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349B1 -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349B1
KR102010349B1 KR1020190015591A KR20190015591A KR102010349B1 KR 102010349 B1 KR102010349 B1 KR 102010349B1 KR 1020190015591 A KR1020190015591 A KR 1020190015591A KR 20190015591 A KR20190015591 A KR 20190015591A KR 102010349 B1 KR102010349 B1 KR 10201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elephone pole
pole
inform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주
Original Assignee
김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주 filed Critical 김점주
Priority to KR102019001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전신주들의 위치 및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여 전신주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전신주의 도괴 가능성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사물 인터넷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REMOTE POSITION MONITORING APPARATUS OF TELEGRAPH POLE FOR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전신주들의 위치 및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여 전신주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전신주의 도괴 가능성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사물 인터넷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는 전기를 송배전하는 통신선로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자연재해 또는 사고 등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균열 및 도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낡은 전신주가 전선과 변압기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쓰러질 수 있다.
현재까지는 전신주의 도괴 방지를 위해 현장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해 비파괴 또는 초음파 검사 장비를 이용해 전신주의 강도 시험을 수행하거나, 현장 관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신주의 유지 보수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전신주 도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현장 인력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75028호(2018.08.02.)에는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이용해 전신주들의 위치 및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여 전신주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전신주의 도괴 가능성을 경고함으로써 전신주의 도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사물 인터넷 장치를 보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75028호(2018.08.02.)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전신주들의 위치 및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여 전신주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전신주의 도괴 가능성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사물 인터넷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신주에 부착되어, 해당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들; 주변의 전신주들 각각에 부착되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들로부터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중계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장치(200); 및 관제 센터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의해 중계되는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분석하여 전신주 도괴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전신주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10); 전신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120); 전신주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130); 상기 메모리(110)로부터 획득되는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 전신주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130)에 의해 감지되는 전신주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된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부(150)를 포함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보호하는 보호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500)는, 전면에 출입구(511)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00)가 수용되는 케이스(510); 상기 출입구(511)를 개폐하는 도어(520); 상기 도어(520)를 상기 케이스(5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530); 및 상기 출입구(511)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어(520)를 잠금하는 잠금수단(54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510)는,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512)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도어(520)가 승,하강하는 중공(51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530)은, 일단부에 머리부(531a)가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512)을 통과하여 상기 도어(520)에 고정되는 연결구(531)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540)은, 상기 머리부(531a)와 상기 케이스(51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구(531)로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510)에 밀착되면서 상기 도어(520)를 잠금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510)와 이격되면서 상기 도어(520)를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전신주들의 위치 및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여 전신주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전신주의 도괴 가능성을 경고함으로써 전신주의 도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사물 인터넷 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에서 사물 인터넷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보호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결속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서 결속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는 사물 인터넷 장치(IoT Device)(100)들과,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장치(Gateway Device)(200)와, 관리서버(300)와,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전신주에 부착되어, 해당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LPWAN : Low Power Wide Area Network)을 통해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메모리(110)와, 움직임 감지센서(120)와, 기울기 감지센서(130)와, 제어부(140)와, 저전력 장거리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10)는 전신주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전신주 위치 정보는 사물 인터넷 장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장치 식별정보는 전신주를 식별할 수 있는 일련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이들을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전신주 위치 정보는 GPS 시스템에 의해 획득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나, 전신주의 경우 한번 설치되면 이동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전신주에 부착시 현장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400)에 의해 입력되어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20)는 전신주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예컨대, 움직임 감지센서(120)가 전신주가 움직일 때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전신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130)는 전신주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예컨대, 기울기 감지센서(130)가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처음에 설정한 일정 방향을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상기 메모리(110)로부터 획득되는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 전신주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130)에 의해 감지되는 전신주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저전력 장거리 통신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된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주변의 전신주들 각각에 부착되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들로부터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중계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관제 센터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의해 중계되는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분석하여 전신주 도괴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300)가 전신주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전신주의 움직임 정보를 분석해 전신주 움직임이 임계 움직임 값을 초과한다 판단되면, 전신주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전신주가 도괴 가능성이 있다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0)가 전신주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전신주의 기울기 정보를 분석해 전신주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값을 초과한다 판단되면, 전신주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전신주가 도괴 가능성이 있다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전신주 도괴 가능성이 있다 판단된 경우, 전신주 도괴 경고를 수행한다. 예컨대, 관리서버(300)가 현장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400)로 전신주 도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신주 도괴 경고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현장 관리자가 소지하되,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신주 도괴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때, 전신주 도괴 경고 메시지는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전신주 도괴 경고 메시지를 확인한 현장 관리자는 전신주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전신주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전신주 위치로 현장 방문하여 전신주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전신주들의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여 전신주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전신주의 도괴 가능성을 경고함으로써 전신주의 도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저전력 근거리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전력 근거리 통신부(160)는 현장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400)과 저전력 근거리 통신망(LPPAN : Low Power Personal Area Network)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예컨대, 상기 저전력 근거리 통신부(160)가 사용자 단말(400)로 전신주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괴 가능성이 있다 판단된 전신주가 위치하는 현장에 도착한 현장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해 사물 인터넷 장치(100)로부터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저전력 근거리 통신망(LPPAN)을 통해 수신하여 전신주 상태 파악에 참고한다.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전원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70)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예컨대, 상기 전원부(170)가 태양광에 의해 충전되는 태양 전지셀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단계 510에서 전신주들 각각에 부착되는 사물 인터넷 장치들이 각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520에서 게이트웨이 장치가 전신주들 각각에 부착되는 사물 인터넷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중계한다.
그러면, 단계 530에서 관제 센터에 설치되는 관리서버가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중계되는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분석하여 전신주 도괴 여부를 판단한다.
그 다음, 단계 540에서 관리서버가 상기 단계 530에 의해 전신주 도괴 가능성이 있다 판단된 경우, 현장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신주 도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550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전신주 도괴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이를 확인한 현장 관리자가 전신주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전신주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전신주 위치로 현장 방문하여 전신주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전신주들의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여 전신주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전신주의 도괴 가능성을 경고함으로써 전신주의 도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보호하는 보호부(500)를 더 포함한다.
보호부(500)는 조류나, 우수 등으로부터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보호하여 안정적인 작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보호부(500)는 전면에 출입구(511)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사물 인터넷 장치(100)가 수용되는 케이스(510), 출입구(511)를 개폐하는 도어(520), 도어(520)를 케이스(5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530) 및 출입구(511)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도어(520)를 잠금하는 잠금수단(540)을 포함한다.
케이스(510)는 전면이 개방되면서 전면으로 출입구(511)가 형성되는 사각 형태를 이룬다.
케이스(510)는 후면이 전신주에 고정되면서 내측으로 사물 인터넷 장치가 수용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는, 케이스(510)는 전,후가 개방되는 사각링 형태를 이루면서 전신주에 부착된 사물 인터넷 장치의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의, 케이스(510)는 개방된 후면부가 차단될 수 있도록 전신주에 밀착 고정되어야 한다.
도어(520)는 연결수단(530)에 의해 케이스(5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승,하강에 따라 출입구(511)를 개폐한다.
도어(520)는 개방에 따라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케이스(510)는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512)이 형성되고, 상부에 도어(520)가 승,하강하는 중공(513)이 형성된다.
중공(513)으로는 한 쌍의 상부 실리콘막(514)이 구비되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우수 등이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520)는 승,하강시 한 쌍의 상부 실리콘막(514) 간을 통과하며, 상부 실리콘막(514)은 도어(520)와 중공(513)을 이루는 둘레 간에 밀착되면서 우수나 이물질 등이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수단(530)은 일단부에 머리부(531a)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가이드공(512)을 통과하여 도어(520)에 고정되는 연결구(531)를 포함한다.
가이드공(512)으로는 한 쌍의 하부 실리콘막(515)이 구비되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우수 등이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구(531)는 도어(520)의 승,하강시 한 쌍의 하부 실리콘막(515) 간을 통과하며, 하부 실리콘막(515)은 도어(520)와 가이드공(512)을 이루는 둘레 간으로 밀착되면서 우수나 이물질 등이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출입구(511)에 대한 개방시, 머리부(531a)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승강시킴으로써 도어(520)가 승강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출입구(511)에 대한 닫힘시에는 머리부(531a)로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도어(520)가 하강되면서 닫힐 수 있다.
잠금수단(540)은 머리부(531a)와 케이스(510) 간에 위치되도록 연결구(531)로 나사결합된다.
연결구(5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잠금수단(54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연결구(531)로 나사결합된다.
잠금수단(540)은 조임 회전에 따라 케이스(510)에 밀착되면서 도어(520)를 잠금한다. 이에 따라, 도어(520)는 승,하강이 정지되면서 출입구(511)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잠금수단(540)은 풀림 회전에 따라 케이스(510)와 이격되면서 도어(520)를 잠금해제한다. 이에 따라, 도어(520)는 승,하강되면서 출입구(511)를 개방 또는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보호부(500)는 출입구(511)가 전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520)의 잠금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속수단(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수단(550)은 출입구(5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잠금수단(540)에 의해 잠금된 도어(520)가 하중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520)는 후면 하측에 잠금홈(521)이 형성된다.
결속수단(550)은 중공(513)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케이스(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551), 일단부에 손잡이(552a)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잠금홈(521)으로 인입되는 결속바(552), 결속바(552)의 후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가압판(553) 및 지지판(551)과 가압판(553) 간에 위치되도록 결속바(55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554)을 포함한다.
결속바(552)는 손잡이(552a)를 도어(5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함에 따라 잠금홈(521)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잠금홈(521)으로 인입된다.
스프링(554)은 도어(520)가 전부 승강된 상태에서 가압판(553)을 도어(520)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속바(552)의 타단부가 잠금홈(521)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이때의 도어(520)는 결속수단(550)에 의해 하강이 잠금되면서 출입구(511)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스프링(554)은 손잡이(552a)를 도어(5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수축되면서 결속바(552)의 타단부가 잠금홈(521)으로부터 인출되며 도어(520)가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보호부(500)는 조류나, 우수 등으로부터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안정적인 작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사물 인터넷 장치 110 : 메모리
120 : 움직임 감지센서 130 : 기울기 감지센서
140 : 제어부 150 : 저전력 장거리 통신부
160 : 저전력 근거리 통신부 170 : 전원부
200 : 게이트웨이 장치 300 : 관리서버
400 : 사용자 단말 500 : 보호부
510 : 케이스 511 : 출입구
512 : 가이드공 513 : 중공
520 : 도어 530 : 연결수단
531 : 연결구 531a : 머리부
540 : 잠금수단 550 : 결속수단

Claims (1)

  1. 전신주에 부착되어, 해당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들;
    주변의 전신주들 각각에 부착되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들로부터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중계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장치(200); 및
    관제 센터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의해 중계되는 전신주 상태정보들을 분석하여 전신주 도괴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전신주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10);
    전신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120);
    전신주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130);
    상기 메모리(110)로부터 획득되는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 전신주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130)에 의해 감지되는 전신주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된 전신주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신주 상태정보를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부(150)를 포함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에 있어서,
    조류나 우수로부터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보호하여 안정적인 작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보호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500)는,
    전면에 출입구(511)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00)가 수용되는 케이스(510);
    상기 출입구(511)를 개폐하는 도어(520);
    상기 도어(520)를 상기 케이스(510)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도어(52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출입구(511)가 개폐되도록 하는 연결수단(530);
    상기 출입구(511)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어(520)를 잠금하는 잠금수단(540); 및
    상기 출입구(5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수단(540)에 의해 잠금된 상기 도어(520)가 하중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도어(520)의 잠금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속수단(55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510)는,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512)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도어(520)가 승,하강하는 중공(513)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513)으로는,
    한 쌍의 상부 실리콘막(514)이 구비되면서 상기 도어(520)가 승,하강시,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리콘막(514) 간을 통과하도록 하며,
    상기 상부 실리콘막(514)은,
    상기 도어(520)와 중공(513)을 이루는 둘레 간에 밀착되면서 우수나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수단(530)은,
    일단부에 머리부(531a)가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512)을 통과하여 상기 도어(520)에 고정되는 연결구(531)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512)으로는,
    한 쌍의 하부 실리콘막(515)이 구비되면서 상기 도어(520)의 승,하강시, 상기 연결구(531)가 상기 한 쌍의 하부 실리콘막(515) 간을 통과하도록 하며,
    상기 하부 실리콘막(515)은, 상기 도어(520)와 가이드공(512)을 이루는 둘레 간으로 밀착되면서 우수나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출입구(511)는,
    상기 머리부(531a)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도어(520)가 승강되면서 개방되고, 상기 머리부(531a)로의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도어(520)가 하강되면서 닫히며,
    상기 잠금수단(540)은,
    상기 머리부(531a)와 상기 케이스(51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구(531)로 나사결합되고,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510)에 밀착되면서 상기 도어(520)를 잠금하는 한편,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510)와 이격되면서 상기 도어(520)를 잠금해제하며,
    상기 도어(520)는 후면 하측에 잠금홈(521)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수단(550)은,
    상기 중공(513)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551);
    일단부에 손잡이(552a)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잠금홈(521)으로 인입되는 결속바(552);
    상기 결속바(552)의 후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가압판(553); 및
    상기 지지판(551)과 가압판(553)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55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554)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바(552)는,
    상기 손잡이(552a)를 상기 도어(5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잠금홈(521)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잠금홈(521)으로 인입되고,
    상기 스프링(554)은,
    상기 도어(520)가 전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판(553)을 상기 도어(5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결속바(552)의 타단부가 상기 잠금홈(521)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552a)를 상기 도어(5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수축되면서 상기 결속바(552)의 타단부가 상기 잠금홈(521)으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도어(520)가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KR1020190015591A 2019-02-11 2019-02-11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KR10201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91A KR102010349B1 (ko) 2019-02-11 2019-02-11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91A KR102010349B1 (ko) 2019-02-11 2019-02-11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349B1 true KR102010349B1 (ko) 2019-08-13

Family

ID=6762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91A KR102010349B1 (ko) 2019-02-11 2019-02-11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3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209B1 (ko) * 2021-11-03 2022-10-07 (주)에스시 배전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와 전자파차단장치가 구비되는 전신주시스템
KR102451211B1 (ko) * 2021-11-03 2022-10-11 (주)에스시 변압기와 가공 배전선로가 설치된 전신주의 이상유무 진단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68546B1 (ko) 2022-08-08 2022-11-18 정경하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전신주의 배전장치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845B1 (ko) * 1995-11-30 1999-05-15 오태환 광케이블을 이용한 현장 중계 및 통신 시스템
KR200425297Y1 (ko) * 2006-06-12 2006-09-01 이재훈 현관문의 도난방지용 물품 투입장치
KR20170119962A (ko)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판게아솔루션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845B1 (ko) * 1995-11-30 1999-05-15 오태환 광케이블을 이용한 현장 중계 및 통신 시스템
KR200425297Y1 (ko) * 2006-06-12 2006-09-01 이재훈 현관문의 도난방지용 물품 투입장치
KR20170119962A (ko)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판게아솔루션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875028B1 (ko) 2016-04-20 2018-08-02 주식회사 판게아솔루션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209B1 (ko) * 2021-11-03 2022-10-07 (주)에스시 배전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와 전자파차단장치가 구비되는 전신주시스템
KR102451211B1 (ko) * 2021-11-03 2022-10-11 (주)에스시 변압기와 가공 배전선로가 설치된 전신주의 이상유무 진단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68546B1 (ko) 2022-08-08 2022-11-18 정경하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전신주의 배전장치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349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CN205910570U (zh) 一种无需人值守的总降变电站智能监控系统
US8522487B2 (en) Safety hatch system and egress
WO2017179952A1 (ko)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CN102561399B (zh) 无线电控井盖装置及实现井盖防盗的方法
KR102277997B1 (ko)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CN109191798A (zh) 基于物联网可交互式智能地线管理系统
WO2017091054A1 (ko)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금고 동작 감시 시스템
US20220120825A1 (en) Safety Ground Wire Monitoring And Alarm Systems
WO2021172719A1 (ko) Iot 기반 라이다 센서 기술을 이용한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171281A2 (ko) Lpwa(low-power wide-area) 네트워크 기반의 지하시설물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맨홀 커버
KR101875028B1 (ko)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808752B1 (ko) 초고압 지중송전선로 진단시스템
US100835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balcony access status alert system
KR102168425B1 (ko) 안전관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다지점 구조물 인상 통합 관리시스템
CN103967397A (zh) 一种防火门监控系统
CN107054297A (zh) 一种防盗方法
KR101375123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시스템
KR102390585B1 (ko) 애벌런치 슬라이드 디텍션 시스템 및 방법
CN202430746U (zh) 无线电控井盖装置
CN112203052A (zh) 一种安防监控平台
CN109887139B (zh) 一种校园消防系统
KR102426045B1 (ko) 양방향 스마트워닝시스템을 활용한 맨홀 내부 유독가스 감지제어 시스템
KR102451211B1 (ko) 변압기와 가공 배전선로가 설치된 전신주의 이상유무 진단 시스템 제공방법
KR20070088242A (ko) 설비의 상태 및 이벤트의 실시간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