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183Y1 - 호스용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호스용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183Y1
KR200302183Y1 KR20-2002-0030819U KR20020030819U KR200302183Y1 KR 200302183 Y1 KR200302183 Y1 KR 200302183Y1 KR 20020030819 U KR20020030819 U KR 20020030819U KR 200302183 Y1 KR200302183 Y1 KR 200302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hose
coupling hole
bol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20-2002-0030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16L15/0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with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용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호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끼움부가 삽입될 수 있게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입구측 주변에는 상기 걸림단이 안착되는 걸림홈과 기밀용 패킹이 연결볼트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면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너트로 이루어진 호스용 연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패킹이 밀착되는 상기 밀착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호스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볼트와 연결너트를 체결시킬 경우에, 기밀용 패킹이 연결볼트의 눌림에 의해서도 내측 직경이 변하지 않고 결합공 입구측에서 지지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밀착면에 경사지게 밀착되어지므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연결볼트의 날카로운 단부에 의해서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스용 연결 구조물{STRUCTURE FOR CONNECTING A HOSE}
본 고안은 호스용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각의 호스를 연결 시키기 위하여 연결볼트와 연결너트를 체결시킬 경우에 연결볼트의 가압에 의해서 기밀용 패킹의 내측 직경을 변하지 않게 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호스용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는 연결 구조물에 의해 다른 호스 또는 기계의 배관과 연결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호스의 연결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호스용 연결 구조물은 호스(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끼움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112)의 일측에는 기밀유지부(11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밀유지부(114)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116)이 형성된 연결관(110)과, 상기 기밀유지부(114)가 삽입되는 결합공(122)이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124)에 의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22)의 입구측 주변에는 상기 걸림단(116)이 안착되는 걸림홈(126)과 기밀용 패킹(130)이 다른 호스와 연결된 연결볼트(140)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면(128)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너트(1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밀유지부(11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설치홈(1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홈(118)에는 기밀유지링(15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너트(120)와 연결볼트(14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종래 호스용 연결 구조물에 의하면, 각각의 호스(100)가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고, 연결볼트(140)와 연결너트(120)가 체결시 회전이 발생하여도 연결관(110)이 연결너트(120)와 같이 회전하지 않아 호스(10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호스용 연결 구조물은 연결볼트(140)와 연결너트(120)를 체결할 경우 연결볼트(140)의 끝단부가 기밀용 패킹(130)을 연결너트(120)의 밀착면(128)으로 강하게 가압하게 됨으로 상기 연결볼트(140)의 회전에 의해 기밀용 패킹(130)이 결합공(122)의 내부로 오므라들게 되어 물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연결볼트(140)를 연결너트(120)에 체결시 연결볼트(140)의 일단부가 상기 기밀용 패킹(130)을 밀착면(128)에 강하게 밀착시키게 되는데, 상기 밀착면(128)이 수직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볼트(140)의 일단부에 의해 밀착면(128)으로 밀착되는 기밀용 패킹(130)은 연결볼트(140)의 가압에 의해 눌림과 동시에 오므라 들게 되면서 기밀용 패킹(130)의 내측 직경이 작아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기밀용 패킹(130)의 내측 직경은 연결너트(120)의 결합공(122) 직경보다 작아져 물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호스를 연결 시키기 위하여 연결볼트와 연결너트를 체결시킬 경우에 연결볼트의 가압에 의해서 기밀용 패킹의 내측 직경을 변하지 않게 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호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끼움부가 삽입될 수 있게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입구측 주변에는 상기 걸림단이 안착되는 걸림홈과 기밀용 패킹이 연결볼트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면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너트로 이루어진 호스용 연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패킹이 밀착되는 상기 밀착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연결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호스용 연결 구조물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용 연결 구조물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스용 연결 구조물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용 연결 구조물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스 20 : 연결관
22 : 끼움부 26 : 걸림단
30 : 연결너트 32 : 결합공
36 : 걸림홈 38 : 밀착면
40 : 기밀용 패킹 50 : 연결볼트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용 연결 구조물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스용 연결 구조물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용 연결 구조물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호스용 연결 구조물은 기밀유지부(24)와 걸림단(26)이 형성된 연결관(20)과, 상기 걸림단(26)이 안착되는 걸림홈(36)과 기밀용 패킹(40)이 밀착되는 경사진 밀착면(38)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너트(3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관(20)은 일측에 호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22)가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형성되는데, 이러한 끼움부(22)는 호스(10)의 내부로 삽입된 후에 압착구(70)의 압착에 의해 상기 호스(10)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끼움부(22)의 일측으로는 기밀유지부(24)가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기밀유지부(24)에는 환형으로 된 다수의 설치홈(28)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8)에는 기밀유지링(6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밀유지링(60)은 “O”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기밀유지부(24)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너트(30)는 입구측 내경에 연결볼트(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지지부(34)가 형성된다. 즉,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입구측 반대면에 연결너트(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지지부(34)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너트(3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3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공(32)은 상기 연결관(20)의 기밀유지부(24)가 끼워지도록 상기 기밀유지부(24)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결너트(30)의 결합공(32) 입구측(나사산이 형성된 방향) 주변에는 상기 걸림홈(36)과 경사진 밀착면(38)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36)에는 상기 연결관(20)의 걸림단(26)이 안착되고, 경사진 밀착면(38)에는 기밀용 패킹(40)이 안착된다. 여기서, 기밀용 패킹(40)이 밀착되는 밀착면(38)은 입구측의 결합공(32)에서 지지부(34)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기밀유지링(60)이 결합된 연결관(20)이 상기 연결너트(30)의 입구측으로부터 결합공(32)으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단(26)이 걸림홈(36)에 안착되고 상기 기밀유지부(24)가 연장된 결합공(3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기밀유지링(60)이 결합공(32)의 내경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너트(30)의 결합공(32)으로 연결관(20)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단(26)이 걸림홈(3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22)가호스(10)의 내경에 삽입되어 압착구(70)의 압착으로 호스(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너트(30)의 내부로 기밀용 패킹(40)이 삽입되어 상기 경사진 밀착면(38)에 안착되고, 연결볼트(50)가 연결너트(30)의 입구측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관(20)의 걸림단(26)이 상기 걸림홈(3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트(50)가 연결너트(30)에 체결되면 상기 연결볼트(50)의 단부가 상기 기밀용 패킹(40)을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에 의해 기밀용 패킹(40)은 결합공(32)의 입구측에서 지지부(34)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밀착면(38)에 밀착되어 기밀용 패킹(40)의 내측 직경이 변하지 않게 되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결볼트(50)가 연결너트(30)에 체결시 연결관(20)은 상기 연결너트(30)에 구속되지 않고, 상기 연결관(20)의 기밀유지부(24)가 결합공(3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과 같이 회전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호스(1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호스용 연결 구조물에 따르면 기밀유지부와 걸림단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걸림단이 안착되는 걸림홈과 기밀용 패킹이 안착되는 경사진 밀착면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너트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호스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볼트와 연결너트를 체결시킬 경우에, 기밀용 패킹이 연결볼트의 눌림에 의해서도 내측 직경이 변하지않고 결합공 입구측에서 지지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밀착면에 경사지게 밀착되어지므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연결볼트의 날카로운 단부에 의해서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호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22)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26)이 형성된 연결관(20)과, 상기 끼움부(22)가 삽입될 수 있게 결합공(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의 입구측 주변에는 상기 걸림단(26)이 안착되는 걸림홈(36)과 기밀용 패킹(40)이 연결볼트(50)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면(38)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너트(30)로 이루어진 호스용 연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패킹(40)이 밀착되는 상기 밀착면(38)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연결 구조물.
KR20-2002-0030819U 2002-10-16 2002-10-16 호스용 연결 구조물 KR200302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19U KR200302183Y1 (ko) 2002-10-16 2002-10-16 호스용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19U KR200302183Y1 (ko) 2002-10-16 2002-10-16 호스용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183Y1 true KR200302183Y1 (ko) 2003-01-30

Family

ID=4933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19U KR200302183Y1 (ko) 2002-10-16 2002-10-16 호스용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1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31B1 (ko) * 2006-08-14 2007-12-18 오승근 호스 연결 구조물
KR101559545B1 (ko) 2015-07-16 2015-10-15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 급수관의 록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31B1 (ko) * 2006-08-14 2007-12-18 오승근 호스 연결 구조물
KR101559545B1 (ko) 2015-07-16 2015-10-15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 급수관의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764B1 (en) Adjustable water-guiding rod for a cleaning brush
CA2126276C (en) Plumbing hookup kit
JP4511738B2 (ja) チューブカップリング
US6227579B1 (en) Swivel garden hose connector
US7758085B2 (en) Tube couplings
CN109041571A (zh) 医用连接结构
KR20090012296U (ko)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JP2002122275A (ja) 取付け具及び取付け組立体
US5303964A (en) Pipe connector
US20050280260A1 (en) Hose connector of faucet
US7063329B2 (en) Seal/method for improved retention of the sealing element in annular grooves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200302183Y1 (ko) 호스용 연결 구조물
KR200452369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US20200326021A1 (en) Hose connector
CN217784471U (zh) 一种管道连接装置及高压清洗机
CN209604735U (zh) 一种汽车管路用快插接头组件
KR100389615B1 (ko) 호스의 연결부 구조
KR200302184Y1 (ko) 호스용 연결 구조물
KR200239709Y1 (ko) 호스의 연결부 구조
CN210372456U (zh) 连接接头
KR102312659B1 (ko) 수입 연결구와 차입 연결구를 이용한 소화전밸브와 관창노즐 연결부의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CN216843333U (zh) 一种球阀
KR102417758B1 (ko) 스크류 결합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KR200399460Y1 (ko) 엘보우관용 결속 실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