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511B1 - 누수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누수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511B1
KR102177511B1 KR1020200015334A KR20200015334A KR102177511B1 KR 102177511 B1 KR102177511 B1 KR 102177511B1 KR 1020200015334 A KR1020200015334 A KR 1020200015334A KR 20200015334 A KR20200015334 A KR 20200015334A KR 102177511 B1 KR102177511 B1 KR 102177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se
faucet
pipe
leak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주)한국첨단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첨단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한국첨단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1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및 수전구에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며, 배관 및 수전구에서 누수된 물이 집수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집수된 물을 통해 배관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누수 감지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에 높이 차를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 집수된 물의 수위가 증가됨에 따라 통전되어 서로 다른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누수 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본 발명은 누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신축 또는 증축 시 배관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수전을 공급하기 위한 냉온수관이 연결되어 있고, 욕실, 주방, 발코니, 다용도실 등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가 설치된다.
이때, 종래 수전 배관 시공 방법은 단일 배관을 설치하고,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졌으며, 또한 종래의 수전 배관 시공 방법은 배관 시공 후 누수가 발생되면, 누수 지점을 찾기 위해, 매립된 배관을 찾아 벽이나 바닥을 부순 후 누수 지점을 보수한 후 다시 벽을 매립해야하므로, 사후 관리가 어렵고,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550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2중관을 이용하여, 외부관과 내부관을 나누어 시공하여 바닥과 벽의 손상 없이도 외부관이 연결된 매립형 박스 내에서 내부관을 교체할 수 있도록 시공되고 있다.
여기서, 이중관 배관 시공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분배기, 바닥매립형 박스, 벽체 매립형박스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매립형 박스는 수전구와 내부관의 연결 시공 또는 교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관의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벽체의 해체 없이 매립형 박스 내부에서 이중관의 내부관을 교체하여, 보수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매립형 박스를 이용한 배관 구조에서는, 배관 내에 미세 균열이 발생된 경우, 균열 자체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미세균열에 의한 누수량이 작아, 사용자가 누수 여부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누수된 물이 매립형 박스 내에 저장되어, 수전구 및 금속 부재의 부식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신축 또는 증축 시 배관 및 수전구에 장착되며, 전극 센서에 대한 설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누수 발생 시 누수된 물의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알람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배관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누수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는 배관 및 수전구에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며, 배관 및 수전구에서 누수된 물이 집수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집수된 물을 통해 배관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누수 감지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에 높이 차를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 집수된 물의 수위가 증가됨에 따라 통전되어 서로 다른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서 길이를 가지며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바닥면과의 이격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배치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서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물이 집수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가 배관 및 수전구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누수된 물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 케이스는 배관 걸이부가 설치되도록 구비된 제1케이스와, 수전구 마개부가 설치되도록 구비된 제1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홀을 따르며 돌출된 한 쌍의 결합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가이드 홀의 입구로 진입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두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타단부의 두께 길이가 상기 가이드 홀의 폭 길이 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수전 마개부 및 상기 배관 걸이부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홀을 구비하고, 상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누수된 물이 상기 설치 홀을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영역을 향하여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레일 결합부재에 슬라이드 홈이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링(ring) 형상을 가지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임시 결합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신축 또는 증축 시 배관 및 수전구에 장착되며, 전극 센서에 대한 설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누수 발생 시 누수된 물의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알람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배관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이 전극 센서의 센싱되는 위치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수된 물의 집수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누수 여부 검출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본체부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센서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제1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센서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제2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본체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본체부의 교체에 따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상부 케이스의 교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제1케이스의 상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제2케이스의 상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제1케이스의 상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본체부와 통신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제1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본체부와 통신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제2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본체부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a,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센서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제1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센서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제2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는 본체부(100) 및 센서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배관(P) 및 수전구에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많은 양의 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사각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배관(P) 또는 수전구 상에서 누수된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집수되도록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00)가 설치되는 내벽을 향하여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집수된 물이 센서부(200)로 집중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부(200)를 통한 누수 감지 정보의 센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부(100)에 집수된 물을 통해 배관(P)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센서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복수개가 높이 차를 가지며 구비되고, 그에 따라 본체부(100)에 집수된 물의 수위가 증가됨에 따라 서로 다른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센서부(2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본체부(100)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센서부(200)는 복수개의 이격 공간(A)을 가지는 PCB 기판(200a)에 각각 결합되며, PCB 기판(200a)이 본체부(100)의 측면,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벽에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개가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PCB 기판(200a)에 결합된다.
다시 말해, 센서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벽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바닥면과의 이격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설치되며, 본체부(100)에 집수된 물의 수위가 증가됨에 따라 통전되어 그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일례로, 배관(P) 및 수전구에서 누수된 물이 본체부(100)의 바닥면과 인접한 제1센서(202) 이상의 수위를 넘어서 제2센서(204)에 도달하게 되면, 그 물에 의해 PCB 기판(200a) 상에서 서로 연결된 제1센서(202)와 제2센서(204)가 통전되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 수위에 대응하는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며, 이러한 누수 감지 정보가 통신부(300)를 통해 중앙 서버(미도시)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1센서(202)만이 누수된 물에 노출될 경우,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결로에 의해 발생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수위에서는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제3센서(206) 또는 제4센서(208)에 해당하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수위에서는 다른 누수 감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 여부 및 수위 변화에 따른 누수 상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센서(202) 내지 제4센서(208)가 설치되는 PCB 기판(200a)의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벽에서 설치 가이드(104)에 의해 소정 거리 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센서부(200)가 직접적으로 본체부(100)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PCB 기판(200a) 상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결로 등에 의해 PCB 기판(200a) 뿐만 아니라 제1센서(202) 내지 제4센서(208)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센서(202) 내지 제4센서(208)를 통해 총 3 단계의 서로 다른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누수 상태 정보를 더 세분화하여 생성할 수 있도록 이보다 많은 개수의 센서가 연속적으로 높이 차를 가지며 PCB 기판(200a)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누수 감지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센서부(200)를 구성하는 제1센서(202) 내지 제4센서(208) 모두는 본체부(100)로 집수된 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PCB 기판(200a) 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전면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효과적인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그 단부(하부)에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서부(200)는 전술된 구조 이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부(200)는 본체부(100)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서로 이격 배치되고, 본체부(100)의 바닥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배치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즉, 센서부(200)는 본체부(100) 내부에 바닥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이격된 가이드 부재(100a)에 PCB 기판(200a)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제1센서(202) 내지 제4센서(208)가 PCB 기판(200a)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센서부(200)는 본체부(100) 내부의 바닥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제1센서(202) 내지 제4센서(208)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설치되며, 본체부(100)에 집수된 물의 수위가 증가됨에 따라 통전되어 그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센서부(200)의 기능 및 역할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구조에서의 센서부(200)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본체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본체부의 교체에 따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상부 케이스의 교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제1케이스의 상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제2케이스의 상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제1케이스의 상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는 본체부(100)를 포함하며, 이러한 본체부(100)는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를 구비한다.
하부 케이스(11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센서부(20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ㄱ' 의 형상으로 상면 및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물이 집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20)는 하부 케이스(120)의 상면, 즉 'ㄱ' 의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 및 일측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며, 하부 케이스(110)가 배관(P) 또는 수전구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배관(P) 또는 수전구에서 누수된 물이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로 낙하하여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120)는 배관(P) 상에 걸어져 본체부(100)의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배관 걸이부(10)가 구비된 제1케이스(122)와, 수전구에 삽입되어 본체부(100)에 대한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수전구 마개부(20)가 구비된 제2케이스(12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케이스(122) 및 제2케이스(124)의 경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며 하부 케이스(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관 걸이부(10)가 배관(P)에 걸어져 본체부(100)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경우, 제1케이스(122)를 하부 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면 및 일측을 차폐하도록 결합시켜 배관(P) 상에서 본체부(100)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게 하며, 수전구 마개부(20)가 수전구에 삽입되어 본체부(100)에 대한 위치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에서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1케이스(12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거한 이후에, 선택적으로 제2케이스(124)를 결합시켜 설치 위치에 따른 본체부(100)의 고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케이스(122) 및 제2케이스(124)는 배관 걸이부(10)와 수전구 마개부(20)가 설치되기 위한 위한 설치 홀(H)을 구비하고,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설치 홀(H)을 향하여 경사지며 집중되도록 이루어진 형상, 더 바람직하게는 호(arc)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P) 또는 수전구 상에서 누수된 물이 설치 홀(H)을 따라 하부 케이스(11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케이스(122) 및 제2케이스(124)의 상면은 중심부 및 설치 홀(H)을 향해 경사가 더 급격해지도록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배관(P) 또는 수전구에서 누수된 물이 제1케이스(122) 및 제2케이스(124) 상면의 일측단부 또는 타측단부로 흐르게 되더라도 그 흐름이 중심부로 향하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설치 홀(H)을 통해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며, 결과적으로는 센서부(200)를 통한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기 위한 본체부(100) 내부에서의 집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케이스(122) 및 제2케이스(124)는 상기와 같이 배관 걸이부(10)와 수전구 마개부(20)가 장착됨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도 1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하부 케이스(110)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케이스(122) 및 제2케이스(124)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하나의 상부 케이스(12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부 케이스(120)는 배관 걸이부(10)와 수전구 마개부(20)가 범용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설치 홀(H)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누수된 물의 흐름이 센서부(200)를 항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00)가 장착된 하부 케이스(110)를 향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진 계단식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배관(P) 또는 수전구 상에서 누수된 물이 계단식 형태를 가진 상부 케이스(120)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센서부(200)를 향하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누수 감지 정보가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또한 계단식 형태의 상부 케이스(120)를 구성하는 상부 계단(a)의 내측 걸림턱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걸이부(10)가 걸림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케이스(110) 위치가 변경됨에 따른,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부 케이스(10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센서부(200)가 기울어지는 등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수전구 마개부(20)는 하부 케이스(110) 상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고정 장착되기 때문에, 수전구에서의 결합 시 센서부(20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배관 걸이부(10)의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120)에 걸림 위치되는 방식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그 위치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걸림 위치되는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작업자의 숙련도 부족 등에 의해 본체부(100)가 기울어져 센서부(200) 위치 또한 기울어질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0)는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홀(112)을 따르며 슬라이드 이동, 다시 말해 상부 케이스(120)의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부재(120a)가 가이드 홀(1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부 케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120a)는 가이드 홀(112)의 입구로 진입하는 일단부의 두께 길이(L1)가 타단부의 두께 길이(L2) 보다 짧게, 즉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재(120a) 타단부의 두께 길이(L2)는 가이드 홀(112)의 폭 길이(L3) 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상부 케이스(12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부 케이스(110)와 결합됨에 있어서, 결합부재(120a)의 타단부가 가이드 홀(112)에 두께 길이 차이에 의해 압입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을 위한 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하부 케이스(110)에 대한 상부 케이스(120)의 결합 상태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본체부와 통신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제1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본체부와 통신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제2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는 통신부(300)를 포함하며, 통신부(300)는 본체부(100)와 결합되고, 센서부(300)를 통해 감지된 누수 감지 정보를 중앙 서버(미도시)로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통신부(300)는 본체부(100)의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저면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의 동선을 고려하여 전면, 측면, 후면 등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한 슬라이드 이동이 아닌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의 체결을 통해 본체부(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통신부(300)는 배터리, 통신 모듈, 안테나 등이 모듈화 되어 컴팩트 하게 제작될 수 있고, 본체부(10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신부(300)는 배터리, 통신 모듈, 안테나 등이 모듈화 되어 이루어지며, 본체부(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홈(300a)이 구비되어 본체부(100)의 외부 바닥면, 또는 외벽에 구비된 레일 결합부재(102)와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확실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통신부(300)는 본체부(100)와의 확실한 결합을 통해 외부 요인에 의해 본체부(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배관(P)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통신부(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ring) 형상을 가진 탄성부재(310)에 의해 본체부(100)와 함께 결속되어 임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누수가 의심되는 배관(P) 및 수전구에 본체부(100)를 임시로 장착한 상태에서, 탄성부재(310)를 통해 본체부(100)와 통신부(300)를 결속시켜 배관(P)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 여부를 신속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함과 함께, 탄성부재(310)의 결속 해제를 통해 간단하게 본체부(100)와 통신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임시 장착되는 본체부(100) 및 통신부(300)에 대한 설치 및 설치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신축 또는 증축 시 배관 및 수전구에 장착되며, 전극 센서에 대한 설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누수 발생 시 누수된 물의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알람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배관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이 전극 센서의 센싱되는 위치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수된 물의 집수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누수 여부 검출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배관 걸이부 20 : 수전구 마개부
100 : 본체부 102 : 레일 결합부재
104 : 설치 가이드 110a : 가이드 부재
110 : 하부 케이스 112 : 가이드 홀
120 : 상부 케이스 120a : 결합부재
122 : 제1케이스 124 : 제2케이스
200 : 센서부 200a : PCB 기판
300 : 통신부 300a : 슬라이드 홈
310 : 탄성부재 H : 설치 홀

Claims (10)

  1. 배관 및 수전구에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며, 배관 및 수전구에서 누수된 물이 집수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집수된 물을 통해 배관 및 수전구에 대한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누수 감지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서 복수개의 이격 공간을 가지는 PCB 기판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바닥면과의 이격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복수개가 높이 차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 집수된 물의 수위가 증가됨에 따라 통전되어 상기 서로 다른 누수 감지 정보가 생성되게 하고,
    상기 PCB 기판은,
    상기 본체부에서 설치 가이드에 의해 내벽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누수 감지 정보는,
    상기 본체부의 수위가 증가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로 해당 수위에 대한 알람이 제공되게 하며, 누수 여부 및 수위 변화를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서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물이 집수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가 배관 및 수전구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누수된 물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배관 걸이부가 설치되도록 구비된 제1케이스와, 수전구 마개부가 설치되도록 구비된 제2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홀을 따르며 돌출된 한 쌍의 결합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가이드 홀의 입구로 진입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두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타단부의 두께 길이가 상기 가이드 홀의 폭 길이 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수전 마개부 및 상기 배관 걸이부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홀을 구비하고, 상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누수된 물이 상기 설치 홀을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영역을 향하여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레일 결합부재에 슬라이드 홈이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링(ring) 형상을 가지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임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KR1020200015334A 2020-02-10 2020-02-10 누수 감지 장치 KR10217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334A KR102177511B1 (ko) 2020-02-10 2020-02-10 누수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334A KR102177511B1 (ko) 2020-02-10 2020-02-10 누수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511B1 true KR102177511B1 (ko) 2020-11-11

Family

ID=7345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334A KR102177511B1 (ko) 2020-02-10 2020-02-10 누수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5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357B1 (ko) * 2007-03-06 2008-01-15 김전식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시스템
KR100978103B1 (ko) * 2010-03-25 2010-08-25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20150015805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357B1 (ko) * 2007-03-06 2008-01-15 김전식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시스템
KR100978103B1 (ko) * 2010-03-25 2010-08-25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20150015805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6031B2 (ja) 配管異常検知データロガー装置、配管構造及び配管異常検知システム
WO2005091791A2 (en) Fiber optic sensor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KR102177511B1 (ko) 누수 감지 장치
KR20180102847A (ko) 상수도관의 누수 감지 시스템
KR101375123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시스템
KR20220061559A (ko) 상하수도관 누수감지 장치
KR101974363B1 (ko)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1472951B1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102382535B1 (ko) 가스감지용 포집장치
KR20210112066A (ko) 벽면 누수 감지 장치
WO2011087247A2 (ko) 박스형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설비시스템
KR102236888B1 (ko) 하수 및 오수 배관 내부의 균열탐지를 위한 모바일 로봇 및 그것을 이용한 균열탐지 방법
CN205785691U (zh) 基于互联网的卫生间漏水检测系统
JP2005331242A (ja) 路面等の沈下量の測定方法
WO2018235980A1 (ko)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검지공 및 이의 매설방법
KR101686476B1 (ko) 가스 점검장치
KR101577963B1 (ko)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KR101449989B1 (ko)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및 누수탐지를 위한 누수신호 처리방법
KR102018264B1 (ko) 누유 및 누수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류 저장 장치
KR20070103106A (ko) 광케이블접속함체의 이동장치
KR102508454B1 (ko) 시설물 관리 장치
CN206039768U (zh) 高层火灾检测设备
KR102460155B1 (ko) 스마트 밸브실
KR20190098559A (ko)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JP5490073B2 (ja) 液面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