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207B1 -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207B1
KR102440207B1 KR1020210118294A KR20210118294A KR102440207B1 KR 102440207 B1 KR102440207 B1 KR 102440207B1 KR 1020210118294 A KR1020210118294 A KR 1020210118294A KR 20210118294 A KR20210118294 A KR 20210118294A KR 102440207 B1 KR102440207 B1 KR 10244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upport
drain pipe
inner tube
pi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인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인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인공조
Priority to KR102021011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는 외관과 내관을 포함하는 이중관 형태로 제공되는 배수관을 배수트랩 내부에 연결하여 설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내관이 삽입되는 내관 삽입부; 상기 내관 삽입부의 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내관 삽입부와 연결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서 상기 연결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수트랩에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내관 삽입부를 통과한 상기 내관이 삽입되는 지지 돌출부재; 상기 지지 돌출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밀착 고정캡; 및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관 삽입부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관의 외면을 지지하는 외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DRAIN PIPE CONNECTOR AND DRAIN TRAPS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랩은 우수관과 배수관을 동시에 수용하여 베란다용 발코니 드레인 혹은 볼텍스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수트랩은 내부에 삽입되는 소구경의 배수 유입부를 폐쇄하여 콘크리트 몰탈 내에 매립 설치되어 우수와 오/배수를 자연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설비들, 예를 들어, 보일러, 냉동고, 정수기, 에어컨 등의 경우 운전 중 폐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폐수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이 설비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폐수가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의 경우 층수가 높아질수록 단순히 배수관을 실외로 노출시키는 것만으로는 폐수를 버리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배수관을 통해 폐수를 버리기 위한 루트가 필요해지는데, 그 대안으로서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이 사용될 수 있다. 배수트랩의 경우 배수트랩에 형성된 배수구에 배수관의 출구를 삽입하여 배수트랩을 통해 폐수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배수관을 배수트랩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결할 경우, 배수 트랩에 형성된 배수구는 배수관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주로 콘크리트 내에 매립 설치된 상태의 배수트랩에 배수관을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폐수가 배수관이 매립된 천정으로 역류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배수관의 내관의 수명이 다했거나, 파손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배수관과 배수트랩을 연결하는 지점의 바닥 및 벽면 등을 모두 깨부수어서 연결 지점을 노출시켜야만 교체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배수관의 내관의 교체과 완료되더라도 이미 파손된 바닥 및 벽면 등을 원상태로 복구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교체 접을 수행하는 동안 해당 장소를 이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작업 시간도 불필요하게 길어져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관을 간결한 방식으로 배수트랩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고, 배수관의 내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배수관이 매립된 바닥 및 벽면 등을 부술 필요가 없는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는 외관과 내관을 포함하는 이중관 형태로 제공되는 배수관을 배수트랩 내부에 연결하여 설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내관이 삽입되는 내관 삽입부; 상기 내관 삽입부의 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내관 삽입부와 연결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서 상기 연결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수트랩에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내관 삽입부를 통과한 상기 내관이 삽입되는 지지 돌출부재; 상기 지지 돌출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밀착 고정캡; 및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관 삽입부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관의 외면을 지지하는 외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외관 지지부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외관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 및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결합돌기는 복수 개가 상기 바디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외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원주방향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결합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서 반경방향외측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 돌출부와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제3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돌출부가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3 결합 돌출부가 돌출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가 압입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체결돌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3 결합 돌합돌출부가 상기 체결돌기의 반경방향 내면을 가압하고, 상기 제2 결합 돌출부가 상기 체결 돌기의 원주방향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지지리브는 복수 개가 상기 바디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지지 돌출부; 상기 제1 지지 돌출부의 돌출된 단부에서 상기 결합돌기가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연장부; 및 상기 지지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2 지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외관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상기 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 돌출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외관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리브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밀착 고정캡과 상기 지지 돌출 부재 사이에는 패킹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패킹 부재는 스냅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냅링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구비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경이 상기 내관 삽입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지지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돌기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내관이 상기 내관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밀착 고정캡이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에서 상기 밀착 고정캡은 상기 내관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바디파트 및 상기 바디파트의 일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파트의 일측 단부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 및 상기 배수관 연결구가 삽입되는 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구는 상기 내관 삽입부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 및 배수트랩은 배수관을 배수트랩에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고, 배수 시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관의 내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배수관이 매립된 바닥 및 벽면 등을 부술 필요없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에 배수관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C-C'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에 배수관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C-C'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1)은 일 예로 일반 가정의 베란다, 다용도실, 세탁실 등의 공간 바닥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관 연결구(10), 배수구(20) 및 배수관(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 연결구(10)는 배수구(20)에 삽입된 배수관(30)을 배수트랩(1)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관 연결구(10)는 내관 삽입부(110), 연결부(120), 커버부(130), 외관 지지부(140), 밀착 고정캡(150) 및 지지 돌출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내관 삽입부(110)는 배수관(30)의 내관(34)이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배수관 연결구(10)는 내관 삽입부(110)가 배수구(20)와 연통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관 삽입부(110)는 예를 들어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내관 삽입부(110)의 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면이 내관 삽입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0)는 가운데가 뚫힌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0)는 내관 삽입부(110)와 커버부(13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30)는 연결부(12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배수관(30)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20)의 일면은 내관 삽입부(110)와 연결되고, 타면은 커버부(1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는 예를 들어, 내관 삽입부(110)와 마찬가지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여, 연결부(120)와 연결된 측의 반대측 단부는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130)의 직경은 내관 삽입부(1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커버부(130)의 외측면은 배수구(20)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는 연결부(120)의 엣지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밀착 고정캡(150)과 지지 돌출 부재(160)는 배수관(30)의 일부분과 함께 커버부(13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외관 지지부(140)는 연결부(12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관 삽입부(11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관(32)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외관 지지부(140)는 예를 들어,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바디(141), 바디(141)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구비되고, 외관(32)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42) 및 바디(141)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함에 따라 연결부(12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결합돌기(14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41)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141)의 내측으로 내관 삽입부(11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41)는 내관 삽입부(11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리브(142)는 바디(141)의 내주면에서 돌출 구비되어 외관(32)을 지지할 수 있으며, 바디(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리브(142)는 외관(32)의 표면을 가압 지지함과 동시에 외관의 표면에 형성된 홈(321)에 걸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리브(142)는 바디(141)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지지돌출부(142a), 제1 지지돌출부(142a)의 돌출된 단부에서 결합돌기(143)가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연장부(142b) 및 지지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외관(32)이 삽입되는 경우 외관(32) 표면의 홈(321)에 삽입되는 제2 지지 돌출부(142c)를 포함할 수 있다. 외관(32)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홈(321)이 외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지지 돌출부(142c)는 외관(32)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외관(32)의 삽입시 외관과 접촉되는 일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관 지지부(140)는 연결부(12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141)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는 결합돌기(1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부(120)의 일면에는 결합돌기(143)가 회전함에 따라 결합돌기(143)가 압입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체결 돌기(121)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143)는 복수 개가 바디(1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결합돌기(143)는 4개가 90˚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143)는 예를 들어, 바디(14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 돌출부(143a), 제1 결합 돌출부(143a)의 원주방향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결합 돌출부(143b) 및 제1 결합 돌출부(143a)에서 반경방향외측으로 돌출되고, 제2 결합 돌출부(143b)와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제3 결합 돌출부(14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 돌출부(143b)가 돌출된 길이(L1)는 제3 결합 돌출부(143c)가 돌출된 길이(L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관 지지부(140)의 바디(141)를 연결부(120)의 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결합돌기(143)의 제3 결합 돌출부(143c)는 체결 돌기(12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3 결합 돌출부(143c)는 체결 돌기(121)의 내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후, 제2 결합 돌출부(143b)가 체결 돌기(121)와 접촉하게되면 외관 지지부(14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외관 지지부(14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돌기(143)가 체결돌기(121)에 결합된 경우, 제3 결합 돌출부(143c)는 체결 돌기(121)의 반경방향 내면을 가압하고, 제2 결합 돌출부(143b)는 체결 돌기(121)의 원주방향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 결합 돌출부(143c)가 체결 돌기(121)의 내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외관 지지부(140)는 연결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외관 지지부(140)를 연결부(120)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관 지지부(14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3 결합 돌출부(143c)가 체결 돌기(121) 외부로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외관 지지부(14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바디(141)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 리브(144)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파지 리브(144)는 사용자가 외관 지지부(140)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돌출 부재(160)는 커버부(130)의 내측에서 연결부(12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밀착 고정캡(150)은 지지 돌출 부재(16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돌출 부재(160)에는 내관 삽입부(11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양측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돌출 부재(160)의 내측 공간 및 내관 삽입부(110)의 내측 공간은 내관(34)이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내관(34)은 내관 삽입부(110)를 통과한 후 지지 돌출 부재(160)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돌출 부재(160)의 내측 공간과 내관 삽입부(110)의 내측공간은 동일한 중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돌출 부재(160)의 내경(i1)은 내관 삽입부(110)의 내경(i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돌출 부재(160)의 내측에는 패킹부재(170)가 안착되는 안착턱(161)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돌출 부재(160)에는 밀착 고정캡(1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돌출 부재(160)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162)이 형성되고, 밀착 고정캡(150)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산(162)에 계합되는 제2 나사산(152a )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 고정캡(150)은 지지 돌출 부재(16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밀착 고정캡(150)은 커버부(130)의 내측에서 내관(34)에 밀착되어 내관(34)이 외관(32)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밀착 고정캡(150)은 일 예로 원형 디스크 형상의 엣지로부터 일방향으로 벽부가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착 고정캡(150)은 내관(34)이 삽입되는 관통공(151a)이 형성된 바디파트(151) 및 바디파트(151)의 일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고 내면에 제2 나사산(152a)이 형성된 연장파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파트(151)의 일측 단부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관(34)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51b)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51b)에 의해 내관(34)이 배수관 연결구(10)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 파트(151)의 타측 단부에는 패킹 가압부(151c)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패킹 가압부(151c)는 밀착 고정캡(150)이 지지 돌출부재(160)에 결합되는 경우 안착턱(161)과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패킹부재(170)는 안착턱(161) 및 패킹 가압부(151c)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패킹부재(170)는 내관(3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지지 돌출 부재(160)의 안착턱(161)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170)는 복수 개의 구성요소 집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스냅링(171), 와셔(172) 및 고무오링(173)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냅링(171)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구비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경이 내관 삽입부(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지지 돌기(171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171a) 중 적어도 일부분은 내관(34)이 내관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경우 내관(34)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밀착 고정캡(150)이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다만, 지지 돌출 부재(160)의 안착턱(161)에 안착된 상태로 내관(34)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는 한 패킹부재(170)를 구성하는 구성은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10)는 이중관으로 구성되는 배수관(30)을 배수트랩(1)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배수관(30)은 외관(32)과 내관(34)을 포함할 수 있다.
외관(32)은 일 예로 CD(Corrugated Duct)관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복수의 홈(32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관(32)의 표면은 길이방향을 딸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외관(32)의 내측에 내관(34)이 삽입될 수 있으며, 외관(32)은 내관(34)이 외부요인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관(34)은 외관(32)의 내부에 배치되는 관으로서, 일 예로 PB(Polybutylene)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수트랩(1)은 베란다 등의 공간의 바닥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트랩(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개방된 상부를 막기 위해 별도의 마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트랩(1)이 바닥에 매립되기 전에 배수트랩(1)의 배수구(20)를 통해 배수관(30)의 외관(32)이 먼저 배수구(20)로 삽입될 수 있으며, 배수관 연결구(10)의 외관 지지부(1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배수트랩(1)의 매립 설치후, 외부로 노출된 외관(32)의 개방단을 통해 내관(34)이 삽입되어 배수트랩(1)의 내부로 내관(34)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내관(34)은 일 예로 에어컨의 실내기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된 내관(34)은 내관 삽입부(110)와 지지 돌출 부재(160)를 통과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내관 삽입부(110) 및 지지 돌출 부재(160)에 내관(34)이 삽입되면 밀착 고정캡(150)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착 고정캡(150)은 지지 돌출 부재(160)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밀착 고정캡(150)이 지지 돌출 부재(160)에 결합됨에 따라 밀착 고정캡(150)의 패킹 가압부(151c)는 패킹부재(170)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밀착 고정캡(150), 내관(34) 및 지지 돌출 부재(160)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트랩(1)의 내부에 잔존하는 오/폐수가 내관(34)과 배수관 연결구(10) 사이의 틈을 통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내관(34)의 노후화, 파손 등에 의해 이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배수트랩(1)의 상면을 개방한 후 밀착 고정캡(150)을 지지 돌출 부재(160)로부터 분리시킨 후, 내관(34)을 뽑아내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내관(34)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관(30)이 매립된 벽면이나 바닥면 등의 파괴 없이도 손쉽게 배수관(30)의 내관(34) 교체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배수트랩 10: 배수관 연결구
20: 배수구 30: 배수관
110: 내관 삽입부 120: 연결부
130: 커버부 140: 외관 지지부
150: 밀착 고정캡 160: 지지 돌출부재
170: 패킹 부재

Claims (12)

  1. 외관과 내관을 포함하는 이중관 형태로 제공되는 배수관을 배수트랩 내부에 연결하여 설치하기 위한 배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내관이 삽입되는 내관 삽입부;
    상기 내관 삽입부의 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내관 삽입부와 연결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서 상기 연결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수트랩에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내관 삽입부를 통과한 상기 내관이 삽입되는 지지 돌출부재;
    상기 지지 돌출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밀착 고정캡; 및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관 삽입부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관의 외면을 지지하는 외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 지지부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외관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 및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복수 개가 상기 바디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외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 돌출부;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의 원주방향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결합 돌출부; 및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에서 반경방향외측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 돌출부와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제3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돌출부가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3 결합 돌출부가 돌출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되는,
    배수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가 압입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배수관 연결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체결돌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3 결합 돌출부가 상기 체결돌기의 반경방향 내면을 가압하고, 상기 제2 결합 돌출부가 상기 체결 돌기의 원주방향 측면과 접하는,
    배수관 연결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복수 개가 상기 바디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지지 돌출부;
    상기 제1 지지 돌출부의 돌출된 단부에서 상기 결합돌기가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연장부; 및
    상기 지지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2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수관 연결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상기 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 돌출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외관을 지지하는,
    배수관 연결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리브가 돌출 구비된,
    배수관 연결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고정캡과 상기 지지 돌출 부재 사이에는 패킹 부재가 삽입되는,
    배수관 연결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스냅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냅링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구비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경이 상기 내관 삽입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지지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돌기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내관이 상기 내관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밀착 고정캡이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는,
    배수관 연결구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고정캡은 상기 내관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바디파트; 및
    상기 바디파트의 일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파트의 일측 단부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배수관 연결구.
  12. 제1 항 및 제4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 및
    상기 배수관 연결구가 삽입되는 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구는 상기 내관 삽입부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수트랩.
KR1020210118294A 2021-09-06 2021-09-06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KR102440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294A KR102440207B1 (ko) 2021-09-06 2021-09-06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294A KR102440207B1 (ko) 2021-09-06 2021-09-06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207B1 true KR102440207B1 (ko) 2022-09-05

Family

ID=8327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294A KR102440207B1 (ko) 2021-09-06 2021-09-06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2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208A (ko) * 2007-01-11 2008-07-16 김용진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이중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KR101339734B1 (ko) * 2012-09-05 2013-12-10 주식회사 새롬테크 이중관형 파이프 연결구
KR101420643B1 (ko) * 2013-08-19 2014-07-17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파이프 연결구
KR102059569B1 (ko) * 2019-09-16 2019-12-26 주식회사 트인공조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208A (ko) * 2007-01-11 2008-07-16 김용진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이중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KR101339734B1 (ko) * 2012-09-05 2013-12-10 주식회사 새롬테크 이중관형 파이프 연결구
KR101420643B1 (ko) * 2013-08-19 2014-07-17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파이프 연결구
KR102059569B1 (ko) * 2019-09-16 2019-12-26 주식회사 트인공조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569B1 (ko)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US20110030132A1 (en) Multi-function cleanout plug and method of use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102440207B1 (ko)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KR102435744B1 (ko) 배수트랩
KR20100083113A (ko) 배수트랩
KR100803398B1 (ko)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KR200261548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102248469B1 (ko) 응결수 이중배관 소켓장치
KR102448229B1 (ko) 이중 배관 장치
KR200380194Y1 (ko) 소켓형 배수트랩
RU147326U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KR200392301Y1 (ko) 오수받이장치
KR102518262B1 (ko) 배수트랩
JPH0141832Y2 (ko)
KR100293470B1 (ko) 배기시스템
KR200397789Y1 (ko) 악취차단성 맨홀
KR200369210Y1 (ko) 에어컨 냉매 배관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401683Y1 (ko) 악취 유입 방지용 배수관
KR101950796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102312819B1 (ko) 배수관용 압력소멸장치
KR200282286Y1 (ko) 배수용 트랩의 소음차단장치
KR200428593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20040033942A (ko) 하수관의 냄새 및 소음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