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262B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262B1
KR102518262B1 KR1020210129178A KR20210129178A KR102518262B1 KR 102518262 B1 KR102518262 B1 KR 102518262B1 KR 1020210129178 A KR1020210129178 A KR 1020210129178A KR 20210129178 A KR20210129178 A KR 20210129178A KR 102518262 B1 KR102518262 B1 KR 102518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trap
connector
couple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석
Original Assignee
(주)통일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통일화학 filed Critical (주)통일화학
Priority to KR102021012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연결캡의 가이드구와 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오링이 마련되고, 씰링캡의 일단부에는 차단판의 회전에 의해 배수트랩 본체와 파이프가 연통되게 하는 개폐구를 마련하여, 상기 오링과 갸폐구의 차단판에 의해 배수트랩 본체 내부의 오수와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트랩 본체의 연결구 내주연에 연결캡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ABS수지층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연결캡이 접착제에 의해 연결구에 단단히 접착 및 고정되고, 연결구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trap}
건물의 입상배관이 연결되고, 건물의 각 층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와 오수 등을 한 곳에 모아 배출할 수 있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사무실과 건물에는 윗층에서 직통하는 입상배관이 설치되고, 각 해당 층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와 오수 등이 입상배관과 연결된 배수트랩에 수용된다.
그리고 실내의 환경과 다양한 생활의 편의를 위해 에어컨과 세탁기 또는 보일러와 같은 가전기기를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가전기기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온도의 차이와 변화에 따라 응측수 또는 오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수 또는 응축수는 가전기기의 내부에 모아서 하수구와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배수트랩으로 보내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배수트랩과 가전기기를 연결하는 파이프을 설치한 상태에서 배수트랩에는 많은 하수가 유입되므로 하수가 파이프을 통해 역류되거나, 파이프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의 배출이 원활해야 함과 동시에 파이프을 배수트랩에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등록특허 제10-2059569호
본 발명의 배수트랩은, 연결캡의 가이드구와 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오링을 마련하고, 파이프가 통과하는 씰링캡이 가이드구에 체결되면서 오링을 가압하여 가이드구과 파이프 사이의 틈새가 오링에 의해 차단되며, 이로 인해 배수트랩 본체 내부의 오수가 역류하여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외측에 주름관을 더 구비하여 파이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연결캡에 연결되는 고정구에 의해 주름관이 파이프의 외측에 쉽게 고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트랩 본체의 연결구에 연결 및 고정되는 연결캡이 배수트랩 본체와 이종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연결캡이 배수트랩의 연결구에 쉽게 접착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으로, PP수지로 제작되는 배수트랩 본체의 연결구 내주연에 연결캡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ABS수지층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연결캡이 접착제에 의해 연결구에 단단히 접착 및 고정되고, 연결구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연결구가 형성되는 배수트랩 본체;
개방된 일측부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하고, 타측면은 상기 연결구를 차단하며, 파이프가 삽입되는 가이드구가 내부에서 타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캡;
일단부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캡의 타측면에 결합하고,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구가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탄성지지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가이드구의 일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연결캡의 개방된 일측부를 차단하며, 상기 가이드구를 통과하는 파이프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내부에 형성되는 씰링캡; 및
상기 씰링캡에 결합하고,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차단판에 의해 일단부가 차단되며, 상기 차단판의 회전에 의해 일단부가 개방되어서 상기 파이프를 상기 배수트랩 본체와 연통되게 하는 개폐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의 내주연에는 ABS수지층이 배수트랩 본체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은 ABS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로 삽입되는 일측부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ABS수지층에 접착되어 배수트랩 본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캡의 가이드구과 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오링을 마련하고, 파이프이 통과하는 씰링캡이 가이드구에 체결되면서 오링을 가압하여 가이드구과 파이프 사이의 틈새가 오링에 의해 차단되며, 이로 인해 배수트랩 본체 내부의 오수가 상기 큼새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P수지로 제작되는 배수트랩 본체의 연결구 내주연에 연결캡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ABS수지층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연결캡이 접착제에 의해 연결구에 단단히 접착 및 고정되고, 연결구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외측에 주름관을 더 구비하여 파이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연결캡에 연결되는 고정구에 의해 주름관이 파이프의 외측에 쉽게 고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분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연결구와 고정구의 분해도와 결합도
도 7은 고정구 내부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도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은, 일측에 연결구(110)가 형성되는 배수트랩 본체(100); 개방된 일측부가 상기 연결구(110)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타측면은 상기 연결구(110)를 차단하며,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소정 반경의 가이드구(11)가 내부에서 타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캡(10); 일단부가 체결수단(A)에 의해 상기 연결캡(10)의 타측면에 결합하고,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구(11)가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탄성지지편(41)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구(40); 일단부가 상기 탄성지지편(41)을 벌리면서 상기 고정구(40)의 내부에 삽입되어 가이드구(11)의 외측을 감싸며, 내부에 파이프(30)의 배치되는 주름관(50); 상기 가이드구(11)의 일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연결캡(10)의 개방된 일측부를 차단하며, 상기 가이드구(11)를 통과하는 파이프(3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21)가 내부에 형성되는 씰링캡(20); 및 상기 씰링캡(20)에 결합하고,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차단판(71)에 의해 일단부가 차단되며, 상기 차단판(71)의 회전에 의해 일단부가 개방되어서 상기 파이프(30)이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와 연통되게 하는 개폐구(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씰링캡(20)의 타측부에는 상기 가이드구(11)와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결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11)의 일단부 내주연에는 배수트랩 본체(100)의 내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경사부(11b)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1b)와 파이프(30)과 사이에는 오링(60)이 마련되고, 상기 씰링캡(20)이 상기 가이드구(11)에 결합하면서 삽입구(21)가 상기 오링(60)을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30)과 가이드구(11) 사이의 틈새가 상기 오링(6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110)의 내주연에는 ABS수지층(120)이 배수트랩 본체(100)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10)은, ABS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10)로 삽입되는 일측부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ABS수지층(120)에 접착되어 배수트랩 본체(10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트랩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소정 부피로 형성되어 내부에 오수와 같은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오수가 유입되기 위한 연결구(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배수트랩 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는 건물의 발코니, 세탁실 또는 다용도실 등의 층간 콘크리트에 설치될 수 있고, 입상배관이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며, 측면에는 에어컨, 세탁기 또는 보일러 등에서 배수되는 물을 배수트랩 본체(100)로 유도하는 파이프(30)가 연결되는 연결구(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의 연결구(110)에는, 파이프(30)를 고정하고, 배수트랩 본체(1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연결캡(10)과 씰링캡(20)이 마련된다.
연결캡(10)은, 연결구(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구(110)에 결합하여 연결구(110)를 차단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는 개방되며, 개방된 일측부가 상기 연결구(110)에 삽입되어 연결구(110)에 결합하고, 타측면은 상기 연결구(110) 내경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구(110)를 차단하며, 타측면의 중앙부에는 소정 반경의 가이드구(11)가 내부에서 타측면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구(11)는, 일단부는 연결캡(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연결캡(10)의 타측면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며, 파이프(30)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30)를 배수트랩 본체(100)에 안전하게 연결시켜 준다.
그리고 연결캡(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구(11)의 일측부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씰링캡(20)의 결합부(22)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하고, 내주연은 일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부(1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구(11)의 내부로 파이프(30)이 삽입되면, 경사부(11b)와 파이프(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합성수지재의 오링(60) 또는 패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오링(60)에 의해 가이드구(11)와 파이프(3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됨으로써, 배수트랩 본체(100) 내부의 오수 및/또는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씰링캡(20)은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의 연결구(110)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구(11)의 일단부에 결합부(22)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며,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구(11)를 통과하는 파이프(3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2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21)는 씰링캡(20)의 내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11)로 삽입된 파이프(30)가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30)가 통과하여 배수트랩 본체(100)의 내부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걸림편(21a)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파이프(30)를 가이드구(11)와 함께 안정적으로 배수트랩 본체(100)에 연결하고 고정한다.
또한, 상기 씰링캡(20)은, 상기 가이드구(11)의 일단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 시, 가이드구(1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삽입구(21)의 일단부가 상기 오링(60)을 가압하며, 상기 오링(60)이 가이드구(11)의 경사부(11b)와 파이프(30)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가이드구(11)와 파이프(30) 사이의 틈새를 차단 또는 씰링하게 된다. 즉, 상기 씰링캡(20)이 가이드구(11)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면서 연결구(110)의 외측방향으로 전진하고, 이로 인해 삽입구(21)의 일단부가 오링(60)을 연결구(1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오링(60)은 가이드구(11)의 경사부(11b)와 파이프(30) 사이의 가장 좁은 공간으로 압착되면서 이동하여 가이드구(11)와 파이프(3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구(11)의 일단부는 경사부(11b)의 하측 공간으로 탄성에 의해 눌려질 수 있고, 상기 씰링캡(20)의 반경을 가이드구(11)의 일단부 반경보다 조금 작은 반경으로 형성할 경우, 씰링캡(20)이 가이드구(11)의 일단부에 결합 시, 가이드구(11)의 일단부 반경이 작아져 오링(60)을 파이프(30)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경사부(11b)와 파이프(30) 사이의 공간이 오링(60)에 의해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씰링캡(20)은, 결합부(22)의 후측 외주연에 상기 연결캡(10)의 내부를 차단하는 플랜지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3)의 일측면에는 개폐구(70)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돌기체(23a)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체(23a)를 파지하여 씰링캡(20)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씰링캡(20)의 일단부에는, 차단판(7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파이프(30)와 배수트랩 본체(100)가 연통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개폐구(70)가 연결된다.
상기 개폐구(70)는 내부가 관통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타단부가 상기 씰링캡(20)의 삽입구(21)에 결합하고, 일단부는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차단판(71)에 의해 차단된다. 즉, 상기 차단판(71)에 의해 개폐구(70)의 일단부가 차단되며, 이로 인해 상기 파이프(30)와 배수트랩 본체(100)가 서로 연통되지 않고 차단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71)의 회전에 의해 개폐구(70)의 일단부가 개방되면,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와 파이프(30)가 연통된다.
상기 차단판(71)은 배수트랩 본체(100)와 파이프(30) 내부 압력 차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전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차단판(71)에 의해 배수트랩 본체(100) 내부의 오수와 악취가 파이프(30) 또는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연결캡(10)은, 강도가 강해 쉽게 깨지지 않는 ABS수지로 형성되는데, 특히 값이 저렴한 PP수지로 제작되는 대다수의 배수트랩 본체(100)와 재질의 차이로 인해 접착부재에 의해 쉽게 결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배수트랩의 연결구(110) 내주연에 연결캡(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ABS수지층(120)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연결캡(10)이 연결구(110)에 삽입된 후 접착부재에 의해 쉽게 접착되게 할 수 있다.
ABS수지는 아크리로니트릴(A), 브타디엔(B), 스티렌(S)의 세 가지 성분으로 형성되며,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후성 등이 뛰어나고, 특히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의 성형성과 착색 등 2차 가공성이 우수하다.
상기 ABS수지층(120)은, 배수트랩 본체(100) 형성 시, 이중사출에 의해 배수트랩 본체(100)의 연결구(110) 내주연에 배수트랩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의 색과 다른 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결구(110)와 다른 색에 의해 구분되어 상기 ABS수지층(120)에만 접착부재를 도포할 수도 있을 것이다.
ABS수지는 PP수지보다 가공하기 쉽고 내충격성이 크며, 내열성도 좋지만,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수트랩 본체(100) 전체를 고가의 ABS수지로 제작하지 않고, 연결캡(10)이 결합하는 연결구(110)의 내주연에 ABS수지층(120)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배수트랩 본체(100)의 제조가격을 줄일 수 있고, ABS수지로 이루어지는 연결캡(10)과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수트랩 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구(110)가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ABS수지층(120) 또는/및 연결캡(10)의 외주연에 접착부재를 도포하고, ABS수지로 형성되는 연결캡(10)의 일측부를 상기 연결구(110)에 삽입 또는 억지끼움됨으로써, 상기 ABS수지층(120)과 연결캡(10)의 일측부가 쉽게 접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캡(10)이 연결구(110)에 단단히 결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ABS수지층(120)은 연결구(110)의 내주연 전체에 형성할 수 있고, 부분 부분 나누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캡(10)의 외주연과 연결구(110)의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ABS수지층(120)에는 고정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ABS수지층(120)과 접하는 연결구(110)의 내주연에는 상기 고정돌기(121)에 대응하는 고정홈(111)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수트랩은, 파이프(30)의 외측에 주름관(50)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관(50)은 외주연에 링 형태의 요홈(51) 또는 나선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파이프(30)의 외측에 마련되어서 상기 파이프(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며, 파이프(30)가 파손되거나 부식에 의해 구멍이 생길 경우, 파이프(30)을 통해 유출되는 오수 또는 악취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주름관(50)을 파이프(30)의 외측에 고정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연결캡(10)에 고정구(40)를 연결하고, 고정구(40)와 가이드구(11) 사이에 주름관(5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구(4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연결캡(10)과 체결수단(A)에 의해 결합하며, 타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주름관(50)을 고정시키는 탄성지지편(41)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캡(10)과 고정구(40)는 체결수단(A)에 의해 결합하는데, 상기 체결수단(A)은, 연결캡(10)의 타측면에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고리(12); 및 상기 고정구(40)의 일단부 외주연에 형성되고, 고정구(40)의 회전에 의해 체결고리(12)의 일측부에서 내측공간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돌기(42);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고리(12)는 내부공간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되게 형성할 수 있고, 타단부를 차단하여 일단부만 개방되게 할 수 있으며, 고정구(40)가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체결돌기(42)가 체결고리(12)의 일단부를 통해 내측공간으로 삽입되게 하고, 타 방향으로 회전 시에는 체결돌기(42)가 체결고리(12)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A)은, 연결캡(10)의 타측면에서, 상기 체결고리(12)의 타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42)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42a);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40)가 회전하여 체결돌기(42)가 체결고리(12)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어 체결되고, 체결돌기(42)가 체결고리(12)에서 회전 시, 체결홈(42a)과 돌기(13)가 체결됨으로써 체결돌기(42)의 이동 및 고정구(4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42)의 일단부에는, 체결고리(12)의 일단부 외측면에 걸려 고정구(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42b)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40)의 타측부에는 고정구(4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정구(40)의 내주연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탄성지지편(4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편(41)의 일단부에는 주름관(50)의 요홈(51) 중 어느 하나의 요홈(5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41a)가 형성된다.
즉, 주름관(50)이 고정구(40)와 가이드구(11) 사이로 삽입 시, 탄성지지편(41)의 걸림돌기(41a)가 주름관(50)의 요홈(51) 중 어느 하나의 요홈(51)에 삽입되어 걸어줌으로써, 주름관(50)이 고정구(40)에서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편(41)은, 탄성에 의해 파이프(30)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거나 파이프(30) 방향으로 오므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반경(가이드구(11)의 반경보다는 크고 고정구(40)의 반경보다는 작은 반경)의 주름관(50)이 고정구(40)에 삽입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고정구(40)의 타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43)가 형성되어 다수로 분할될 수 있고, 다수의 탄성지지편(41)에는 각각 걸림돌기(41a)가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연결캡 11 : 가이드구
12 : 체결고리 20 : 씰링캡
21 : 삽입구 22 : 결합부
23 : 플랜지부 30 : 파이프
40 : 고정구 41 : 탄성지지편
41a : 걸림돌기 42 : 체결돌기
42b : 스토퍼 50 : 주름관
51 : 요홈 60 : 오링
70 : 개폐구 71 : 차단판
100 : 배수트랩 본체 110 : 연결구
111 : 고정홈 120 : ABS수지층
121 : 고정돌기

Claims (10)

  1. 일측에 연결구(110)가 형성되는 배수트랩 본체(100);
    개방된 일측부가 상기 연결구(110)에 결합하고, 파이프(30)가 삽입되는 가이드구(11)가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캡(10);
    일단부가 체결수단(A)에 의해 상기 연결캡(10)의 타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구(11)가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에는 걸림돌기(50)를 갖는 탄성지지편(41)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탄성에 의해 탄성지지편(41)이 벌어지면서 걸림돌기(50)가 주름관(50)에 형성되는 다수의 요홈(51) 중 어느 하나의 요홈(51)에 삽입되어 주름관(50)의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구(40);
    상기 가이드구(11)의 일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구(11)를 통과하는 파이프(3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21)가 내부에 형성되는 씰링캡(20); 및
    상기 씰링캡(20)에 결합하고, 일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차단판(71)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차단판(71)의 회전에 의해 일단부가 개방되어서 상기 파이프(30)가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와 연통되게 하는 개폐구(7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A)은,
    연결캡(10)의 타측면에서 가이드구(11)의 외측에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캡(10)의 원주를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체결고리(12); 및
    고정구(40)의 일단부 외주연에 형성되고, 고정구(40)의 회전에 의해 체결고리(12)의 일측부에서 내측공간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돌기(42);를 포함하며,
    상기 씰링캡(20)은,
    삽입구(2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파이프(30)가 삽입구(21)를 통과하여 배수트랩 본체(100)의 내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걸림편(21a); 및
    연결캡(10)의 내부를 차단하고, 개폐구(70)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돌기체(23a)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A)은,
    체결고리(12)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체결돌기(42)의 타단부에 상기 돌기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체결홈(4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캡(20)의 타측부에는 상기 가이드구(11)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결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11)의 일단부 내주연에는 배수트랩 본체(100)의 내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부(11b)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1b)와 파이프(30) 사이에는 오링(60)이 마련되고, 상기 씰링캡(20)이 상기 가이드구(11)에 결합하면서 삽입구(21)가 상기 오링(60)을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30)와 가이드구(11) 사이의 틈새가 상기 오링(6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0)의 내주연에는 ABS수지층(120)이 배수트랩 본체(100)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10)은, ABS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10)로 삽입되는 일측부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ABS수지층(120)에 접착되어 배수트랩 본체(10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편(41)은 길이방향의 절개부(43)에 의해 다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A)은,
    체결돌기(42)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체결고리(12)의 일단부 외측면에 걸려 고정구(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4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29178A 2021-09-29 2021-09-29 배수트랩 KR102518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178A KR102518262B1 (ko) 2021-09-29 2021-09-29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178A KR102518262B1 (ko) 2021-09-29 2021-09-29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262B1 true KR102518262B1 (ko) 2023-04-05

Family

ID=85884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178A KR102518262B1 (ko) 2021-09-29 2021-09-29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2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76A (ja) * 1992-03-25 1993-10-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波付管用継手
KR200417636Y1 (ko) * 2006-03-20 2006-06-01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20110135800A (ko) * 2010-06-11 2011-12-19 오주훈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KR102059569B1 (ko) 2019-09-16 2019-12-26 주식회사 트인공조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KR102070905B1 (ko) * 2018-10-19 2020-03-02 (주) 통일화학 배수트랩
JP2020165528A (ja) * 2019-03-28 2020-10-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および配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76A (ja) * 1992-03-25 1993-10-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波付管用継手
KR200417636Y1 (ko) * 2006-03-20 2006-06-01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20110135800A (ko) * 2010-06-11 2011-12-19 오주훈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KR102070905B1 (ko) * 2018-10-19 2020-03-02 (주) 통일화학 배수트랩
JP2020165528A (ja) * 2019-03-28 2020-10-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および配管システム
KR102059569B1 (ko) 2019-09-16 2019-12-26 주식회사 트인공조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2307B2 (ja) 洗濯機
WO2016124036A1 (zh) 一种洗衣机内桶的锁止机构及洗衣机
WO2007110595A2 (en) Floor drain
US2314315A (en) Rubber coupling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KR102518262B1 (ko) 배수트랩
KR101265806B1 (ko) 배수커플러
KR102518261B1 (ko) 배수트랩
KR102248469B1 (ko) 응결수 이중배관 소켓장치
US20200270854A1 (en) Quick-assembly deodorant drainer for washbasin
KR101376799B1 (ko) V형 파이프 이음관
CN212427387U (zh) 一种家用清洗盆防臭隔气装置
KR102077282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0834736B1 (ko) 배수관용 악취차단 캡
KR102435744B1 (ko) 배수트랩
TWM504178U (zh) 止水式管接頭
JP2007138654A (ja) 排水トラップ
CN213709740U (zh) 一种下水管组件
KR20120056955A (ko) 싱크대 배수구 연결부재
KR100990279B1 (ko) 오수받이 연결관 고정 및 밀폐장치
KR102440207B1 (ko)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JP2007023688A (ja) 排水トラップ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TWM582516U (zh) Pipeline gas barrier
CN219261287U (zh) 一种下排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