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63B1 -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Google Patents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63B1
KR101974363B1 KR1020170078442A KR20170078442A KR101974363B1 KR 101974363 B1 KR101974363 B1 KR 101974363B1 KR 1020170078442 A KR1020170078442 A KR 1020170078442A KR 20170078442 A KR20170078442 A KR 20170078442A KR 101974363 B1 KR101974363 B1 KR 10197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x
pipe
leakage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340A (ko
Inventor
신보라
김영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신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신보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Priority to KR102017007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36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신축 및 증축시,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개방형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배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관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된 수전함과;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배관이 상기 수전함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전함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연결구;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관은, 벽체 매립제와 접하여, 단부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연통공의 통해 상기 수전함 내부로 연장되고, 내부에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 또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수전함 내부로 유입된 누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이중관 배관에 있어, 내부관 파손에 의해 누수된 물이 수전함 내부에 저장되지 않고,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수전함 내부의 금속 부재가 누수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없어, 수전함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OPEN-TYPE FAUCET SUPPORTER HAVING THE WATER LEAKAGE SENSE }
본 발명은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건축물의 신축 및 증축시,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개방형 수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 수전을 공급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에 냉온수관이 연결되어, 욕실, 주방, 발코니, 다용도실 등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가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수전 배관 시공 방법은 단일 배관을 설치하고,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졌다.
종래 수전 배관 시공 방법은 배관 시공 후 누수가 발생 되면 누수지점을 찾기 위해, 매립된 배관을 찾아 벽이나 바닥을 부순 후 누수지점을 보수한 후 다시 벽을 매립해야하므로, 사후 관리가 어렵고,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25509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2중관을 이용하여, 외부관과 내부관을 나누어 시공하여 바닥과 벽의 손상 없이도 외부관이 연결된 매립형 박스 내에서 내부관을 교체할 수 있도록 시공되고 있다.
이때, 이중관 배관 시공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분배기, 바닥매립형 박스, 벽체 매립형박스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매립형 박스는 수전구와 내부관의 연결 시공 또는 교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관의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벽체의 해체 없이 매립형 박스 내부에서 이중관의 내부관을 교체하여, 보수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매립형 박스를 이용한 배관 구조에서는, 배관 내에 미세 균열이 발생된 경우, 균열 자체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미세균열에 의한 누수량이 작아, 사용자가 누수 여부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누수된 물이 매립형 박스 내에 저장되어, 수전구 및 금속 부재의 부식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25509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이중관 배관에 있어, 배관의 파손으로 인한 누수 발생시 누수된 물이 수전함 외부로 배출되는 개방형 수전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파손으로 인한 누수 발생시, 배관의 파손 여부를 사용자가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는 개방형 수전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배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관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된 수전함과;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배관이 상기 수전함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전함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연결구;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관은, 벽체 매립제와 접하여, 단부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연통공의 통해 상기 수전함 내부로 연장되고, 내부에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 또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수전함 내부로 유입된 누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전함 내측면에는, 상기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누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동시키켜 수집하는 집수홈과; 상기 집수홈과 연결되고, 상기 수전함 전면으로 연장되는 배수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홈의 단부는, 상기 배수공에 대응하는 위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집수홈은, 상기 수전함의 측면 양단부에 형성되는 측면집수홈과; 상기 수전함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집수홈에 연결되는 배면집수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는 물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센서는, 상기 배수홈 또는 집수홈 일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전함 외부에는, 상기 누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누수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전함 내측에는, 둘 이상의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구에 형성된 연통공에는 개별적으로 구분된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수전함 저면까지 연장되는 유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전함 저면에는, 각각의 상기 유로홈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전함의 전면까지 개별적으로 구분된 유로를 형성하는 배수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은, 각각의 상기 배수홈 단부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홈에는, 상기 배수홈 내의 물의 유입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전함 외부에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누수 여부를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수단은, 복수의 누수감지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누수감지센서에 의한 누수 감지를 출력하면, 다른 누수감지센서에 의한 누수 감지의 출력은 제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중관 배관에 있어, 내부관 파손에 의해 누수된 물이 수전함 내부에 저장되지 않고,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수전함 내부의 금속 부재가 누수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없어, 수전함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중관 배관 중 내부관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된 경우, 수전함 외부로 누수된 물이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신속히 인지하여 이중배관의 파손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수전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의 시공 예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의 시공 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수전함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배관이 관통하여, 내부에서 수전구(700)가 구비되어 연결되는 수전함(100)과 상기 수전함(100)에 관통공을 제공하고, 상기 수전함(100)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구(200) 그리고,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 연결되는 배관들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전함(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전함(100)은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전함(100)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전구(7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전구(700)는 상기 수전함(100)의 형태와 설치 위치 및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수전구(700)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구(700)는 상기 수전함(100)의 설치 위치나 배관 상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수전구(7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은 이중관 배관으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관(10)과 상기 외부관(10) 내부로 삽입되어 상수가 이동하는 내부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관(10)은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부관(20)은 온수관과 냉수관이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온수관은 상기 수전구(700)의 온수전에 연결되고, 상기 냉수관은 상기 수전구(700)의 냉수전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외부관(10)은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내부관(20) 파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노후된 배관을 교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외부관(10)은 상기 수전함(100) 측면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수전함(100) 측면에 형성된 연결구(200)에 고정되고, 내부관(20)은 상기 연결구(200) 내부에 형성된 연통공(210)을 관통하여 상기 수전함(100) 내부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200)는 상기 수전함(100) 측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수전함 측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200)가 상기 수전함(100) 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구(200)는 판상의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전함(100) 측면에는 상기 연결구(200)가 고정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연결구(2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채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은 개방된 방향으로 이중배관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연결구(200)가 측면 방향으로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결합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구(200)가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연결구(200)의 상기 결합플레이트 측면에 함몰된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100)의 상기 관통공에 돌출된 형태의 결합가이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200)와 상기 수전함(100)은 상기 고정홈과 상기 결합가이드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200)를 상기 수전함(100)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추가적인 고정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구(200) 일측면에는 나사고정가이드와 결합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나사고정가이드는 나사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나사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나사관통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플레이트 측면에 경사진 형태의 결합턱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턱은 상기 연결구(200)가 상기 관통공에 결합시, 상기 관통공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구(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결합턱은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플레이트 타측에도 모서리가 경사진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200)에 형성된 상기 체결구는 상기 결합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는 외부관(10)의 단부가 체결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구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관(10)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고정턱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턱은 상기 체결구 내주면에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외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관(10)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턱이 경사진 방향으로 외부관(10)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고정턱은 일 측 방향으로의 탄성변형력은 약해지나, 타 측 방향으로의 탄성변형력은 증가되므로, 경사진 방향에 따라, 상기 외부관(10)이 일측으로는 용이하게 삽입되고, 타측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직경이 상이한 주름관을 시공 현장의 조건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연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연결구는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주름관보다 지름이 큰 주름관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위의 지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연결구는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도록 다양한 구조의 결합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는 상기 확장연결구 내주면과 상기 체결구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연결구 내주면에는 지름이 큰 외부관(10)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체결턱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턱은 상술한 상기 체결구의 고정턱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전함(100)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관(10)에 형성된 골에 위치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외부관(1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턱은 탄성변형력에 의해 상기 외부관(10)이 일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확장연결구는 상기 외부관(10)의 지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추가 연결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연결구 외주면에는 체결부분의 직경을 확장하기 위해 상기 확장연결구에 추가적인 확장연결구가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전함(10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공(210)을 통해 유입된 누수가 유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홈(110, 120)과 배수홈(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집수홈은 상기 수전함(100)의 측면 양 단부에 형성되는 측면집수홈(110)과 상기 수전함(100)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집수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집수홈(110)과 배면집수홈(120)은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전함(100) 저면에는 상기 측면집수홈(110) 또는 배면집수홈(120)과 연결되고 상기 수전함 전면으로 연장되어 집수된 물을 상기 수전함 전면으로 이동시키는 배수홈(130)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600)에는 상기 배수홈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집수된 물을 외부로배출하기 위한 배수공(61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중 배관 중 내부관에 파손이 발생되어,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누수는 외부관과 내부관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통공(210)을 통해 상기 수전함(1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누수된 물은 상기 수전함(100)의 측벽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측면집수홈(110)에서 집수되고, 다시 배면집수홈(120)으로 집수된다.
이후, 누수된 물은 상기 배수홈(130)을 따라 이동하여, 커버(600) 전면의 배수공(6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누수된 물은 수전함(100) 내부에 보관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욕실 등에 설치된 수전함을 사용함에 있어, 수전함 외부의 배수공(610)을 통한 배수를 확인하여, 배관의 파손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전함 내부에는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배관의 누수여부를 인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홈(130) 또는 집수홈(110, 120) 일 측에 누수감지센서(800)를 설치하여, 상기 누수감지센서(800)가 물의 유입을 감지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수감지센서(800)는 상용화된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상기 표시수단은 점등수단 또는 음향출력수단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배관의 누수 여부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된 배관을 선별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수전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함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통공(210)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유로홈(141, 151, …)이 형성된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수전함(100)에는 각기 다른 배관이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연통공(210)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연통공(210)에는 누수된 물이 각각 다른 유로를 형성하여 이동하도록, 개별적인 유로홈(제1유로홈 및 제2유로홈 등)(141, 151)이 형성되어, 상기 수전함(100) 바닥면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수전함(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각의 유로홈(141, 151)으로부터 연장되어 유입된 누수가 상기 수전함 전면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배수홈(제1배수홈, 제2배수홈)(143, 153)들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커버(600)에도 상기 다수의 배수홈(143, 153) 단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배수공(620, 630, 640, 650)들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수되는 누수의 배수공 위치를 확인하면, 해당 누수가 어떤 연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누수임을 알 수 있고, 결과적으로 어떤 배관에 파손이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수리자는 수전함의 분해하기 전에, 파손된 배관을 선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체해야 할 배관의 종류와 길이를 미리 파악할 수 있어, 교체·수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작업자가 1차적으로 수전함을 분해하여 파손된 배관을 파악하고, 이후 교체 배관을 준비하여 다시 2차적으로 교체·수리 작업을 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교체·수리 작업을 1회에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각각의 배수홈(143, 153, …)에 각각의 누수감지센서들을 설치하여 상기 배수홈에 누수가 유입되는 것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6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수홈(143, 153, …) 별로 구분된 다수개의 표시부(620, 630, 640, 6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들(620, 630, 640, 650)은 상기 표시부들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가 누수 표시를 출력하면, 다른 표시부들은 누수 표시의 출력이 제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배관 파손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배관이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살피면, 특정 배관이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되면, 누수는 유입되는 연통공에 연결된 유로홈 및 배수홈을 따라 이동하여, 이와 연결된 배수공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홈에 설치된 누수감지센서가 물의 유입을 파악하여, 해당 표시부를 통해 누수의 발생을 출력한다.
이후, 누수량이 점차 증가하여, 상기 배수공을 통한 배수량을 초과하면, 배수홈을 월류한 누수는 인접한 다른 배수홈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누수는 또 다른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때, 상기 인접한 배수홈에 설치된 누수감지센서도 물의 유입을 감지하므로, 표시부의 출력이 제한되지 않았다면, 둘 이상의 표시부가 누수 감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는 정확한 파손 배관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표시부가 누수 표시를 출력하면, 다른 표시부들은 누수 표시의 출력이 제한되도록 설정하여, 파손된 배관의 위치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신축 및 증축시,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개방형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중관 배관에 있어, 내부관 파손에 의해 누수된 물이 수전함 내부에 저장되지 않고,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수전함 내부의 금속 부재가 누수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없어, 수전함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1 : 벽체철근 10 : 외부관
20 : 내부관 100 : 수전함
110 : 측면집수홈 120 : 배면집수홈
130 : 배수홈 141 : 제1유로홈
143 : 제1배수홈 151 : 제2유로홈
153 : 제2배수홈 200 : 연결구
210 : 연통공 600 : 커버
610 : 배수공 620 : 제1배수공
630 : 제2배수공 640 : 제3배수공
650 : 제4배수공 700 : 수전구
800 : 누수감지센서 920 : 제1표시부
930 : 제2표시부 940 : 제3표시부
950 : 제4표시부

Claims (7)

  1. 내부에 배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관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된 수전함과;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배관이 상기 수전함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전함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연결구;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관은,
    벽체 매립제와 접하여, 단부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연통공의 통해 상기 수전함 내부로 연장되고, 내부에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 또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수전함 내부로 유입된 누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 내측에는,
    상기 냉수배관 및 온수배관을 포함하는 외부관이 각각 결합되는 둘 이상의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구에 형성된 연통공에는 개별적으로 구분된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수전함 저면까지 연장되는 유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전함 저면에는,
    각각의 상기 유로홈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전함의 전면까지 개별적으로 구분된 유로를 형성하는 배수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은,
    각각의 상기 배수홈 단부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에는,
    상기 배수홈 내의 물의 유입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함 외부에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누수 여부를 배수공 별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4. 제 3 항에 있어서,
    표시수단은,
    복수의 누수감지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누수감지센서에 의한 누수 감지를 출력하면, 다른 누수감지센서에 의한 누수 감지의 출력은 제한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78442A 2017-06-21 2017-06-21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197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42A KR101974363B1 (ko) 2017-06-21 2017-06-21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42A KR101974363B1 (ko) 2017-06-21 2017-06-21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40A KR20180138340A (ko) 2018-12-31
KR101974363B1 true KR101974363B1 (ko) 2019-05-02

Family

ID=6495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442A KR101974363B1 (ko) 2017-06-21 2017-06-21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896B1 (ko) * 2020-12-28 2022-10-18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KR102661424B1 (ko) * 2021-07-05 2024-04-26 하이리움산업(주) 누설 검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628A (ja) * 2000-04-19 2001-10-31 Toto Ltd 水栓ボックス
JP2002309634A (ja) * 2001-04-13 2002-10-23 Inax Corp 壁埋込水栓
JP2003301488A (ja) 2002-04-11 2003-10-24 Sekisui Chem Co Ltd 配管システム
KR100964959B1 (ko) 2009-08-31 2010-06-21 주식회사 엑스텍 박스형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설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004A (ko) * 2006-05-24 2007-11-28 강철 배수관을 가지는 이음관상자의 커버
KR100782676B1 (ko) * 2007-02-16 2007-12-07 신기빈 벽체매립형 수전함 연결시스템
KR101425509B1 (ko) 2013-08-20 2014-08-0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628A (ja) * 2000-04-19 2001-10-31 Toto Ltd 水栓ボックス
JP2002309634A (ja) * 2001-04-13 2002-10-23 Inax Corp 壁埋込水栓
JP2003301488A (ja) 2002-04-11 2003-10-24 Sekisui Chem Co Ltd 配管システム
KR100964959B1 (ko) 2009-08-31 2010-06-21 주식회사 엑스텍 박스형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설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40A (ko)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363B1 (ko)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US7264020B2 (en) Accessible test fitting for a plumbing system
KR20180117372A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US7735511B1 (en) Modular laundry box assembly
KR101954317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KR10071358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100782676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 연결시스템
KR101204760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US5388288A (en) Plumbing test and trap fitting
KR20120016742A (ko) 사이트 글라스를 갖는 드레인 밸브
KR20210025770A (ko) 수전박스
US6862918B2 (en) Device for testing domestic water piping systems and methodology
KR100860128B1 (ko) 급배수 통합 기능을 갖는 육가 하우징 및 그 육가 하우징을이용한 급배수 통합 배관 시스템
CN103003499B (zh) 盒式水分配器和使用所述盒式水分配器的供水系统
KR101577963B1 (ko)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CN204570835U (zh) 一种给水管道安装定位器
EP3722650B1 (en) A leak detector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leak detector
US7043777B2 (en) Single control faucet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766250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2058117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102177511B1 (ko) 누수 감지 장치
KR101188809B1 (ko) 냉,온수 분배기
GB2521239A (en) Leak detection system
KR102574742B1 (ko) 수전용 플러그의 설치 구조
CN115436289B (zh) 一种套筒灌浆饱满度检测系统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