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331B1 - 호스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331B1
KR100786331B1 KR1020060076596A KR20060076596A KR100786331B1 KR 100786331 B1 KR100786331 B1 KR 100786331B1 KR 1020060076596 A KR1020060076596 A KR 1020060076596A KR 20060076596 A KR20060076596 A KR 20060076596A KR 100786331 B1 KR100786331 B1 KR 100786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socket
ring
hos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102006007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수전연결부재에 의해 플렉시블호스와 수전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호스 연결 구조물이 개시된다. 수전연결부재는 수전연결구, 수전기밀유지링, 이경소켓, 고정부재 및 탈거부재로 구성된다. 수전연결구는 일측에 플렉시블호스의 일단 내경에 결합되는 호스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패킹홈과 고정홈을 구비한 이경소켓결합부가 형성된다. 수전기밀유지링은 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이경소켓은 수전함의 오픈판에 형성된 소켓삽입공에 끼워져 소켓체결너트로 고정되며, 일측에 이경소켓결합부가 삽입되는 소켓결합공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부를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격벽과 소켓결합공 사이에 작동요홈이 형성된다. 고정부재는 작동요홈에 결합되어 수전연결구의 이탈을 방지하고, 탈거부재는 작동요홈에 결합되어 수전연결구를 이경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수전연결부재에 의해 플렉시블호스와 수전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수전연결부재의 부품이 손상 및 파손되지 않아 수돗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호스, 연결 구조물, 배관, 수전

Description

호스 연결 구조물{HOSE CONNECT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호스 연결 구조물이 적용된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수전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수전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연결부재가 플렉시블호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장치의 사용상태도로써, 도 5a는 수전연결구가 이경소켓에 결합되어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수전연결구에 의해 고정링이 탄성력에 의해 작동요홈의 벽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c는 수전연결구가 이경소켓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d는 탈거공구에 의해 수전연결구가 이경소켓에서 분리되는 과정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이경소켓에 플렉시블호스가 수전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렉시블호스 300 : 수전연결구
301 : 호스삽입부 303 : 이경소켓결합부
304: 패킹홈 305 : 고정홈
310 : 수전기밀유지링 320 : 이경소켓
321 : 격벽 322 : 지지부
323 : 소켓결합공 325 : 체결부
326 : 암나사부 327 : 숫나사부
329 : 작동요홈 340 : 고정링
341 : 링절결부 343 : 경서부
345 : 고정편 350 : 탈거링
351 : 탈거링절결부 353 : 접촉단
345 : 고정편 500 : 수전함
본 발명은 호스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플렉시블호스와 수전의 연결작업이 간편 및 편리하고, 수전연결부재의 부품의 파손 및 변형이 방지되어 수돗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 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은 싱크대 하부, 붙받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되고, 분배기로부터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보조주방 등의 각 수요처로 보내져 냉·온수를 사용할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분배기로부터 각 수요처로 이송되는 이송되는 냉·온수배관을 살펴보면, 외면이 굴곡진(일명 자바라 형상의)파이프 보호관의 내부에 연질의 냉·온수관이 끼워져 이중관 구조로 된 상태에서 방바닥이나 거실, 주방바닥을 통과해 화장실이나 욕실, 세탁실. 다용도실을 향하고 각 수요처에 설치된 각각의 수전함으로부터 연결관을 접속하여 욕조, 세면대, 변기, 세탁실 등에 각각의 냉·온수 라인으로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이중관 구조의 바닥매설 방식은 각각의 수전함끼리 상호 연결배관이 불가능하여 시공 시 각각의 수전함으로 냉·온수 배관을 하여야 함으로 배관작업 및 구조상의 문제점이 많았으며, 작업 후의 개·보수가 쉽지 않는 불편함이 있어 최근에는 바닥매설 방식 대신에 화장실이나 세탁실 등의 각 수요처 부근 벽체에 수전함을 매립설치하는 방식이 등장하고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이경소켓에 플렉시블호스가 수전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내에 매립 설치되는 수전함(20)은 도시안된 벽체내에 매설되며 전면이 트인 상자형의 함체(21), 함체(21)의 전면 에 결합되는 개폐커버(24), 이경소켓(30)이 고정 결합되어 개폐커버(24)에 결합되는 오픈판(26)으로 이루어진다.
함체(21)는 둘레면에 냉·온수관유입공(22)이 복수개 형성되어 어느 일측의 냉·온수관유입공(22)내로 냉·온수분배기(도시안됨)로부터 배관된 보호관(46)으로 씌워진 이중관구조의 냉·온수관(40)이 유입되어 티형 엘보우(50)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의 냉·온수관유입공(22)으로는 타측에 설치된 수전함(20)으로부터 배관된 보호관(46)으로 씌워진 냉·온수관(40)이 유입되어 티형 엘보우(50)의 타측에 연결된다.
함체(21)의 내부에는 일단에 제 1연결구(도시안됨)가 결합되고 타단에 제 2연결구(도시안됨)가 결합된 플렉시블호스(60)가 수납된다.
플렉시블호스(60)는 냉·온수관(40)을 통해 유입된 유체(수돗물)를 수전(80)으로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플렉시블호스(60)의 일단에 결합된 제 1연결구는 배관연결부재(70)에 의해 티형 엘보우(50)에 결합되고, 플렉시블호스(60)의 타단에 결합된 제 2연결구는 수전연결부재(76)에 의해 수전(80)이 설치되는 이경소켓(30)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이경소켓(30)에 형성된 나사산(32)이 플렉시블호스(60)에 결합된 수전연결부재(76)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77)과 나사 결합시켜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뿐만 아니라 이경소켓(30)과 플렉시블호스(6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수전연결부재(76)를 너무 힘을 주어 조이게 될 경우 수전연결부재(76)에 형성된 나사산(77) 및 이경소켓(30)에 형성된 나사산(32)이 변형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이경소켓(30)에 나사 결합된 수전연결부재(76)가 풀리게 될 경우 연결부위로 수돗물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전연결부재에 의해 플렉시블호스와 수전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고, 수전연결부재의 부품이 파손 및 변형이 방지되어 수돗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전과 플렉시블호스를 수전연결부재로 연결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에 있어서,
수전연결부재는 일측에 플렉시블호스의 일단 내경에 결합되는 호스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연에 패킹홈과 고정홈을 구비한 이경소켓결합부가 형성된 수전연결구;
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전기밀유지링;
수전함의 오픈판에 형성된 소켓삽입공에 끼워져 소켓체결너트로 고정되며, 내부에 형성된 격벽의 일측에는 이경소켓결합부가 삽입되는 소켓결합공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부를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격벽과 소켓결합공 사이에 작동요홈이 형성된 이경소켓;
작동요홈에 결합되어 수전연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 및
작동요홈에 결합되되, 고정부재의 후단에 위치되어 고정부재를 확장시켜 수전연결구를 이경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탈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플렉시블호스를 이경소켓에 간편하게 결합시키고,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호스 연결 구조물이 적용된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수전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수전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연결부재가 플렉시블호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호스 연결 구조물은 냉·온수관에 연결된 티형 엘보우에 연결되는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에 연결되는 수전연결부재로 크게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을 참조하면, 벽체(도시안됨)내에 매립 설치되는 수전함(500)은 벽체내에 매설되며 전면이 트인 상자형의 함체(510), 함체(5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개폐커버(520), 개폐커버(520)에 결합되는 오픈판(530)으 로 이루어진다.
함체(510)는 둘레면에 냉·온수관유입공(5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어느 일측의 냉·온수관유입공(512)내로 냉·온수분배기(도시안됨)로부터 배관된 보호관(610)으로 씌워진 이중관구조의 냉·온수관(600)이 유입되어 티형 엘보우(700)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의 냉·온수관유입공(512)으로는 타측에 설치된 수전함(500)으로부터 배관된 보호관(610)으로 씌워진 냉·온수관(600)이 유입되어 티형 엘보우(700)의 타측에 연결된다.
티형 엘보우(700)의 일측에는 플렉시블호스(100)의 일측 끝단부가 배관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에는 플렉시블호스(100)의 타측 끝단부가 수전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배관연결부재는 체결너트(200)로서, 플렉시블호스(100)의 일단에 결합된 배관연결구(도시안됨)에 설치되어 티형 엘보우(700)의 결합부(710)에 나사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전연결부재는 플렉시블호스(100)와 수전(800)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수전연결구(300), 수전기밀유지링(310), 이경소켓(320), 고정부재(340) 및 탈거부재(350)로 구성된다.
수전연결구(300)는 엘보우형으로 구부러져 있고, 일측에는 플렉시블호스(100)의 일단 내경에 결합되는 호스삽입부(30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연에 패킹홈(304)과 고정홈(305)을 구비한 이경소켓결합부(303)가 형성된다.
수전기밀유지링(310)은 패킹홈(304)에 설치되어 수전연결구(300)가 후술할 이경소켓(320)에 결합되었을 경우 기밀을 유지시켜주어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시켜 준다. 이때, 수전기밀유지링(310)은 수전연결구(300)의 이경소켓결합부(303)에 형성된 패킹홈(304)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경소켓(320)은 수전함(500)의 오픈판(530)에 형성된 소켓삽입공(532)에 끼워져 소켓체결너트(330)로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격벽(321)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321)의 일측에는 이경소켓결합부(303)가 삽입되는 소켓결합공(323)을 갖는 지지부(3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326)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부(327)를 갖는 체결부(325)가 형성되며, 격벽(321)과 소켓결합공(323) 사이에 작동요홈(329)이 형성된다.
고정부재는 링형의 고정링(340)이다. 고정링(340)은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작동요홈(329)에 설치되어 이경소켓결합부(303)가 지지부(3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것으로, 소정 위치에 절단된 링절결부(341)가 형성되되, 링절결부(341)의 양단 중앙에서 탈거링(350)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343)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그 끝단은 내향 절곡 되어 고정홈(305)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편(345)이 형성된다.
탈거부재는 작동요홈(329)에 결합되되, 고정링(340)의 후방에 위치되어 고정링(340)를 확장시켜 수전연결구(300)를 이경소켓(3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으로, 링형의 탈거링(350)이다. 탈거링(350)은 소정 위치에 절단된 탈거링절결부(351)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접촉단(353)이 형성되고 접촉단(353)의 자유단에는 격벽(32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단(355)이 연장 형성되며, 결합단(355)의 자유단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접촉단(353)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 사져 고정링(340)의 타측 단부가 외측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부(357)가 형성된다.
미설명부호(110)은 배관연결구와 호스삽입부(301)가 각각 결합된 플렉시블호스(100)의 외주연에 압착 설치되는 압착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너트(200)가 설치된 배관연결구가 일단에 결합된 플렉시블호스(100)의 타단 내경에 수전연결구(300)의 호스삽입부(301)를 끼워 압착구(110)로 압착고정시킨다.
플렉시블호스(100)의 양단에 배관연결구와 호스삽입부(301)가 결합 고정되면, 수전연결부재를 조립한다.
수전연결부재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수전연결구(300)의 이경소켓결합부(303)에 형성된 패킹홈(304)에 수전기밀유지링(310)을 설치하고, 이경소켓(320)의 작동요홈(329)에 고정링(340)과 탈거링(350)을 순차적으로 설치한 후 이경소켓(320)의 체결부(325)를 수전함(500)의 오픈판(530)에 형성된 소켓삽입공(532)에 끼우고 체결부(325)의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부(327)에 소켓체결너트(330)를 나사 결합시키면 수전연결부재의 조립이 완료된다.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의 조립이 각각 완료되면, 냉·온수관(600)으로 유입된 유체가 수전(800)으로 공급될 수 있게 배관연결부재의 체결너트(200)를 티형 엘보우(700)의 결합부(710)에 형성된 나사부(711)에 나사 결합시키고, 수전연결구(300)의 이경소켓결합부(303)를 이경소켓(320)의 지지부(322)에 형성된 소켓결합공(323)에 결합시킨다. 즉, 도 5a를 참조하면, 수전연결구(300)의 이경소켓결합부 (303)를 소켓결합공(323)에 삽입시켜 위치시킨다.
도 5b를 참조하면, 수전연결구(300)의 이경소켓결합부(303)를 지지부(322)의 소켓결합공(323) 내부로 더 삽입시키면 이경소켓결합부(303)의 선단이 고정링(340)의 고정편(345)에 접촉하면서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에 의해 고정링(340)의 타측 단부가 탈거링(350)의 가이드부(357)에 의해 지지되고, 동시에 고정링(340)은 이경소켓결합부(303)의 선단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링절결부(341)를 중심으로 작동요홈(329) 방향으로 벌어지고 이에 따라 그 외측면이 작동요홈(329)의 벽면에 접촉하게 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수전연결구(300)를 더욱 삽입하여 고정홈(305)이 고정편(345)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작동요홈(329)의 벽면에 접촉되어 있던 고정링(340)이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서 동시에 고정편(345)이 고정홈(305)의 단부에 걸려 고정된다. 여기서 수전연결구(300)는 이경소켓(320)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개폐커버(520)의 전면에 오픈판(530)을 결합시킨다. 이때, 플렉시블호스(100)는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에 의해 함체(510)의 내부에 안전하게 수납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다가, 이경소켓(320)으로부터 수전연결구(30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전(800)을 이경소켓(320)에서 분리시킨 다음, 별도의 탈거공구(T)를 이용하여 이경소켓(320)과 수전연결구(300)를 분리시킨다. 즉, 탈거공구(T)를 체결부(325)의 암나사부(326)에 나사 결합시키되, 그 선단을 탈거링(350)의 접촉단(353)에 위치시킨 다음 탈거공구(T)를 회전시켜 이경소켓(320)의 지지부(32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탈거링(350)은 지지부(322)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링(340)을 가압시키게 되고, 이 가압에 의해 고정링(340)의 타측 단부는 탈거링(350)의 가이드부(357)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이에 따라 고정링(340)은 링절결부(341)를 중심으로 작동요홈(329)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그 외측면이 작동요홈(329)의 벽면에 접촉하게 되고, 동시에 고정링(34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편(345)은 수전연결구(300)의 고정홈(305)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전연결구(300)를 이경소켓(320)에서 분리하면 된다.(도 5d 참조)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렉시블호스와 수전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수전연결부재의 이경소켓과 수전연결구의 결합부위가 변형 및 손상되지 않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물에서는, 수전연결부재에 의해 플렉시블호스와 수전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수전연결부재의 부품이 손상 및 파손되지 않아 수돗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로서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수전(800)과 플렉시블호스(100)를 수전연결부재로 연결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전연결부재는 일측에 상기 플렉시블호스(100)의 일단 내경에 결합되는 호스삽입부(30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연에 패킹홈(304)과 고정홈(305)을 구비한 이경소켓결합부(303)가 형성된 수전연결구(300);
    상기 패킹홈(304)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전기밀유지링(310);
    수전함(500)의 오픈판(530)에 형성된 소켓삽입공(532)에 끼워져 소켓체결너트(330)로 고정되며, 내부에 형성된 격벽(321)의 일측에는 상기 이경소켓결합부(303)가 삽입되는 소켓결합공(323)을 갖는 지지부(3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326)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부(327)를 갖는 체결부(325)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321)과 상기 소켓결합공(323) 사이에 작동요홈(329)이 형성된 이경소켓(320);
    상기 작동요홈(329)에 결합되어 상기 수전연결구(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작동요홈(329)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의 후단에 위치되어 고정부재를 확장시켜 상기 수전연결구(300)를 상기 이경소켓(3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탈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링형의 고정링(340)이고, 상기 고정링(340)은 소정 위치에 절단된 링절결부(341)가 형성되되, 상기 링절결부(341)의 양단 중앙에서 상기 탈거부재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343)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그 끝단은 내향절곡 되어 상기 고정홈(305)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편(3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거부재는 링형의 탈거링(350)이고, 상기 탈거링(350)은 소정 위치에 절단된 탈거링절결부(351)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접촉단(353)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353)의 자유단에는 상기 격벽(32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단(355)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355)의 자유단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접촉단(353)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 상기 고정링(340)의 타측 단부가 일측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부(35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KR1020060076596A 2006-08-14 2006-08-14 호스 연결 구조물 KR100786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96A KR100786331B1 (ko) 2006-08-14 2006-08-14 호스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96A KR100786331B1 (ko) 2006-08-14 2006-08-14 호스 연결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810U Division KR200431142Y1 (ko) 2006-08-14 2006-08-14 호스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331B1 true KR100786331B1 (ko) 2007-12-18

Family

ID=3914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596A KR100786331B1 (ko) 2006-08-14 2006-08-14 호스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478B1 (ko) * 2011-04-29 2013-07-17 (주)케이에스피아이피 변기용 스퍼드 구조
KR200483179Y1 (ko) * 2016-09-23 2017-04-13 신승재 수전 연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120Y1 (ko) * 1998-09-04 2000-02-15 오승일 호스 연결 구조
KR200164118Y1 (ko) * 1999-04-02 2000-02-15 오승일 호스 연결장치
KR100337122B1 (ko) * 1999-10-07 2002-05-18 오승근 호스 연결장치
KR200302183Y1 (ko) * 2002-10-16 2003-01-30 오승근 호스용 연결 구조물
KR200302184Y1 (ko) * 2002-10-16 2003-01-30 오승근 호스용 연결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120Y1 (ko) * 1998-09-04 2000-02-15 오승일 호스 연결 구조
KR200164118Y1 (ko) * 1999-04-02 2000-02-15 오승일 호스 연결장치
KR100337122B1 (ko) * 1999-10-07 2002-05-18 오승근 호스 연결장치
KR200302183Y1 (ko) * 2002-10-16 2003-01-30 오승근 호스용 연결 구조물
KR200302184Y1 (ko) * 2002-10-16 2003-01-30 오승근 호스용 연결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478B1 (ko) * 2011-04-29 2013-07-17 (주)케이에스피아이피 변기용 스퍼드 구조
KR200483179Y1 (ko) * 2016-09-23 2017-04-13 신승재 수전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4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786331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100860555B1 (ko) 냉온수 다분기 연결수단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
US20120042963A1 (en) In-wall water service housing
KR100773378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에 결합되는 방수용 이중관고정부재의구조
KR100940277B1 (ko) 난방코일 분배기와 냉온수 분배기용 배관연결구조
KR101694386B1 (ko) 다기능 플러그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31142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100753948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200428593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101804247B1 (ko)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2286404B1 (ko) 배관 교체가 가능한 구조체 매립 배수이중배관 시스템
JP5352126B2 (ja) 給水配管構造
KR20070079597A (ko) 배관 연결구의 배관 체결구
KR102105499B1 (ko)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KR20030082211A (ko)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CN215522405U (zh) 一种集成排水管
KR200427150Y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100779951B1 (ko) 냉온수연질관이 삽입되는 타원형주름관 각도전환용 소켓
KR200304846Y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KR200283808Y1 (ko)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JP3888901B2 (ja) 通水管と継手部材の接続構造
KR20080008798A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