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052A -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052A
KR20120071052A KR1020100132636A KR20100132636A KR20120071052A KR 20120071052 A KR20120071052 A KR 20120071052A KR 1020100132636 A KR1020100132636 A KR 1020100132636A KR 20100132636 A KR20100132636 A KR 20100132636A KR 20120071052 A KR20120071052 A KR 2012007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ipe
sewage
coupling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산
Priority to KR102010013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052A/ko
Publication of KR2012007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6Bowls with downwardly-extending flanges for the sake of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제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 하단부가 결합되도록 테두리부에 결합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 하단부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폭이 상기 배출구 내경에 대응되며, 상기 폭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오수가 배출되는 건축물 바닥의 하수관 내경에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하향 연장되되,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폭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의 주홀이 형성된 주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functional pipe connection apparatus for discharge hole}
본 발명은 배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고, 배수 시의 소음을 줄여 제품의 기능성이 향상되는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나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에는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하수관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대개의 경우, 상기 하수관의 상단부에 상기 양변기나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배출구를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별도의 배수트랩 등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하수관이 주로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층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구를 하수관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양변기나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을 매설된 하수관에 근접하여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공간 활용 측면에서 매우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즉, 양변기나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설치는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를 시공할 때 매설되는 하수관을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하수관의 매설된 위치가 세면대나 양변기 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와 적절한 위치에 매설되어 있지 않을 경우, 시공단계에서 적절한 곳으로 상기 세면대나 양변기 또는 싱크대 등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설치하기가 어렵고, 공간활용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연결장치는 상기 하수관과 상기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부로서, 상부의 몸체를 배출구와 결합하고 하부의 몸체을 하수관에 끼워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연결장치는 쉽게 조립 및 분해되어야 하고, 누수되거나 냄새가 새어나오지 않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특히, 일반적인 양변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조로 담수시키고, 용변후 수조에 담수된 물을 변기 내로 배출시켜 세척한 후 하수관으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변기는 상기 양변기의 하부로 연장된 배수구를 실외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과 연결되어 화장실 바닥 위로 표출된 하수구에 플랜지를 사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변기는 화장실의 측벽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하수구의 배관불량 등으로 인하여 일정거리를 내외측으로 치우치게 되면 수직으로 된 배관연결장치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하부직경과 상부직경의 중심이 편심을 이루는 편심연결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편심연결장치를 플랜지에 연결하는 종래의 연결과정을 보면 먼저 하수관의 입구에 편심연결장치의 하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편심연결장치를 회전시키면서 편심된 위치를 정해진 위치로 보정한다. 이렇게 보정이 완료되면 상기 편심연결장치의 상단외주면과 플랜지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편심연결장치를 플랜지에 삽입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편심연결장치에 삽입되는 플랜지는 접착제의 도포 및 삽입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플랜지와 상기 편심연결장치의 결합과 동시에 접착제가 응고됨으로서 상기 양변기의 양측에 통공된 볼트 삽입구와 상기 플랜지에 상향으로 장착된 볼트를 화장실의 측벽과 평행하게 일치는 작업이 난이하며, 또한 이러한 작업의 난이함을 이유로 볼트 체결을 생략하고 시멘트를 이용하여 변기를 고착시키게 됨으로서 미관을 해치고 변기를 부실하게 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양변기는 유체가 충만되어 있는 역 U형 관로의 최고점 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작용하도록 하여 액체를 일단 높은 곳으로 끌어 올려놓고 이것을 낮은 곳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사이펀(Syphon) 효과를 이용하여 변기 내 수조에 물을 계속 공급하다가 물이 관로의 최고점을 넘으면 이물질을 한꺼번에 빨아드리는 것이다. 즉, 이러한 사이펀 효과는 유압이 작용하는 구역 내에서의 역 U형 관로 수위 차가 클수록 배수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변기의 배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변기 내부의 관로가 배출구에서 갑자기 확폭되는 구조로서,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변기의 물이 사실상 유압이 작용할 수 없는 자유 공간 내로 낙하되기 때문에 실제 유압이 작용하는 역 U형 관로 수위차는 수조 바닥면에서부터 변기 바닥면까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수 구조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엘보관에 이르기까지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물이 높은 위치에서 수직으로 떨어져 엘보관와 충돌하기 때문에 물이 엘보관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다. 특히, 이러한 소음은 아파트나 다층 주택 등에서 아래층 거주자에게는 심한 불만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바닥 슬라브에 매설되는 하수관은 시공업체 및 종류에 따라 그의 내경이 조금씩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하수관과 배출구를 연결시키는 배관연결장치의 종류도 그에 대응되도록 준비하여야 하며, 그에 따른 번거로움 및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배수 시의 소음을 줄여 제품의 기능성이 향상되는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 하단부가 결합되도록 테두리부에 결합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 하단부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폭이 상기 배출구 내경에 대응되며, 상기 폭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오수가 배출되는 건축물 바닥의 하수관 내경에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하향 연장되되,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폭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의 주홀이 형성된 주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플랜지는 상기 배출구 하단부의 연결플랜지와 결합되도록 체결부재가 관통 체결되기 위하여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체결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플랜지를 포함한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패킹결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결합된 상기 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상기 주관으로 취합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주관의 상단부로 연장된 오수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배출구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결합패킹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관의 하단부에는 배출되는 상기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유압을 증대시키도록 하향 협소화되는 구배면으로 연장된 사이펀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주관의 외주는 나선형의 스크류부가 구비되어 하향 협소화되는 구배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관에는 상기 스크류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고정 위치가 조절되어, 그 외주가 상기 하수관 내경 변화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배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밀착패킹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는 배출구 하단부가 결합되는 수용부의 폭이 배출구 내경에 대응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바닥면의 하수관과 배출구의 결합 오차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어 제품의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하향 협소화되는 주관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형의 스크류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하방향 고정위치가 조절되는 밀착패킹이 결합되므로 하수관의 내경 변화에 따라서 주관의 외주를 하수관의 내경에 밀착시킬 수 있어 제품의 기능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주관의 하단부에서 하향 협소화되는 구배면으로 연장된 사이펀부가 형성되므로 배출되는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유압을 증대시켜 사이펀 효과를 증대시키고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오수의 배출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의 만족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에 설치된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의 소음 발생 및 배출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착패킹이 결합된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1)에 설치된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는 양변기(1)의 배출구(3) 및 바닥에 매설된 하수관(5)을 연결하여 오수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는 상기 오수를 배출시키는 양변기(1), 세면대 및 싱크대 등에 형성된 배출구(3)와 건축물의 슬라브 바닥에 매설되어 상기 배출구(3)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밖으로 배출되는 하수관(5)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양변기(1)에 적용시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양변기(1)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소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는 보올과, 상기 보올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정량의 수세용 물을 저수하고 있으면서 상기 보올에 대하여 급수구 패킹에 의해 닫혀진 공급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저수탱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저수탱크에 설치된 배수레버의 조작으로, 그 배수레버에 연동하는 상기 급수부 패킹이 급수구를 개방하여 저수탱크의 물이 공급로를 통해 상기 보올에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상기 보올 내의 수위 증가에 따라 상기 보올 내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그 수압에 의해 상기 보올의 배수로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생성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보올 내의 오수를 'S' 자형의 배수관 일명 배수트랩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는 수용부(10) 및 주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0)에는 상기 양변기(1)의 오수를 배출시키는 상기 배출구(3)의 하단부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수용부(10)는 상기 배출구(3) 하단부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폭이 상기 배출구(3) 내경에 대응되며, 상기 폭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부(10)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3)의 내경에 대응되는 상기 수용부(10)의 폭은 상기 배출구(3)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10)의 상단부에 결합 위치가 조절되어 배치된 상기 배출구(3)의 하단부는 상기 수용부(1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결합플랜지(11)에 의해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결합플랜지(11)는 상기 배출구(3)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플랜지와 결합되도록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 체결되기 위하여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체결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관(20)은 상기 오수가 배출되는 상기 하수관(5) 내경에 삽입되며, 상기 배출구(3) 및 상기 수용부(10)에서 배출된 오수가 상기 하수관(5)으로 배출되도록 주홀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주관(20)은 상기 오수가 배출되는 건출물의 바닥의 하수관(5) 내경에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부(10)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하향 연장되되, 상기 수용부(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부(10)의 폭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의 주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0)의 폭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인 주홀의 직경은 상기 수용부(10)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관(20)은 상기 수용부(10)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주관(20)의 외주는 상기 하수관(5)의 내경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하수관(5)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10) 및 상기 주관(2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로 성형되어짐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결합패킹(17) 및 밀착패킹(23)은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0) 및 상기 주관(2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는 결합패킹(1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패킹(17)은 상기 배출구(3)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10) 상단부의 테두리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10) 상단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패킹(17)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상기 배출구(3)에서 상기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로 배출되는 오수가 새지 않도록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플랜지(11)는 상기 배출구(3) 하단부의 연결플랜지와 결합되도록 체결부재가 관통 체결되기 위하여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체결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배출구(3) 하단부가 상기 수용부(10) 상단부에 결합위치가 조절되어 배치되면 상기 배출구(3) 하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부재로 상기 결합플랜지(11) 및 상기 연결플랜지를 관통하여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부(13)는 상기 배출구(3)의 하단부의 결합위치에 따른 체결이 가능하도록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홀부(13)는 상기 배출구의 연결플랜지의 결합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되, 연속적으로 배열된 다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3) 하단부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플랜지와 대응되는 지점의 상기 체결홀부(13)에 상기 체결부재를 관통시킴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관(20)의 외주는 하향 협소화되는 구배면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관(20)의 상부의 외주(d1)보다 상기 주관(20)의 하부의 외주(d2)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하수관(5)으로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관(20)의 외주에는 나선형의 스크류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21)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이동하여 고정위치가 조절되는 밀착패킹(23)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패킹(17)이 상기 수용부(10) 상단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결합플랜지(11)를 포함한 상기 수용부(10) 상단부에는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패킹결합부(1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패킹결합부(19)를 따라 상기 결합패킹(17)이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3)의 하단부 및 상기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의 밀폐성이 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0)는 오수안내부(15)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10)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주관(20)의 외주 상부로 연장된 상기 오수안내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0)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결합된 상기 배출구(3)의 오수가 상기 주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출구(3) 및 상기 하수관(5)에 결합된 상기 주관(2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고 편향되어 배치된 경우 상기 수용부(10) 상단부에서 상기 배출구(3)의 위치가 조절되어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3)에서 배출되는 오수는 상기 오수안내부(15)를 거쳐 상기 주관(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관(20)은 사이펀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주관(20)의 하단부에는 배출되는 상기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유압을 증대시키도록 하향 협소화되는 구배면으로 연장된 사이펀부(3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양변기(1)의 작동 원리는 두 가지의 기본적인 요소 즉, 배수관과 사이펀작용에 있다. 상기 배수관은 댐과 상기 댐을 형성시키는 배수트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양변기의 사용 후 다음 사용시까지 상기 양변기의 보올에 물을 고이게 하기 위해서 댐의 상단부로 통 안에 있는 물이 서서히 넘쳐흐르는 것을 막는다. 고인물은 아래로 내려가는 오수로부터 상기 보올을 고립시키는 액체방취판 역할을 하며 떨어지는 오물을 받아 보올 표면에 직접 오물이 닿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트랩의 하강부분은 상기 양변기(1)의 바닥 밑까지 연장되어 있어 어느 정도 높이의 물이 흐르면서 사이펀작용이 일어난다. 상기 양변기(1)에 있어서 세정수는 먼저 보올로 배수된다.
상기 세정수의 배수가 계속됨에 따라 흘러 넘치는 것은 배수트랩의 하강부위에 기둥같은 물줄기가 형성되는 정도의 수위까지 증가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사이펀작용이 일어난다. 상기 사이펀 작용은 상기 보올로부터 오물을 제거하는 흡입을 일으킨다.
상기 사이펀 작용은 오직 어느 정도 높이의 물의 흐름에 의해서만 설치되어지기 때문에 많은 양의 물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상기 양변기(1)는 상기 배수탱크로부터 상당한 양의 물을 내보냄으로써 필요한 물의 유속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펀부(30)는 상기 양변기(1)의 사이펀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상기 사이펀 효과란 압력차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유체가 충만되어 있는 역 U형 관로의 최고점 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작용하도록 하여 액체를 일단 높은 곳으로 끌어 올려놓고 이것을 낮은 곳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사이펀 효과를 이용하여 변기 내 수조에 물을 계속 공급하다가 물이 관로의 최고점을 넘으면 이물질을 한꺼번에 빨아들이는 것이다.
즉, 이러한 사이펀 효과는 유압이 작용하는 구역 내에서의 역 U형 관로 수위 차가 클수록 배수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사이펀부(30)는 상기 오수의 유압을 증대시켜 사이펀 효과를 증대시켜 소음을 줄일 뿐만 아니라 상기 오수의 배출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의 소음감소 및 배출속도의 효과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의 소음 발생 및 배출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변기(1)에 일반적인 배관연결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를 설치하여 소음 측정기를 이용한 소음 발생 정도 및 상기 오수의 배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의 일반적인 배관연결장치로 소음 발생 정도 및 상기 오수의 배출 시간을 시험한 결과, 상기 오수가 배출될 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소음도는 3초 및 10초 경과 각각 약 60 dB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오수의 배출 시간은 약 12초 정도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로 소음 발생 정도 및 상기 오수의 배출 시간을 시험한 결과, 상기 오수가 배출될 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소음도는 7초 경과 시에 약 55 dB 정도로 나타난다. 또한, 상기 오수의 배출 시간은 10초 내외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배관연결장치는 두 번에 걸쳐 높은 소음이 발생하고 상기 오수의 배출 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반하여, 상기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배관연결장치와 비교하여 소음이 감소되고 배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의 주관(20)에는 밀착패킹(23)이 결합될 수 있는데 그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착패킹(23)이 결합된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관(20)의 외주는 하향 협소화되는 구배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배면에는 나선형의 스크류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21)를 따라 이동되는 밀착패킹(23)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주관(20) 하부의 외주(d2)는 상기 주관(20) 상부의 외주(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하수관(5)으로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관(20)의 외주에는 상기 스크류부(2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고정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구배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밀착패킹(23)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패킹(23)은 일정하지 않은 상기 하수관(5)의 내경에 상기 주관(20)의 외주를 밀착시키도록 상하 방향으로 고정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부(21)는 상기 주관(20)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착패킹(23)은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내면에 상기 스크류부(21)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링형상의 부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대적으로 좁은 내경을 가진 상기 하수관(5)에는 상기 밀착패킹(23)을 상기 스크류부(21)를 따라 상기 주관(20)의 최하단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내경을 가진 상기 하수관(5)에는 상기 밀착패킹(23)을 상기 스크류부(21)를 따라 상기 주관(20)의 최상단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경이 각각 다른 상기 하수관(5)에도 그에 알맞게 상기 밀착패킹(23)의 고정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관(20)의 외면에 밀착된 상기 밀착패킹(23)의 외면이 상기 하수관(5)의 내경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의 상기 오수안내부(15)는 상기 주관(20)의 상단부에서 굴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구(3) 및 상기 하수관(5)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배출구(3)는 상기 수용부(10)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3)에는 상기 수용부(10)의 상기 결합패킹(17)에 빈틈없이 밀착되도록 하단부에 연결플랜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3)에서 배출되는 오수는 상기 오수안내부(15)를 통하여 상기 주관(20) 및 상기 하수관(5)으로 배출되는데, 상기 오수안내부(15)의 굴곡면에 의하여 상기 오수는 상기 주관(20)으로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100)는 상기 배출구(3)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10)의 폭이 상기 배출구(3) 내경에 대응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므로, 바닥면의 상기 하수관(5) 및 상기 배출구(3)의 결합위치 오차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어 제품의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하향 협소화되는 상기 주관(20)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형의 상기 스크류부(21)를 따라 이동하여 상하방향 고정위치가 조절되는 탄성 재질의 상기 밀착패킹(23)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수관(5)의 내경 변화에도 그에 대응되는 상기 주관(20)의 외주를 조절하여 상기 하수관(5)의 내경에 밀착시킬 수 있어 제품의 기능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관(20)의 하단부에서 하향 협소화되는 구배면으로 연장된 상기 사이펀부(30)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유압을 증대시켜 사이펀 효과를 증대시키고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오수의 배출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의 만족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양변기 3: 배출구
5: 하수관 10: 수용부
11: 결합플랜지 13: 체결홀부
15: 오수안내부 17: 결합패킹
19: 패킹결합부 20: 주관
21: 스크류부 23: 밀착패킹
30: 사이펀부
100: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Claims (5)

  1.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 하단부가 결합되도록 테두리부에 결합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 하단부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폭이 상기 배출구 내경에 대응되며, 상기 폭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오수가 배출되는 건축물 바닥의 하수관 내경에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하향 연장되되,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폭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의 주홀이 형성된 주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랜지는 상기 배출구 하단부의 연결플랜지와 결합되도록 체결부재가 관통 체결되기 위하여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체결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플랜지를 포함한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패킹결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결합된 상기 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상기 주관으로 취합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주관의 상단부로 연장된 오수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배출구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결합패킹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의 하단부에는 배출되는 상기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유압을 증대시키도록 하향 협소화되는 구배면으로 연장된 사이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의 외주는 나선형의 스크류부가 구비되어 하향 협소화되는 구배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관에는 상기 스크류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고정 위치가 조절되어, 그 외주가 상기 하수관 내경 변화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배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밀착패킹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KR1020100132636A 2010-12-22 2010-12-22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KR20120071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636A KR20120071052A (ko) 2010-12-22 2010-12-22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636A KR20120071052A (ko) 2010-12-22 2010-12-22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052A true KR20120071052A (ko) 2012-07-02

Family

ID=4670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636A KR20120071052A (ko) 2010-12-22 2010-12-22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0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568B1 (ko) * 2013-12-03 2015-05-20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용 플랜지
KR102495249B1 (ko) * 2022-02-11 2023-02-06 홍이슬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568B1 (ko) * 2013-12-03 2015-05-20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용 플랜지
KR102495249B1 (ko) * 2022-02-11 2023-02-06 홍이슬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US8607368B2 (en) Connection device between toilet and drainpipe
KR20120064760A (ko) 양변기용 배수관장치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KR20120071052A (ko)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20120076006A (ko) 통합 이중관 및 그를 적용한 통합 배수관 시공방법
US20170051482A1 (en) Trap integrated drain device for washbasin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KR20100011172U (ko) 세면대 배수관용 배수트랩
KR20210059288A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JPS5820709Y2 (ja) サイホン式水洗便器の排水管接続用パツキング
CN220666378U (zh) 一种排水汇集器及排水汇集系统
KR200464491Y1 (ko) 절수 및 소음방지 성능이 향상된 양변기
CN215105904U (zh) 一种用于同层排水的排水地漏
CN211172222U (zh) 一种同层排水回填层积水排除装置
KR102133230B1 (ko) 초절수 양변기
CN201116374Y (zh) 住宅排水系统
KR101243894B1 (ko) 위생기의 트랩과 오배수관의 연결구조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CN201695480U (zh) 一种节水、接漏型存水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