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948B1 - 호스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948B1
KR100753948B1 KR1020060065876A KR20060065876A KR100753948B1 KR 100753948 B1 KR100753948 B1 KR 100753948B1 KR 1020060065876 A KR1020060065876 A KR 1020060065876A KR 20060065876 A KR20060065876 A KR 20060065876A KR 100753948 B1 KR100753948 B1 KR 100753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ucet
flexible hos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102006006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61Arrangements of joints with one another and with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플렉시블호스의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호스 연결 구조물이 개시된다. 벽체에는 수전함의 함체가 매립된다. 플렉시블호스는 냉·온수관으로 유입된 수돗물을 수전을 통해 외부로 공급시킨다. 배관연결부재는 일측이 플렉시블호스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냉·온수관이 연결되는 티형 엘보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전연결부재는 일측이 플렉시블호스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수전이 연결 설치되는 이경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냉·온수관이 연결되는 티형 엘보우와 이경너트에 플렉시블호스의 양단에 결합된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함체 내에 수납되는 플렉시블호스의 수납성을 향상시키고, 플렉시블호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꼬임이 방지되어 수돗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고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호스, 연결, 구조물, 배관, 수전, 호스

Description

호스 연결 구조물{HOSE CONNECT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로서, 호스 연결 구조물이 적용된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여준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배관연결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보여준 배관연결부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수전연결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보여준 수전연결부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가 플렉시블호스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물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8a는 수전연결부재의 수전연결편이 이경소켓의 지지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수전연결편이 지지부의 소켓삽입공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c는 수전연결편을 이경소켓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결합된 플렉시블호스가 수전함에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이경소켓과 티형 엘보우에 연결된 플렉시블호스가 수전함에 수납되기전 상태의 도면이고, 도 9b는 이경소켓과 티형 엘보우에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가 수전함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로서, 수전연결부재의 변형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로서, 배관연결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5는 도 14에서 보여준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렉시블호스 200 :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
210 : 제 1배관체결링 216 : 제 1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
220 : 제 1냉·온수관연결구 230 : 배관체결너트
240 : 제 1배관연결편 250 : 배관연결편기밀유지링
260 : 냉·온수관패킹 300 : 제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
310 : 제 1수전체결링 316 : 제 1수전플렉시블기밀유지링
320 : 제 1수전연결구 330 : 수전연결편
336 : 제 1수전기밀유지링 340 : 이경소켓
360 : 수전작동수단 361 : 수전고정구
367 : 수전작동구 370 : 제 2수전연결구
380 : 제 2수전체결링 390 : 제 2수전기밀유지링
400 : 티형 엘보우 600 : 수전함
본 발명은 호스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벽체에 수납되는 함체 내에 수납되는 플렉시블호스의 수납성을 향상시키고, 플렉시블호스의 손상 및 수돗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며,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은 싱크대 하부, 붙받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되고, 분배기로부터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보조주방 등의 각 수요처로 보내져 냉·온수를 사용할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분배기로부터 각 수요처로 이송되는 이송되는 냉·온수배관을 살펴보면, 외면이 굴곡진(일명 자바라 형상의)파이프 보호관의 내부에 연질의 냉·온수관이 끼워져 이중관 구조로 된 상태에서 방바닥이나 거실, 주방바닥을 통과해 화장실이나 욕실, 세탁실. 다용도실을 향하고 각 수요처에 설치된 각각의 수전함으로부터 연결관을 접속하여 욕조, 세면대, 변기, 세탁실 등에 각각의 냉·온수 라인으로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이중관 구조의 바닥매설 방식은 각각의 수전함끼리 상호 연결배관이 불가능하여 시공 시 각각의 수전함으로 냉·온수 배관을 하여야 함으로 배관작업 및 구조상의 문제점이 많았으며, 작업 후의 개·보수가 쉽지 않는 불편함이 있어 최근에는 바닥매설 방식 대신에 화장실이나 세탁실 등의 각 수요처 부근 벽체에 수전함을 매립설치하는 방식이 등장하고 있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보여준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내에 매립 설치되는 수전함(20)은 벽체(10)내에 매설되며 전면이 트인 상자형의 함체(21), 함체(21)의 전면에 결합되는 개폐커버(24), 이경소켓(30)이 고정 결합되어 개폐커버(24)에 결합되는 오픈판(26)으로 이루어진다.
함체(21)는 둘레면에 냉·온수관유입공(22)이 복수개 형성되어 어느 일측의 냉·온수관유입공(22)내로 냉·온수분배기(도시안됨)로부터 배관된 보호관(46)으로 씌워진 이중관구조의 냉·온수관(40)이 유입되어 티형 엘보우(50)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의 냉·온수관유입공(22)으로는 타측에 설치된 수전함(20)으로부터 배관된 보호관(46)으로 씌워진 냉·온수관(40)이 유입되어 티형 엘보우(50)의 타측에 연결된다.
함체(21)의 내부에는 일단에 제 1연결구(도시안됨)가 결합되고 타단에 제 2연결구(도시안됨)가 결합된 플렉시블호스(60)가 수납된다.
플렉시블호스(60)는 냉·온수관(40)을 통해 유입된 유체(수돗물)를 수전(80)으로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플렉시블호스(60)의 일단에 결합된 제 1연결구는 배관연결부재(70)에 의해 티형 엘보우(50)에 결합되고, 플렉시블호스(60)의 타단에 결합된 제 2연결구는 수전연결부재(76)에 의해 수전(80)이 설치되는 이경소켓(30)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함체(21) 내부에 수납되는 플렉시블호스(60)가 티형 엘보우(50)와 이경소켓(30)에 각각 배관연결부재(70)와 수전연결부재(76)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고정 연결되어 있어 플렉시블호스(60)를 함체(21) 내부에 수납시키는 작업이 쉽지않아 수납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고, 플렉시블호스(60)가 함체(21) 내부에 꺾여서 수납될 경우 수돗물의 흐름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되며, 플렉시블호스(60)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함체 내에 수납되는 플렉시블호스의 수납성을 향상시키고, 플렉시블호스의 손상 및 수돗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며,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되는 수전함에 수납되는 플렉시블호스에 있어서,
플렉시블호스의 일단을 냉·온수관이 연결된 티형 엘보우에 연결시키는 배관 연결부재; 및
플렉시블호스의 타단을 수전이 연결되는 이경소켓에 연결시키는 수전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을 제공한다.
배관연결부재는 냉·온수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플렉시블호스의 일측 내경에 결합되는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배관패킹홈과 제 1배관체결링홈을 구비한 제 1배관체결부가 형성되며, 제 1배관체결부와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 사이에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제 1배관걸림단이 형성된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
제 1배관체결링홈에 설치되는 제 1배관체결링;
제 1배관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 1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
제 1배관체결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 1배관체결부결합공이 형성되되, 제 1배관체결부결합공의 입구측 내주면에 제 1배관체결링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1배관체결링결합홈을 구비한 제 1배관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1배관암나사부를 갖는 제 1배관나사체결부가 형성된 제 1냉·온수관연결구;
티형 엘보우의 결합부 외주연에 형성된 엘보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배관체결너트;
배관체결너트의 관통공에 끼워지며 외주연에는 다수의 제 2배관패킹홈이 형성되고, 제 2배관패킹홈의 일측으로 제 1배관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 1배관숫나사부가 형성된 제 1배관연결편;
제 2배관패킹홈에 설치되는 배관연결편기밀유지링; 및
배관체결너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냉·온수관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전연결부재는 수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플렉시블호스의 타측 내경에 결합되는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수전패킹홈과 제 1수전체결링홈을 구비한 제 1수전체결부가 형성되며, 제 1수전체결부와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 사이에 외측으로 확장된 제 1수전걸림단이 형성된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
제 1수전체결링홈에 설치되는 제 1수전체결링;
제 1수전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 1수전플렉시블기밀유지링;
제 1수전체결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이 형성되되,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의 입구측 내주면에 제 1수전체결링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1수전체결링결합홈을 구비한 제 1수전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1수전암나사부를 갖는 제 1수전나사체결부가 형성된 제 1수전연결구;
제 1수전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환형의 수전걸림단이 형성되고, 수전걸림단의 일측에는 수전작동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수전패킹홈을 구비한 수전패킹부가 형성된 수전연결편;
제 2수전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 1수전기밀유지링;
수전함의 오픈판에 형성된 소켓삽입공에 끼워지며, 중앙 외주연에 환형의 이경소켓걸림단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격벽이 형성되며, 이경소켓걸림단의 일측에 제 1소켓체결너트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제 1숫소켓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전연결편이 삽입되는 소켓결합공이 형성되며 소켓결합공의 입구측에는 소켓고정홈을 구비한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1암소켓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 2숫소켓나사부를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제 2숫소켓나사부에는 제 2소켓체결너트가 나사 체결되는 이경소켓; 및
수전작동부에 설치되어 수전연결편을 이경소켓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수전작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플렉시블호스가 냉·온수관과 수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플렉시블호스의 수납성을 향상시키고, 플렉시블호스의 꺾임이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로서, 호스 연결 구조물이 적용된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여준 냉·온수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배관연결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보여준 배관연결부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수전연결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보여준 수전연결부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7은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가 플렉시블호스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호스 연결 구조물은 냉·온수관에 연결된 티형 엘보우에 연결되는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에 연결되는 수전연결부재로 크게 이 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을 참조하면, 벽체(700)내에 매립 설치되는 수전함(600)은 벽체(700)내에 매설되며 전면이 트인 상자형의 함체(610), 함체(6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개폐커버(620), 개폐커버(620)에 결합되는 오픈판(630)으로 이루어진다.
함체(610)는 둘레면에 냉·온수관유입공(6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어느 일측의 냉·온수관유입공(612)내로 냉·온수분배기(도시안됨)로부터 배관된 보호관(510)으로 씌워진 이중관구조의 냉·온수관(500)이 유입되어 티형 엘보우(400)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의 냉·온수관유입공(612)으로는 타측에 설치된 수전함(600)으로부터 배관된 보호관(510)으로 씌워진 냉·온수관(500)이 유입되어 티형 엘보우(400)의 타측에 연결된다.
티형 엘보우(400)의 결합부(410)에는 플렉시블호스(100)의 일측 끝단부가 배관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플렉시블호스(100)의 타측 끝단부는 수전연결부재에 의해 수전(800)에 연결된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관연결부재는 냉·온수관(500)이 연결되는 티형 엘보우(4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 제 1배관체결링(210), 제 1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 제 1냉·온수관연결구(220), 제 1배관체결너트(230), 제 1배관연결편(240), 배관연결편기밀유지링(250) 및 냉·온수관기밀유지링(260)으로 구성된다.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는 플렉시블호스(100)와 제 1냉·온수관연 결구(2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측에 플렉시블호스(100)의 일측 내경에 결합되는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20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배관패킹홈(204)과 제 1배관체결링홈(205)을 구비한 제 1배관체결부(203)가 형성된다. 제 1배관체결부(203)와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201) 사이에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제 1배관걸림단(207)이 형성된다.
제 1배관체결링(210)은 제 1배관체결링홈(205)에 설치되어 플렉시블호스(100)에서 제 1배관체결부(20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것으로, 자체탄성력을 가지며, 소정 위치에 절단된 제 1배관체결링절결부(211)를 가지며 제 1배관체결링홈(205)에 결합되는 제 1배관체결단(213), 제 1배관체결단(213)의 일단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 1배관체결단(213)의 타단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고 끝단이 제1배관체결링결합홈(223)에 걸려 지지되는 제 1배관걸림단(215)으로 이루어진다.
제 1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은 제 1배관패킹홈(204)에 설치되어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가 후술할 제 1냉·온수관연결구(220)에 결합시 기밀을 유지시켜 주어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시켜 준다. 이때, 제 1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은 제 1배관패킹홈(204)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냉·온수관연결구(220)는 엘보우형으로 구부러져 있고, 일측에는 제 1배관체결부(203)가 결합될 수 있게 제 1배관체결부결합공(222)이 형성되되, 제 1배관체결부결합공(222)의 입구측 내주면에 제 1배관체결링(210)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1배관체결링결합홈(223)을 구비한 제 1배관연결부(2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1배관암나사부(226)를 갖는 제 1배관나사체결부(22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배관체결부(203)는 제 1배관연결부(221)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배관체결너트(230)는 냉·온수관(500)이 연결된 티형 엘보우(4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티형 엘보우(400)의 결합부(410) 외주연에 형성된 엘보우나사부(412)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체결나사부(233)가 형성된다.
제 1배관연결편(240)은 티형 엘보우(400) 방향에서 제 1냉·온수관연결구(220) 방향으로 배관체결너트(230)의 관통공(231)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외주연에 다수의 제 2배관패킹홈(241)이 형성되고, 제 2배관패킹홈(241)의 일측으로 제 1배관암나사부(226)와 나사 결합되는 제 1배관숫나사부(243)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배관연결편(240)은 배관체결너트(230)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배관연결편기밀유지링(250)은 제 2배관패킹홈(241)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켜 준다. 이때, 배관연결편기밀유지링(250)은 제 2배관패킹홈(241)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냉·온수관패킹(260)은 배관체결너트(2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켜준다.
도 1, 도 2,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전연결부재는 수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 제 1수전체결링(310), 제 1수전플렉시블기밀유지링(316), 제 1수전연결구(320), 제 1수전기밀유지링(336), 이경소켓(340), 수전작동수단(360)으로 구성된다.
제 1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는 플렉시블호스(100)와 제 1수전연결구(3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측에 플렉시블호스(100)의 타측 내경에 결합되는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30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수전패킹홈(304)과 제 1수전체결링홈(305)을 구비한 제 1수전체결부(303)가 형성된다. 제 1수전체결부(303)와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301) 사이에 외측으로 확장된 제 1수전걸림단(307)이 형성된다.
제 1수전체결링(310)은 제 1수전체결링홈(304)에 설치되어 플렉시블호스(100)에서 제 1수전체결부(30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것으로, 자체탄성력을 가지며, 소정 위치에 절단된 제 1수전체결링절결부(311)를 가지며 제 1수전체결링홈(305)에 결합되는 제 1수전체결단(313), 제 1수전체결단(313)의 일단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 1수전체결단(313)의 타단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고 끝단이 제1수전체결링결합홈(323)에 걸려 지지되는 제 1수전걸림단(315)으로 이루어진다.
제 1수전플렉시블기밀유지링(316)은 제 1수전패킹홈(304)에 설치되어 제 1수전플렉시블연결구(300)가 후술할 제 1수전연결구(320)에 결합시 기밀을 유지시켜주어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시켜 준다. 이때, 제 1수전플렉시블기밀유지링(316)은 제 1수전패킹홈(304)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수전연결구(320)는 엘보우형으로 구부러져 있고, 일측에는 제 1수전체결부(303)가 결합될 수 있게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322)이 형성되되,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322)의 입구측 내주면에 제 1수전체결링(310)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1 수전체결링결합홈(323)을 구비한 제 1수전연결부(3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1수전암나사부(326)를 갖는 제 1수전나사체결부(32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수전체결부(303)는 제 1수전연결부(321)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수전연결편(330)은 제 1수전암나사부(326)와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환형의 수전걸림단(331)이 형성된다. 수전걸림단(331)의 일측에는 수전작동부(3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수전패킹홈(334)을 구비한 수전패킹부(333)가 형성된다.
제 1수전기밀유지링(336)은 제 2수전패킹홈(334)에 설치되어 수전연결편(330)이 후술할 이경소켓(340)에 결합시 기밀을 유지시켜 주어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시켜 준다. 이때, 제 1수전기밀유지링(336)은 제 2수전패킹홈(334)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경소켓(340)은 수전함(600)의 오픈판(630)에 형성된 소켓삽입공(632)에 끼워져 제 1,2소켓체결너트(350)(356)로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 외주연에 환형의 이경소켓걸림단(341)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격벽(342)이 형성된다. 이경소켓걸림단(341)의 일측에는 제 1소켓체결너트(350)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제 1숫소켓나사부(344)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전연결편(330)이 삽입되는 소켓결합공(345)이 형성되며, 소켓결합공(345)의 입구측에는 소켓고정홈(346)을 구비한 지지부(343)가 형성된다. 이경소켓걸림단(341)의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1암소켓나사부(348)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 2숫소켓나사부(349)를 갖는 체결부(347)가 형성되며, 제 2숫소켓나사부(349)에는 제 2소켓체결너트(356)가 나사 체결된다.
수전작동수단(360)은 수전작동부(332)에 설치되어 수전연결편(330)을 이경소 켓(34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것으로, 수전고정구(361)와 수전작동구(367)로 이루어진다.
수전고정구(361)는 일측 선단에 소켓고정홈(346)에 걸려 고정되는 수전후크(363)를 갖는 수전고정편(362)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전이탈방지단(365)이 돌설된다.
수전작동구(367)는 수전고정구(361)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켓고정홈(346)에 고정 설치된 수전후크(363)를 소켓고정홈(346)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미설명부호(110)은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201)와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301)가 각각 결합된 플렉시블호스(100)의 외주연에 압착 설치되어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와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가 플렉시블호스(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압착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전함(600)에 플렉시블호스(100)를 수납하기 전에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를 조립한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를 조립하기 전에 먼저, 플렉스블호스(100)의 양단에 도 7과 같이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를 연결한다. 즉,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의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201)를 플렉시블호스(100)의 일단 내경에 끼워 압착구(110)로 압착 고정시키고, 플렉시블호스(100)의 타단 내경에 는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의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301)를 끼워 압착구(110)로 압착 고정시킨다.
상기한 플렉시블호스(100)의 양단에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201)와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301)가 결합되면,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를 각각 조립한다.
배관연결부재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제 1냉·온수관연결구(220)에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와 제 1배관연결편(240)을 결합시킨다. 즉, 제 1배관체결부(203)의 제 1배관패킹홈(204)에 제 1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을 설치하고, 제 1배관체결링홈(205)에는 제 1배관체결링(210)을 설치한 후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의 제 1배관체결부(203)를 제 1배관연결부(221)의 제 1배관체결부결합공(222)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1배관체결링결합홈(223)에는 제 1배관체결링(210)이 결합되면서 제 1배관체결링(210)의 제 1배관걸림단(215)이 제 1배관체결링결합홈(223)의 일단에 걸려 지지되어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의 제 1배관체결부(203)가 제 1냉·온수관연결구(220)의 제 1배관연결부(221)에서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고, 제 1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냉·온수관연결구(220)에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가 결합되면, 제 1배관연결편(240)의 제 2배관패킹홈(241)에 배관연결편기밀유지링(250)를 설치하고, 제 1배관연결편(240)을 제 1배관연결너트(230)의 관통공(231)으로 관통시키며, 제 1배관연결편(240)에 형성된 제 1배관숫나사부(243)를 제 1배관 나사체결부(225)에 형성된 제 1배관암나사부(226)를 나사 결합시킨다. 그러면 도 4와 같이 배관연결부재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제 1배관연결편(240)이 나사 결합된 제 1냉·온수관연결구(220)는 배관체결너트(230)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배관연결편기밀유지링(250)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전연결부재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제 1수전연결구(320)에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와 수전연결편(330)을 결합시킨다. 즉, 제 1수전체결부(303)의 제 1수전패킹홈(304)에 제 1수전플렉시블기밀유지링(316)을 설치하고, 제 1수전체결링홈(305)에는 제 1수전체결링(310)을 설치한 후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의 제 1수전체결부(303)를 제 1수전연결부(321)의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322)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1수전체결링결합홈(323)에는 제 1수전체결링(310)이 결합되면서 제 1수전체결링(310)의 제 1수전걸림단(315)이 제 1수전체결링결합홈(323)의 일단에 걸려 지지되어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의 제 1수전체결부(303)가 제 1수전연결구(320)의 제 1수전연결부(321)에서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고, 제 1수전플렉시블기밀유지링(316)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수전연결구(320)에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가 결합되면, 제 1수전연결구(320)에 수전연결편(330)을 설치하되, 그 전에 수전패킹부(333)의 제 2수전패킹홈(334)에 제 1수전기밀유지링(336)을 설치하고, 수전작동부(332)에는 수전고정구(361)와 수전작동구(367)로 이루어진 수전작동수단(360)을 설치한 후 수전연결편(33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편나사부(335)를 제 1수전나사체결부(325) 에 형성된 제 1수전암나사부(326)를 나사 결합시킨다.
계속해서, 제 1수전연결구(320)에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와 수전연결편(330)이 결합되면, 이경소켓(340)의 지지부(343)를 수전함(600)의 오픈판(630)에 형성된 소켓삽입공(632)에 끼우고 지지부(343)의 제 1숫소켓나사부(344)에 제 1소켓체결너트(350)를 나사 결합시키고, 체결부(347)에 형성된 제 2숫소켓나사부(349)에는 제 2소켓체결너트(356)를 나사 결합시킨다. 그러면 6과 같이 수전연결부재의 조립이 완료된다.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의 조립이 각각 완료되면, 배관체결너트(230)의 내부에 냉·온수관패킹(260)을 결합시킨 후 배관체결너트(230)의 체결나사부(233)와 티형 엘보우(400)의 엘보우나사부(412)를 나사 결합시킨다.
상기한 티형 엘보우(400)에 플렉시블호스(100)의 일단에 연결된 배관연결부재가 결합되면, 수전연결부재를 이경소켓(340)에 결합시킨다. 즉, 도 8a를 참조하면, 수전연결편(330)의 수전패킹부(333)를 지지부(343)의 소켓결합공(345)에 삽입시켜 위치시킨다.
도 8b를 참조하면, 수전패킹부(333)를 지지부(343)의 소켓결합공(345) 내부로 더 삽입시키면 가압력에 의해 수전고정편(363)은 자체 탄성력에 수축되었다가 수전패킹부(333)가 소켓결합공(345)에 완전히 결합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서 수전후크(363)가 소켓결합공(345)의 입구측에 형성된 소켓고정홈(346)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한 이경소켓(340)에 수전연결편(330)이 설치되면, 이경소켓(340)의 체결 부(347)에 형성된 제 1암소켓나사부(348)에 수전을 나사 결합시킨 후 수돗물을 냉·온수관(500)을 통하여 수전(800) 외부로 공급시키면 된다.
한편, 이경소켓(340)에서 수전연결편(33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b와 같은 상태에서 수전작동구(367)를 화살표방향 즉, 이경소켓(340) 방향으로 밀면 수전작동구(367)는 수전고정구(361)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하고, 수전작동구(363)의 이동에 의해 수전고정편(362)은 수축되면서 소켓고정홈(346)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수전후크(363)가 걸림해제 되면서 도 8c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제 1수전연결구(320)를 외부로 잡아 당기면 수전연결편(330)이 소켓결합공(235)에서 분리된다.
여기서 냉·온수관(500)이 연결된 티형 엘보우(400)와 오픈판(630)에 결합된 이경소켓(340)에 플렉시블호스(100)를 연결할 때 도 9a와 같이 냉수 또는 온수 수전이 결합된 이경소켓(340)의 지지부(343)와 냉수관 또는 온수관이 연결된 티형 엘보우(400)의 결합부(410)가 서로 마주보도록 연결하되, 플렉시블호스(100)는 서로 엇갈리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폐커버(620)의 전면에 오픈판(630)을 결합시키면, 플렉시블호스(100)는 도 9b와 같이 함체(610)의 내부에 안정되게 수납되고 플렉스블호스(100)의 손상 및 꺾임이 방지된다.
한편, 수전작동수단에 색체를 가지도록 하면 냉수와 온수의 구별이 뚜렷하여 수전연결부재의 연결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로서, 수전연결부재의 제 1수전플렉 시블호스연결구와 제 1수전연결구 사이에 수전연장부재가 설치되어 플렉시블호스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0은 수전연결부재의 변형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배관연결부재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하고 수전연결부재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연결부재는 제 2수전연결구(370), 제 2수전체결링(380) 및 제 2수전기밀유지링(390)으로 이루어진다.
제 2수전연결구(370)는 엘보우형으로 구부러져 있고, 일측에는 제 1수전체결부(303)가 결합될 수 있게 제 2수전체결부결합공(372)이 형성되되, 제 2수전체결부결합공(372)의 입구측 내주면에 제 1수전체결링(310)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2수전체결링결합홈(373)을 구비한 제 2수전연결부(37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수전패킹홈(376)과 제 2수전체결링홈(377)을 구비한 제 2수전체결부(37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수전체결부(303)는 제 2수전연결부(371)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제 2수전체결링(380)은 제 2수전체결링홈(377)에 설치되어 제 2수전체결부(375)가 제 1수전연결부(3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것으로, 자체탄성력을 가지며, 소정 위치에 절단된 제 2수전체결링절결부(381)를 가지며 제 2수전체결링홈(377)에 결합되는 제 2수전체결단(383), 제 2수전체결단(383)의 일단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 2수전체결단(383)의 타단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고 끝단이 제1수전체결링결합홈(323)에 걸려 지지되는 제 2수전걸림단(385)으로 이 루어진다.
제 2수전기밀유지링(390)은 제 3수전패킹홈(376)에 설치되어 제 2수전연결부(371)가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322)에 결합시 기밀을 유지시켜주어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시켜 준다. 이때, 제 2수전기밀유지링(390)은 제 3수전패킹홈(376)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전연결부재에서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의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가 플렉시블호스에 결합되는 과정과 수전연결편이 제 1수전연결구의 제 1수전나사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하고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와 제 1수전연결구 사이에 수전연장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렉시블호스(100)에 연결된 제 1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의 제 1수전체결부(303)를 제 2수전연결부(371)의 제 2수전체결부결합공(372)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2수전체결부결합공(372)의 입구측에 형성된 제 2수전체결링결합홈(373)에는 제 1수전체결링(310)이 결합되면서 제 1수전체결링(310)의 제 1수전걸림단(315)이 제 2수전체결링결합홈(373)의 일단에 걸려 지지되어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300)의 제 1수전체결부(303)가 제 2수전연결구(370)의 제 2수전연결부(371)에서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고, 제 1수전플렉시블기밀유지링(316)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수전체결부(303)가 제 2수전연결부(371)에 결합되면, 제 2수전체결부(375)의 제 3수전패킹홈(376)에 제 2수전기밀유지링(390)을 설치하고, 제 2수전체결링홈(377)에는 제 2수전체결링(380)을 설치한 후 제 2수전체결부(390)를 제 1수전연결부(321)의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322)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1수전체결링결합홈(323)에는 제 2수전체결링(380)이 결합되면서 제 1수전체결링(380)의 제 2수전걸림단(385)이 제 1수전체결링결합홈(323)의 일단에 걸려 지지되어 제 2수전체결부(375)가 제 1수전연결구(320)의 제 1수전연결부(321)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는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와 제 1수전연결구 사이에 수전연장부재를 설치하여 회전이 가능한 부위가 추가되어 플렉시블호스(100)를 수전함(600)에 수납할 때 플렉시블호스(100)가 자유로이 굽혀지므로 꺽임현상이 방지되고, 수전함(600)의 개폐커버(620)에서 오픈판(630)을 분리시킬 경우 이경소켓(340)의 중량에 의해 이경소켓(340) 방향에 결합된 플렉시블호스(100)가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로서, 배관연결부재의 사용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3은 배관연결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수전연결부재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와 제 2실시 예와 동일하여 생략하고 배관연결부재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연결부재는 티형 엘보우(400)의 결합부(410) 내주연에 형성된 엘보우고정홈(414),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A), 제 2배관체결링(210A), 제 2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A), 제 2냉·온수 관연결구(220A), 제 2배관연결편(270), 배관기밀유지링(280) 및 배관작동수단(290)으로 구성된다.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A)는 플렉시블호스(100)와 제 2냉·온수관연결구(220A)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측에 플렉시블호스(100)의 일측 내경에 결합되는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20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배관패킹홈(204A)과 제 2배관체결링홈(205A)을 구비한 제 2배관체결부(203A)가 형성된다. 제 2배관체결부(203A)와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201A) 사이에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제 2배관걸림단(207A)이 형성된다.
제 2배관체결링(210A)은 제 2배관체결링홈(205A)에 설치되어 플렉시블호스(100)에서 제 2배관체결부(203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것으로, 자체탄성력을 가지며, 소정 위치에 절단된 제 2배관체결링절결부(211A)를 가지며 제 2배관체결링홈(205A)에 결합되는 제 2배관체결단(213A), 제 2배관체결단(213A)의 일단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 2배관체결단(213A)의 타단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고 끝단이 제 2배관체결링결합홈(223A)에 걸려 지지되는 제 2배관걸림단(215A)으로 이루어진다.
제 2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A)은 제 2배관패킹홈(204A)에 설치되어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A)가 후술할 제 2냉·온수관연결구(220A)에 결합시 기밀을 유지시켜 주어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시켜 준다. 이때, 제 2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A)은 제 2배관패킹홈(204A)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2냉·온수관연결구(220A)는 엘보우형으로 구부러져 있고, 일측에는 제 2배관체결부(203A)가 결합될 수 있게 제 2배관체결부결합공(222A)이 형성되되, 제 2배관체결부결합공(222A)의 입구측 내주면에 제 2배관체결링(210A)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2배관체결링결합홈(223A)을 구비한 제 2배관연결부(22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2배관암나사부(226A)를 갖는 제 2배관나사체결부(225A)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2배관체결부(203A)는 제 2배관연결부(221A)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제 2배관연결편(270)은 제 2배관암나사부(206A)와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환형의 제 3배관걸림단(271)이 형성된다. 제 3배관걸림단(271)의 일측에는 배관작동부(27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4배관패킹홈(276)을 구비한 배관패킹부(275)가 형성된다.
배관기밀유지링(280)은 제 4배관패킹홈(276)에 설치되어 제 2배관연결편(270)이 티형 엘보우(400)의 결합부(410)에 결합시 기밀을 유지시켜 주어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시켜 준다.
배관작동수단(290)은 배관작동부(273)에 설치되어 제 2배관연결편(270)을 티형 엘보우(40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것으로, 배관고정구(291)와 베관작동구(297)로 이루어진다.
배관고정구(291)는 일측 선단에 엘보우고정홈(414)에 걸려 고정되는 배관후크(293)를 갖는 배관고정편(292)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배관이탈방지단(295)이 돌설된다.
배관작동구(297)는 배관고정구(291)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엘보우고정홈(414)에 고정 설치된 배관후크(293)를 엘보우고정홈(414)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관연결부재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플렉시블호스(100)의 일단 내경에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201A)를 끼운 후 압착구(110)로 압착 고정시키고, 제 2냉·온수관연결구(220A)에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A)와 제 2배관연결편(240A)을 결합시킨다. 즉, 제 2배관체결부(203A)의 제 3배관패킹홈(204A)에 제 2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A)을 설치하고, 제 2배관체결링홈(205A)에는 제 2배관체결링(210A)을 설치한 후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A)의 제 2배관체결부(203A)를 제 2배관연결부(221A)의 제 2배관체결부결합공(222A)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2배관체결링결합홈(223A)에는 제 2배관체결링(210A)이 결합되면서 제 2배관체결링(210A)의 제 2배관걸림단(215A)이 제 2배관체결링결합홈(223A)의 일단에 걸려 지지되어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A)의 제 2배관체결부(203A)가 제 2냉·온수관연결구(220A)의 제 2배관연결부(221A)에서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고, 제 2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216A)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냉·온수관연결구(220A)에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A)가 결합되면, 제 2냉·온수관연결구(220A)에 제 2배관연결편(270)을 설치하되, 그 전에 배관패킹부(275)의 제 4배관패킹홈(276)에 배관기밀유지링(280)을 설치하고, 배관작동부(273)에는 배관고정구(291)와 배관작동구(297)로 이루어진 배관작동수단(290)을 설치한 후 제 2배관연결편(27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배관연결편나사부(278)를 제 2배관나사체결부(225A)에 형성된 제 2배관암나사부(226A)를 나사 결합시킨다.
계속해서, 제 2냉·온수관연결구(220A)에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200A)와 제 2배관연결편(270)이 결합되면, 배관패킹부(275)를 티형 엘보우(400)의 결합부(410)에 결합시키면, 가압력에 의해 배관고정편(292)은 자체 탄성력에 수축되었다가 배관패킹부(275)가 티형 엘보우(400)의 결합부(410)에 완전히 결합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서 배관후크(293)가 결합부(410)의 입구측에 형성된 엘보우고정홈(414)에 걸려 고정된다.(도 13 참조)
티형 엘보우(400)에서 제 2배관연결편(27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관작동구(297)를 화살표방향 즉, 티형 엘보우(400) 방향으로 밀면 배관작동구(297)는 배관고정구(291)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하고, 배관작동구(297)의 이동에 의해 배관고정편(292)은 수축되면서 엘보우고정홈(414)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배관후크(293)가 걸림해제 되고, 이 상태에서 제 2냉·온수관연결구(220A)를 잡아 당기면 제 2배관연결편(270)이 티형 엘보우(400)의 결합부(410)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배관연결부재를 티형 엘보우에 보다 간편하게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렉시블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플렉시블호스 뿐만 아니라 무독성인 PB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PB 파이프는 무독성이고 수명이 길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물에서는, 냉·온수관이 연결되는 티형 엘보우와 이경너트에 플렉시블호스의 양단에 결합된 배관연결부재와 수전연결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함체 내에 수납되는 플렉시블호스의 수납성을 향상시키고, 플렉시블호스의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플렉시블호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꼬임이 방지되어 수돗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고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로서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벽체에 매립되는 수전함에 수납되는 플렉시블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호스의 일단을 냉·온수관이 연결된 티형 엘보우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냉·온수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일측 내경에 결합되는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배관패킹홈과 제 1배관체결링홈을 구비한 제 1배관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배관체결부와 상기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 사이에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제 1배관걸림단이 형성된 제 1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
    상기 제 1배관체결링홈에 설치되는 제 1배관체결링; 상기 제 1배관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 1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 상기 제 1배관체결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 1배관체결부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 1배관체결부결합공의 입구측 내주면에 상기 제 1배관체결링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1배관체결링결합홈을 구비한 제 1배관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1배관암나사부를 갖는 제 1배관나사체결부가 형성된 제 1냉·온수관연결구; 상기 티형 엘보우의 결합부 외주연에 형성된 엘보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배관체결너트; 상기 배관체결너트의 관통공에 끼워지며 외주연에는 다수의 제 2배관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배관패킹홈의 일측으로 상기 제 1배관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 1배관숫나사부가 형성된 제 1배관연결편; 상기 제 2배관패킹홈에 설치되는 배관연결편기밀유지링; 및 상기 배관체결너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냉·온수관패킹으로 이루어지는 배관연결부재; 및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타단을 수전이 설치되는 이경소켓에 연결시키는 수전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3. 벽체에 매립되는 수전함에 수납되는 플렉시블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호스의 일단을 냉·온수관이 연결된 티형 엘보우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냉·온수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티형 엘보우의 결합부 내주면 입구측에 엘보우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일측 내경에 결합되는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배관패킹홈과 제 2배관체결링홈을 구비한 제 2배관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배관체결부와 상기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끼움부 사이에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제 2배관걸림단이 형성된 제 2배관플렉시블호스연결구; 상기 제 2배관체결링홈에 설치되는 제 2배관체결링; 상기 제 3배관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제 2배관플렉시블기밀유지링; 상기 제 2배관체결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 2배관체결부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 2배관체결부결합공의 입구측 내주면에 상기 제 2배관체결링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2배관체결링결합홈을 구비한 제 2배관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2배관암나사부를 갖는 제 2배관나사체결부가 형성된 제 2냉·온수관연결구; 상기 제 2배관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환형의 제 3배관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 3배관걸림단의 일측에는 배관작동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4배관패킹홈을 구비한 배관패킹부가 형성된 제 2배관연결편; 상기 제 4배관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배관기밀유지링; 및 상기 배관작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배관연결편을 티형 엘보우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배관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배관연결부재; 및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타단을 수전이 설치되는 이경소켓에 연결시키는 수전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관작동수단은
    상기 배관작동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선단에 상기 엘보우고정홈에 걸려 고정되는 배관후크를 갖는 배관고정편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배관이탈방지단이 돌설된 배관고정구: 및
    상기 배관고정구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엘보우고정홈에 고정 설치된 배관후크를 상기 엘보우고정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배관작동구로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전연결부재는 상기 수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타측 내경에 결합되는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수전패킹홈과 제 1수전체결링홈을 구비한 제 1수전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수전체결부와 상기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끼움부 사이에 외측으로 확장된 제 1수전걸림단이 형성된 제 1수전플렉시블호스연결구;
    상기 제 1수전체결링홈에 설치되는 제 1수전체결링;
    상기 제 1수전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 1수전플렉시블기밀유지링;
    상기 제 1수전체결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의 입구측 내주면에 상기 제 1수전체결링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1수전체결링결합홈을 구비한 제 1수전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1수전암나사부를 갖는 제 1수전나사체결부가 형성된 제 1수전연결구;
    상기 제 1수전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환형의 수전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전걸림단의 일측에는 수전작동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수전패킹홈을 구비한 수전패킹부가 형성된 수전연결편;
    상기 제 2수전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 1수전기밀유지링;
    상기 수전함의 오픈판에 형성된 소켓삽입공에 끼워지며, 중앙 외주연에 환형의 이경소켓걸림단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이경소켓걸림단의 일측에는 제 1소켓체결너트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제 1숫소켓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전연결편이 삽입되는 소켓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결합공의 입구측에는 소켓고정홈을 구비한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주면에 제 1암소켓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 2숫소켓나사부를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숫소켓나사부에는 제 2소켓체결너트가 나사 체결되는 이경소켓; 및
    상기 수전작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전연결편을 이경소켓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수전작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전작동수단은
    상기 수전작동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선단에 상기 소켓고정홈에 걸려 고정되는 수전후크를 갖는 수전고정편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전이탈방지단이 돌설된 수전고정구; 및
    상기 수전고정구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소켓고정홈에 고정 설치된 수전후크를 상기 소켓고정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수전작동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전연결편과 상기 제 1수전연결구 사이에 수전연장부재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전연장부재는
    상기 제 1수전체결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 2수전체결부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 2수전체결부결합공의 입구측 내주면에 상기 제 1수전체결링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제 2수전체결링결합홈을 구비한 제 2수전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수전패킹홈과 제 2수전체결링홈을 구비한 제 2수전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수전체결부결합공에 결합되는 제 2수전연결구;
    상기 제 2수전체결링홈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수전체결링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제 2수전체결링; 및
    상기 제 3수전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 2수전기밀유지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KR1020060065876A 2006-07-13 2006-07-13 호스 연결 구조물 KR100753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76A KR100753948B1 (ko) 2006-07-13 2006-07-13 호스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76A KR100753948B1 (ko) 2006-07-13 2006-07-13 호스 연결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035U Division KR200428593Y1 (ko) 2006-07-13 2006-07-13 호스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948B1 true KR100753948B1 (ko) 2007-09-05

Family

ID=3873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876A KR100753948B1 (ko) 2006-07-13 2006-07-13 호스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4212A (zh) * 2018-06-25 2018-10-26 冯荏淇 一种导气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13A (ko) * 2004-06-28 2006-01-06 이용춘 벽체매립형 오픈 수전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13A (ko) * 2004-06-28 2006-01-06 이용춘 벽체매립형 오픈 수전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4212A (zh) * 2018-06-25 2018-10-26 冯荏淇 一种导气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4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WO2015076948A1 (en) Single stream discharge drain hose assembly
KR100860555B1 (ko) 냉온수 다분기 연결수단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
KR100940277B1 (ko) 난방코일 분배기와 냉온수 분배기용 배관연결구조
US20120042963A1 (en) In-wall water service housing
KR100773378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에 결합되는 방수용 이중관고정부재의구조
KR100753948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200428593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100786331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US7530122B2 (en)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KR200431142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102286404B1 (ko) 배관 교체가 가능한 구조체 매립 배수이중배관 시스템
KR101081429B1 (ko) 냉온수배관의 연결구조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JP5352126B2 (ja) 給水配管構造
KR100855304B1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KR20170123841A (ko)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CN215522405U (zh) 一种集成排水管
KR100779951B1 (ko) 냉온수연질관이 삽입되는 타원형주름관 각도전환용 소켓
KR101504638B1 (ko) 이중관 중간돌출 밀폐 커넥터
KR101482981B1 (ko) 이중관 실링캡 커넥터
KR200429469Y1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KR200427150Y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200304846Y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JP2019094621A (ja) 接続機構を備えた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