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709Y1 - 호스의 연결부 구조 - Google Patents

호스의 연결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709Y1
KR200239709Y1 KR2020010010537U KR20010010537U KR200239709Y1 KR 200239709 Y1 KR200239709 Y1 KR 200239709Y1 KR 2020010010537 U KR2020010010537 U KR 2020010010537U KR 20010010537 U KR20010010537 U KR 20010010537U KR 200239709 Y1 KR200239709 Y1 KR 200239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airtight
hose
nut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푸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푸렉스
Priority to KR2020010010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709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의 연결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중 호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3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2)의 일측에는 설치홈(38)을 구비한 기밀유지부(3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밀유지부(34)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36)이 형성되는 연결관(30); 상기 기밀유지부(34)에 각각 설치되는 기밀유지링(70); 및 상기 기밀유지부(34)가 삽입되는 결합공(42)이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44)에 의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2)의 입구측 주변에는 상기 걸림단(36)이 안착되는 걸림홈(48)과 기밀용 패킹(50)이 연결볼트(60)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되는 밀착면(46)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되는 연결너트(40)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너트(40)와 연결관(30)이 연결볼트(60)의 체결시에도 일체화되지 않게 되어 각각의 호스(10)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볼트(60)와 연결너트(40)를 체결시킬 경우에, 연결너트(40)가 회전되더라도 연결관(30)이 회전되지 않게 되어 호스(1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너트(40)와 연결관(30)이 회전되는 상태에서도 기밀유지링(70)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호스의 연결부 구조{COUPLING STRUCTURE OF HOSE}
본 고안은 호스의 연결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너트의 내부에 기밀유지용 패킹이 밀착되는 부분과 연결관의 걸림단이 밀착되는 부분이 별도로 단이지게 형성되어 연결볼트와 연결너트를 체결하더라도 연결너트와 호스가 일체화되어 같이 회전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호스의 연결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중 호스는 연결부에 의해 다른 호스 또는 기계의 배관과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중 호스의 연결부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연결부는 다중 호스(1)의 내경에 끼워지는 끼움부(2-1)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외부로 확장되어 걸림단(2-2)이 형성된 연결관(2)과, 일측이 개구되고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연결관(2)의 끼움부(2-1)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결합공(3-1)이 중앙에 형성된 연결너트(3)와, 상기 결합공(3-1)의 주변에 밀착된 걸림단(2-2)의 일면에 밀착되는 패킹(4)과, 상기 연결너트(3)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패킹(4)을 걸림단(2-2) 측으로 가압하고 다른 호스와 연결된 연결볼트(5)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너트(3)와 연결볼트(5)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종래기술의 연결부에 의하면, 각각의 다중 호스(1)가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연결부는 상기 연결볼트(5)와 연결너트(3)를 체결할 경우에, 상기 연결볼트(5)의 끝단부가 상기 패킹(4)을 걸림단(2-2) 측으로 강하게 가압하게 됨으로 상기 연결볼트(5) 또는 연결너트(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관(2)과 호스(1)가 같이 회전하게 되어 호스(1)가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연결볼트(5)를 강하게 체결하게 되면, 상기 연결볼트(5)의 일단면이 상기 패킹(4)을 걸림단(2-2)에 강하게 밀착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걸림단(2-2)이 연결너트(3)의 내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연결너트(3)와 연결관(2) 및 호스(1)가 일체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상기 연결너트(3) 또는 연결볼트(5)를 조일경우에 호스(1) 자체가 같이 회전되어 꼬이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시켰던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너트(3) 또는 연결볼트(5)의 조임시 호스(1)가 꼬이게 되는 문제점은 호스(1)가 비틀림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과, 다른 연결부위의 풀림이 발생되어 기밀유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호스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볼트와 연결너트를 체결시킬 경우에, 연결볼트 또는 연결너트와 연결관이 일체화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하여 호스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결너트와 연결관이 같이 회전하지 않으면서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호스의 연결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연결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연결부 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연결부 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중 호스 30 : 연결관
32 : 끼움부 34 : 기밀유지부
36 : 걸림단 38 : 설치홈
40 : 연결너트 42 : 결합공
44 : 지지부 46 : 밀착면
48 : 걸림홈 50 : 기밀유지용 패킹
60 : 연결볼트 70 : 기밀유지링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중 호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일측에는 기밀유지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밀유지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이 형성되는연결관; 상기 기밀유지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입구측 주변에는 기밀용 패킹이 연결볼트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되는 밀착면과 상기 걸림단이 안착되는 걸림홈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연결부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설치홈에는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유지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기밀용 패킹이 연결관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연결너트와 연결관이 일체화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다중 호스가 꼬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연결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연결부 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확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연결부 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연결부 구조는 기밀유지부(34)와 걸림단(36)이 형성된 연결관(30)과, 상기 걸림단(36)이 안착되는 걸림홈(48)과 기밀용 패킹(50)이 밀착되는 밀착면(46)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너트(4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관(30)은 일측에 다중 호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32)가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부(32)는 상기 다중 호스(10)의 내부로 삽입된 후에 결합링의 압착에 의해 상기 다중 호스(10)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끼움부(32)의 일측으로는 기밀유지부(34)가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기밀유지부(34)에는 환형으로 된 다수개의 설치홈(38)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38)에는 기밀유지링(70)이 설치된다. 상기 기밀유지링(70)은 '○'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너트(40)는 입구측 내경에 연결볼트(6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지지부(44)가 형성된다. 즉,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입구측 반대면에 연결너트(4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지지부(44)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너트(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4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공(42)은 상기 연결관(30)의 기밀유지부(34)가 끼워지도록 상기 기밀유지부(34)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결너트(40)의 결합공(42) 입구측(나사산이 형성된 방향) 주변에는 상기 걸림홈(48)과 밀착면(46)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48)에는 상기 연결관(30)의 걸림단(36)이 안착되고, 상기 밀착면(46)에는 기밀용 패킹(50)이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기밀유지링(70)이 결합된 연결관(30)이 상기 연결너트(40)의 입구측으로부터 결합공(42)으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단(36)이 걸림홈(48)에 안착되고 상기 기밀유지부(34)가 연장된 결합공(4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기밀유지링(70)이 결합공(42)의 내경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너트(40)의 결합공(42)으로 연결관(30)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단(36)이 걸림홈(48)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끼움부(32)가 다중 호스(10)의 내경에 삽입되어 결합링의 압착으로 다중 호스(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너트(40)의 내부로 기밀용 패킹(50)이 삽입되어 상기 밀착면(46)에 안착되고, 연결볼트(50)가 연결너트(40)의 입구측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관(30)의 걸림단(36)이 상기 걸림홈(48)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트(50)가 체결되면 상기 연결볼트(50)의 단부가 상기 기밀용 패킹(50)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기밀용 패킹(50)은 상기 연결너트(40)의 밀착면(46)에만 밀착되어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연결너트(40)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볼트(50)과 연결너트(40)을 체결시키더라도 상기 다중 호스(10)에 결합된 연결관(30)은 상기 연결너트(40)에 구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연결관(30)의 기밀유지부(34)가 결합공(4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과 같이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볼트(50)와 연결너트(40)의 체결시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연결너트(40)와 같이 회전하지 않게 되면, 상기 연결관(30)의 끼움부(32)에 결합된 다중 호스(10)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기밀유지부(34)의 각 설치홈(38)에 결합된 다수개의 기밀유지링(70)은 상기 기밀유지부(34)가 결합공(42)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공(42)의 내경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연결너트(4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설치홈(38) 또는 결합공(4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연결부 구조는 기밀유지부와 걸림단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걸림단이 안착되는 걸림홈과 기밀용 패킹이 밀착되는 밀착면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너트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너트와 연결관이 연결볼트의 체결시에도 일체화되지 않게 되어 각각의 호스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볼트와 연결너트를 체결시킬 경우에, 연결너트가 회전되더라도 연결관이 회전되지 않게 되어 호스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너트와 연결관이 회전되는 상태에서도 기밀유지링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다중 호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3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2)의 일측에는 기밀유지부(3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밀유지부(34)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36)이 형성되는 연결관(30);
    상기 기밀유지부(34)가 삽입되는 결합공(42)이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44)에 의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2)의 입구측 주변에는 상기 걸림단(36)이 안착되는 걸림홈(48)과 기밀용 패킹(50)이 연결볼트(60)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면(46)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되는 연결너트(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연결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0)의 기밀유지부(34)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설치홈(38)이 형성되고, 상기 각 설치홈(38)에는 상기 결합공(4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유지링(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연결부 구조.
KR2020010010537U 2001-04-14 2001-04-14 호스의 연결부 구조 KR200239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37U KR200239709Y1 (ko) 2001-04-14 2001-04-14 호스의 연결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37U KR200239709Y1 (ko) 2001-04-14 2001-04-14 호스의 연결부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012A Division KR100389615B1 (ko) 2001-04-14 2001-04-14 호스의 연결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709Y1 true KR200239709Y1 (ko) 2001-10-11

Family

ID=7309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537U KR200239709Y1 (ko) 2001-04-14 2001-04-14 호스의 연결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7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53Y1 (ko) 2009-11-12 2012-08-03 (주) 대화이에스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KR200473779Y1 (ko) 2013-03-18 2014-07-31 주식회사 코뿔소 주름관용 조인트 장치
KR20180115043A (ko) * 2017-04-12 2018-10-22 (주) 대화이에스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53Y1 (ko) 2009-11-12 2012-08-03 (주) 대화이에스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KR200473779Y1 (ko) 2013-03-18 2014-07-31 주식회사 코뿔소 주름관용 조인트 장치
KR20180115043A (ko) * 2017-04-12 2018-10-22 (주) 대화이에스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KR101973260B1 (ko) * 2017-04-12 2019-04-26 (주) 대화이에스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6276C (en) Plumbing hookup kit
US9303800B2 (en) Torque limiting fluid connector system
US5466019A (en) Pipe coupling
US20030127858A1 (en) Universal pipe connectors and sealing element therefor
US6851448B2 (en) Rotary connector with valve
US5303964A (en) Pipe connector
KR100389615B1 (ko) 호스의 연결부 구조
KR200239709Y1 (ko) 호스의 연결부 구조
US7063329B2 (en) Seal/method for improved retention of the sealing element in annular grooves
KR20100000013A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KR100739228B1 (ko) 관 연결용 소켓
KR200302183Y1 (ko) 호스용 연결 구조물
KR200302184Y1 (ko) 호스용 연결 구조물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KR100526893B1 (ko) 밀폐가 확실하고 연결이 간편한 지관이음용 커플링
KR200213672Y1 (ko) 배관 연결 구조
KR20190019448A (ko)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어셈블리
KR200322158Y1 (ko) 압륜을 갖는 오수관 연결 구조
US7014217B2 (en) Pipe connector
KR200302796Y1 (ko) 호스 연결구
US7651139B2 (en) Coupling for a fluid line arrangement
US20240110648A1 (en) A pipe coupling
KR200354969Y1 (ko) 이경관 체결구
KR200325929Y1 (ko) 관연결구
KR200164118Y1 (ko) 호스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