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150Y1 - 관붙이 앵글밸브 - Google Patents

관붙이 앵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150Y1
KR200427150Y1 KR2020060016626U KR20060016626U KR200427150Y1 KR 200427150 Y1 KR200427150 Y1 KR 200427150Y1 KR 2020060016626 U KR2020060016626 U KR 2020060016626U KR 20060016626 U KR20060016626 U KR 20060016626U KR 200427150 Y1 KR200427150 Y1 KR 200427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valve
hose
ring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투
Priority to KR2020060016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Valve Housing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수도관에 연결되어 수도전에 물을 공급 차단하는 관붙이 앵글밸브에 있어서, 상기 앵글밸브의 출수구의 선단부 내측에 오링, 보조링 및 클램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출수구의 선단 외측으로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캡이 나사 조립되어 상기 오링, 보조링 및 클램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클램프링의 내주연은 상기 캡의 구멍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주연에 홈이 형성된 호스접속구를 상기 구멍으로 삽입하면 호스 접속구의 홈에 상기 클램프링의 내주연이 걸려서 고정토록 된 것이며,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의 일측면에 나사구멍이 더 형성되고, 이 나사구멍에 호스 연결용 컨넥터가 조립되므로서 보조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가 추가로 직접 연결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어댑터 밸브를 연결시켜 사용하지 않으면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호스 등을 앵글밸브로부터 원터치 방식으로 직접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하나 이상 추가로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을 갖는 관붙이 앵글밸브를 제공할 수 있어서 건물 준공시에 기본적으로 벽체에 매입 설치되는 앵글밸브로서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앵글밸브, 컨넥터, 호스접속구, 호스, 원터치, 멀티기능

Description

관붙이 앵글밸브{The angle valve which the pipe is attaching}
도 1은 종래의 관붙이 앵글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관붙이 앵글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의 연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관체 21 : 나사부
22 : 개페손잡이 23 : 밸브체
24 : 출수구 25 : 캡나사부
26,26' : 나사구멍 30 : 플렉시블 호스
31 : 호스 접속구 32 : 홈
33 : 연결용 호스 41 : 오링
42 : 보조링 43 : 걸림턱
44 : 클램프링 50 : 캡
60 : 컨넥터 61 : 나사부
62 : 패킹 63 : 단턱
64 : 오링 65 : 스냅링체
66 : 스냅 67 : 걸림날
100 : 관붙이 앵글밸브
본 고안은 관붙이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과 접속되어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관붙이 앵글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분기하여 실내에서 사용하는 비데기, 연수기, 정수기 및 식기세척기 등의 가전 주방용품에 용수를 공급함에 있어서, 별도의 어댑터 밸브를 연결시켜 사용하지 않으면서 누구나 손쉽게 호스 접속구 및 호스를 앵글밸브에 원터치 방식으로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을 갖는 관붙이 앵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붙이 앵글밸브는 건물 실내 벽체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배관 자재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관붙이 앵글밸브(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3)에 일단부가 나사 체결되어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개폐 손잡이(4)에 의해 물을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일측에는 출수구(5)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 출수구(5)에 플렉시블 호스(6)를 연결하여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들어 변기의 수조 또는 별도의 샤워기에 연결하여 수돗물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관붙이 앵글밸브(1)는 특히 일반 가정의 화장실과 싱크대 하부 그리고 기타 수돗물을 추가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베란다 등과 같은 장소의 벽면에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관붙이 앵글밸브(1)에 상기 플렉시블 호스(6)의 단부에 구비된 호스 접속구(7)를 나사 체결 방식으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그 양쪽을 별도의 체결 공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내재 되어 있어서 좀더 편리하게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호스 접속구(7)를 체결하여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실내에서 수돗물을 부가적으로 공급하여 사용하기 위한 비데기, 연수기, 정수기 및 식기세척기 등의 가전 용품이 확대 보급됨에 따라 상기 앵글밸브(1)로부터 부가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관붙이 앵글밸브(1)는 하나의 출수구(5)가 마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화장실에 구비된 관붙이 앵글밸브(1)에서 변기에 설치되는 비데기 등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어댑 터 밸브(8)를 사용하여 이 어댑터 밸브(8)의 출수구(9)에 변기의 수조 측으로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6)를 호스접속구(7)로서 나사 체결하여 연결하고, 보조 출수구(10)를 통하여 비데기(미도시)와 별도의 플렉시블 호스(6)의 호스접속구(7)로서 다시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부가적인 가전 용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별도의 어댑터 밸브를 사용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비데기 등을 추가로 설치함에 따른 어댑터밸브가 별도로 소요되어야 하고, 그 비용도 추가로 발생하게 되어 소비자, 가전용품 제조업체 및 설치 업체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되는 폐단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어댑터 밸브를 나사 체결하여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체결용 전용 공구를 사용함에 따라 연결 작업 또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화장실의 비데기 등을 설치하는 경우 외에도 싱크대 수조 하부에 구비된 관붙이 앵글밸브의 경우에도 별도의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을 추가로 사용함에 따른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 되므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관붙이 앵글밸브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도관과 접속되어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관붙이 앵글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분기하여 실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플렉시블 호스 등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플렉시블 호스 접속구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관붙이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에서 추가적으로 분기하여 비데기, 연수기, 정수기 및 식기세척기 등의 가전 용품에 용수를 공급함에 있어서, 별도의 어댑터 밸브를 연결시켜 사용하지 않으면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호스 등을 관붙이 앵글밸브로부터 원터치 방식으로 직접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을 갖는 관붙이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로부터 하나 이상 수돗물을 분기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주방용품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구를 갖는 관붙이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수도관에 연결되어 수도전에 물을 공급 차단하는 관붙이 앵글밸브에 있어서, 상기 앵글밸브의 출수구의 선단부 내측에 오링, 보조링 및 클램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출수구의 선단 외측으로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캡이 나사 조립되어 상기 오링, 보조링 및 클램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클램프링의 내주연은 상기 캡의 구멍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주연에 홈이 형성된 호스접속구를 상기 구멍으로 삽입하면 호스 접속구의 홈에 상기 클램프링의 내주연이 걸려서 고정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붙이 앵글밸브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호스 접속구를 간편하게 앵글밸브의 출수구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의 일측면에 나사구멍이 더 형성되고, 이 나사구멍에 호스 연결용 컨넥터가 조립되므로서 보조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가 추가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의 양측면에 나사구멍이 더 형성되고, 각각의 나사 구멍에 호스 연결용 컨넥터가 조립되어 구성됨으로서 추가적인 보조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한 개의 관붙이 앵글밸브로 부터 하나 이상의 가전 용품에 수돗물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관붙이 앵글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의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관붙이 앵글밸브(100)는 공지의 구성으로서 길게 형성된 관체(20)의 일단부에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벽체(2)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3)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연결된다.
또한, 그 내부에는 개폐 손잡이(22)에 의해 물을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한 밸브체(23))가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일측에는 출수구(24)가 구비되어 있어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호스(30)의 호스 접속구(31)를 별도의 체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구(24) 내부에는 그 선단부로부터 고무제로 이루어진 오링(41)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조링(42)이 내장되고, 그 하측으로 금속제로 이루어져 그 내주연에 다수의 걸림턱(43)을 가진 클램프링(44)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수구(24)의 선단부 외측에는 캡나사부(25)가 형성되어 이 캡나사부(25)에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캡(50)이 나사 조립되어 상기 오링(41), 보조링(42), 클램프링(44)이 상기 출수구(24)로 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앵글밸브(100)의 출수구(24)에는 상기 호스접속구(31)가 끼워져 접속된다.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접속구(31)는 상기 캡(50)의 구멍보다 외경이 약간 작게 형성되어 그 선단부 외주연에 홈(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홈(32)에 상기 클램프링(44)의 걸림턱(43)의 내주연이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호스 접속구(31)는 그 외주면이 상기 오링(41)의 내주연에 밀착되므로서 연결된 후 물이 공급되어도 틈새로 새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100)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홈(32)이 형성된 호스 접속구(31)를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출수구에 밀어 넣기만 하면 호스 접속구(31)의 선단부가 상기 오링(41)과 클램프링(44)의 내주연을 통과하여 삽입되다가 상기 클램프링(44)의 걸림턱(43)이 상기 호스 접속구(31)의 홈(32)에 걸리게 되어 빠지지 않게 체결되고, 상기 오링(41)과 호스 접속구(31)의 외면이 밀착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상기 개폐 손잡이(22)를 조작하여 플렉시블 호스(30)를 통하여 수돗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에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어댑터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서 직접 관붙이 앵글밸브(100)로부터 직접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30)를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일측면에는 나사 구멍(26)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구멍(26)에는 비데기, 연수기, 정수기 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가는 사이즈의 연결용 호스(33)를 연결하기 위한 호스 연결용 컨넥터(60)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컨넥터(60)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가 상기 나사구멍(26)과 조립되기 위한 나사부(61)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무재질의 패킹(62)을 함께 끼워 물이 새지 않게 조립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그 내부에는 단턱(63)이 형성되어 오링(64)이 걸리도록 조립되고, 그 일측으로 스냅링체(65) 가 조립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스냅링체(65)는 복수의 스냅(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냅(66)의 단부 내주연에는 걸림날(6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용 호스(33)를 상기 스냅링체(65)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상기 스냅(66)이 외측으로 탄발되어 밀리면서 상기 오링(64)를 지나 삽입되면 상기 걸림날(67)이 상기 스냅(66)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연결용 호스(33)의 외측 표면에 파고들게 되어 걸리게 되므로서 상기 연결용 호스(33)가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용 호스(33)의 외면은 상기 오링(64)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용수가 공급될 때 물이 새지 않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비데기, 연수기, 정수기 등에 보조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출수구(24)에 별도의 어댑터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측면에 마련된 컨넥터(60)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용 호스(33)를 상기 컨텍터(60)에 연결하는 작업에 있어서도 별도의 체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컨넥터(60)에 연결용 호스(33)를 간편하게 삽입하기만 하면 원터치 연결 방식으로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한편, 이러한 관붙이 앵글밸브(100)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비데기, 연수기, 정수기 및 식기세척기 등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양측면에 상기 나사구멍(26')이 하나 더 형성되어 멀티형 의 관붙이 앵글밸브(100)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구멍(26),(2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용 호스(33)를 연결하기 위한 호스 연결용 컨넥터(60')가 추가로 조립된다.
상기 컨넥터(60')는 상술한 컨넥터(6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성 및 조립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연결용 호스(33)를 상기 스냅링체(65)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스냅(66)이 외측으로 탄발되어 밀리면서 오링(64)를 지나 삽입되면서 걸림날(67)이 스냅(66)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연결용 호스(33)의 외측 표면에 파고 들게 되어 걸리게 되므로서 상기 연결용 호스(33)가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용 호스(33)의 외면은 상기 오링(64)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용수가 공급될 때 물이 새지 않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100)에 의하면 출수구(24)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나사구멍(26),(26')이 각각 형성되므로서 이 나사구멍(26),(26')에 호스 연결용 컨넥터(60),(60')가 각각 한 개씩 두 개가 추가로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의 화장실에서 많이 애용하는 비데기(B)와 목욕용으로 사용되는 연수기(미도시)를 설치함에 있어서, 비데기(B)와 연수기(미도시)에 용수를 공급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두 개의 어댑터가 소요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멀티형의 관붙이 앵글밸브(100)를 사용하게 되면 비데기 및 연수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용 호스(33)를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 양측면에 마련된 컨넥터(60),(60')에 삽입하여 연결하기만 하면 두 개의 어댑터 없이도 비데기와 연수기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 작업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두 개의 어댑터 밸브를 사용하면 별도의 체결 공구를 사용하여 연결 작업을 어렵고 번거롭게 해야 했지만 본 고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100)에 적용된 컨넥터(60),(60')는 원터치 방식이므로 연결용 호스(33)를 삽입하기만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실링 처리되고 쉽게 이탈되지 않게 체결 되므로서 설치 작업 또한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출수구(24)에는 기존에 사용하는 방식처럼 화장실의 경우, 변기(A)의 수조(W)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가적으로 별도의 연결용 배관 부품이나 작업이 필요없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는 가전 주방용품에 용수를 공급함에 있어서, 별도의 어댑터 밸브를 연결시켜 사용하지 않으면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호스 등을 앵글밸브로부터 원터치 방식으로 직접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하나 이상 추가로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을 갖는 관붙이 앵글밸브를 제공할 수 있어서 건물 준공시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앵글밸브로서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테면, 본 고안 앵글밸브 외관 형태가 변경될 경우 상기 컨넥터는 두 개 이상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출수구에 내장되는 오링, 보조링 및 클램프링 등의 구조는 이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호스 접속구의 홈의 모양이나 크기 직경 등이 관 연결구의 타입에 따라 임의대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도관과 접속되어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관붙이 앵글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분기하여 실내에서 사용하는 가전 주방용품에 용수를 공급함에 있어서, 별도의 어댑터 밸브를 연결시켜 사용하지 않으면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호스 등을 앵글밸브로부터 원터치 방식으로 직접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하나 이상 추가로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을 갖는 관붙이 앵글밸브를 제공할 수 있어서 건물 준공시에 기본적으로 벽체에 매입 설치되는 앵글밸브로서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벽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수도관에 연결되어 수도전에 물을 공급 차단하는 관붙이 앵글밸브에 있어서,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출수구(24)의 선단부 내측에 오링(41), 보조링 (42)및 클램프링(44)이 내장되고 상기 출수구(24)의 선단 외측으로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캡(50)이 나사 조립되어 상기 오링(41), 보조링(42) 및 클램프링(44)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클램프링(44)의 내주연은 상기 캡(50)의 구멍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주연에 홈(32)이 형성된 호스 접속구(31)를 상기 캡(50)의 구멍으로 삽입하면 호스 접속구(31)의 홈(32)에 상기 클램프링(44)의 내주연이 걸려서 고정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붙이 앵글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일측면에 나사구멍(26)이 더 형성되고, 이 나사구멍(26)에 호스 연결용 컨넥터(60)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붙이 앵글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양측면에 나사구멍(26).(26')이 더 형성되고 각 나사 구멍(26),(26')에 호스 연결용 컨넥터(60),(60')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관붙이 앵글밸브.
KR2020060016626U 2006-06-20 2006-06-20 관붙이 앵글밸브 KR200427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26U KR200427150Y1 (ko) 2006-06-20 2006-06-20 관붙이 앵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26U KR200427150Y1 (ko) 2006-06-20 2006-06-20 관붙이 앵글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150Y1 true KR200427150Y1 (ko) 2006-09-22

Family

ID=4177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626U KR200427150Y1 (ko) 2006-06-20 2006-06-20 관붙이 앵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1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313B1 (ko) 2014-10-28 2016-05-26 송복석 양변기 필밸브의 급수호스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313B1 (ko) 2014-10-28 2016-05-26 송복석 양변기 필밸브의 급수호스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01291B2 (en) Recessed wall-mounted outlet box with push-pull handle assembly
US8616229B2 (en) Water stop valve device with rough-in sleev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050280260A1 (en) Hose connector of faucet
US7765627B2 (en) Sanitary ware with an annular mount
KR101265806B1 (ko) 배수커플러
KR100860555B1 (ko) 냉온수 다분기 연결수단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
KR200427150Y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200424181Y1 (ko) 회전이 용이한 회전밸브가 결합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수전 결합구조
KR20070115388A (ko) 회전이 용이한 회전밸브가 결합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수전 결합구조
CA3014794C (en) Detachable faucet connector
KR101273399B1 (ko) 수전용 절수기
KR102105499B1 (ko)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KR100786331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200461990Y1 (ko) 이중 배출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110091255A (ko) 체크밸브 내장형 배관 분기용 연결구
CN217710988U (zh) 一种即插即用的防臭下水管件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KR20180062623A (ko) 싱크대용분기밸브
CN220521478U (zh) 一种下水管路和清洗装置
CN215522405U (zh) 一种集成排水管
KR200431142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CN216666608U (zh) 一种具有摆动伸展收折功能的水龙头
KR100884103B1 (ko) 토수구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토수밸브구조
CN210562455U (zh) 一种水槽的排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