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997B1 -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997B1
KR102277997B1 KR1020210029835A KR20210029835A KR102277997B1 KR 102277997 B1 KR102277997 B1 KR 102277997B1 KR 1020210029835 A KR1020210029835 A KR 1020210029835A KR 20210029835 A KR20210029835 A KR 20210029835A KR 102277997 B1 KR102277997 B1 KR 102277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c
unit
sluice gate
remote contro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범
Original Assignee
안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범 filed Critical 안종범
Priority to KR102021002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문에 PLC를 구성하고, 상기 PLC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수문과 근접 또는 원거리 등 임의의 위치에 상기 PLC와 정보를 송, 수신하는 PC가 설치된 제어실을 구성하여 원격제어를 함은 물론,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를 PLC와 접속시켜서 상기 수문을 제어실의 PC와 더불어 수동 및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문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스마트부를 통해 수문을 제어함에 있어 각각의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이 높고, 카메라의 고장 등이 발생할 경우 다른 카메라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수문본체의 상태를 24시간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수문의 각종정보 제공과 제어 및 수문본체를 제어하는 PLC와 유압유닛의 안정적인 보관을 통해 안정성이 높으며, 원격제어함을 유지보수 시 별도의 조절수단을 통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Hydraulic lift gate remote control system for smart flood management}
발명은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문의 상부에 상기 수문을 제어하기 위한 PLC를 구성하고, 상기 PLC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수문과 근접 또는 원거리 등 임의의 위치에 상기 PLC와 정보를 송, 수신하는 PC가 설치된 제어실을 구성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수문은 홍수 등을 대비와 방지하기 위해 수위확인 및 수문의 개폐 조작 등 관리자가 수문 설치위치까지 직접 이동하여 인력에 의한 수동 조작이 주를 이루었고, 수문에 모터가 설치된 경우 수문의 모터와 유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원격지에서 모터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다.
이에, 근래에는 수문을 작동시킴에 있어서 모터가 아닌 유압방식을 적용하여 수문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수문을 제어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일이 관리자가 수문까지 직접 이동하지 않고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수문의 상태, 물의 수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유압방식을 적용하고 수문을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기술들은, 단순히 외부에서 수문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불과하며, 수문과 관련된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모니터링 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선택적으로 수동, 자동제어 및 기타 외부 단말기 등을 접속시켜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수문을 개폐함에 있어서, 수위 센서 등을 구성하여 수위센서로부터 제공받는 정보에 따라 수문의 개폐하도록 하고 있지만, 수문의 오작동 등에 대한 마땅한 대응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상기 수문의 원격제어를 위해 제어회로(PLC)등이 안정적으로 보관 및 고정되어야 하는 원격제어함의 고정력을 확보치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원격제어함의 유지보수 시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등록번호 10-1647585호(2016.08.04.) KR 등록번호 10-1965715호(2019.03.29.) KR 등록번호 10-0903883호(2009.06.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수문과 관련된 물의 수의, 수문본체의 주변부 상태 확인, 수문의 개도량 체크가 가능한 스마트부를 구성하여 PLC로 제공한 후, 상기 PLC를 통해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수동과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PLC와 수문본체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유닛의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도록 원격제어함과 수문제어함을 각각 구성하되,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원격제어함의 유지보수 시, 원격제어함의 전면에 조절수단을 배치 구성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수의 카메라를 구성하여 하나의 카메라가 오류가 날 시 다른 카메라로 자동적으로 연결되어 촬영이 가능토록 하여, 오작동 및 누락 없이 원활한 촬영과 원격제어가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외부 단말기를 접속시키되,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되는 난간(110)과, 전면에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유압유닛(131)으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수문본체(120)와, 상부 일측에 상기 수문본체(120)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닛(131)을 포함하는 수문제어함(130)과, 상부 일측에 수문제어함(13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PLC(2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40)로 구성되는 수문(100);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제어실(400)의 PC(410)로부터 수동 및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 제어하되, 상기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와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값과 부합될 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설정된 값과 다를 경우 이를 PC(410)로 전송하는 PLC(210)와, 상기 PLC(210)와 PC(410)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220)을 포함하는 원격제어함(200); 상기 수문(100)의 전면 일측에 물의 수위를 실시간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310)와,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실시간으로 수문(100) 및 그 주변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320)와, 상기 수문(100)의 상측에 수문(100)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개도량센서(330)와, 상기 유압유닛(131)의 일측 또는 수문본체(13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유압유닛(131)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340)로 각각 구성되어 수집된 정보를 상기 PLC(210)로 각각 전송하는 스마트부(300); 외부 임의의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PLC(210)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PLC(210)가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상기 PLC(210)를 제어하는 PC(410)와, 상기 PC(41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피커(140)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420)를 포함하는 제어실(400); 을 포함하고, 상기 PLC(210)에는, 스마트부(300)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정보를 제공받아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211)와,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13)로 구성되어, 작동 우선순위로 제1제어부(211)를 통해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되, 상기 제2제어부(213)로부터 제어신호가 전송될 시, 제1제어부(211)의 작동을 차단하고, 제2제어부(213)의 제어신호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센서(310)는 실시간 물의 수위를 감지하되, 특정구간을 설정하고 그 특정구간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의 물의 수위를 각각 감지 및 상기 시작지점에서 종료지점까지 수위의 도달시간을 체크하여, 그 정보를 PLC(210)로 전송하고, 상기 PLC(210)는 상기 수위센서(31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해 수문본체(120)의 개도량과 개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는 상, 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지지유닛(151)과 상기 제1지지유닛(151)의 외측에 좌, 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유닛(153)으로 구성되는 지지유닛(150)이 구성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151)의 끝단에 스피커(140)가 구성되며, 상기 제2지지유닛(153)의 끝단에 카메라(320)가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유닛(153)의 끝단에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중공과 연결된 다수의 인출홀(513)이 형성되는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에 각각의 인출홀(513)과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되고 끝단에 다수의 카메라(320)가 구성되며 상기 PLC(2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하로 작동하는 상하작동모듈(520)로 구성되는 카메라인출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PLC(210)는, 각각의 상하작동모듈(520)을 제어하되, 현재 사용중인 하나의 카메라(320)와의 신호가 끊어질 시, 신호가 끊어진 상하작동모듈(520)을 인입시키고, 다른 하나의 상하작동모듈(520)을 인출시켜 다른 하나의 카메라(320)와 제어실(400)의 PC(410)와 자동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카메라(320)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PC(410)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PLC(210)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600)를 등록하는 단말기등록부(212)와, 상기 단말기등록부(212)로부터 등록된 단말기(600)의 사용을 승인하는 승인부(215)와, 상기 승인부(215)로부터 승인된 단말기(600)를 접속시키는 접속부(217)와, 상기 승인부(215)로부터 승인된 이외의 단말기(600)가 접속을 시도할 경우 이를 차단하는 차단부(219)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PLC(210)는 제어실(400)의 PC(4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와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각각 수신받아 제어하되, 상기 PC(410)와 단말기(600)에서 신호가 동시에 각각 전송될 시, PC(410)를 우선순위로 하여 제어하고, 상기 PLC(210)는 상기 PC(41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 중, 상기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시, 그 신호를 PC(410)로 전송하고, 상기 PC(410) 사용자가 이를 승인할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PLC(210)는 스마트부(300)의 개도량센서(310)로부터 수문본체(120)의 열림과 닫힘의 범위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상기 PLC(210)의 명령신호에 따라 유압유닛(131)이 작동하여 수문을 제어하되, 설정된 시간 내에 수문본체(120)의 열림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그 신호를 PC(410)로 전송하고, 상기 PC(410)는 PLC(21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PLC(210)에는, 상기 스마트부(300)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날 경우 이를 검출하여 PC(410)로 전송하는 오류검출부(214)가 구성되고, 상기 PC(410)는 오류검출부(214)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범위에 속할 경우 정상,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오류로 판단하고, 오류일 경우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고, 정상일 경우 자동적인 제어가 유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내부에는 PLC(210)와 연결된 카메라(135)가 구성되어, 상기 PLC(2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도어가 열림될 시, 상기 카메라(135)가 내부를 촬영하며 그 촬영된 영상을 PLC(210)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도어가 닫힘될 시 상기 카메라(135)의 촬영이 자동적으로 종료되고, 상기 PLC(210)는 상기 카메라(13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PC(210)로 전송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제어함(200)은, 수문(100)의 상측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부(231)와, 상기 바닥부(231)의 상측 중앙부에 상, 하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닥부(231)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되, 외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홀(237)이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부방향으로 나사산(239)이 형성되는 끼움봉(235)이 구성되는 받침판(230)과, 내부에 공간(241)이 마련되어 상기 PLC(210) 및 통신수단(220)이 배치 구성되고, 후면에 상기 끼움봉(235)에 끼워지는 끼움홀(236)의 내측에 상기 슬라이드홀(237)과 대응되는 슬라이드돌기(243)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봉(235)에 끼워질 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끼움부(245)가 형성되는 몸체(240)와, 상기 몸체(240)가 끼움봉(235)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봉(235)의 상부에 체결되는 조임부재(25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제어함(200)에는, 상기 끼움봉(235)에 몸체(240)의 끼움부(245)를 끼움하기 전, 상기 몸체(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245)의 내부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높이조절부재(260)가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원격제어함(200)의 전면과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부 양측에 돌출부(7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끼움홈(71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11)의 외측에 하나 이상의 결합홀(715)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7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10)의 상부에 구성되되, 외부 양측면에 상, 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2개 이상의 홀(721)이 형성되고, 상측 바닥부 양측에 슬라이드홀(723)이 각각 형성되며, 상부 내측벽면에 롤러(725)가 각각 구성되는 조절판(720)과, 하부가 상기 조절판(720)에 끼워지되, 하부 양측과 외부 양측에 상기 슬라이드홀(723)과 롤러(725)와 대응하는 부분에 슬라이드부(731)이 각각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동하는 안착판(730)을 포함하는 조절수단(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수문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스마트부를 통해 수문을 제어함에 있어 각각의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이 높고, 카메라의 고장 등이 발생할 경우 다른 카메라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수문본체의 상태를 24시간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수문의 각종정보 제공과 제어 및 수문본체를 제어하는 PLC와 유압유닛의 안정적인 보관을 통해 안정성이 높으며, 원격제어함을 유지보수 시 별도의 조절수단을 통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함과 제어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카메라인출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단면도,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수문제어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조절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분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조절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조절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본 발명은 수문에 PLC를 구성하고, 상기 PLC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수문과 근접 또는 원거리 등 임의의 위치에 상기 PLC와 정보를 송, 수신하는 PC가 설치된 제어실을 구성하여 원격제어를 함은 물론,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를 PLC와 접속시켜서 상기 수문을 제어실의 PC와 더불어 수동 및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보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되는 난간(110)과, 전면에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유압유닛(131)으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수문본체(120)와, 상부 일측에 상기 수문본체(120)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닛(131)을 포함하는 수문제어함(130)과, 상부 일측에 수문제어함(13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PLC(2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40)로 구성되는 수문(100);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제어실(400)의 PC(410)로부터 수동 및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 제어하되,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와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값과 부합될 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설정된 값과 다를 경우 이를 PC(410)로 전송하는 PLC(210)와, 상기 PLC(210)와 PC(410)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220)을 포함하는 원격제어함(200); 상기 수문(100)의 전면 일측에 물의 수위를 실시간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310)와,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실시간으로 수문(100) 및 그 주변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320)와, 상기 수문(100)의 상측에 수문(100)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개도량센서(330)와, 상기 유압유닛(131)의 일측 또는 수문본체(13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유압유닛(131)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340)로 각각 구성되어 수집된 정보를 상기 PLC(210)로 전송하는 스마트부(300); 외부 임의의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PLC(210)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PLC(210)가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상기 PLC(210)를 제어하는 PC(410)와, 상기 PC(41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피커(140)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420)를 포함하는 제어실(400); 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댐의 물을 막은 상태에서 수위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수문본체(120)를 개도하여 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제어실(400)의 관리자가 스마트부(300)를 통해 실시간 획득하는 물의 수위, 수문본체(120)의 주변부에 관련된 영상, 수문본체(120)가 유압유닛(131)에 의해 작동될 시, 개도량과 유압유닛(131) 또는 수문본체(120)로 전달되는 압력 정보를 제공받도록 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통해 수문을 원격으로 안정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먼저, 상기 수문(100)은 도 1,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되는 난간(110)이 구성되어 작업자 등이 상기 수문(100)의 상측에서 이동 및 작업 중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난간(110)은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수문(100)의 전면에는 상하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하기될 유압유닛(131)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수문본체(120)가 구성되어, 수위센서(310)에 설정된 수위에 도달 시 유압유닛(131)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설정된 개도량 만큼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수문(100)의 작동 구조는 통상적인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였다.
또한,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는 상기 수문본체(120)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닛(131)을 포함하는 수문제어함(130)이 구성되어, 상기 수문본체(120)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닛(131)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고, 전면에는 도어가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내부에는 PLC(210)와 연결된 카메라(135)가 구성되어, 상기 PLC(2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도어가 열림될 시, 상기 카메라(135)가 내부를 촬영하며 그 촬영된 영상을 PLC(210)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도어가 닫힘될 시 상기 카메라(135)의 촬영이 자동적으로 종료되고, 상기 PLC(210)는 상기 카메라(13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PC(210)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유압유닛(131)은 유압모터가 구성되어 구동된다.
한편, 상기 수문(100)의 상부 일측에 수문제어함(130)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PLC(2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40)가 구성되는데, 상기 스피커(140)는 상기 PLC(210)로 신호를 입력받되, 상기 PLC(210)는 제어실(400)의 PC(410) 또는 원격제어함(20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방송설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수문(100)의 주변에 다양한 각종 안내방송 및 기타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는 상, 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지지유닛(151)과 상기 제1지지유닛(151)의 외측에 좌, 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유닛(153)으로 구성되는 지지유닛(150)이 구성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151)의 끝단에 스피커(140)가 구성되며, 상기 제2지지유닛(153)의 끝단에 카메라(320)가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140)는 수문(100)보다 더 높게 설치되도록 하여 출력되는 소리가 멀리 퍼져 크게 들릴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카메라(320)의 위치는, 수문본체(120) 및 기타 주변부의 촬영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구성하였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유닛(153)의 끝단에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중공과 연결된 다수의 인출홀(513)이 형성되는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에 각각의 인출홀(513)과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되고 끝단에 다수의 카메라(320)가 구성되며 상기 PLC(2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하로 작동하는 상하작동모듈(520)로 구성되는 카메라인출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작동모듈(520)은 실린더와 유사한 구조 또는 모터방식으로 리프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써, 끝단에 카메라(320)가 장착되어서 상, 하로 이동될 수가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 실린더 이외 상하 리프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구성을 적용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 구조로 적용하여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이러한 카메라인출수단(500)의 구성으로, 상기 PLC(210)는, 각각의 상하작동모듈(520)을 제어하되, 현재 사용중인 하나의 카메라(320)와의 신호가 끊어질 시, 신호가 끊어진 상하작동모듈(520)을 인입시키고, 다른 하나의 상하작동모듈(520)을 인출시켜 다른 하나의 카메라(320)와 제어실(400)의 PC(410)와 자동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카메라(320)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PC(410)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카메라(320)가 오작동 및 고장이 난다고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카메라(320)로 신속하게 전환됨으로써, 수문본체(120) 및 기타 주변부의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정확성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PLC(210)와 카메라인출수단(500)의 연결은 배선 등과 같은 통상의 구성을 적용할 수가 있다.
상기 원격제어함(200)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제어실(400)의 PC(410)로부터 수동 및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 제어하되, 상기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와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값과 부합될 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설정된 값과 다를 경우 이를 PC(410)로 전송하는 PLC(210)와, 상기 PLC(210)와 PC(410)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원격제어함(200)은, 본 발명의 스마트부(300) 및 유압유닛(131)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도록 명령하는 PLC(210)와 상기 PLC(210)와 제어실(400)의 PC(410)가 안정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수단(220)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원격제어함(200)의 PLC(210)는 제어실(400)의 PC(410)부터 최초 설정된 설정값에 부합될 시 유압유닛(131)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통신수단(220)의 경우 모뎀 등과 같이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구성이 적용된다.
한편, 도 6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LC(210)에는, 스마트부(300)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정보를 제공받아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211)와,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13)로 구성되어, 작동 우선순위로 제1제어부(211)를 통해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되, 상기 제2제어부(213)로부터 제어신호가 전송될 시, 제1제어부(211)의 작동을 차단하고, 제2제어부(213)의 제어신호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도록 하여, 제어실(400)과 더불어 외부에서도 승인된 기타 관리자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마트부(300)의 설정값을 변경시켜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외부 단말기(600)로 연동될 경우, 제어실(400)에 관리자들이 상주하지 않을 경우 아주 먼 원거리에서도 수문(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LC(210)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600)를 등록하는 단말기등록부(212)와, 상기 단말기등록부(212)로부터 등록된 단말기(600)의 사용을 승인하는 승인부(215)와, 상기 승인부(215)로부터 승인된 단말기(600)를 접속시키는 접속부(217)와, 상기 승인부(215)로부터 승인된 이외의 단말기(600)가 접속을 시도할 경우 이를 차단하는 차단부(219)로 구성되어, 무분별한 외부 단말기(600)의 등록을 방지하고 승인된 관리자가 사용하는 외부 단말기(600)를 승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자동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600)를 등록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 다수의 단말기(600)를 등록할 수가 있고 각각의 단말기(600)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PLC(210)는 제어실(400)의 PC(4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와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각각 수신받아 제어하되, 상기 PC(410)와 단말기(600)에서 신호가 동시에 각각 전송될 시, PC(410)를 우선순위로 하여 제어하고, 상기 PLC(210)는 상기 PC(41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 중, 상기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시, 그 신호를 PC(410)로 전송하고, 상기 PC(410) 사용자가 이를 승인할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LC(210)는 스마트부(300)의 개도량센서(310)로부터 수문본체(120)의 열림과 닫힘의 범위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상기 PLC(210)의 명령신호에 따라 유압유닛(131)이 작동하여 수문을 제어하되, 설정된 시간 내에 수문본체(120)의 열림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그 신호를 PC(410)로 전송하고, 상기 PC(410)는 PLC(21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자칫 발생할 수 있는 수문본체(120)의 작동 상 오류를 신속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하여 발생하는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가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LC(210)에는, 상기 스마트부(300)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날 경우 이를 검출하여 PC(410)로 전송하는 오류검출부(214)가 구성되고, 상기 PC(410)는 오류검출부(214)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범위에 속할 경우 정상,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오류로 판단하고, 오류일 경우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고, 정상일 경우 자동적인 제어가 유지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인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함(200)은, 수문(100)의 상측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부(231)와, 상기 바닥부(231)의 상측 중앙부에 상, 하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닥부(231)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되, 외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홀(237)이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부방향으로 나사산(239)이 형성되는 끼움봉(235)이 구성되는 받침판(230)과, 내부에 공간(241)이 마련되어 상기 PLC(210) 및 통신수단(220)이 배치 구성되고, 후면에 상기 끼움봉(235)에 끼워지는 끼움홀(236)의 내측에 상기 슬라이드홀(237)과 대응되는 슬라이드돌기(243)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봉(235)에 끼워질 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끼움부(245)가 형성되는 몸체(240)와, 상기 몸체(240)가 끼움봉(235)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봉(235)의 상부에 체결되는 조임부재(250)로 구성되도록 하여, 상호 조립구조를 통해 부분적인 교체 등이 가능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조립구조의 경우 실질적으로 PLC(210)와 통신수단(220)이 내장되는 몸체(240)는 PLC(210) 및 통신수단(220)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교체가 필요할 시, 원격제어함(200)을 전체적으로 교체하지 않고 몸체(240)만을 부분 교체토록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함(200)에는, 상기 끼움봉(235)에 몸체(240)의 끼움부(245)를 끼움하기 전, 상기 몸체(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245)의 내부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높이조절부재(260)가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수문(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신체조건에 맞춰서 다양한 높이로 원격제어함(200)을 설치할 수가 있게 되어 사용 및 유지보수에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상기 스마트부(30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100)의 전면 일측에 물의 수위를 실시간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310)와,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실시간으로 수문(100) 및 그 주변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320)와, 상기 수문(100)의 상측에 수문(100)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개도량센서(330)와, 상기 유압유닛(131)의 일측 또는 수문본체(13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유압유닛(131)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340)으로 각각 구성되어 수집된 정보를 상기 PLC(2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센서(310)는 실시간 물의 수위를 감지하되, 특정구간을 설정하고 그 특정구간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의 물의 수위를 각각 감지 및 상기 시작지점에서 종료지점까지 수위의 도달시간을 체크하여, 그 정보를 PLC(210)로 전송하고, 상기 PLC(210)는 상기 수위센서(31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해 수문본체(120)의 개도량과 개도속도를 제어하도록 하여, 발생하는 상황(홍수 등)에 자동적이면서도 즉각적으로 대처 및 제어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실(400)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임의의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PLC(210)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PLC(210)가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상기 PLC(210)를 제어하는 PC(410)와, 상기 PC(41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피커(140)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실(400)은 수문(100)의 전체적인 제어 및 작동되는 기타 사항과 주변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수문(100)에 직접가지 않고서도 다양한 설정값을 변경하고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실(400)과 원격제어함(200)의 PLC(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인터넷 등으로 연결되어 작동될 수가 있고, 상기 마이크(420)는 관리자가 제어실(400)에서 수문(100)과 관련된 사항들을 모니터링 할 때, 필요에 따라 수문(100)에 구성된 스피커(140)를 통해 안내방송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PC(410)는 상기 PLC(210)가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는 수위, 수문 개도량, 수문 및 그 주변부, 유압유닛(131) 및 수문본체(120)로 전달되는 압력들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패널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PLC(210) 및 스마트부(300)의 설정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그와 연동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원격제어함(200)의 전면과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부 양측에 돌출부(7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끼움홈(71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11)의 외측에 하나 이상의 결합홀(715)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7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10)의 상부에 구성되되, 외부 양측면에 상, 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2개 이상의 홀(721)이 형성되고, 상측 바닥부 양측에 슬라이드홀(723)이 각각 형성되며, 상부 내측벽면에 롤러(725)가 각각 구성되는 조절판(720)과, 하부가 상기 조절판(720)에 끼워지되, 하부 양측과 외부 양측에 상기 슬라이드홀(723)과 롤러(725)와 대응하는 부분에 슬라이드부(731)이 각각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동하는 안착판(730)을 포함하는 조절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조절수단(700)은 상하 높이 조절 및 전, 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원격제어함(200) 및 PLC(210)의 유지보수 시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춰서 조절수단(700)의 높이와 원격제어함(200)과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수문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스마트부를 통해 수문을 제어함에 있어 각각의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이 높고, 카메라의 고장 등이 발생할 경우 다른 카메라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수문본체의 상태를 24시간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수문의 각종정보 제공과 제어 및 수문본체를 제어하는 PLC와 유압유닛의 안정적인 보관을 통해 안정성이 높으며, 원격제어함을 유지보수 시 별도의 조절수단을 통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 수문 110 : 난간 120 : 수문본체
130 : 수문제어함 131 : 유압유닛
140 : 스피커 150 : 지지유닛 151 : 제1지지유닛
153 : 제2지지유닛
200 : 원격제어함 210 : PLC 211 : 제1제어부
212 : 단말기등록부 213 : 제2제어부 215 : 승인부
217 : 접속부 219 : 차단부
220 : 통신수단
230 : 받침판 231 : 바닥부 235 : 끼움봉
237 : 슬라이드홀 239 : 나사산
240 : 몸체 241 : 공간 243 : 슬라이드돌기
245 : 끼움부 250 : 캡 260 : 높이조절부재
300 : 스마트부 310 : 수위센서 320 : 카메라
330 : 개도량센서 340 : 압력센서
400 : 제어실 410 : PC 420 : 마이크
500 : 카메라인출수단 510 : 케이스 513 : 인출홀
520 : 상하작동모듈
600 : 단말기
700 : 조절수단 710 : 베이스플레이트 711 : 돌출부
713 : 끼움홈 715 : 결합홀
720 : 조절판 721 : 홀 723 : 슬라이드홀
725 : 롤러
730 : 안착판 731 : 슬라이드부

Claims (13)

  1.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되는 난간(110)과, 전면에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유압유닛(131)으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수문본체(120)와, 상부 일측에 상기 수문본체(120)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닛(131)을 포함하는 수문제어함(130)과, 상부 일측에 수문제어함(13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PLC(2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40)로 구성되는 수문(100);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제어실(400)의 PC(410)로부터 수동 및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 제어하되,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와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값과 부합될 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설정된 값과 다를 경우 이를 PC(410)로 전송하는 PLC(210)와, 상기 PLC(210)와 PC(410)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220)을 포함하는 원격제어함(200);
    상기 수문(100)의 전면 일측에 물의 수위를 실시간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310)와,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실시간으로 수문(100) 및 그 주변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320)와, 상기 수문(100)의 상측에 수문(100)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개도량센서(330)와, 상기 유압유닛(131)의 일측 또는 수문본체(13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유압유닛(131)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340)로 각각 구성되어 수집된 정보를 상기 PLC(210)로 전송하는 스마트부(300);
    외부 임의의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PLC(210)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PLC(210)가 스마트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상기 PLC(210)를 제어하는 PC(410)와, 상기 PC(41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피커(140)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420)를 포함하는 제어실(400); 을 포함하고,
    상기 PLC(210)에는,
    스마트부(300)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정보를 제공받아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211)와,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13)로 구성되어,
    작동 우선순위로 제1제어부(211)를 통해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되, 상기 제2제어부(213)로부터 제어신호가 전송될 시, 제1제어부(211)의 작동을 차단하고, 제2제어부(213)의 제어신호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310)는 실시간 물의 수위를 감지하되,
    특정구간을 설정하고 그 특정구간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의 물의 수위를 각각 감지 및 상기 시작지점에서 종료지점까지 수위의 도달시간을 체크하여, 그 정보를 PLC(210)로 전송하고,
    상기 PLC(210)는 상기 수위센서(31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해 수문본체(120)의 개도량과 개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는 상, 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지지유닛(151)과 상기 제1지지유닛(151)의 외측에 좌, 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유닛(153)으로 구성되는 지지유닛(150)이 구성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151)의 끝단에 스피커(140)가 구성되며, 상기 제2지지유닛(153)의 끝단에 카메라(320)가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유닛(153)의 끝단에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중공과 연결된 다수의 인출홀(513)이 형성되는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에 각각의 인출홀(513)과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되고 끝단에 다수의 카메라(320)가 구성되며 상기 PLC(2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하로 작동하는 상하작동모듈(520)로 구성되는 카메라인출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 제어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PLC(210)는, 각각의 상하작동모듈(520)을 제어하되,
    현재 사용중인 하나의 카메라(320)와의 신호가 끊어질 시, 신호가 끊어진 상하작동모듈(520)을 인입시키고,
    다른 하나의 상하작동모듈(520)을 인출시켜 다른 하나의 카메라(320)와 제어실(400)의 PC(410)와 자동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카메라(320)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PC(410)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LC(210)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600)를 등록하는 단말기등록부(212)와,
    상기 단말기등록부(212)로부터 등록된 단말기(600)의 사용을 승인하는 승인부(215)와,
    상기 승인부(215)로부터 승인된 단말기(600)를 접속시키는 접속부(217)와,
    상기 승인부(215)로부터 승인된 이외의 단말기(600)가 접속을 시도할 경우 이를 차단하는 차단부(2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PLC(210)는 제어실(400)의 PC(4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와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각각 수신받아 제어하되, 상기 PC(410)와 단말기(600)에서 신호가 동시에 각각 전송될 시, PC(410)를 우선순위로 하여 제어하고,
    상기 PLC(210)는 상기 PC(41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 중, 상기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시, 그 신호를 PC(410)로 전송하고, 상기 PC(410) 사용자가 이를 승인할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LC(210)는 스마트부(300)의 개도량센서(310)로부터 수문본체(120)의 열림과 닫힘의 범위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상기 PLC(210)의 명령신호에 따라 유압유닛(131)이 작동하여 수문을 제어하되,
    설정된 시간 내에 수문본체(120)의 열림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그 신호를 PC(410)로 전송하고,
    상기 PC(410)는 PLC(21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LC(210)에는,
    상기 스마트부(300)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날 경우 이를 검출하여 PC(410)로 전송하는 오류검출부(214)가 구성되고,
    상기 PC(410)는 오류검출부(214)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범위에 속할 경우 정상,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오류로 판단하고,
    오류일 경우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유압유닛(131)을 제어하고, 정상일 경우 자동적인 제어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내부에는 PLC(210)와 연결된 카메라(135)가 구성되어,
    상기 PLC(2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도어가 열림될 시, 상기 카메라(135)가 내부를 촬영하며 그 촬영된 영상을 PLC(210)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수문제어함(130)의 도어가 닫힘될 시 상기 카메라(135)의 촬영이 자동적으로 종료되고,
    상기 PLC(210)는 상기 카메라(13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PC(21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 제어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함(200)은,
    수문(100)의 상측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부(231)와, 상기 바닥부(231)의 상측 중앙부에 상, 하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닥부(231)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되, 외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홀(237)이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부방향으로 나사산(239)이 형성되는 끼움봉(235)이 구성되는 받침판(230)과,
    내부에 공간(241)이 마련되어 상기 PLC(210) 및 통신수단(220)이 배치 구성되고, 후면에 상기 끼움봉(235)에 끼워지는 끼움홀(236)의 내측에 상기 슬라이드홀(237)과 대응되는 슬라이드돌기(243)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봉(235)에 끼워질 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끼움부(245)가 형성되는 몸체(240)와,
    상기 몸체(240)가 끼움봉(235)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봉(235)의 상부에 체결되는 조임부재(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 제어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함(200)에는,
    상기 끼움봉(235)에 몸체(240)의 끼움부(245)를 끼움하기 전, 상기 몸체(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245)의 내부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높이조절부재(260)가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 제어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00)의 상부에 원격제어함(200)의 전면과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부 양측에 돌출부(7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끼움홈(71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11)의 외측에 하나 이상의 결합홀(715)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7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10)의 상부에 구성되되, 외부 양측면에 상, 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2개 이상의 홀(721)이 형성되고, 상측 바닥부 양측에 슬라이드홀(723)이 각각 형성되며, 상부 내측벽면에 롤러(725)가 각각 구성되는 조절판(720)과,
    하부가 상기 조절판(720)에 끼워지되, 하부 양측과 외부 양측에 상기 슬라이드홀(723)과 롤러(725)와 대응하는 부분에 슬라이드부(731)이 각각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동하는 안착판(730)을 포함하는 조절수단(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인양수문 원격 제어시스템.

KR1020210029835A 2021-03-08 2021-03-08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KR102277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35A KR102277997B1 (ko) 2021-03-08 2021-03-08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35A KR102277997B1 (ko) 2021-03-08 2021-03-08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997B1 true KR102277997B1 (ko) 2021-07-14

Family

ID=7686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35A KR102277997B1 (ko) 2021-03-08 2021-03-08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9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5833A (zh) * 2021-12-31 2022-04-15 河南自清安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汛智能控制系统
KR102390036B1 (ko) * 2021-07-27 2022-04-22 김완 방조제 자동수문 오작동 및 제방 붕괴에 의한 농경지 해수피해 방지 경보시스템
CN117230758A (zh) * 2023-09-18 2023-12-15 河北聚源水利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一体化闸门启闭系统
KR102653427B1 (ko) * 2023-12-01 2024-04-01 박재효 스마트 도어락
CN117850487A (zh) * 2024-03-07 2024-04-09 山西博科慧通科技有限公司 基于水利监测数据的闸门智能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08B1 (ko) * 2006-09-25 2008-03-17 한국전력공사 피엘씨 기술을 활용한 물관리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03883B1 (ko) 2007-10-01 2009-06-22 김상현 웹서버를 이용한 원격 수문 제어시스템
KR100916632B1 (ko) * 2008-10-20 2009-09-08 군산시 카메라를 이용한 보행자 및 차량 자동안전안내 송출을 통한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453010B1 (ko) * 2014-08-13 2014-10-22 주식회사 남경 유압식 인양 수문 시스템
KR101647585B1 (ko) 2015-02-13 2016-08-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기상청 정보를 활용한 수문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65715B1 (ko) 2018-10-31 2019-04-03 주식회사 뮤온시스템 알고리즘을 탑재한 우수토실 스마트 중앙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08B1 (ko) * 2006-09-25 2008-03-17 한국전력공사 피엘씨 기술을 활용한 물관리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03883B1 (ko) 2007-10-01 2009-06-22 김상현 웹서버를 이용한 원격 수문 제어시스템
KR100916632B1 (ko) * 2008-10-20 2009-09-08 군산시 카메라를 이용한 보행자 및 차량 자동안전안내 송출을 통한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453010B1 (ko) * 2014-08-13 2014-10-22 주식회사 남경 유압식 인양 수문 시스템
KR101647585B1 (ko) 2015-02-13 2016-08-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기상청 정보를 활용한 수문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65715B1 (ko) 2018-10-31 2019-04-03 주식회사 뮤온시스템 알고리즘을 탑재한 우수토실 스마트 중앙 제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036B1 (ko) * 2021-07-27 2022-04-22 김완 방조제 자동수문 오작동 및 제방 붕괴에 의한 농경지 해수피해 방지 경보시스템
CN114355833A (zh) * 2021-12-31 2022-04-15 河南自清安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汛智能控制系统
CN117230758A (zh) * 2023-09-18 2023-12-15 河北聚源水利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一体化闸门启闭系统
KR102653427B1 (ko) * 2023-12-01 2024-04-01 박재효 스마트 도어락
CN117850487A (zh) * 2024-03-07 2024-04-09 山西博科慧通科技有限公司 基于水利监测数据的闸门智能控制方法及系统
CN117850487B (zh) * 2024-03-07 2024-05-10 山西博科慧通科技有限公司 基于水利监测数据的闸门智能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997B1 (ko)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CA2962270C (en) Garage monitor
KR101424077B1 (ko)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CN105160743A (zh) 门禁系统和门禁监控方法
EP3345058A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wasserleitungnetzes
KR100809538B1 (ko) 영상통신이 가능한 통합 무선 디지털 도어장치
KR102010349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
CN105139497A (zh) 高压试验区域门禁系统
KR101918809B1 (ko)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97218B1 (ko) 원격 방범용 멀티제어장치
KR102634314B1 (ko) 작업자의 얼굴 및 지문인증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통합배선반 시스템
KR102333803B1 (ko) 영상 감시 영역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N210743051U (zh) 安全管理系统
CN112065256A (zh) 一种地铁卷帘门控制方法
JPH11272965A (ja) 画像監視システム
CN201464874U (zh) 通信机房监控系统
CN214795988U (zh) 灌浆饱满度监测器和灌浆饱满度监测系统
CN210142366U (zh) 一种智能化门禁系统
KR20160004114A (ko)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731592B1 (ko)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CN211665637U (zh) 一种智能闸机的门板
CN219796836U (zh) 一种具视频安防监控系统门禁机构
CN205091870U (zh) 一种自动分辨安防等级的安防报警系统
KR102632680B1 (ko) 생체인증을 이용한 통합배선반 시스템
KR102383861B1 (ko) 2인 동시 출입 허용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식 산업안전출입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