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63B1 -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63B1
KR101577963B1 KR1020140110850A KR20140110850A KR101577963B1 KR 101577963 B1 KR101577963 B1 KR 101577963B1 KR 1020140110850 A KR1020140110850 A KR 1020140110850A KR 20140110850 A KR20140110850 A KR 20140110850A KR 101577963 B1 KR101577963 B1 KR 10157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compartment
leakage
notific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렬
백준우
Original Assignee
백상렬
백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렬, 백준우 filed Critical 백상렬
Priority to KR102014011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3Arrangement for testing of watertightness of water supply conduits

Abstract

상수도 누수탐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는, 상수관의 외측에 지지되는 복수의 격벽(120)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수관의 외벽으로부터 제1격실(100)이 형성 되도록 결합된 제1관체(110); 상기 제1관체(100)의 외면에 접하여 결합된 제2격실(210)을 포함한 제2관체(200); 상기 제1관체(100)에 포함되어 있는 제1격실(110)의 내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누수알림수단(300); 상기 누수알림수단(300)과 상수의 이동을 위한 제1관체(100)의 개폐 구간으로 제1관체(100)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2관체(200)의 내부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개폐 밸브 디스크(130); 및 상기 개폐 밸브 디스크(130)가 수압으로 개방 되었을때 제2격실(210)로 유입된 상수와 누수알림수단(300)의 배출을 위해 일정 구간마다 제2관체(200)와 연결되어 지면 방향으로 솟아 지표면에 개방되어 있는 퇴출관(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Plumbing leak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상수도 누수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수알림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상수도 보호관이 상수도의 각 구간별로 설치되어 있어 누수 여부와 누수 위치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인력 및 시간의 낭비 없이 빠르게 보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상수도 누수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은 지하 매장물로서 땅속에 매설되어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른 일정 압력을 통해 각 세대로 물을 공급하나 압력의 변화 또는 외부의 충격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상수관에 영향이 가해져 누수가 일어났을 경우 지하 매장물이다 보니 누수의 위치 파악뿐만 아니라 누수가 있는지의 여부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추세이다.
또한 상수관은 길게는 수백 Km에 이르며 강한 수압으로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작은 누수 부위라도 빠른 시간에 누수 부위가 확장되어 상수도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상수관 파손시 초기에 빠른 보수 보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상수관의 물 공급이 중단되는 불편함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지난 10년간 상수도 누수량은 75억㎥로 재정 물값 손실액만도 4.6조원에 달하여 그 피해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으며 누수로 인한 피해 발생 시 관내의 강한 수압으로 인해 토양이 쓸려 내려가 싱크홀, 지반 침식 등의 위험요소 및 인명피해까지도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그런데, 현재 상수도 누수의 고질적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상수도 누수 파악 장치는 전기를 사용한 센서식과 카메라를 탑재하여 관내를 직접 촬영하는 방법, 수압차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으나 누수의 정확한 위치 파악 및 빠른 대응을 하기에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상수도 누수 탐지를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개번호 2003-0093508호를 통해 액체관내에 펄스신호를 이용한 상수관 누수탐지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상수관의 누수 탐지에만 그칠 뿐, 해당 발명의 적용을 위해서는 기존 상수관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으며 도선에 전기적 신호를 계속해서 보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유지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도선에 외부적 충격이 가해져 단선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해당 발명의 누수탐지가 더 이상 불가능하며 이를 복구 위한 보수 비용 또한 상당히 발생되어 비효율 적이다.
또한, 수압을 이용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개번호 2011-0030735호를 통해 펠티에르 소자와 수도관 홀에 삽입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상수관 누수탐지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상수관의 누수 여부를 주기적으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부가비용의 발생과 압력차를 이용한 누수 측정 방법으로 일정량 이하의 누수는 조기 탐지가 불가하여 신속한 대응이 어려우며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펠티에르 소자를 이용한 전원 저장 장치와 압력 센서의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 모듈의 설치로 초기 설비비와 유지비가 많이 들어 비효율 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하 매장물인 상수관의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누수 여부와 누수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상수도 누수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치 않아 기존 기술들과는 다르게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현재 기존 상수도에 바로 적용 가능한 저비용 고효율의 상수도 누수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목적은, 상수관의 외측에 지지되는 복수의 격벽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수관의 외벽으로부터 제1격실이 형성 되도록 결합된 제1관체; 상기 제1관체의 외면에 접하여 결합된 제2격실을 포함한 제2관체; 상기 제1관체에 포함되어 있는 제1격실의 내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누수알림수단; 상기 누수알림수단과 상수의 이동을 위한 제1관체의 개폐 구간으로 제1관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2관체의 내부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개폐 밸브 디스크; 및 상기 개폐 밸브 디스크가 수압으로 개방되었을때 제2격실로 유입된 상수와 누수알림수단 배출을 위해 일정 구간마다 제2관체와 연결되어 지면 방향으로 솟아 지표면에 개방되어 있는 퇴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탐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밸브 디스크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수의 역류를 막고 이를 고정해주는 고정부 디스크는 제2관체의 내부 면에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수알림수단은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서 외면에 위치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수압을 이용한 외부 배출로 누수 여부와 누수의 정확한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수알림수단은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칩셋을 누수알림수단에 내장시켜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어 수압으로 인한 외부 배출시 칩셋을 통해 위치정보가 전송되어 누수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출관은 지표면 부근에서 분리망과 배수구를 포함한 집수조와 결합되어 퇴출관을 통해 나오는 상수는 집수조에 모여 배수구로 배출하고 누수알림수단은 분리망에서 걸러져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관의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누수알림수단을 통하여 누수 여부와 누수 위치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상수도 관리자가 파악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하고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작동하는데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치 않아 별도의 전원 장치의 설치가 필요 없어 현재 기존 상수도에 바로 적용 가능하며 유지비용 및 초기 설비비의 절감을 통한 산업적 이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에서 '제1관체' '격벽' '제2관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에서 '퇴출관' '집수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에서 '누수알림수단'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에서 '제1관체' '격벽' '제2관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에서 '퇴출관' '집수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에서 '누수알림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누수탐지장치(A)는, 상수관의 외측에 지지되는 복수의 격벽(120)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수관의 외벽으로부터 제1격실(100)이 형성 되도록 결합된 제1관체(110); 상기 제1관체(100)의 외면에 접하여 결합된 제2격실(210)을 포함한 제2관체(200); 상기 제1관체(100)에 포함되어 있는 제1격실(110)의 내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누수알림수단(300); 상기 누수알림수단(300)과 상수의 이동을 위한 제1관체(100)의 개폐 구간으로 제1관체(100)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2관체(200)의 내부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개폐 밸브 디스크(130); 및 상기 개폐 밸브 디스크(130)가 수압으로 개방되었을때 제2격실(210)로 유입된 상수와 누수알림수단(300)의 배출을 위해 일정 구간마다 제2관체(200)와 연결되어 지면 방향으로 솟아 지표면에 개방되어 있는 퇴출관(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벽(120)은 상수도관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각 구간이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상수도 누수탐지장치가 결합되었을때 제1격실(110)을 다른 객체의 제1격실(110)과 분리해주도록 형성된다.
격벽(120)은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다른 객체의 제1격실(110)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수도와 밀접하게 결합된다.
제1격실(110)의 내부는 상수도의 누수 발생 이전까지는 밀폐된 공간이며 누수알림수단(300)을 포함하고 있다.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해당 구간의 밀폐된 제1격실(110)은 상수로 침수되며 제1관체(100)에 결합되어 있는 개폐 밸브 디스크(130)는 수압으로 인해 개방된다.
개폐 밸브 디스크(130)는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제1관체(100)에서 제2관체(200)로 상수 유입을 위한 개폐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수도의 다른 구간으로 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2관체(200)와 결합되어 역류를 방지한다.
제2격실(210)에 위치한 고정부 디스크(220)는 제2관체(200)의 내부 면에 돌출된 형상으로 제2관체(200)의 직경보다 작아 개폐 밸브 디스크(130)가 수압으로 인해 개방되면 물의 역류를 막는 개폐 밸브 디스크(130)를 고정해준다.
누수알림수단(300)은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면에 해당 상수도의 위치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보통 제1격실(110)에 위치해 있으나 수도관의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수압으로 인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칩셋을 누수알림수단(300)에 내장시켜 상수도의 누수가 발생되어 수압으로 인한 외부 배출시 칩셋을 통해 위치정보가 전송된다.
누수알림수단(300)은 제1관체에 포함된 제1격실(110)에 위치하며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해당 구간의 제1격실(100)은 상수로 채워지며 누수알림수단(300)은 상수를 따라 이동 중 상수의 압력으로 인해 제1관체(100)와 결합되어 있는 개폐 밸브 디스크(130)가 개방되면 제2관체(200)와 연결되어 압력으로 인해 상수와 누수알림수단(300)은 제1격실(110)에서 제2관체(200)에 포함된 제2격실(210)로 상수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2격실(210)로 유입된 상수와 누수알림수단(300)은 일정 구간을 이동하여 제2관체(200)와 연결된 퇴출관(240)으로 이동된다.
제2관체(200)와 연결되어 있는 퇴출관(240)은 일정 구간마다 지면 방향으로 솟아 외부지표면에 개방되고 상수와 누수알림수단(300)을 배출한다.
퇴출관(240)은 지표면 부근에서 분리망(330)과 배수구(340)를 포함한 집수조(320)와 결합된다.
집수조(320)는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일정 구간마다 외부와 연결된 퇴출관(240)의 상수 퇴출구를 통해 상수와 함께 퇴출된 누수알림수단(300)을 분리망(330)에서 걸러 회수하고 퇴출된 상수는 배수구(340)를 통해 배출 되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누수탐지장치는 접합부(230)를 통해 기존 상수도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기존 상수도에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분리망(330)에서 걸러진 누수알림수단(300)을 통해 누수가 발생된 해당 부분의 빠르고 정확한 보수가 가능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제1관체 110 : 제1격실
120 : 격벽 130 : 개폐 밸브 디스크
200 : 제2관체 210 : 제2격실
220 : 고정부 디스크 230 : 접합부
240 : 퇴출관 300 : 누수알림수단
320 : 집수조 330 : 분리망
340 : 배수구 400 : 기존 상수도

Claims (5)

  1. 상수관의 외측에 지지되는 복수의 격벽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수관의 외벽으로부터 제1격실이 형성 되도록 결합된 제1관체;
    상기 제1관체의 외면에 접하여 결합된 제2격실을 포함한 제2관체;
    상기 제1관체에 포함되어 있는 제1격실 내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누수알림수단;
    상기 누수알림수단과 상수의 이동을 위한 제1관체 개폐 구간으로 제1관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2관체의 내부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개폐 밸브 디스크; 및
    상기 개폐 밸브 디스크가 수압으로 개방되었을때 제2격실로 유입된 상수와 누수알림수단의 배출을 위해 일정 구간마다 제2관체와 연결되어 지면 방향으로 솟아 지표면에 개방되어 있는 퇴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 디스크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수의 역류를 막고 이를 고정해주는 고정부 디스크는 제2관체 내부 면에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알림수단은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서 외면에 위치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되면 수압을 이용한 외부 배출로 누수 여부와 누수의 정확한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알림수단은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칩셋을 누수알림수단에 내장시켜 상수도의 누수가 발생되어 수압으로 인한 외부 배출시 칩셋을 통해 위치정보가 전송되어 누수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또 다른 특징을 갖는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출관은 지표면 부근에서 분리망과 배수구를 포함한 집수조와 결합되어 퇴출관을 통해 나오는 상수는 집수조에 모여 배수구로 배출하고 누수알림수단은 분리망에서 걸러져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KR1020140110850A 2014-08-25 2014-08-25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KR10157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850A KR101577963B1 (ko) 2014-08-25 2014-08-25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850A KR101577963B1 (ko) 2014-08-25 2014-08-25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963B1 true KR101577963B1 (ko) 2015-12-17

Family

ID=5508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850A KR101577963B1 (ko) 2014-08-25 2014-08-25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20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신진수도 관로 점검장치
CN113774968A (zh) * 2021-09-15 2021-12-10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深基坑地墙接缝渗漏渐进式探测装置及探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20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신진수도 관로 점검장치
KR102256857B1 (ko) * 2019-10-22 2021-06-01 주식회사 신진수도 관로 점검장치
CN113774968A (zh) * 2021-09-15 2021-12-10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深基坑地墙接缝渗漏渐进式探测装置及探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894B2 (en)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123230B2 (en) Sewer backup alarm
KR100927464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US20100065131A1 (en) Vacuum Sewage System with Wireless Alarm
AU2012378923B2 (en) A device for detecting fluid leakage
KR20090067303A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1192702B1 (ko) 공동주택 누수감지장치
KR101577963B1 (ko)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CN108168786A (zh) 一种智能家居漏水监控系统
CN110822163A (zh) 漏水保护器
KR101982523B1 (ko) 급탕과 난방을 통합한 통합배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US109956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underground voids
CN110702323A (zh) 一种液体管路常闭式阀门密封性监测装置
US10777067B2 (en) Water flow detector WFD01
US9109349B1 (en)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00009314A (ko) 상하수도 누수량 측정을 통한 싱크홀 예측 시스템
KR101994781B1 (ko) 누수 탐지용 배관
US10094100B2 (en) Water backup prevention system
WO2014162027A1 (es) Tubería para conducción de fluidos
CN108800594A (zh) 燃气热水器
KR101991112B1 (ko) 상수관로 탐지시스템
KR20220061111A (ko) 누출 감지 시스템
KR102599535B1 (ko) 배관 시스템 및 배관 조인트의 누수 검지 방법
AU2014201028A1 (en) Vacuum sewage system with wireless alarm
KR100965307B1 (ko) 경광 누수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