관의 연결부위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냉매관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냉매관을 좀 더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금속관 이외 합성수지관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냉매관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해주는 냉매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냉매관(1)을 연결하는 냉매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4)가 형성되며, 일단부면 또는 양단부면에 상기 관통공(11)보다 확경된 형태의 결합홈(12)이 형성된 연결구(10);
상기 냉매관(1)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는 결합부(31)가 형성되며, 둘레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부재(20); 및
일단에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에 걸려지는 걸림턱(51)이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연결구(10)의 숫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52)가 형성된 고정캡(5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0)이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체결부재(50)의 결합부(31)가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홈(12)의 내주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20)의 결합부(31)는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홈(12)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20)의 내주면에는 상기 냉매관(1)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체결돌기(33)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부(31)로 갈수록 확장되는 나사부(32)가 형성된 클립(30)과,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클립(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4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0)의 걸림턱(51)이 상기 조임너트(40)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둘레부 중앙에는 이탈방지턱(35)이 돌출 형성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결합부(31)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부(36)가 형성된 클립(30)과,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클립(30)의 테이퍼부(36)에 끼워져서 클립(30)을 냉매관(1)에 고정시키는 가압링(7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0)의 걸림턱(51)이 상기 가압링(70)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둘레부 중앙에는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를 구성하는 중앙돌출턱(37)이 형성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결합부(31)로 갈수록 확장되는 나사부(32)가 형성된 클립(30)과, 상기 체결부재(20)의 나사부(32)에 나사결합되어 클립(30)을 냉매관(1)에 고정시키는 조임너트(4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0)의 걸림턱(51)이 상기 체결부재(20)의 중앙돌출턱(37)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20)의 중앙돌출턱(37)에는 클립(30)의 결합부(31)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면(38)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50)의 걸림턱(51)은 상기 중앙돌출턱(37)의 테이퍼면(38)과 면접촉하도록 테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관(1)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는 체결부재(20)의 돌출부에 걸려져서 결합홈(12)이 형성된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캡(50)을 구비하여, 종래와 같이 냉매관을 연결할 때 냉매관의 단부를 확관시키지 않고도 냉매관(1)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용접작업도 불필요하여 냉매관의 연결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확관성형 및 용접에 드는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연결구를 냉매관에 용접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용접부위의 파손이나 변형 등에 의한 냉매가스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용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금속 이외의 합성수지관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일측 냉매관의 확관부만 타측 냉매관에 삽입되도록 연결구들이 확관부만을 냉매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은 관체로 이루어진 클립(30)이 조임너트(40)에 의해 가압되어 냉매관(1)의 둘레부에 고정 결합되며 조임너트(40)에 걸려진 고정캡(50)이 연결구(10)에 결합되므로, 연결장치가 냉매관(1)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직접 가압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도 종래에 비해 넓은 면적에 걸쳐 이루어져서 냉매관(1)의 연결이 보다 견고해져서,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한 결합부위의 파손이 더욱 더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연결구(10)의 결합홈(12)의 내주면이 내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결합홈(12)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0)의 결합부(31)도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체결부재(20)가 고정캡(50)에 의해 연결구(10)에 결합될 때 상기 결합부(31)가 결합홈(12)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냉매관(1)을 가압하므로, 냉매관(1)이 좀 더 견고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체결부재(20)의 내주면에는 상기 냉매관(1)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체결돌기(33)가 돌출 형성되어, 조임너트(40)에 의해 체결부재(20)가 조여지면서 체결돌기(33)가 냉매관(1)과 맞물리므로, 냉매관(1)이 더욱 더 견고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는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양단부면에 상기 관통공(11)보다 확경된 형태의 결합홈(12)이 형성된 연결구(10); 냉매관(1)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는 결합부(31)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부재(20); 및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에 걸려져서 체결부재(20)를 상기 연결구(10)에 결합시키는 고정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10)는 원통체 형상이고 내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공(11)이 형성된 것으로, 2개의 냉매관(1)을 상호 연결시키거나 또는 1개의 냉매관(1)을 도시안된 실외기나 실내기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구(10)의 일단부면 또는 양단부면에는 상기 관통공(11)에 비해 확경된 형태의 결합홈(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2)의 내주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결합홈(12)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공(11)과 연결되는 단턱(13)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구(1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20)는 냉매관(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클립(30)과, 이 클립(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40)로 구성된다. 상기 클립(30)은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냉매관(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34)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너트(40)에 의해 조여지면 클립(30)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냉매관(1)을 가압하여 클립(30)이 냉매관(1)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30)은 일단에는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홈(12)과 대응되는 테이퍼형상의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31)의 후방 외주면에는 나사부(32)가 형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32)는 결합부(31)쪽으로 갈수록 확장, 즉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30)의 나사부(32) 내주면에는 냉매관(1)과 맞물리는 복수개의 체결돌기(33)가 돌출되어, 클립(30)이 냉매관(1)을 가압할 때 클립(30)이 보다 효과적으로 냉매관(1)에 고정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조임너트(40)는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클립(30)의 나사부(32)에 나사결합되는데, 그 내주면은 상기 나사부(32)와 대응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때, 조임너트(40)를 클립(30)의 결합부(31)의 반대쪽에서 클립(30) 외주면에 끼우며, 조임너트(40)를 나사부(32)에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조임너트(40)에 의해 가압되는 클립(30)이 냉매관(1)을 가압하게 되며, 클립(30)의 체결돌기(33)가 냉매관(1)의 둘레부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고정캡(50)은 연결구(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관체 형상이며, 일단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걸림턱(51)이 돌출 형성되고, 타단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구(10)의 숫나사부(14)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52)가 형성된다. 이 걸림턱(51)이 상기 조임너트(40)에 걸려진 상태에서 고정캡(50)의 타단부가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고정캡(50)이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조임너트(40)에 결합된 클립(30)이 연결구(10)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클립(30)의 테이퍼형상의 결합부(31)가 연결구(10)의 테이퍼형상의 결합홈(12)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결합부(31)가 냉매관(1)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체결돌기(33)에 의한 결합과 함께 클립(30)을 냉매관(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냉매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냉매관(1)의 외주면에 조임너트(40)와 고정캡(50)을 끼우고, 클립(30)을 냉매관(1)의 단부쪽에 끼우며 조임너트(40)를 클립(30)의 나사부(32)에 나사결합시켜서 클립(30)을 냉매관(1)에 고정 결합시킨다. 이때, 클립(30)의 결합부(31)의 선단으로 냉매관(1) 단부의 둘레부가 노출되도록 하며, 노출된 부분에 오링(60)을 끼운다. 그리고, 클립(30)의 결합부(31)가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고정캡(50)의 암나사부(52)를 연결구(10)의 숫나사부(14)에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고정캡(50)의 걸림턱(51)은 조임너트(40)에 걸려져서 고정캡(50)이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조임너트(40) 및 클립(30)이 연결구(10)쪽으로 이동되며, 클립(30)의 결합부(31)가 연결구(10)의 결합홈(12)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냉매관(1)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냉매관을 연결할 때 냉매관의 단부를 확관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냉매관의 연결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확관성형에 드는 비용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와 같이 연결구를 냉매관에 용접하는 번거로움도 없으므로, 냉매관의 연결작업이 더욱 더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용접부위의 파손이나 변형 등에 의한 냉매가스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일측 냉매관의 확관부만 타측 냉매관에 삽입되도록 연결구들이 확관부만을 냉매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은 관체로 이루어진 클립(30)이 조임너트(40)에 의해 가압되어 냉매관(1)의 둘레부에 고정 결합되며 조임너트(40)에 걸려진 고정캡(50)이 연결구(10)에 결합되므로, 연결장치가 냉매관(1)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직접 가압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도 종래에 비해 넓은 면적에 걸쳐 이루어져서 냉매관(1)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는 전번 실시예와 같은 연결구(10)와, 냉매관(1)에 고정 결합되며 둘레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부재(20)와, 일단부가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에 걸려지며 타단부가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0)와 고정캡(50)은 전번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전번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20)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냉매관(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클립(30)과, 이 클립(3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가압링(70)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립(30)은 일단에 구비되어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끼워지는 결합부(31)와, 중앙 둘레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35)과, 타단에서 상기 이탈방지턱(35)으로 갈수록 확장, 즉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테이퍼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립(30)의 내주면에는 냉매관(1)과 맞물리는 복수개의 체결돌기(33)가 돌출 형성됨은 전번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가압링(70)은 클립(30)의 테이퍼부(36)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를 구성한다. 이 가압링(70)의 내주면은 클립(30)의 테이퍼부(36)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압링(70)을 클립(30)에 가결합한 상태에서 고정캡(50)을 연결구(10)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고정캡(50)의 걸림턱(51)이 가압링(70)에 걸려져서, 고정캡(50)이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가압링(70)이 클립(30)의 테이퍼부(36)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클립(30)을 가압하여, 클립(30)이 직경이 작아지면서 냉매관(1)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가압링(70)은 클립(30)의 이탈방지턱(35)에 걸려져서 결합부(31)쪽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압링(70)을 체결부재(20)의 테이퍼부(36)로 슬라이드 삽입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냉매관(1) 연결이 보다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냉매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냉매관을 연결하는 과정은 전번 실시예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는 연결구(10)와, 냉매관(1)에 고정 결합되며 둘레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부재(20)와, 일단부가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에 걸려지며 타단부가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10)는 전번 실시예들과 유사하나, 결합홈(12)의 입구측 둘레부면에는 링 형상의 패킹(16)이 삽입되는 패킹홈(15)이 링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20)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냉매관(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클립(30)과, 이 클립(30)을 냉매관(1)에 고정 결합시키는 조임너트(40)로 구성된다. 상기 클립(30)은 일단부에 연결구(10)의 결합홈(12)과 대응되는 테이퍼형상의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중앙 둘레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중앙돌출턱(37)이 형성되며, 타단 외주면에 나사부(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돌출턱(37)은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32)는 클립(30)의 타단에서 중앙돌출턱(37)쪽으로 갈수록 확장, 즉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조임너트(40)의 내주면도 나사부(3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조임너트(40)를 조임에 따라 클립(30)의 체결돌기(33)가 냉매관(1)에 맞물림으로써 클립(30)이 냉매관(1)에 고정 결합되는 것은 전번 실시예들과 같다.
한편, 상기 중앙돌출턱(37)에는 클립(30)의 결합부(31)쪽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면(3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돌출턱(37)에 걸려지는 고정캡(50)의 걸림턱(51)은 상기 중앙돌출턱(37)의 테이퍼면(38)과 면접촉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30)의 결합부(31)와 중앙돌출턱(37) 사이에는 연결구(10)의 결합홈(12)의 둘레부면과 면접하는 경계면(39)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의 둘레부면에 형성된 패킹홈(15)에 삽입된 패킹(16)이 상기 경계면(39)과 접하여 연결구(10)와 클립(30)의 결합부위를 밀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냉매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냉매관(1)에 조임너트(40)와 고정캡(50)을 끼우고, 클립(30)을 냉매관(1)의 단부쪽에 끼우며 조임너트(40)를 클립(30)의 나사부(32)에 나사결합시켜서 클립(30)을 냉매관(1)에 고정 결합시킨다. 이때, 클립(30)의 결합부(31)의 선단으로 냉매관(1) 단부의 둘레부가 노출되도록 하며, 노출된 부분에 오링(60)을 끼운다. 그리고, 클립(30)의 결합부(31)가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고정캡(50)의 암나사부(52)를 연결구(10)의 숫나사부(14)에 나사결합시킨다. 고정캡(50)이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클립(30)의 중앙돌출턱(37)의 테이퍼면(38)이 고정캡(50)의 걸림턱(51)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클립(30)의 결합부(31)가 연결구(10)의 결합홈(12)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결합부(31)가 냉매관(1)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냉매관(1)이 연결구(10)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번 실시예에서만 연결구(10)에 패킹홈(15)과 패킹(16)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전번 실시예들에서도 상기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에서, 도시안된 연결구(10)의 반대쪽에도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냉매관(1)을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구(10)의 반대쪽에 결합홈(12)이 아닌 나사결합부가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나 실내기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냉매관(1)을 연결하는 냉매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4)가 형성되며, 일단부면 또는 양단부면에 상기 관통공(11)보다 확경된 형태의 결합홈(12)이 형성된 연결구(10);
    상기 냉매관(1)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는 결합부(31)가 형성되며, 둘레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부재(20); 및
    일단에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에 걸려지는 걸림턱(51)이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연결구(10)의 숫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52)가 형성된 고정캡(5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0)이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체결부재(50)의 결합부(31)가 연결구(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홈(12)의 내주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20)의 결합부(31)는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홈(12)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의 내주면에는 상기 냉매관(1)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체결돌기(33)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부(31)로 갈수록 확장되는 나사부(32)가 형성된 클립(30)과,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클립(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4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0)의 걸림턱(51)이 상기 조임너트(40)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둘레부 중앙에는 이탈방지턱(35)이 돌출 형성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결합부(31)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부(36)가 형성된 클립(30)과,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클립(30)의 테이퍼부(36)에 끼워져서 클립(30)을 냉매관(1)에 고정시키는 가압링(7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0)의 걸림턱(51)이 상기 가압링(70)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둘레부 중앙에는 상기 체결부재(20)의 돌출부를 구성하는 중앙돌출턱(37)이 형성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결합부(31)로 갈수록 확장되는 나사부(32)가 형성된 클립(30)과, 상기 체결부재(20)의 나사부(32)에 나사결합되어 클립(30)을 냉매관(1)에 고정시키는 조임너트(4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0)의 걸림턱(51)이 상기 체결부재(20)의 중앙돌출턱(37)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의 중앙돌출턱(37)에는 클립(30)의 결합부(31)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면(38)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50)의 걸림턱(51)은 상기 중앙돌출턱(37)의 테이퍼면(38)과 면접촉하도록 테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연결장치.
KR1020100123365A 2010-12-06 2010-12-06 냉매관 연결장치 KR20120062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365A KR20120062207A (ko) 2010-12-06 2010-12-06 냉매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365A KR20120062207A (ko) 2010-12-06 2010-12-06 냉매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07A true KR20120062207A (ko) 2012-06-14

Family

ID=4668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365A KR20120062207A (ko) 2010-12-06 2010-12-06 냉매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220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30B1 (ko) * 2012-09-07 2014-07-25 성기천 공기조화기용 냉매 관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WO2018070675A1 (ko) * 2016-10-13 2018-04-19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WO2018070674A1 (ko) * 2016-10-13 2018-04-19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WO2018074686A1 (ko) * 2016-10-17 2018-04-26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09990148A (zh) * 2019-05-06 2019-07-0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催化消声器管口密封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30B1 (ko) * 2012-09-07 2014-07-25 성기천 공기조화기용 냉매 관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CN109804498B (zh) * 2016-10-13 2022-08-02 三星Sdi株式会社 电池模块
WO2018070674A1 (ko) * 2016-10-13 2018-04-19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80040923A (ko) * 2016-10-13 201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09804498A (zh) * 2016-10-13 2019-05-24 三星Sdi株式会社 电池模块
EP3528336A4 (en) * 2016-10-13 2020-05-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0978753B2 (en) 2016-10-13 2021-04-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O2018070675A1 (ko) * 2016-10-13 2018-04-19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1749853B2 (en) 2016-10-13 2023-09-05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O2018074686A1 (ko) * 2016-10-17 2018-04-26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1949077B2 (en) 2016-10-17 2024-04-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N109990148A (zh) * 2019-05-06 2019-07-0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催化消声器管口密封装置
CN109990148B (zh) * 2019-05-06 2024-05-0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催化消声器管口密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9947B1 (en) Method for connecting refrigerant pipe to a refrigerant pipe connection part
KR20120062207A (ko) 냉매관 연결장치
JP5782075B2 (ja) コネクタ
KR101039503B1 (ko) 냉매관 연결구
KR101440223B1 (ko) 에어컨 냉매관 연결용 서비스 밸브
KR101239406B1 (ko) 에어컨 냉매파이프 연결용 아답터 및 이를 이용한 냉매파이프 연결 방법
KR101111617B1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KR102021912B1 (ko) 플레어 너트 어셈블리
KR101183755B1 (ko) 냉매관 연결구
KR20200049964A (ko) 차량용 냉각수 배관의 연결기구
US20090026760A1 (en) Hose coupling assembly
JP2010048373A (ja) フレアナット、これを備えた冷媒配管、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凍装置
KR101055938B1 (ko)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된 알루미늄피복관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JP2008101788A (ja) 冷凍サイクルの配管用継手
KR200158626Y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연결구조
JP2007162742A (ja) 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20086787A (ko) 냉매관 연결구
KR101215698B1 (ko) 서비스 밸브
JP2018146027A (ja) 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空調システム
KR101391839B1 (ko) 에어컨 냉매관 연결장치
KR101067445B1 (ko)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KR101387597B1 (ko) 에어컨 냉매관로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0129559Y1 (ko)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관접속장치
KR102062153B1 (ko) 액화가스 배관용 커플링 어세이
KR20100052787A (ko) 공조시스템의 배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