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620B1 -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620B1
KR100892620B1 KR1020080071470A KR20080071470A KR100892620B1 KR 100892620 B1 KR100892620 B1 KR 100892620B1 KR 1020080071470 A KR1020080071470 A KR 1020080071470A KR 20080071470 A KR20080071470 A KR 20080071470A KR 100892620 B1 KR100892620 B1 KR 10089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inlet
pipe
sewage inle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섭
Original Assignee
원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오수받이를 매설할 때, 매설지를 최소한의 넓이로 굴착하고 매설할 수 있으며, 오수가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곳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입상관과 접하는 입상관접속부(11), 상기 입상관접속부(11)와 접하며 오수유입구(13)가 접합되어 있는 오수유입구접합부(12), 상기 오수유입구접합부(12)의 일측에 형성되며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13),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생활하수유입구(14), 상기 오수유입구(13)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유입되는 오수 및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 오수유입구(13)로 유입되는 오수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16) 및 역류방지턱(17), 상기 오수유입구(13)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배출구(15)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벽(18)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 상기 몸체부(1)와 결합하며 L자형태의 관으로 형성된 몸통부(21)와 나사부(22)로 형성된 커넥터(2); 상기 커넥터(2)의 나사부(22)와 결합되는 나사부(31)가 내측에 형성되며,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32)이 형성되어 있는 캡(3); 및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의 외경과 접하고, 상기 커넥터(2)에 내삽되며 캡(3)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되는 수밀과 배관의 결속을 위한 수밀패킹(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오수받이, 역류방지, 역류방지판, 역류방지턱

Description

오수받이{DRAIN SEWAGE}
본 발명은 하수 및 오수를 집수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 및 하수가 유입되는 입수관의 방향전환이 용이하며, 입수된 오수 및 하수가 병목현상 없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가옥이나 건물에서 발생되는 하수 및 오수는 통상적으로 주방, 욕실 및 화장실 등에서 발상하게 된다. 이러한 하수 및 오수는 가옥이나 건물의 밖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는 하수 및 오수는 중간 집수를 위해 한곳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러한 집수시설을 오수받이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양한 곳에서 하수 및 오수가 발생함으로 인해, 오수받이의 매설시 인입구와 배수구에 결합되는 배관이 다양한 방향에서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결합방향의 전환이 용이한 오수받이가 요구되었는데, 이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제0387724호(우.오수받이의 유입, 유출구 각도조절변)는 집수공(3)과 배수공(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면이 원형내주면(15)으로 형성되며, 외주 선단에 나사부(14)가 형성된 원통형결착관(11)과, 상기 원통형결착관(11)의 원형내주면(15)에 삽입 장전되도록 외면이 운형외주면(17)으로 되고, 내부가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구(18)가 연통되게 통공되며, 삽입구(18)의 내측 단부에 단턱(19)이 형성된 회전구(16)와, 회전구(16)의 외측에서 원통형결착관(11)에 나사 결합되어 원형내주면(15)에 장전된 회전구(16)를 억류시키는 결속캡(20)이 포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 유출구 각도 조절변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절변을 갖는 오수받이는 수밀이 약해 오수 및 하수가 각도조절변을 통하여 누수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며, 배관연결시 연결이 난해한 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의 오수받이는 입수구로 유입된 오수 및 하수가 배수구로 배출되기 전에 내부에서 병목현상을 일으켜 역류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오수받이에 연결되는 배관의 방향에 따라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최소한의 매설지역으로만 매설이 가능하며, 오수가 역류하지 않으며, 배출구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오수받이를 매설할 때, 오수받이에 있어서, 입상관과 접하는 입상관접속부(11), 상기 입상관접속부(11)와 접하고, 오수유입구(13)가 접합되어 있으며,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오수유입구접합부(12), 상기 오수유입구접합부(12)의 일측에 형성되며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13),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생활하수유입구(14), 상기 오수유입구(13)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유입되는 오수 및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 상기 오수유입구(13)와 접하며, 오수유입구(13)로 유입되는 오수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16), 상기 생활하수유입구(14)의 단부에 형성되며 오수유입구(13)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턱(17)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 상기 몸체부(1)와 결합하며 L자형태의 관으로 형성된 몸통부(21)와 나사부(22)로 형성된 커넥터(2); 상기 커넥터(2)의 나사부(22)와 결합되는 나사부(31)가 내측에 형성되며,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32)이 형성되어 있는 캡(3); 및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의 외경과 접하고, 상기 커넥터(2)에 내삽되며 캡(3)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되는 수밀과 배관의 결속을 위한 수밀패킹(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를 제공함으로써, 오수 및 하수가 유입되는 입수관의 방향전환이 용이하며, 입수된 오수 및 하수가 병목현상 없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생활하수유입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오수받이의 무게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오수받이의 매설을 위해 매설지를 굴착할 때, 최소한의 매설지만을 굴착하여 시공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을 도시한 전개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몸체부(1), 커넥터(2), 캡(3), 수밀패킹(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오수받이의 몸체부(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오수 및 하수가 집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매설시 입상관과 접하는 입상관접속부(11), 오수유입구가 접합되어 있는 오수유입구접합부(12),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13), 주방에서 발생하는 하수가 유입되는 생활하수유입구(14), 상기 오수유입구(13) 및 생활하수유입구(14)에서 유입되는 오수 및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5), 오수유입구(13)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판(16)과 역류방지턱(17) 및 오수유입구(13)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구(15)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유도벽(18)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와 배관을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2)는 L자형의 관으로 형성되는 몸통부(21)와 배관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22)로 형성된다.
상기 캡(3)은 내측에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부에는 배관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캡(3)은 몸체부(1) 및 커넥터(2)에 배관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배관의 일부분을 상기 홀(32)에 내삽한 후 몸체부(1) 및 커넥터(2)의 나사부에 나사결합하여 결속된다.
상기 수밀패킹(4)은 배관을 연결할 때, 수밀을 유지하며, 연결되는 배관을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1)와 캡(3) 또는 커넥터(2)와 캡(3)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상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우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몸체부(1)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일부분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의 상측부에는 원형의 입상관접속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오수받이를 지하에 매설할 때, 입상관과 접하는 부분으로 오수받이 내부의 청소 및 보수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입상관접속부(11)와 접하며 오수유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 오수유입구접합부(12)는 몸체부(1)의 좌측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부(1)의 측면 일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오수유입구접합부(12)는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오수유입구(13)가 입상관접속부(11)보다 몸체부(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오수받이를 매설할 때, 매설지역을 최소한으로 굴착함과 동시에 몸체부(1)의 하중을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오수받이의 경우 원통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각각 결합구를 형성하여 그만큼 더 매설지역을 굴착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오수유입구접합부(12)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수유입구접합부(12)에 형성되어 있으며,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13)는 몸체부(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를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유입구(13)와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유입구(13)의 사이에 위치하는 생활하수유입구(14)는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곳으로 상기 배출구(15)와 오수유입구(13)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생활하수유입구(14)의 일측에는 역류방지턱(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생활하수유입구(14)의 단부에 일정한 높이의 턱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역류방지턱(17)은 생활하수유입구(14)쪽으로 오수유입구(13)에서 유입된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15)는 오수유입구(13)와 생활하수유입구(14)에서 몸체부(1)의 내부에 유입되는 오수 및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5)는 오수유입구(13)와 생활하수유입구(14)보다 구경이 크게 형성되는데, 이것은 동시에 여러 곳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 및 하수가 몸체부(1) 밖으로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판(16)은 상기 두개의 오수유입구(13)가 접합되는 몸체부(1)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오수유입구(13)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반대측에 위치한 오수유입구(13)와 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몸체부(1)의 측면에 형성된 두개의 오수유입구(13)의 인입구(몸체부(1)의 내측에 형성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통로)의 단부 원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반대측에 위치한 오수유입 구(13)와 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오수유입구(13)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역류방지판(16)은 마주보고 있는 두개의 오수유입구(13)의 원주면을 따라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서, 하단부분부터 상단부분까지 감싸게 되며, 그 단면형상은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오수가 과도하게 유입되면 상기 역류방지판(16)을 따라 와류되어 오수유입구(13)의 상단부에 위치한 생활하수유입구(1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벽(18)은 역류방지판(16)의 내측에 형성되는데, 상기 오수유입구(13)에 유입되는 오수가 배출구(15)로 배출되도록 유도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배수유도벽(18)은 오수유입구(13)의 일측에 접하며, 그 반대측은 배출구(15)쪽으로 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유도벽(18)은 외측면이 곡면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오수유입구(13)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자연스럽게 배출구(15)쪽을 향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수유도벽(18)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오수유입구(13)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상기 배수유도벽(18)의 외부벽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배출구(15)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수유도벽(18)은 두개의 오수유입구(13)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마주보고 있는 오수유입구(13)에 유입된 오수가 반대측에 위치한 오수유입구(1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연스럽게 배출구(15)로 오수가 배수되도 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커넥터(2)와 캡(3) 및 수밀패킹(4)의 결합을 도시하기 위한 전개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2)는 몸체부(1)에 화장실 등에서 연결되는 배관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부(1)의 일측에 형성된 오수유입구(13)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2)는 몸통부(21)와 나사부(22)로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21)는 L자형의 관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배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회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는 종래의 배관연결부재들이 오수받이에 배관을 직결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배관이 매설되어 있는 위치보다 오수받이의 낮게 매설되면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2)는 몸체부(1)에 결합될 때, 배관의 높이에 따라 회전시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2)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배관의 일부를 내삽하고 캡(3)을 나사결합하여 배관을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관과 연결되는 나사부(22)의 반대측은 오수유입구(13)에 일부분을 내삽한 후 캡(3)을 이용하여 결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관의 연결방향에 따라 상기 커넥터(2)를 회동시켜 배관의 방향에 맞도록 한 후 결합하면 된다.
상기 캡(3)은 내측에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부에는 배관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캡(3)은 몸체부(1) 및 커넥터(2)에 배관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배관의 일부분을 상기 홀(32)에 내삽한 후 몸체부(1) 및 커넥터(2)의 나사부에 나사결합하여 결속된다.
상기 수밀패킹(4)은 링형태로 형성되어, 연결을 위해 내삽되는 배관의 외주면과 상기 수밀패킹(4)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밀패킹(4)의 내주면에는 단턱(41)이 형성되어 있어서,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수밀력을 높이며, 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밀패킹(4)은 배관을 연결할 때, 상기 수밀패킹(4)의 내주면에 배관의 일부분을 내삽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배관을 몸체부(1) 및 커넥터(2)에 연결한 후 캡(3)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밀패킹(4)은 캡(3)에 의해 가압되어 수밀을 유지하게 되며,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배관을 결속해주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2)의 회동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3과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가옥이나 건물의 외부 지하에 매설되어 가옥이나 건물에서 발생한 오수 및 하수가 집수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오수받이의 오수유입구(13)에 화장실 및 욕실의 하수도와 연결된 배관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배관의 연결방향에 따라 커넥터(2)를 회동시켜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커넥터(2)를 회동시켜 배관을 연결하는 것은 지하에 매설되는 오수받이의 매설높이 가 배관 보다 깊게 매설되거나 낮게 매설되면,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배관연결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수유입구(13)에 화장실 및 욕실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는 배출구(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는 생활하수유입구(14)를 통하여 오수받이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생활하수도 또한 배출구(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오수받이의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13)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며 각각의 오수유입구(13)의 인입구가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어서 한쪽에서 유입되는 오수가 맞은편 쪽에 위치하는 오수유입구(13)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 내측에 형성된 배수유도벽(18)을 타고 배출구(15)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오수유입구(13)의 인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역류방지판(16)에 의해 오수유입구(13)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오수유입구(13)로부터 급격히 오수가 유입될 때, 배수유도벽(18)과 역류방지판(16)에 의해 오수가 와류되어 생활하수유입(1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을 위한 배관이 오수받이의 오수유입구(13)와 직결될 수도 있는데, 이는 배관의 연결방향이 배출구(15) 및 생활하수유입구(14) 수직으로 연결될 때, 커넥터(2)를 사용하지 않고 직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오수받이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을 도시한 전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상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몸체부(1)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몸체부(1)의 일부분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2)와 캡(3) 및 수밀패킹(4)의 결합을 도시하기 위한 전개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2)의 회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몸체부 2 : 커넥터
3 : 캡 4 : 패킹
11 : 입상관접속부 12 : 오수유입구접합부
13 : 오수유입구 14 : 생활하수유입구
15 : 배출구 16 : 역류방지판
17 : 역류방지막 18 : 배수유도벽
21 : 몸통부 22 : 나사부
31 : 나사부 32 : 홀
41 : 단턱

Claims (8)

  1. 삭제
  2. 오수받이에 있어서, 입상관과 접하는 입상관접속부(11), 상기 입상관접속부(11)와 접하고, 몸체부(1)의 측면 일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오수유입구(13)가 접합되어 있으며,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오수유입구접합부(12), 상기 오수유입구접합부(12)의 일측에 형성되며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13), 상기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유입구(13)와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유입구(13)의 사이에 위치하며,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생활하수유입구(14), 상기 오수유입구(13)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유입되는 오수 및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 상기 오수유입구(13)와 접하며, 오수유입구(13)로 유입되는 오수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16), 상기 생활하수유입구(14)의 단부에 형성되며 오수유입구(13)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생활하수유입구(1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턱(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수유입구(13)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배출구(15)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벽(18)이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
    상기 몸체부(1)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유입구(13)와 결합하며 L자형태의 관으로 형성된 몸통부(21)와 나사부(22)로 형성된 커넥터(2);
    상기 커넥터(2)의 나사부(22)와 결합되는 나사부(31)가 내측에 형성되며,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32)이 형성되어 있는 캡(3); 및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의 외경과 접하고, 상기 커넥터(2)에 내삽되며, 캡(3)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되는 수밀과 배관의 결속을 위한 수밀패킹(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하수유입구(14)는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수유입구(13)와 배출구(15)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5)의 구경은 오수유입구(13)와 생활하수유입구(14)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판(16)은 몸체부(1)의 내측에 형성되고, 마주보고 있는 두개의 오수유입구(13)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반대측에 위치한 오수유입구(13)와 접하며, 단면형상은 원호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벽(18)은 오수유입구(13)의 일측에 접하며, 그 반대측은 배출구(15)쪽으로 향하도록 하며, 외측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7. 상기 제 2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수밀패킹(4)의 내주면에는 수밀력을 높이고, 배관과의 마찰력을 높여 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8. 상기 제 7항에 있어서, 배관을 연결할 때, 상기 커넥터(2)를 사용하지 않고, 배관의 일부가 오수유입구(13)와 직결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KR1020080071470A 2008-07-23 2008-07-23 오수받이 KR10089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470A KR100892620B1 (ko) 2008-07-23 2008-07-23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470A KR100892620B1 (ko) 2008-07-23 2008-07-23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620B1 true KR100892620B1 (ko) 2009-04-08

Family

ID=4075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470A KR100892620B1 (ko) 2008-07-23 2008-07-23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62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48B1 (ko) * 2010-05-18 2010-11-19 유향미 맨홀구조체
KR101113410B1 (ko) 2010-03-22 2012-02-29 (주)대우건설 배수 트랩
KR101152292B1 (ko) 2010-08-24 2012-06-08 엔비산업 주식회사 배수 트랩
KR101185591B1 (ko) 2012-07-03 2012-09-24 원진테크 주식회사 오수받이
KR101229689B1 (ko) 2011-08-30 2013-02-05 장동식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1365936B1 (ko) 2013-07-16 2014-03-13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KR20140122600A (ko) * 2013-04-10 2014-10-20 (주)덕원이앤씨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및 그 설치방법
US9709561B2 (en) 2014-05-13 2017-07-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Multisensing platform having a nanoporous metal layer on a cantilever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838B1 (ko) 2005-08-01 2007-01-19 한승희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0752691B1 (ko) 2005-09-30 2007-08-29 (주)대덕화학 오수받이
KR100784857B1 (ko) * 2007-01-11 2007-12-14 (주) 삼정디씨피 유티 오수받이
KR100806547B1 (ko) * 2007-08-06 2008-02-26 주식회사 고리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838B1 (ko) 2005-08-01 2007-01-19 한승희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0752691B1 (ko) 2005-09-30 2007-08-29 (주)대덕화학 오수받이
KR100784857B1 (ko) * 2007-01-11 2007-12-14 (주) 삼정디씨피 유티 오수받이
KR100806547B1 (ko) * 2007-08-06 2008-02-26 주식회사 고리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10B1 (ko) 2010-03-22 2012-02-29 (주)대우건설 배수 트랩
KR100995348B1 (ko) * 2010-05-18 2010-11-19 유향미 맨홀구조체
KR101152292B1 (ko) 2010-08-24 2012-06-08 엔비산업 주식회사 배수 트랩
KR101229689B1 (ko) 2011-08-30 2013-02-05 장동식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1185591B1 (ko) 2012-07-03 2012-09-24 원진테크 주식회사 오수받이
KR20140122600A (ko) * 2013-04-10 2014-10-20 (주)덕원이앤씨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및 그 설치방법
KR101599013B1 (ko) 2013-04-10 2016-03-02 김남리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및 그 설치방법
KR101365936B1 (ko) 2013-07-16 2014-03-13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US9709561B2 (en) 2014-05-13 2017-07-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Multisensing platform having a nanoporous metal layer on a cantilever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US20090173396A1 (en) One piece plumbing vent, drain pipe
JP6085135B2 (ja) 建物用排水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JP4832079B2 (ja) 小型旋回流発生継手
CN109162338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CN109162339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2105499B1 (ko)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JP5997997B2 (ja) 建物用排水システム
CN209308138U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JP4454412B2 (ja) 床下配管の通気構造
KR20120071052A (ko)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JP2007063813A (ja) 合流管継手
KR100955478B1 (ko)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JP5473013B2 (ja) 基礎貫通配管構造
KR101186960B1 (ko) 멀티트랩 오수받이
CN201116374Y (zh) 住宅排水系统
KR101168642B1 (ko) 플렉시블 배수관 및 오수받이의 조립구조체
JP2004278095A (ja) 宅内設置の排水ます
CN215715789U (zh) 一种增强排水速度的排水组件
CN212405355U (zh) 一种家装排水用同层排水汇合器
KR102645117B1 (ko) 배수부 관통공을 구비한 수전함
KR101185591B1 (ko)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