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841A -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Google Patents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841A
KR20170123841A KR1020160052981A KR20160052981A KR20170123841A KR 20170123841 A KR20170123841 A KR 20170123841A KR 1020160052981 A KR1020160052981 A KR 1020160052981A KR 20160052981 A KR20160052981 A KR 20160052981A KR 20170123841 A KR20170123841 A KR 20170123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pe
box
fix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247B1 (ko
Inventor
곽숙란
김영업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주)대혁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주)대혁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Priority to KR102016005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24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신축 및 증축시,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배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관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전함과;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배관을 상기 수전함에 고정하도록, 상기 수전함의 고정구에 결합되는 연결재;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중관 배관 작업시, 작업 공간이 협소한 박스에서 분리하여, 박스 외부에서 내부관과 수전구를 연결하거나 조립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OPEN-TYPE FAUCET SUPPORTER HAVING SEPARABLE CONNECTORS }
본 발명은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건축물의 신축 및 증축시,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수평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 수전을 공급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에 냉온수관이 연결되어, 욕실, 주방, 발코니, 다용도실 등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가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수전 배관 시공 방법은 단일 배관을 설치하고,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졌다.
종래 수전 배관 시공 방법은 배관 시공 후 누수가 발생 되면 누수지점을 찾기 위해, 매립된 배관을 찾아 벽이나 바닥을 부순 후 누수지점을 보수한 후 다시 벽을 매립해야하므로, 사후 관리가 어렵고,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25509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2중관을 이용하여, 외부관과 내부관을 나누어 시공하여 바닥과 벽의 손상 없이도 외부관이 연결된 매립형 박스 내에서 내부관을 교체할 수 있도록 시공되고 있다.
이때, 이중관 배관 시공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분배기, 바닥매립형 박스, 벽체 매립형박스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기존 매립형 박스는 수전구와 내부관의 연결 시공 또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박스 내부에 연결되는 내부관과 수전구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기에는 박스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작업자가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매립형 박스는 한번 설치된 배관은 다시 분리하여 재설치하는 것이 어려워서, 건축 현장에서 상황에 맞게 재설치하거나 보수하는 등의 대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25509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을 신축하거나 증축시, 이중관 배관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수전함 외부에서 내부관과 수전구(연결구)를 조립할 수 있도록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중관 배관 시공시, 다중 직경관이 호환 가능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배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관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전함과;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배관을 상기 수전함에 고정하도록, 상기 수전함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연결재;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관은 벽체 매립제와 접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 내에 삽입되어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관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 또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냉수배관 또는 상기 온수배관의 배열 구조에 따라 대응하는 수전함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재는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외부관의 일단이 체결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관이 관통하는 원통형의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관통공에 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수전함 측면과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플레이트 일측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사의 결합위치를 지정하고, 나사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나사고정가이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결합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내측면에는 상기 외부관이 일방향으로 체결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고정턱이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전방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측면에는, 상기 연결재가 수전함의 외측 방향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재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결합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내부에 배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관이 고정되도록 하단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수전함과;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 중 외부관을 상기 관통구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차폐블록;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에는 상기 수전함 측면으로보터 돌출되어 상기 배관 중 외부관을 지지하는 반원형의 고정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폐블록은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대 내측에 안착되는 상기 외부관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대와 결합되어 원형을 형성하는 지지대;
이때,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에는 상기 차폐블록이 결합 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측면에 고정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 측면에는,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에 대응하는 고정슬롯이 함몰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슬롯이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외부관을 지지하도록 반원형의 형태로 고정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와 상기 지지대는 상기 관통구와 상기 차폐블록이 결합시 형성되는 관통홀 내측에 상기 외부관이 고정되도록 주름관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관통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외부관을 고정하도록, 상기 관통공 내측에 구비되는 이음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음재는 상기 관통홀 내측에 고정되어 외부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홀 내측에 대응하는 주름으로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중관 배관 작업시, 작업 공간이 협소한 박스에서 분리하여, 박스 외부에서 내부관과 수전구를 연결하거나 조립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재에 다중직경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수전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을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에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을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에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의 시공 예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의 시공 예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200)를 구비한 수전함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연결재(200)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200)를 구비한 수전함을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200)를 구비한 수전함에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연결재(200)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배관이 관통하여, 내부에서 수전구(700)가 구비되어 연결되는 수전함(100)와 상기 수전함(100)에 관통공을 제공하되, 상기 수전함(100)로부터 분리되는 연결재(200) 그리고,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 연결되는 배관들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전함(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전함(100)은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전함(100)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전구(7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전구(700)는 상기 수전함(100)의 형태와 설치 위치 및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수전구(700)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구(700)는 상기 수전함(100)의 설치 위치나 배관 상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수전구(7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은 이중관 배관으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관(10)과 상기 외부관(10) 내부로 삽입되어 수도가 이동하는 내부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관(10)은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부관(20)은 온수관과 냉수관이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온수관은 상기 수전구(700)의 온수전에 연결되고, 상기 냉수관은 상기 수전구(700)의 냉수전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외부관(10)은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내부관(20) 파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노후된 배관을 교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외부관(10)은 상기 수전함(100) 측면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수전함(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기 연결재(200)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연결재(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재(20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수전함(100)에 결합되도록, 판상의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체결구(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전함(100) 측면에는 상기 연결재(200)가 고정되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10)는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2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채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10) 개방된 방향으로 이중배관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관통공(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200)가 측면 방향으로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도록, 고정홈(111)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230)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111)에 대응하는 결합가이드(23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가이드(231)는 상기 고정홈(111)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재(200)가 상기 관통공(110)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예에서는 상기 연결재(200)의 상기 결합플레이트(230) 측면에 함몰된 형태의 고정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100)의 상기 관통공(110)에 돌출된 형태의 결합가이드(2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200)와 상기 수전함(100)은 상기 고정홈(111)과 상기 결합가이드(231)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재(200)를 상기 수전함(100)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추가적인 고정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재(200) 일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고정가이드(233)와 결합턱(23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나사고정가이드(233)는 나사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230)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나사(800)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나사관통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플레이트(230) 측면에 경사진 형태의 결합턱(235)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턱(235)은 상기 연결재(200)가 상기 관통공(110)에 결합시, 상기 관통공(110)를 지지하여 상기 연결재(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결합턱(23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플레이트(230) 타측에도 모서리가 경사진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재(200)에 형성된 상기 체결구(210)는 상기 결합플레이트(23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210)는 외부관(10)의 단부가 체결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구(210)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관(10)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고정턱(21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턱(211)은 상기 체결구(210) 내주면에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외부관(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관(10)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턱(211)이 경사진 방향으로 외부관(10)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고정턱(211)은 일측방향으로의 탄성변형력은 약해지나, 타측방향으로의 탄성변형력은 증가되므로, 경사진 방향에 따라, 상기 외부관(10)이 일측으로는 용이하게 삽입되고, 타측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직경이 상이한 주름관을 시공 현장의 조건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연결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연결재(300)는 상기 체결구(210)에 체결되는 주름관보다 지름이 큰 주름관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위의 지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연결재(300)는 상기 체결구(210)에 결합되도록 다양한 구조의 결합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연결재(300) 내주면과 상기 체결구(210) 외주면에는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연결재(300) 내주면에는 지름이 큰 외부관(10)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결합턱(23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턱(310)은 상술한 상기 체결구(210)의 고정턱(21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전함(100)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관(10)에 형성된 골에 위치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외부관(1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턱(310)은 탄성변형력에 의해 상기 외부관(10)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확장연결재(300)는 상기 외부관(10)의 지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추가 연결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연결재(300) 외주면에는 체결부분의 직경을 확장하기 위해 상기 확장연결재(300)에 추가적인 확장연결재(300)가 결합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100)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100)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100)을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수전함(100)에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100)은 외부로부터 배관이 관통하여, 내부에서 수전구(700)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수전함(100)와 상기 수전함(100)에 관통구를 제공하되, 상기 수전함(100)에 연결되는 배관을 결합하기 위한 차폐블록(400) 그리고 상기 수전함(100) 내부에 연결되는 배관들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전함(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배관 및 커버는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200)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100)에서 동일한 구성으로 상술한 바, 외부관(10)을 수전함(100) 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구(120)와 차폐블록(4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관통구(120)는 상기 수전함(100)의 일측에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120)는 외측 방향으로 반원형의 고정대(12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121)에는 상기 수전함(100)과 배관을 결합시, 내주면에 상기 외부관(1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120)에는 상기 외부관(20)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차폐블록(40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차폐블록(4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120)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430)와 상기 외부관(10)을 고정하는 주름관의 형태의 지지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430) 측면에는 상기 차폐블록(400)이 상기 관통구(120)에 결합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슬롯(431)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120)에는 측면에는 고정가이드(1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430)에는 상기 관통구(120)에 결합되도록 고정가이드(12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120)에는 고정슬롯(431)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410)는 상기 관통구(120)의 고정대(121)와 결합시 원형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고정플레이트(430)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410) 내주면으로 상기 외부관(10)이 체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차폐블록(4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120)와 결합하여 상기 외부관(10)이 상기 관통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중 직경의 외부관(10)을 적용하기 위해서, 이음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음재(500)는 상기 지지대(410)와 상기 고정대(121)에 고정되는 상기 외부관(10) 중 상기 지지대(410)와 상기 고정대(121)가 형성하는 관통구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외부관(10)을 적용할 시, 상기 외부관(10)의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이음재(500)는 지름이 작은 상기 외부관(10)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410)와 상기 고정대(121)가 형성하는 관통공의 지름보다 작은 이음재(500)가 이용되고, 충분한 그립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410)와 상기 고정대(121) 내주면에 형성된 주름에 대응하는 형태의 주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200)를 구비한 수전함(100)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분리형 연결재(200)를 구비한 수전함(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치된 벽체철근(1)에 수전함(100)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전함(100)은 배관 시공설계도면에 따라,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재(200)에 형성된 체결구(210)에 외부관(10)의 일단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후, 상기 외부관(10)의 내부에 내부관(20)을 삽입하고, 상기 내부관(20) 일단을 수전구(700) 일측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수전구 및 연결재에 각각 내부관 및 외부관이 결합된 배관라인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관라인 조립은 시공현장에서 수전함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관라인 조립은 비교적 시공이 용이한 넓은 공간에서 수행한 후, 수전함에 결합된다.
이후, 상기 수전함(100) 내부에 상기 수전구(700)를 고정한 뒤, 상기 외부관(10)과 상기 내부관(20)이 결합된 상기 연결재(200)를 상기 수전함(100)에 형성된 관통공(110)에 측면 방향으로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수전함(100) 타측에도 상술한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적인 외부관(10)을 반대측 연결재(200)에 체결하여, 상기 외부관(10)에 추가 내부관(20)을 삽입하고, 상기 내부관(20)을 상기 수전구(700)의 타측과 연결한 뒤, 상기 수전함(100) 타측 관통공(110)에 상기 연결재(200)를 결합킨다.
여기서, 상기 연결재(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재(200)의 나사고정가이드(233)에 나사(800)를 관통하여 수전함(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전면에 커버(600)를 덮고, 나사(800)로 고정하여 설치를 마무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연결재(200)를 구비한 수전함(100)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형 연결재(200)를 구비한 수전함(100)은 사전에 설치된 벽체철근(1)에 수전함(100)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전함(100)은 배관 시공설계도면에 따라,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관(10) 내부로 내부관(20)을 삽입한 후 상기 내부관(20) 일단을 수전구(700) 일측과 연결하고, 상기 수전구(700)의 타측에도 반대측 배관의 외부관(10)에 삽입된 내부관(2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내외부관 및 수전구를 연결하는 배관조립은 상기 수전함 외부에서 수행되는데, 배관조립작업은 종래기술에 비해 시공이 용이한 넓은 공간에서 수행된다.
이후, 상기 내부관(20)이 양측으로 연결된 수전구(700)를 수전함(100) 내부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관(10)을 벽체철근(1)에 설치된 상기 수전함(100)의 관통구(120)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120)에 안착된 상기 외부관(10)이 수전함(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차폐블록(400)을 상기 관통구(120)에 고정한다.
이후, 전면에 커버(600)를 덮고, 나사결합하여 설치를 마무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내외부관 및 수전구를 결합하여 배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기 내외부관 및 수전구를 결합하는 작업을 수전함 외부에서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중관 시공작업은 시공현장 상황에 따라 시공조건에 맞춰 배관라인을 수정하여 다시 조립해야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때 배관의 절삭, 조립, 교체 등의 작업은 작업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는 넓은 공간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본 발명은 배관 조립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는 넓은 공간상에서 작업을 수행하여, 협소한 수전함 내부에서 조립해야만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시공성이 향상되고, 현장상황에 따라 배관수정 보수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신축 및 증축시,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중관 배관 작업시, 작업 공간이 협소한 박스에서 분리하여, 박스 외부에서 내부관과 수전구를 연결하거나 조립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벽체철근 10 : 외부관
20 : 내부관 100 : 수전함
110 : 관통공 111 : 고정홈
120 : 관통구 121 : 고정대
123 : 고정가이드 200 : 연결재
210 : 체결구 211 : 고정턱
230 : 결합플레이트 231 : 결합가이드
233 : 나사고정가이드 235 : 결합턱
300 : 확장연결재 310 : 체결턱
400 : 차폐블록 410 : 지지대
430 : 고정플레이트 431 : 고정슬롯
500 : 이음재 600 : 커버
700 : 수전구 800 : 나사

Claims (14)

  1. 내부에 배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관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전함과;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배관을 상기 수전함에 고정하도록, 상기 수전함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연결재;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벽체 매립제와 접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 내에 삽입되어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 또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냉수배관 또는 상기 온수배관의 배열 구조에 따라 대응하는 수전함 측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외부관의 일단이 체결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관이 관통하는 원통형의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관통공에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수전함 측면과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 일측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사의 결합위치를 지정하고, 나사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나사고정가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결합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내측면에는,
    상기 외부관이 일방향으로 체결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고정턱이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전방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측면에는,
    상기 연결재가 수전함의 외측 방향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재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결합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9. 내부에 배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관이 고정되도록 하단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수전함과;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 중 외부관을 상기 관통구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차폐블록;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에는,
    상기 수전함 측면으로보터 돌출되어 상기 배관 중 외부관을 지지하는 반원형의 고정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제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블록은,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대 내측에 안착되는 상기 외부관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대와 결합되어 원형을 형성하는 지지대와;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에는,
    상기 차폐블록이 결합 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측면에 고정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 측면에는,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에 대응하는 고정슬롯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슬롯이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외부관을 지지하도록 반원형의 형태로 고정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와 상기 지지대는,
    상기 관통구와 상기 차폐블록이 결합시 형성되는 관통홀 내측에 상기 외부관이 고정되도록 주름관의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20160052981A 2016-04-29 2016-04-29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180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81A KR101804247B1 (ko) 2016-04-29 2016-04-29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81A KR101804247B1 (ko) 2016-04-29 2016-04-29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841A true KR20170123841A (ko) 2017-11-09
KR101804247B1 KR101804247B1 (ko) 2017-12-04

Family

ID=6038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981A KR101804247B1 (ko) 2016-04-29 2016-04-29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68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716Y1 (ko) * 2023-11-08 2024-02-02 주식회사 에드솔 케미칼 루프박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23Y1 (ko) * 2005-10-13 2006-01-10 주식회사 동명 유체 분배기함
KR101485794B1 (ko) * 2014-04-11 2015-01-27 황혜자 건식벽체용 슬림형 매립 수전함과 그 배관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68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247B1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892B2 (en) Plumbing supply line mounting and finish panel assembly
KR101915143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KR101804247B1 (ko)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US6845785B1 (en) Flush-mount supply line and drain connector
RU2549991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узел установки крана
KR101954317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JP4732772B2 (ja) パイプ継手の固定構造
US7854337B1 (en) Breakaway closure member with offset nipple
KR102247975B1 (ko) 수전박스
KR101766250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1974363B1 (ko)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200387795Y1 (ko) 수도꼭지 연결관
JP5466500B2 (ja) 通水管継手
KR200480895Y1 (ko) 수전금구 체결장치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100786331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JP5452523B2 (ja) パイプ継手の固定構造
KR102407289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JP2016169518A (ja) 継手連結部材および水栓接続継手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JP4916674B2 (ja) 配管固定具
JP2006300281A (ja) 配管固定具
JP3198278U (ja) プラグ付水栓継手
KR102626941B1 (ko) 수전박스용 연장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