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499B1 -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 Google Patents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499B1
KR102105499B1 KR1020180155551A KR20180155551A KR102105499B1 KR 102105499 B1 KR102105499 B1 KR 102105499B1 KR 1020180155551 A KR1020180155551 A KR 1020180155551A KR 20180155551 A KR20180155551 A KR 20180155551A KR 102105499 B1 KR102105499 B1 KR 10210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xis direction
nut
stop surfa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156A (ko
Inventor
황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0001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3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omprising parts outside the hos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바디(100)의 벽체(120)가 닫힌 링(closed ring)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체(120)의 외주에 바디커버(300) 내주의 결합홈(32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22)가 X축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형성되며, 결합돌기(122)들이 벽체(120)의 X축방향 양쪽을 Y축방향으로 보강할 수 있게 각각 벽체(120)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벽체(120)의 전체 외주길이에 대하여 1/3 ~ 1/6의 길이(L)를 가진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ONE-TOUCH NUT FOR SANITARY APPLIAN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면기, 소변기, 양변기, 샤워기, 욕조, 싱크대 등의 위생기구를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원터치 너트에 관한 것이다.
세면기와 같은 위생기구에는, 급수 및/또는 배수를 위한 관로를 제공하는 관로형성부재, 그리고 관로형성부재를 위생기구의 급수구(세면기의 경우 세면기의 수전에 마련된다.) 및/또는 배수구(세면기의 경우 세면기의 볼(bowl)에 마련된다.)에 접속하거나 다른 관로형성부재와 상호 연결하는 너트가 구비된다. 작업자는 관로형성부재를 접속하거나 연결하려면 손 또는 공구로 너트를 수회 회전시켜야 한다. 이는 비좁은 공간에서 수행하기가 어려운 작업이고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된다(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328호 참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025호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너트바디, 두 나사산부재, 바디커버 및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두 나사산부재가 형성하는 암나사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아닌 밀어 끼우는 방식으로 수나사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관로형성부재를 접속하거나 연결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너트바디(10)는 벽체(12)의 내주에 벽체(12) 선단 쪽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형상의 제1 테이퍼면(12t)이 형성되고, 너트바디(10)의 내부에 수용된 두 나사산부재(20)는 외주에 각각 제1 테이퍼면(12t)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테이퍼면(22t)이 형성된다. 두 나사산부재(20)의 내주에는 각각 암나사의 일부를 구성하는 나사산(21)이 형성된다. 바디커버는 너트바디(10)에 씌워지고, 코일스프링(압축코일스프링)은 두 나사산부재(20)와 바디커버에 양쪽 단부가 각각 지지된다. 벽체(12)의 외주에서 Y축방향의 양쪽에는 결합돌기(12p)가 각각 형성되고, 바디커버에는 결합돌기(12p)가 끼워지는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은, 수나사가 형성된 관로형성부재의 외주에 너트바디(10)의 너트구멍(11h)을 통하여 밀어 끼우면, 두 나사산부재(20)가 제1 테이퍼면(12t)과 제2 테이퍼면(22t)에 의하여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Z축방향으로 밀림과 아울러 Y축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되었다가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복귀되어 관로형성부재의 수나사와 나사결합된다.
그러나, 살펴본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관로형성부재의 접속 상태 또는 연결 상태 등에 따라서는 관로형성부재를 따라 흐르는 물이 너트바디(10)와 바디커버에 의한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수밀 구조가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결합돌기(12p)와 결합된 결합구멍 또는 너트바디(10)와 바디커버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벽체(12)가 Y축방향으로 한쪽의 제1 벽체(12A)와 다른 쪽의 제2 벽체(12B)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도 2의 (B)와 같이, Y축방향(화살표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벽체(12)가 작은 외력에도 크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너트바디(10)와 바디커버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면서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대량으로 누출될 수 있고, 벽체(12) 및 바디커버에 균열 등이 발생하여 장기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의 외력이라 함은, 너트바디(10)와 바디커버에 의한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압력, 수나사와의 나사결합 시 두 나사산부재(20)가 Y축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되는 힘 등일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은, 너트바디(10)와 바디커버의 조립 시, 상호 결합방향이 약간만 틀어지더라도 결합돌기(12p)가 결합구멍에 잘 끼워지지 않게 때문에, 조립 시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어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328호(2008.07.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025호(2014.03.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누수 방지 및 강도 향상 면에서 보다 유리한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립성 개선 면에서 보다 유리한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부분에 제1 너트구멍이 Z축방향으로 관통되며 Z축방향의 양면 중 제1 면에 상기 제1 너트구멍의 주위를 따라 스톱면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제1 면에 상기 스톱면의 주위를 따라 원형이면서 닫힌 링(closed ring)의 형상으로 마련된 벽체, 그리고 상기 스톱면 상에 X축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스톱면을 Y축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의 제1 스톱면과 제2 스톱면으로 구분하는 파티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의 내주에 상기 벽체의 선단 쪽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형상의 제1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외주에 X축방향의 양쪽으로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 각각이 상기 벽체에 Y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상기 벽체의 변형을 저지할 수 있게 상기 벽체에서 X축방향의 양쪽 부분을 Y축방향으로 보강하도록 상기 벽체(120)에서 Y축방향의 양쪽 부분 쪽을 향하여 상기 벽체의 외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벽체의 전체 외주길이에 대하여 1/3 ~ 1/6의 길이를 가진, 너트바디와; 상기 제1 스톱면 상과 상기 제2 스톱면 상에 각각 배치되고, 각기 내주에 암나사의 일부를 구성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제1 테이퍼면에 대응하는 제2 테이퍼면이 각각 형성되어 Z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Y축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바디의 중심 쪽과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 가능한 두 나사산부재와; 상기 너트바디에 씌워지고, 상기 제1 너트구멍과 대향하는 제2 너트구멍 및 상기 스톱면과 대향하는 지지면을 가지며, 내주에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 바디커버와; 상기 두 나사산부재와 상기 지지면에 양쪽 단부가 각각 지지되어 상기 두 나사산부재에 상기 제1 면 쪽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체의 외주와 상기 바디 커버의 내주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벽체의 외주에는 상기 실링부재를 수용하는 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홈은 상기 결합돌기의 배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면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벽체의 선단에는 가이드홈들이 상기 벽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바디커버의 내주에는 상기 가이드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턱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 각각에는 크기를 바닥 쪽으로 갈수록 축소시키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턱 각각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과 주위가 외부와 차단된 형상을 가진 결합홈(322)들에 결합돌기(122)들이 끼워져 너트바디(100)와 바디커버(300)가 결합되기 때문에, 관로형성부재를 따라 흐르는 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둘레를 통하여 주위로 누출(분출)되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500)를 수용하는 실링홈(125)이 결합돌기(122)들의 배치위치를 기준으로 제1 면(S11) 쪽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벽체(120)의 외주와 둘레커버(320)의 내주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벽체(120)가 닫힌 링(closed ring)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벽체의 외주에 X축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된 결합돌기(122)들이 벽체의 외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벽체의 전체 외주길이에 대하여 1/3 ~ 1/6의 길이를 가지며, 두 나사산부재(200)가 Y축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두 나사산부재가 Y축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되는 등 벽체에 외력이 Y축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벽체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벽체의 닫힌 링 형상 및 결합돌기들의 보강작용으로 인하여 벽체의 변형 및 이로 인한 파손을 적극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장기 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너트바디(100)와 바디커버(300)의 조립 시 상호 결합방향이 다소 틀어지더라도, 제1 경사면(124)을 가진 가이드홈(123)들과 제2 경사면(324)을 가진 가이드턱(323)들의 안내작용으로 인하여 상호 결합방향이 보정되기 때문에, 비숙련자도 너트바디와 바디커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의 너트바디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Y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너트바디를 X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을 B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면기, 소변기, 양변기, 샤워기, 욕조, 싱크대 등의 위생기구에 있어서 급수 및/또는 배수를 위한 관로를 제공하는 관로형성부재를 위생기구의 급수구 및/또는 배수구에 접속하거나 다른 관로형성부재와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one touch nut)는, 암나사가 관로형성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와 회전시키는 방식이 아닌 밀어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관로형성부재를 접속하거나 연결할 수 있게 한 것인바,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바디(100), 두 나사산부재(200), 바디커버(300), 코일스프링(압축코일스프링, 400) 및 실링부재(오링, 500)를 포함한다.
너트바디(100)는 베이스(110), 벽체(120) 및 파티션(13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10)는, 중앙부분에 제1 너트구멍(111)이 Z축방향으로 관통되고, Z축방향의 양면(S11, S12)인 제1 면(S11)과 제2 면(S12) 중 제1 면(S11)에 제1 너트구멍(111)의 주위를 따라 스톱면(112)이 형성된다.
벽체(120)는 베이스(110)의 제1 면(S11) 상에 세워진다. 즉, 벽체(120)는 제1 면(S11)으로부터 Z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벽체(120)는 스톱면(112)의 주위를 따라 닫힌 링(closed ring)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닫힌 링 형상의 벽체(12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벽체(120)의 내주에는 제1 테이퍼면(121)이 마련된다. 제1 테이퍼면(121)은, 벽체(120)의 내주 크기를 베이스(110)의 제1 면(S11) 쪽으로부터 벽체(120)의 선단 쪽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확대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벽체(120)의 외주에는 두 결합돌기(122)가 형성된다. 두 결합돌기(122)는 각각 X축방향의 양쪽으로 배치된다.
결합돌기(122) 각각은 벽체(120)에 Y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벽체(120)의 휨 변형 등을 저지할 수 있게 벽체(120)의 X축방향의 양쪽을 Y축방향으로 보강하도록 벽체(120)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벽체(120)의 외주길이에 대하여 1/3 ~ 1/6의 길이(L)를 가진다. 벽체(120)는 결합돌기(122)들의 보강작용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향상된 강도를 가진다.
파티션(130)은 베이스(110)의 스톱면(112) 상에 X축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되어 스톱면(112)을 Y축방향의 양쪽 중 한쪽에 위치하는 제1 스톱면(112a)과 Y축방향의 양쪽 중 다른 쪽에 위치하는 제2 스톱면(112b)으로 구분한다.
두 나사산부재(200)는 제1 스톱면(112a)과 제2 스톱면(112b) 상에 각각 배치된다. 나사산부재(200) 각각은 나사산(210) 및 테이퍼 플레이트(taper plate, 220)로 구성된다. 나사산(210)들은 암나사를 구성한다.
나사산(210)들은 테이퍼 플레이트(220) 각각의 내주에 암나사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 플레이트(220)들은 벽체(120)의 내주와 대향하는 외주에 각각 제1 테이퍼면(121)에 대응하는 제2 테이퍼면(221)이 형성된다. 서로 대응하는 제1 테이퍼면(121)과 제2 테이퍼면(221)에 의하면, 나사산부재(200)들은, Z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아울러 Y축방향을 따라 너트바디(100)의 중심 쪽과 중심 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12 참조).
테이퍼 플레이트(220)들에 있어서, 스톱면(112) 쪽을 향하는 제1 단부와 제1 단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단부 중 제2 단부에는 지지턱(222)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파티션(130) 각각은, 테이퍼 플레이트(220)들의 양옆과 각각 대향하여 테이퍼 플레이트(220)들의 회전 이동을 규제하는 두 측면부재(131), 그리고 이러한 두 측면부재(1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2)를 포함한다. 두 측면부재(131)들은 베이스(110)에 연결된 상태로 벽체(120)에 연결될 수 있다.
바디커버(300)는 너트바디(100)에 씌워진다. 바디커버(300)는, 벽체(120)의 선단 쪽을 커버하는 단부커버(310) 및 벽체(120)의 외주 쪽을 커버하는 둘레커버(320)로 구성된다.
단부커버(310)의 중앙부분에는 제1 너트구멍(111)과 대향하는 제2 너트구멍(311)이 형성된다. 단부커버(310)에 있어서, Z축방향의 양면(S21, S22)인 내면(S21)과 외면(S22) 중 베이스(110)의 제1 면(S11)과 대향하는 내면(S21)에는 스톱면(112)과 대향하는 지지면(312)이 형성된다.
둘레커버(320)의 외주에는 미끄럼방지돌기(321)가 형성될 수 있다. 둘레커버(320)의 내주에는 결합돌기(122)를 각각 수용하는 결합홈(322)이 형성된다. 결합돌기(122)가 결합홈(322)에 각각 끼워지면, 너트바디(100)와 바디커버(300)는 서로 결합되어 분리가 방지된다.
여기에서, 결합홈(322) 각각은 바닥 및 주위가 외부와 차단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는, 이 같은 홈 구조의 결합홈(322)들에 결합돌기(122)들이 끼워지기 때문에, 너트바디(100)와 바디커버(30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관로형성부재를 따라 흐르는 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둘레를 통하여 주위로 누출(분출)되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400)은 두 나사산부재(200)에 단부커버(310)의 내면(S21) 쪽에서 베이스(110)의 제1 면(S11) 쪽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코일스프링(400)은 두 나사산부재(200)의 지지턱(222)에 한쪽 단부가 지지되고 단부커버(310)의 지지면(312)에 다른 쪽 단부가 지지되어 두 나사산부재(20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실링부재(500)는 벽체(120)의 외주와 둘레커버(320)의 내주 사이에 개재되어 수밀작용을 수행한다. 벽체(120)는 외주에 실링부재(500)를 수용, 실링부재(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실링홈(125)이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실링홈(125)은 결합돌기(122)의 배치위치를 기준으로 제1 면(S11) 쪽으로 배치된다.
실링홈(125) 및 실링부재(500)에 의한 수밀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는 관로형성부재를 따라 흐르는 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벽체(120)의 외주와 둘레커버(320)의 내주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누수 방지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물에 젖는 문제, 주변이 배수되는 물에 의하여 오염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벽체(120)의 선단에는 가이드홈(123)들이 벽체(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바디커버(300)의 내주에는 가이드홈(123)들에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턱(323)들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23)들과 가이드턱(323)들에 의하면, 너트바디(100)와 바디커버(300)를 결합하는 때, 결합돌기(122)가 결합홈(322)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가이드홈(123) 각각에는 크기를 바닥 쪽으로 갈수록 축소시키는 제1 경사면(124)이 형성되고, 가이드턱(323) 각각에는 제1 경사면(124)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324)이 형성된다. 제1 경사면(124)과 제2 경사면(324)에 의하면, 가이드턱(323)들을 가이드홈(123)으로 자연스럽게 진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경사면(124)을 가진 가이드홈(123)들과 제2 경사면(324)을 가진 가이드턱(323)들의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는 비숙련자도 너트바디(100)와 바디커버(300)의 조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를 이용, 세면기의 배수구에 관로형성부재인 배수관(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팝업밸브를 구성하는 배수관일 수 있다.)을 접속시킨 상태를 예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를 이용, 관로형성부재의 일례인 급수관 또는 배수관(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다)과 관로형성부재의 다른 예인 고압호스를 서로 연결시킨 상태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가 배수트랩과 접속되는 연결관(350)을 가질 수 있음을 예시한다. 연결관(350)은 바디커버(300)에 마련되어 바디커버(300)를 구성한다.
연결관(350)은 배수트랩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연결관(350)은, 바디커버(300)의 제2 너트구멍(311)으로부터 Z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아울러 선단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는, 벽체(120)가 닫힌 링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벽체(120)의 외주에 X축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된 결합돌기(122)들이 벽체(120)의 외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벽체(120)의 전체 외주길이에 대하여 1/3 ~ 1/6의 길이(L)를 가지며, 두 나사산부재(200)가 Y축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두 나사산부재(200)가 Y축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되는 등 벽체(120)에 강한 외력이 Y축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벽체(120)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벽체(120)의 닫힌 링 형상 및 벽체(120)의 외주방향으로 기다란 결합돌기(122)들의 보강작용으로 인하여 벽체(120)의 변형 및 이로 인한 파손을 적극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장기 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00 : 너트바디
110 : 베이스
111 : 제1 너트구멍
112 : 스톱면
120 : 벽체
121 : 제1 테이퍼면
122 : 결합돌기
123 : 가이드홈
124 : 제1 경사면
125 : 실링홈
130 : 파티션
200 : 나사산부재
210 : 나사산
220 : 테이퍼 플레이트
221 : 제2 테이퍼면
300 : 바디커버
310 : 단부커버
311 : 제2 너트구멍
312 : 지지면
320 : 둘레커버
321 : 미끄럼방지돌기
322 : 결합홈
323 : 가이드턱
324 : 제2 경사면
400 : 코일스프링
500 : 실링부재

Claims (3)

  1. 중앙부분에 제1 너트구멍(111)이 Z축방향으로 관통되며 Z축방향의 양면(S11, S12) 중 제1 면(S11)에 상기 제1 너트구멍(111)의 주위를 따라 스톱면(112)이 형성된 베이스(110), 상기 제1 면(S11)에 상기 스톱면(112)의 주위를 따라 원형이면서 닫힌 링(closed ring) 형상으로 마련된 벽체(120), 그리고 상기 스톱면(112) 상에 X축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스톱면(112)을 Y축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의 제1 스톱면(112a)과 제2 스톱면(112b)으로 구분하는 파티션(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120)의 내주에 상기 벽체(120)의 선단 쪽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형상의 제1 테이퍼면(121)이 형성되며, 원형이면서 닫힌 링 형상인 상기 벽체(120)의 외주에 X축방향의 양쪽으로 결합돌기(122)가 각각 형성되고, X축방향의 양쪽으로 배치된 상기 결합돌기(122) 각각이 상기 벽체(120)에 Y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상기 벽체(120)의 변형을 저지할 수 있게 상기 벽체(120)에서 X축방향의 양쪽 부분을 Y축방향으로 보강하도록 상기 벽체(120)에서 Y축방향의 양쪽 부분 쪽을 향하여 상기 벽체(120)의 외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너트바디(100)와;
    상기 제1 스톱면(112a) 상과 상기 제2 스톱면(112b) 상에 각각 배치되고, 각기 내주에 암나사의 일부를 구성하는 나사산(210)이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제1 테이퍼면(121)에 대응하는 제2 테이퍼면(221)이 각각 형성되어 Z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돌기(122)들의 배치방향인 X축방향과 직교하는 Y축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바디(100)의 중심 쪽과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 가능한 두 나사산부재(200)와;
    상기 너트바디(100)에 씌워지고, 상기 제1 너트구멍(111)과 대향하는 제2 너트구멍(311) 및 상기 스톱면(112)과 대향하는 지지면(312)을 가지며, 내주에 상기 결합돌기(122)들을 각각 수용하는 결합홈(322)이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 바디커버(300)와;
    상기 두 나사산부재(200)와 상기 지지면(312)에 양쪽 단부가 각각 지지되어 상기 두 나사산부재(200)에 상기 제1 면(S11) 쪽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40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두 나사산부재(200)가 Y축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바디(100)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 시 상기 벽체(120)에 Y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한 상기 벽체(120)의 변형을 X축방향의 양쪽으로 배치된 상기 결합돌기(122)들의 보강작용으로 저지할 수 있는,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120)의 외주와 상기 바디커버(300)의 내주 사이에는 실링부재(500)가 개재되고,
    상기 벽체(120)의 외주에는 상기 실링부재(500)를 수용하는 실링홈(125)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홈(125)은 상기 결합돌기(122)의 배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면(S11) 쪽으로 배치된,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체(120)의 선단에는 가이드홈(123)들이 상기 벽체(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바디커버(300)의 내주에는 상기 가이드홈(123)들에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턱(323)들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23) 각각에는 크기를 바닥 쪽으로 갈수록 축소시키는 제1 경사면(12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턱(323) 각각에는 상기 제1 경사면(124)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324)이 형성된,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KR1020180155551A 2018-08-06 2018-12-05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KR102105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1054 2018-08-06
KR1020180091054 2018-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156A KR20200016156A (ko) 2020-02-14
KR102105499B1 true KR102105499B1 (ko) 2020-04-29

Family

ID=6951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551A KR102105499B1 (ko) 2018-08-06 2018-12-05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525B1 (ko) 2023-09-26 2024-04-12 이길택 원터치 방식의 관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328U (ko) 2006-12-27 2008-07-03 김광연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
KR101371025B1 (ko) * 2011-09-19 2014-03-10 염복자 너트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525B1 (ko) 2023-09-26 2024-04-12 이길택 원터치 방식의 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156A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8517A1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Testing a Plumbing System
CA2829072A1 (en) Bathtub drain and overflow kit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KR20210060934A (ko) 꼬임방지 기능을 갖는 수도배관용 고압호스 연결구
KR102105499B1 (ko)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KR102038138B1 (ko)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KR100701650B1 (ko) 출몰식 급수장치
KR101169771B1 (ko)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JP6446629B2 (ja) 管体の接続構造
JP5613886B2 (ja) 槽体の配管構造
JP2013100644A (ja) 浴槽排水継手
JP4713910B2 (ja) 配管固定具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WO2013085159A1 (ko) 수도전 푸시밸브
CA3014794C (en) Detachable faucet connector
KR20200127519A (ko) 배수트랩 어셈블리
JP4916674B2 (ja) 配管固定具
JP2006307962A (ja) 配管固定具
JP6909451B2 (ja) 管体の接続構造
KR200165466Y1 (ko) 세면대용 수도전
KR200427150Y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200165467Y1 (ko) 세면대 및 좌변기용 밸브
JP2006275073A (ja) 配管固定具
JP2013213326A (ja) レリースワイヤ挿通固定具
JP3616413B2 (ja) 衛生器具への給水配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