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896B1 -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Google Patents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5896B1 KR102455896B1 KR1020200184672A KR20200184672A KR102455896B1 KR 102455896 B1 KR102455896 B1 KR 102455896B1 KR 1020200184672 A KR1020200184672 A KR 1020200184672A KR 20200184672 A KR20200184672 A KR 20200184672A KR 102455896 B1 KR102455896 B1 KR 102455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fastener
- power
- guide pipe
-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상기 내부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수전함과; 상기 수전함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관이 관통하여 수전함에 인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결구와; 상기 주름관과 상기 체결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내부관이 상기 수전함으로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배관유도 파이프;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는 수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관의 단부와 수전함 사이를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비연성 자재간의 결합 설치가 용이한 수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 수전을 공급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에 냉온수관이 연결되어, 욕실, 주방, 발코니, 다용도실 등 수전이 필요한 위치에 수전구가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수전 배관 시공 방법은 단일 배관을 설치하고,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졌다.
종래 수전 배관 시공 방법은 배관 시공 후 누수가 발생 되면 누수지점을 찾기 위해, 매립된 배관을 찾아 벽이나 바닥을 부순 후 누수지점을 보수한 후 다시 벽을 매립해야 하므로, 사후 관리가 어렵고,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550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2중관을 이용하여, 외부관과 내부관을 나누어 시공하여 바닥과 벽의 손상 없이도 외부관이 연결된 매립형 박스 내에서 내부관을 교체할 수 있도록 시공되고 있다.
이때, 이중관 배관 시공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분배기, 바닥매립형 박스, 벽체 매립형박스 등이 이용되는데, 상용화되어 있는 수전함 및 외부관은 비탄성 합성수지재로 사용되고, 특히 외부관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의 경우에도 배관 위치가 유지되도록 비연성 재질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비연성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외부관은 변형이 어려워, 작업자가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수전함에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중관 배관 작업에 필요한 이중관 배관은 수전배관 시공도면에 따라 현장에서 제작하거나 작업장에서 사전 제작되는데, 간혹 실제 현장의 상황에 따라 배관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신축 또는 증축 공사 시, 비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이중관 배관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이중관 단부와 수전함 사이를 연결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한 수전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이중관 단부 위치와 수전함 사이가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에도 이를 보정하는 것이 용이한 수전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직경변환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중 직경관이 호환 가능한 수전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수전 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벽체 매립재에 접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 내에 삽입되어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으로부터의 수전을 위한 수전 유닛으로서, 상기 수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내부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수전함과; 상기 수전함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관이 관통하여 수전함에 인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결구와; 상기 주름관과 상기 체결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내부관이 상기 수전함으로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배관유도 파이프;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는, 일측 단부에 상기 주름관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삽입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 또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냉수배관 또는 상기 온수배관의 배열 형태에 따라 상기 수전함 대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수전함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내측에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전함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분리방지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방지턱은, 상기 체결구의 내주면에서 수전함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날개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관이 삽입되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름관이 양방향 이동 및 안착 가능하도록, 주름관의 주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내주면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는 상기 주름관이 내측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된 후, 상기 주름관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체결구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에 삽입되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날개편의 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의 역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외주면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함의 측면에는 전방이 개방된 채널형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판상의 삽입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플레이트 측면에는, 상기 결합공이 체결되도록 삽입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 측면에는,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환의 관통공 내측에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전함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날개편에 의해 구성되는 분리방지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관 단부와 체결구 사이의 이격거리가 배관유도 파이프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는 복수 개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전 유닛은, 일측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와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구와 체결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와 상기 체결구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와 상기 체결구를 연결시키는 직경변환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상은, (a) 시공 벽체에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가 인입된 상태로 주름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주름관 단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전함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수전함 내측의 내부 배관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수전함 내측의 수전구에 내부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 (e)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를 인출하여 상기 수전함의 체결구에 결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수전함에 보호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유닛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상은, 상기 분리형 체결구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을 시공함에 있어서, (a) 시공 벽체에 배관유도 파이프가 인입된 상태로 주름관을 설치하는 단계; (b) 내부관을 설치하고, 내부관 단부에 상기 분리형 체결구를 끼워 설치하는 단계; (c) 수전함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내부관과 상기 분리형 체결구를 수전함에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를 상기 분리형 체결구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수전함에 보호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유닛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은, 이중관 단부와 수전함 사이를 연결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유도 파이프를 적용하여, 이중관 배관작업 시 수전함을 주름관 단부와 소정 거리 이격시켜 내부배관을 수전함의 수전구에 결합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자가 쉽게 내부배관을 수전함의 수전구에 설치한 후 배관유도 파이프를 통해 주름관과 수전함 사이를 결합시킴으로써, 비탄성 재질의 주름관을 강제로 변형시켜 수전함과 결합시키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배관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제 설계도면보다 주름관 단부와 수전함 사이의 이격거리가 길게 시공된 경우에도, 배관유도 파이프는 복수 개가 결합되어 설치함으로써 재시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직경변환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중 직경관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호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관유도 파이프, 주름관 및 직경변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배관유도 파이프와 체결구의 결합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수전함과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의 시공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관유도 파이프, 주름관 및 직경변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배관유도 파이프와 체결구의 결합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수전함과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의 시공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에 대하여,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체 매립재에 접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 내에 삽입되어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으로부터의 수전을 위한 수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관유도 파이프, 주름관 및 직경변환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배관유도 파이프와 체결구의 결합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전 유닛(100)은, 크게 수전함(10)과, 배관유도 파이프(30)와, 보호커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함(10) 측면에는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이 관통하여 수전함(10)에 인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구(20)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전함(10)은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전함(10)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도를 수도전으로 공급하는 수전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전함(10)에 연결되는 배관은 이중관 배관으로서, 외부관인 주름관(A)과 상기 주름관(A)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관(A) 내부로 상기 내부관이 삽입되는데,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과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수배관은 냉수전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배관은 온수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수전구는 수전함(10)의 설치 위치나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상기 수전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수전함(10)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교차형의 수전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냉수배관 또는 상기 온수배관의 배열 형태에 따라 상기 수전함(10) 대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주름관(A)과 상기 체결구(20) 사이에는 배관유도 파이프(30)가 적용되는 것을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는 일측 단부(31)에 상기 주름관(A)이 삽입되어 양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주름관(A) 단부와 수전함(10) 사이에서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주름관(A)이 삽입되는 배관유도 파이프(30)의 내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A)의 주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내주면 요철부가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주름관(A)이 소정 이상의 힘에 의하여 양측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측에 대칭되는 경사 방향을 갖는다. 이때 상기 경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곡면, 경사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는 상기 주름관(A)이 내측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된 후, 주름관(A)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이동하여 체결구(20)와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관(A)과 수전함(10) 사이를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켜 설치한 후, 주름관(A)과 수전함(10) 사이를 상기와 같이 배관유도 파이프(30)에 의해 길이를 조절하면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주름관(A)과 수전함(10)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거리 조절을 위하여 강제적으로 주름관(A)을 뒤쪽으로 밀어낸 후 이를 수전함(10)에 결합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수전함(10)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전함(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20) 내측에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전함(10) 방향, 즉 배관유도 파이프(3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분리방지턱(21)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방지턱(21)이 경사진 경우, 일측방향의 탄성변형력은 약해지나, 타측방향의 탄성변형력은 증가되므로, 경사방향에 따라,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이 일측으로는 용이하게 이동되고, 타측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방지턱(21)은, 상기 체결구(20)의 내주면에서 수전함(10)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날개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구(20)에 삽입되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날개편의 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의 역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외주면 요철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60)는 기 수전함(10)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전함(10)의 전면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호커버(60)는 판상형의 형태로, 수전구가 외부로 돌출되어 수도전을 결합할 수 있도록, 수도전홀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수전함(10)과 체결구(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 따른 수전함(10)의 측면에는 전방이 개방된 채널형의 결합공(11)이 형성되고, 체결구(50)는 상기 결합공(11)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방이라 함은 상기 수전함(10)의 개방된 전면 방향을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구(50)는 상기 결합공(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구(50)는, 상기 결합공(11)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판상의 삽입플레이트(51)와, 상기 삽입플레이트(51)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환(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플레이트(51)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공(11)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5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1) 측면에는 상기 삽입슬롯(52)에 삽입되도록 삽입슬롯(52)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12)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플레이트(51)가 결합공(11)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된다.
상기 체결환(53)의 관통공 내측에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전함(10)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날개편에 의해 구성되는 분리방지턱(54)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턱(54)의 기능은 전술한 구현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이중관 배관작업 시, 배관작업을 공간이 협소한 수전함(10)에서 분리하여 수전함(10) 외부에서 연결하거나 조립하고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수전 유닛(100)은,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와 상기 체결구(20) 사이에 이들을 연결시키는 직경변환 커넥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직경변환 커넥터(40)는, 일측(42)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와 체결되고, 타측(41)은 상기 체결구(20, 50)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구현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의 직경이 상기 체결구(20, 50)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직경변환 커넥터(40)의 일측 단부(41) 즉, 체결구(20, 50)와 결합되는 단부(41)의 직경이 체결구(20, 50)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변환 커넥터(40)를 채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배관유도 파이프(30)와 체결구(20, 50)의 직경에 관계 없이 다중 직경관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호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직경변환 커넥터(40)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구(20, 50)의 분리방지턱(23, 54)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43)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턱(43)은 수전함(10)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에에 의하여 배관유도 파이프(30)가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직경변환 커넥터(40)가 상기 체결구(20, 50)와 결합하는 단부(41)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의 외주면 요철부와 동일한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배관유도 파이프(30)가 체결구에 결합하는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는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구현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주름관(A) 단부와 체결구(20, 50) 사이의 이격거리가 배관유도 파이프(30)의 길이보다 긴 경우, 배관유도 파이프(30)를 복수 개 연결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주름관(A)의 길이가 설계기준보다 짧게 시공된 경우,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전 유닛(100)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30)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100)의 시공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축시공시, 벽체철근의 배근이 완료되면 사전 제작한 이중관 배관 및 수전함(10)을 철근 피복선에 고정하고 마감한다(단계 a 및 단계 b).
여기에서, 상기 이중관 배관은 시공도에 맞게 작업장에서 사전에 제작하거나 현장에서 제작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관 배관 중 외부관인 주름관(A)에 배관유도 파이프(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중관이 설치되게 된다.
이어서, 주름관(A) 내부로 내부관을 삽입하여 수전구와 연결한다(단계 c 및 단계 d).
이어서, 상기 주름관(A)에서 배관유도 파이프(30)를 인출하여 수전함(10)의 체결구(20)에 결합시킨다(단계 e).
최종적으로, 수전함(10)에서 배관이 연결되지 않는 체결구는 마감재로 마감하여 외부와 차단한 후, 보호커버를 결합시키고(단계 f), 벽체 도장 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유도 파이프(30)를 채용함으로써, 이중관 배관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경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배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작업자들이 많은 노력을 투자하거나 최악의 경우 재 시공함이 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존에는 이중관 길이가 짧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관을 길게 설치한 후, 현장에서 절단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 자재 낭비를 초래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분리형 체결구(50)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100)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리형 체결구(50)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100)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먼저 (a) 시공 벽체에 배관유도 파이프가 인입된 상태로 주름관을 설치한다.
이어서, (b) 내부관을 설치하고, 내부관 단부에 상기 분리형 체결구를 끼워 설치한 후, (c) 수전함을 설치하게 된다.
이어서, (d) 상기 내부관과 상기 분리형 체결구를 수전함에 결합한 후, (e)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를 상기 분리형 체결구에 결합시키고, (f) 수전함에 보호커버를 설치한 후, 벽체 도장 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본 구현예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종래에는 내부관 설치시 작업 공간이 수전함 내부에 제한되는 제약이 있었으나, 수전함 내부 공간의 제약이 없어 작업 공간이 넓어져, 시공이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중관의 단부와 수전함 사이를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수전 유닛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 : 수전함 11 : 결합공
12 : 가이드 20 : 체결구
21 : 분리방지턱 30 : 배관유도 파이프
31 : 주름관 연결 단부 32 : 체결구 연결 단부
33 : 외주면 요철부 40 : 직경변환 커넥터
41 : 체결구 연결 단부 42 : 배관유도 파이프 연결 단부
43 : 이동방지턱 50 : 분리형 체결구 51 : 삽입플레이트 52 : 삽입슬롯 53 : 체결환 54 : 분리방지턱
60 : 보호커버
100 : 수전 유닛
A : 주름관
12 : 가이드 20 : 체결구
21 : 분리방지턱 30 : 배관유도 파이프
31 : 주름관 연결 단부 32 : 체결구 연결 단부
33 : 외주면 요철부 40 : 직경변환 커넥터
41 : 체결구 연결 단부 42 : 배관유도 파이프 연결 단부
43 : 이동방지턱 50 : 분리형 체결구 51 : 삽입플레이트 52 : 삽입슬롯 53 : 체결환 54 : 분리방지턱
60 : 보호커버
100 : 수전 유닛
A : 주름관
Claims (14)
- 벽체 매립재에 접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 내에 삽입되어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으로부터의 수전을 위한 수전 유닛으로서,
상기 수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내부관 및 수전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수전함과;
상기 수전함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관이 관통하여 수전함에 인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결구와;
상기 주름관과 상기 체결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내부관이 상기 수전함으로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배관유도 파이프; 그리고
상기 수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 및 수전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전함 전면에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는,
일측 단부에 상기 주름관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 또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냉수배관 또는 상기 온수배관의 배열 형태에 따라 상기 수전함 대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수전함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내측에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전함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분리방지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리방지턱은,
상기 체결구의 내주면에서 수전함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날개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주름관이 삽입되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름관이 양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좌우측 대칭의 경사면을 갖는 형상의 내주면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는 상기 주름관이 내측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된 후, 상기 주름관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체결구와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에 삽입되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날개편의 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의 역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외주면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전 유닛은,
일측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와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구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와 체결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와 상기 체결구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와 상기 체결구를 연결시키는 직경변환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함의 측면에는 전방이 개방된 채널형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판상의 삽입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플레이트 측면에는, 상기 결합공이 체결되도록 삽입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 측면에는,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환의 관통공 내측에는,
상기 배관유도 파이프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전함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날개편에 의해 구성되는 분리방지턱이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672A KR102455896B1 (ko) | 2020-12-28 | 2020-12-28 |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672A KR102455896B1 (ko) | 2020-12-28 | 2020-12-28 |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3688A KR20220093688A (ko) | 2022-07-05 |
KR102455896B1 true KR102455896B1 (ko) | 2022-10-18 |
Family
ID=8240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4672A KR102455896B1 (ko) | 2020-12-28 | 2020-12-28 |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589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704Y1 (ko) * | 2006-09-27 | 2007-02-08 | 이창락 |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
KR101766250B1 (ko) * | 2016-03-17 | 2017-08-09 | 신보라 |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KR101957725B1 (ko) | 2017-12-20 | 2019-03-14 | 유덕기 | 분기관의 연결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5509B1 (ko) | 2013-08-20 | 2014-08-04 | (주)케이에스피아이피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KR101804247B1 (ko) * | 2016-04-29 | 2017-12-04 |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KR101974363B1 (ko) * | 2017-06-21 | 2019-05-02 |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
2020
- 2020-12-28 KR KR1020200184672A patent/KR1024558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704Y1 (ko) * | 2006-09-27 | 2007-02-08 | 이창락 |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
KR101766250B1 (ko) * | 2016-03-17 | 2017-08-09 | 신보라 |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KR101957725B1 (ko) | 2017-12-20 | 2019-03-14 | 유덕기 | 분기관의 연결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3688A (ko) | 202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88613C (en) |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 |
KR100489440B1 (ko) | 벽체 매립형 수전함 | |
US8307592B2 (en) | Assembly for pipe finishing work | |
KR200473891Y1 (ko) | 배관 고정구 | |
KR20090019960A (ko) |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 |
EP2136007B1 (de) | Wandeinbaublock für Installationen | |
KR102455896B1 (ko) |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 |
KR100586223B1 (ko) | 벽체매립형 오픈 수전함 | |
KR102407289B1 (ko) |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
KR101804247B1 (ko) |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
JP2003232057A (ja) | 水道用コンセントおよびその壁面または床面埋込み方法 | |
KR102484982B1 (ko) | 분배기 유닛 | |
KR100775917B1 (ko) | 수전박스의 배관연결장치 | |
US20080143102A1 (en) | Adjustable plumbing fitting apparatus and method | |
DE102011008516A1 (de) | Montageblock für den Anschluss von Geräten | |
KR101766250B1 (ko) |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
US20060267337A1 (en) | Slip joint double Y apparatus and method | |
KR102058117B1 (ko) |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 |
KR102690924B1 (ko) | 다분기 수전 유닛 | |
KR20110009376A (ko) |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벽체 관통용 슬리브 | |
KR200435704Y1 (ko) |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 |
CN212773485U (zh) | 一种剪力墙内直埋给水点预埋装置 | |
DE202011050690U1 (de) | Anschluss- und Spüleinheit für eine Unterputz-Sanitärarmatur | |
KR101663103B1 (ko)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
KR200304846Y1 (ko) | 벽체 매립형 수전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