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704Y1 -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 Google Patents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704Y1
KR200435704Y1 KR2020060026035U KR20060026035U KR200435704Y1 KR 200435704 Y1 KR200435704 Y1 KR 200435704Y1 KR 2020060026035 U KR2020060026035 U KR 2020060026035U KR 20060026035 U KR20060026035 U KR 20060026035U KR 200435704 Y1 KR200435704 Y1 KR 200435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cold
hot water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락
정승철
Original Assignee
이창락
정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락, 정승철 filed Critical 이창락
Priority to KR2020060026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냉온수 분배기와 각각의 사용처에 장착되는 수전함을 연결하는 이중관 타입의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PB관(10 ; 폴리뷰틸렌 파이프)을 커버하는 CD관(20 ; conduit pipe)의 일단에 길이조절관 부재(30)가 장착되어, 상기 길이조절관 부재(30)가 CD관(20)의 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부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END STRUCTURE FOR WATER DISTRIBUTING TUB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길이조절관 부재가 CD관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길이조절관 부재가 CD관에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 분배관에 의해 냉온수 분배기함과 수전함이 연결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수전함에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 분배관을 연결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PB관 20 : CD관
30 : 길이조절관 부재 32 : 대경부
34 : 소경부 36 : 절취부
38 : C클립 40 : 냉온수분배기
50 : 수전함
본 고안은 건물의 냉온수 분배기와 각각의 사용처에 장착되는 수전함을 연결하는 이중관 타입의 냉온수 분배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B관(폴리뷰틸렌 파이프)과 CD관(conduit pipe)으로 구성된 이중관 타입에서 CD관의 일단에 길이조절관 부재가 장착되어 CD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한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0515761호(2005년 9월 12일 등록)에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앞쪽면이 트인 상자형의 케이스로 구성하여 벽내에 매립하되 앞쪽트인부에 개폐문을 설치하며, 그 저부에 배수공을 뚫어 배수유도관을 설치하고, 상부는 분배기 저부의 배수공에 접속하고 하부는 건물배수구 근접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분배기로 외부 공급부를 통하여 냉온수배관인 이중관을 세팅되어지는 분배기연결공정과, 배관출입구를 형성한 케이스와 개폐문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수전용함을 시공하는 수전함 배치공정과, 상기 수전용함으로 분배기의 이중관을 유도하여 철근에 이중관이 결속선을 통해 결합 고정되어지되, 상기 이중관이 지지되게 이중관 주변의 철근에 하중지지체가 설치되어지는 수전용함연결공정 및 수전연결공정으로 이루어진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연결공정은 이중관의 연질관과 수전을 연결하는 플렉시블호스의 일단 은 이경소켓을 통해 이중관으로 보호된 상기 연질관과 연결 결속하고,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타단은 수전에 연결 결속하되 개폐문에 마찰돌기와 보수용 구멍을 형성하며, 보수용 구멍의 외곽으로는 테두리부를 두어 오픈판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수전의 연결관이 삽입 고정되는 이경소켓을 상기 오픈판의 일부에 형성된 소켓삽입구를 통해 오픈판과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시블호스와 결속된다.
그러나, 상기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냉온수배관의 연질관을 수전용함을 통해 수전용함에 설치되는 수전 또는 분배기에 연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연질관을 잡을 수 있어야 하나 작업자가 연질관을 잡을 수 있는 구간이 마련되지 않아 작업자가 냉온수배관의 이중관을 강제로 뒤로 밀어낸 후 연질관을 수전용함에 끼우고 수전에 연결하기 때문에 배관작업이 어렵고, 이중관을 뒤로 밀어낼 때 배관의 배치위치가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PB관(폴리뷰틸렌 파이프)과 CD관(conduit pipe)으로 구성된 이중관 타입에서 CD관의 일단에 길이조절관 부재를 헐거운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CD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PB관을 사용처의 수전함을 통해 수전함에 설치된 수전 또는 분배기에 연결할 때, CD관의 일단에 장착된 길이조절관 부재를 뒤로 후진시켜 PB관을 노출시킨 후 PB관 연결작업을 수행함으로써 PB관의 연결작업이 편리하게 되고, 또 PB관이 연결된 후 길이조절관 부재를 원위치로 이동시켜 그 선단부를 수전함에 연결하므로서, CD관의 연결 작업 또한 편리하게 한 냉온수분배관의 단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분배관의 단부구조는 PB관(10 ; 폴리뷰틸렌 파이프)을 보호하는 CD관(20 ; conduit pipe)의 일단에 길이조절관 부재(30)를 헐거운 상태로 장착시켜 상기 길이조절관 부재(30)가 CD관(20)의 단부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함으로써, CD관(20)의 단부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길이조절관 부재(30)는 CD관(20)의 외경(d1)보다 큰 내경(d2)을 갖는 대경부(32)와, CD관(20)의 외경과 같은 외경(d3)을 갖는 소경부(3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32)에는 CD관(20)의 선단부가 헐거운 상태로 삽입된다. 또, 상기 대경부(32)의 단부에는 절취부(36)가 천공되고 여기에 C클립(38)이 끼워진다. 이 C클립(38)은 CD관(20)과 길이조절관 부재(30)를 결합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분배관의 단부구조를 이용한 배관연결작업의 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온수 분배기함(40)에 CD관(20)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냉온수 분배기함(40)에 설치된 냉온수 분배기(42)에 상기 PB관(10)의 타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CD관(20)과 PB관(10)이 연장되어 상기 CD관(20)의 일단이 욕실 등의 사용처에 설치된 수전함(50)에 연결되고, PB관(10)이 상기 수 전함(50)을 통해 수전함(50)에 설치된 수전(52 ; 또는 분배기)에 연결된다.
이와같이 냉온수 분배기함(40)과 수전함(50)을 CD관 내에 PB관이 삽입된 이중관 타입의 냉온수 분배관으로 연결할 때, 본 고안은 CD관(20)의 일단에 장착된 길이조절관 부재(30)를 도 5의 (가) 상태와 같이 화살표(62a) 방향으로 후진시킨다(도 3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후진시키는 것과 같음).
이것에 의해, 냉온수 분배관의 PB관(10) 단부가 길이조절관 부재(30)가 후진된 길이(S)만큼 많이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PB관(10)의 노출된 부분을 잡고, 수전함(50)의 연결구멍을 통해 수전함(50)에 설치된 수전(52 ; 또는 분배기)에 PB관(10)을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PB관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길이조절관 부재(30)를 도 5의 (나)와 같이 CD관(20)에서 화살표(62b) 방향으로 전진시켜 길이조절관 부재(30)의 소경부(34)의 선단을 수전함(50)에 연결하고, 길이조절관 부재(30)의 대경부(32)에 형성된 절취부(36)에 C클립(38)을 끼워, 길이조절관 부재(30)를 CD관(20)에 이동 불가한 상태로 고정한다.
여기서, PB관을 수전에 연결하는 구성 및 길이조절관 부재를 수전함에 연결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분배관의 단부구조는 PB관을 사용처의 수전함을 통해 수전함에 설치된 수전 또는 분배기에 연결할 때, CD관의 일단에 장착된 길이조절관 부재를 뒤로 후진시킨 후, 길이조절관 부재가 후퇴되어 노출된 PB관에 의해 PB관의 연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PB관이 연결된 후 길이조절관 부재를 원위치로 전진시켜 수전함에 연결하므로서, CD관의 연결 작업 또한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PB관(10)을 보호하는 CD관(20)과, 이 CD관(20)의 선단에 결합되는 길이조절관 부재(30)를 구비하되,
    상기 길이조절관 부재(30)에 대경부(32)와 소경부(34)를 형성하고 상기 대경부(32)는 그 내경을 상기 CD관(20)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CD관(20)이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분배관의 단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관 부재(30)는 그 대경부(32)에 절취부(36)를 형성하고 이 절취부에 끼워져 CD관(20)과 대경부(32)를 고정하는 C클립(38)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분배관의 단부구조.
KR2020060026035U 2006-09-27 2006-09-27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KR200435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035U KR200435704Y1 (ko) 2006-09-27 2006-09-27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035U KR200435704Y1 (ko) 2006-09-27 2006-09-27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704Y1 true KR200435704Y1 (ko) 2007-02-08

Family

ID=4161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035U KR200435704Y1 (ko) 2006-09-27 2006-09-27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7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128B1 (ko) 2010-03-09 2012-08-06 이누리 길이 가변형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KR2022009368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128B1 (ko) 2010-03-09 2012-08-06 이누리 길이 가변형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KR2022009368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55896B1 (ko) * 2020-12-28 2022-10-18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4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GB2436472A (en)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WO2006090963A1 (en) Method of constructing cold and hot water piping system
KR200435704Y1 (ko)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KR100596461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515921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20060000013A (ko) 벽체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100697030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833570B1 (ko)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704659B1 (ko) 비수전함형 수전결합 시스템
EP1953439A2 (en) An assembly for terminating a flexible water pipe
KR200426264Y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용 수전
KR10043019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KR10086527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62918B1 (ko) 벽체 매립형 배관과 점검함의 고정 어셈블리
KR100855304B1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KR101036993B1 (ko) 매립형 수전 연결구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KR10063285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25913B1 (ko) 보일러 입출수관 연결함
KR101287503B1 (ko) 혼합수전 체결장치
KR200418043Y1 (ko) 냉, 온수용 분배기 헤더
KR101766250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200429469Y1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