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454B1 - 시설물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시설물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454B1
KR102508454B1 KR1020180034439A KR20180034439A KR102508454B1 KR 102508454 B1 KR102508454 B1 KR 102508454B1 KR 1020180034439 A KR1020180034439 A KR 1020180034439A KR 20180034439 A KR20180034439 A KR 20180034439A KR 102508454 B1 KR102508454 B1 KR 10250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horizontal frame
facility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man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699A (ko
Inventor
여민기
주용원
이성규
최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9002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맨홀 시설물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맨홀 뚜껑의 개폐 여부를 수집하고 맨홀 내부의 정보를 수집하는 본체, 그리고 일측에 본체가 탑재되고, 맨홀 뚜껑과 맨홀 사이에 구비된 홈에 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본체와 프레임은 거치대(in-frame) 형태로 구현되어 맨홀 시설물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시설물 관리 장치{Fac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시설물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면에 지하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게 만든 구멍인 맨홀은, 관의 굵기나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길이가 긴 직선부 중간에 설치된다. 맨홀은 통풍에 이용되거나 또는 하수를 유하시키기 위한 관로인 관거의 연락에 이용되기도 한다.
도심에는 많은 수의 맨홀이 구비되어 있는데, 맨홀 내부의 유해가스로 인한 작업자의 질식사고, 맨홀 뚜껑의 파손 및 노후화 등으로 인한 차량 및 보행자 사고, 악의의 목적으로 맨홀 내부 시설물(가스, 전기시설, 통신케이블, 상하수도관 등) 파괴 및 파손 행위 및 맨홀 뚜껑 도난 문제 등의 사회적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맨홀을 원격에서 감시하기 위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맨홀 내벽 공사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맨홀 시설에 의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맨홀 시설을 용이하게 관리하고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맨홀과 같은 시설물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설물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맨홀 시설물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지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레일로 맞물려 연결되며, 맨홀의 길이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 구조물, 상기 연결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에 설치되며, 맨홀 뚜껑과 맨홀 사이에 구비된 홈에 걸쳐지는 거치 조절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양쪽 끝단의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시설물 관리 장치를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프레임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구조물은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거치 조절대, 그리고 제2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거치 조절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ㄴ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또는 제2 수평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평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맨홀 뚜껑의 개폐 여부를 수집하고 맨홀 내부의 정보를 수집하는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있고, 상기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 있으면 상기 맨홀 뚜껑이 닫혀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 있지 않으면 상기 맨홀 뚜껑이 열린 것으로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 상기 맨홀 내부의 정보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상기 감지 신호와 센싱 정보를 토대로, 상기 맨홀에 대한 감지 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가 생성한 감지 신호를 원격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 센서, 프로세서,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맨홀 시설물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맨홀 뚜껑과 맨홀 사이에 걸쳐진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 있으면 맨홀 뚜껑이 닫혀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 있지 않으면 상기 맨홀 뚜껑이 열린 것으로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 상기 맨홀 내부의 정보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상기 감지 신호와 센싱 정보를 토대로, 상기 맨홀에 대한 감지 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가 생성한 감지 신호를 원격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신호는 맨홀 뚜껑의 개폐 여부, 맨홀 내부의 공기질 정보, 시설물 관리 장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NB-IoT 통신 방식으로 상기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 센서, 프로세서,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감시 솔루션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를 거치대를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맨홀 내벽 공사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 없으며, 다양한 크기의 맨홀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본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가 설치된 맨홀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의 (a)는 시설물 관리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1의 (b)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200)과 맨홀 커버(210) 사이에 생성되어 있는 홈에 시설물 관리 장치(100)가 거치대(In-frame) 형태로 설치된다.
시설물 관리 장치(100)의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111)는 맨홀 커버(210)에 연결되어 있어 맨홀 커버(21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물 관리 장치(100)의 본체(110)는 프레임(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어, 본체(110)에서 맨홀의 상태를 관리한다.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거치대 다리(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시설물 관리 장치(100)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의 (a)는 다양한 형태의 맨홀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시설물 관리 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의 (b)는 다양한 형태의 맨홀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시설물 관리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크게 프레임(120)과 본체(110)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프레임(120)을 살펴보면, 프레임(120)의 양쪽 끝단은 맨홀(200)의 홈에 시설물 관리 장치(100)가 걸쳐질 수 있도록, 거치 조절대(121-1, 121-2)가 구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맨홀(200)은 원형이나 타원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프레임(120)의 거치 조절대(121-1, 121-2) 역시 둥근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20)은 맨홀(200)의 길이에 따라 자유자재로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슬라이딩 형태로 구현되는 수평 프레임(122-1, 122-2)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은 두 개의 부분 즉 제1 수평 프레임(122-1)과 제2 수평 프레임(122-2)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1 수평 프레임(122-1)과 제2 수평 프레임(122-2)은 레일 형태로 맞물려 있고, 슬라이딩 형태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현되어 있다. 각각의 수평 프레임(122-1, 122-2)의 한쪽 끝에 거치 조절대(121-1, 121-2)가 구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수평 프레임(122-1)과 제2 수평 프레임(122-2)이 슬라이딩 형태로 움직여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지면으로부터 거치 조절대(121-1, 121-2)의 높이와 수평 프레임(122-1, 122-2)의 높이는 상이하다. 이를 위해 거치 조절대(121-1, 121-2)와 수평 프레임(122-1, 122-2)이 맞물리는 위치에 'ㄴ'자 형태의 연결 구조물(123)이 구비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거치 조절대(121-1, 121-2)는 맨홀 뚜껑(210)과 맨홀(200)의 사이의 홈에 걸쳐지고, 수평 프레임(122-1, 122-2)는 맨홀 공중에 떠 있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122-1, 122-2)의 양쪽 끝단 하단에는 프레임(120)을 지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거치대 다리(130)가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120)의 하단에는 맨홀(200) 내부의 상태를 센싱하거나 맨홀 뚜껑(21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맨홀에서 수집한 정보를 처리하는 본체(110)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10)에는 맨홀 내부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와 시설물 관리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센싱된 정보를 원격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맨홀 뚜껑(21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스위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시설물 관리 장치(100) 중 본체(110)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본체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111), 센서(112), 프로세서(113), 통신 인터페이스(114) 그리고 배터리(115)를 포함한다.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111)는 맨홀 뚜껑(210)에 연결되어, 맨홀 뚜껑(21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111)의 일측은 맨홀 뚜껑(210)의 일측에 닿여 있다. 그리고 맨홀 뚜껑(210)이 열리면 맨홀 뚜껑(210)에 닿인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111)가 맨홀 뚜껑(210)과 떨어져 맨홀 뚜껑(210)이 열림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111)와 맨홀 뚜껑(210)이 닿여 있는지 여부에 따라 맨홀 뚜껑(21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112)는 맨홀(200) 내부의 공기질을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112)가 대기 센서 또는 공기질 센서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서(112)를 통해 맨홀(200) 내부의 공기질 이외에 맨홀 내부의 다른 요소(예를 들어, 맨홀 내 온도, 맨홀 강도, 맨홀 내 하수 유량 등)들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3)는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111)가 발생한 감지 신호 또는 센서(112)가 생성한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정보를 토대로 원격의 관리자 단말(도면 미도시)로 제공할 감시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감시 정보는 맨홀 뚜껑(210)의 개폐 여부, 맨홀(200) 내부의 공기질 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시설물 관리 장치(100)의 식별 정보도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4)는 프로세서(113)가 생성한 감시 정보를 원격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114)는 NB-IoT 통신 방식으로 감시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배터리(115)는 시설물 관리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115)의 종류나 배터리(115)에서 제공하는 전원의 형태를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시설물 관리 장치(100)가 설치된 맨홀의 예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가 설치된 맨홀의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통신회사 맨홀에 설치된 시설물 관리 장치(1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지자체 하수도 맨홀에 설치된 시설물 관리 장치(1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회사 맨홀 또는 지자체 하수도 맨홀 등 다양한 형태의 맨홀에 맨홀 내벽 공사 없이도 시설물 관리 장치(1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맨홀 시설물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지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레일로 맞물려 연결되며, 맨홀의 길이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 구조물,
    상기 연결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에 설치되며, 맨홀 뚜껑과 맨홀 사이에 구비된 홈에 걸쳐지는 거치 조절대, 그리고
    상기 맨홀의 공중에 떠 있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또는 제2 수평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평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맨홀 뚜껑의 개폐 여부를 수집하고 맨홀 내부의 정보를 수집하는 본체
    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양쪽 끝단의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시설물 관리 장치를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프레임 다리
    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거치 조절대, 그리고 제2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거치 조절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ㄴ자 형태로 구현되는 시설물 관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있고, 상기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 있으면 상기 맨홀 뚜껑이 닫혀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 있지 않으면 상기 맨홀 뚜껑이 열린 것으로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
    상기 맨홀 내부의 정보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상기 감지 신호와 센싱 정보를 토대로, 상기 맨홀에 대한 감지 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가 생성한 감지 신호를 원격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 센서, 프로세서,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7. 맨홀 시설물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맨홀 뚜껑과 맨홀 사이에 걸쳐져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이 레일로 맞물려 구성된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 있으면 맨홀 뚜껑이 닫혀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일측이 상기 맨홀 뚜껑에 닿여 있지 않으면 상기 맨홀 뚜껑이 열린 것으로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
    상기 맨홀 내부의 정보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상기 감지 신호와 센싱 정보를 토대로, 상기 맨홀에 대한 감지 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가 생성한 감지 신호를 원격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는 맨홀 뚜껑의 개폐 여부, 맨홀 내부의 공기질 정보, 시설물 관리 장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NB-IoT 통신 방식으로 상기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개폐 감지 스위치, 센서, 프로세서,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KR1020180034439A 2017-09-07 2018-03-26 시설물 관리 장치 KR102508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769 2017-09-07
KR20170114769 2017-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699A KR20190027699A (ko) 2019-03-15
KR102508454B1 true KR102508454B1 (ko) 2023-03-09

Family

ID=6576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439A KR102508454B1 (ko) 2017-09-07 2018-03-26 시설물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4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078B1 (ko) * 2012-09-03 2013-12-24 주식회사 해밀라이트 맨홀용 모기 퇴치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659B1 (ko) * 2007-02-06 2009-02-25 이윤영 맨홀 보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KR20100086182A (ko) * 2009-01-22 2010-07-30 (주)지인프라 맨홀 뚜껑 및 맨홀 관리 시스템
KR101131731B1 (ko) * 2009-07-16 2012-04-05 (주)옥련건설 맨홀보수방법 및 맨홀보수구조
KR101543693B1 (ko) * 2013-12-30 2015-08-11 주식회사 블루폭스시스템즈 맨홀의 내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078B1 (ko) * 2012-09-03 2013-12-24 주식회사 해밀라이트 맨홀용 모기 퇴치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699A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59545B2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385880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
KR20090095966A (ko) 맨홀 감시 시스템
KR102501189B1 (ko) 맨홀 복합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장치
KR20180130278A (ko) 침수 감지 및 방지기능이 구현된 제어함
KR101375123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시스템
KR102166859B1 (ko) 지중 송전선로의 고장구간 모니터링 장치
KR20160080354A (ko) 맨홀 내부 무선 통신 장치
KR102508454B1 (ko) 시설물 관리 장치
KR20170119962A (ko)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2010349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KR20110046147A (ko) 물탱크의 무선원격 수위조절장치
JP3175722U (ja) 止水装置用警報システム
KR20060098014A (ko) 감시형 방수 맨홀 및 그 시공 공법
KR101858569B1 (ko) 복수의 수처리 시설에 대한 통합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 방법
CN206259005U (zh) 井盖状态监测装置
KR101660934B1 (ko) 토양 침식과 퇴적 측정 모듈과 이를 이용하는 토양 침식과 퇴적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433351B1 (ko) 스마트 콘크리트 맨홀 및 그의 관리 운영 시스템
KR102561220B1 (ko)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314311B1 (ko) 중계 펌프장의 모터, 수위센서, 및 배관의 이상 여부를 자동 판단하는 스마트 원격감시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 펌프장 운영시스템
KR20150115200A (ko) 하수관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82238B1 (ko)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
JP2011153842A (ja) 冠水検出センサ
CN206948528U (zh) 一种基于nb网络的功能箱
TWI409721B (zh) Remote monitoring of drainage gou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