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228B1 - 관 연결용 소켓 - Google Patents

관 연결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228B1
KR100739228B1 KR1020060071609A KR20060071609A KR100739228B1 KR 100739228 B1 KR100739228 B1 KR 100739228B1 KR 1020060071609 A KR1020060071609 A KR 1020060071609A KR 20060071609 A KR20060071609 A KR 20060071609A KR 100739228 B1 KR100739228 B1 KR 10073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socket
pipe
main body
screw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Priority to KR102006007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키는 관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관통로가 형성되며, 양단부의 외주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부에 복수개의 절개탄성편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개재되며, 상기 제1나사부에 체결되는 압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연결관의 외주면 전체에 밀착될 수 있어 고정면적이 넓어지므로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연결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관, 소켓, 탄성

Description

관 연결용 소켓 { pipe coupling unit }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종래 이탈방지용 압륜의 정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에 대한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본체 4 : 압착구
6 : 밀폐부재 21 : 제1나사부
40 : 제2나사부 210 ; 개구부
212 : 절개탄성편 100, 200 : 절개탄성편
본 발명은 관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쐐기 조임의 원 리에 의해 두 개의 관을 연결시키도록 한 관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관을 직선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는 관 연결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 연결부재의 일 예로로는 콘크리트 보강을 하지 않고 시공의 간편화와 수충격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이탈방지용 압륜이 사용되고 있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종래 이탈방지용 압륜의 정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관은 일정규격의 모양과 길이로 한쪽 끝은 수구(1)로, 반대쪽은 삽구(2)로 제작되어 있어서, 상기한 두 연결관을 연결시키기 위해 연결관의 수구(1)와 타측 관의 삽구(2) 사이에 밀폐부재인 고무링(3)을 삽입하고 이탈방지용 압륜(4)을 관체결 볼트(5) 및 너트(6)로 체결하여 관 이음매를 구성하되, 상기 이탈방지용 압륜(4)에는 수직 압착볼트(8)와 상기 압착볼트 밑에 누름 스파이크(9)가 설치되어 있어서 압착볼트(3)를 일정 조임토크로 돌려서 스파이크(9)로 관벽을 누르도록 하여 관 이음매를 견고히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압륜에 의한 접속방식은, 압륜에 의한 부분접합이므로 고정면적이 적어 결합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고, 밀폐부재인 고무링은 현장에서 연결관에 삽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방법에 대한 교육을 별도로 시켜야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륜에 의한 접속방식으로 인하여 연결관이 찌그러짐, 파열, 관단면 변화 등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관 연결부의 누수 및 접속불량, 관단면 변화로 인한 관내 압력변화 등 불량요소가 발생하여 효율을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륜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연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하여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이 완료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관 연결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관 연결용 소켓은,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키는 관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관통로가 형성되며, 양단부의 외주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부에 복수개의 절개탄성편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개재되며, 상기 제1나사부에 체결되는 압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관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본체는 내측 중간부의 내주면에 환턱이 형성되고, 양단부의 외주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관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환턱의 양측면에는 밀폐용 오링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관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절개탄성편은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관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관의 양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밀폐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밀폐부재는 제1나사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에 대한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A)은, 양단부의 개구부에 두 개의 연결관(100,200)이 각기 끼워져 결합되는 본체(2)와, 본체(2)의 외주에 나사결합되어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압착구(4)와, 본체(2)와 연결관(100,200)의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밀폐부재(6)로 구성된다.
본체(2)는,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직선상의 관통로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내측 중간부의 내주면에는 환턱(22)이 형성되고, 양단부의 외주면에 제1나사부(2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환턱(22)의 양측면에는 밀폐용 오링(3)이 더 설치됨으로써 두개의 연결관(100,200)의 단부와 밀착될 수 있어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제1나사부(21)는 길이방향으로 다수로 절개되어 탄성을 갖도록 한 절개탄성편(212)이 원주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개탄성 편(212)은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하여 제1나사부(21)의 직경이 끝단의 개구부(210)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함으로써 절개탄성편(212)이 탄성을 갖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용 소켓(A')은, 본체(2') 양단의 개구부의 직경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일단부의 직경은 크고 타단부의 직경이 작은 이경(異徑) 소켓으로 형성됨으로써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연결관(100,2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압착구(4)는, 내주면에 제2나사부(40)가 형성된 너트 형상이며, 본체(2,2')의 외주면 중간부위에 끼워져 배치되는데, 본체(2,2')의 양단에 마련된 제1나사부(21)에 각각 대응하도록 2개의 압착구(4)가 구비된다.
압착구(4)는 조임조작에 의해 본체(2,2')의 제1나사부(21)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절개탄성편(212)을 오므려주어 결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밀폐부재(6)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이면 적당하나, 실리콘 재질로 된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관(100,200)의 외주에 끼워진 후 본체(2,2')의 제1나사부(21)의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압착구(4)의 체결에 의한 조임력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기밀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2,2')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압착구(4)를 끼워두고, 연결관(100,200)의 단부 외주면에 밀폐부재(6)를 끼운다.
이후, 본체(2,2') 양단부에 형성된 개구부(210)를 통해 2개의 연결 관(100,200)을 끼워 결합시킨다. 이때, 연결관(100,200)을 깊숙히 끼워넣어 본체(2)의 내부에 마련된 환턱(22)까지 밀착되도록 한다(도 6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제1나사부(21)의 절개탄성편(212)이 아직 연결관(100,200)에 밀착되지 않고 벌어져 있는 상태가 되며, 밀폐부재(6)의 전단부는 제1나사부(2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압착구(4)를 나사결합에 의해 조여서 제1나사부(21)에 체결시키면, 절개탄성편(212)이 오므려지면서 연결관(100,200)에 밀착되고, 아울러 밀폐부재(6)도 함께 압착으로써 기밀한 상태로 결합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탄성편 및 밀폐부재에 의해 연결관의 외주면 전체에 밀착될 수 있어 고정면적이 넓어지므로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연결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용이하여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이 완료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7)

  1. 두 개의 연결관을 연결시키는 관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관통로가 형성되며, 양단부의 외주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부에 복수개의 절개탄성편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개재되며, 상기 제1나사부에 체결되는 압착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 중간부의 내주면에 환턱이 형성되고, 양단부의 외주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턱의 양측면에는 밀폐용 오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탄성편은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연결관의 양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밀폐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밀폐부재는 제1나사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그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그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KR1020060071609A 2006-07-28 2006-07-28 관 연결용 소켓 KR10073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609A KR100739228B1 (ko) 2006-07-28 2006-07-28 관 연결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609A KR100739228B1 (ko) 2006-07-28 2006-07-28 관 연결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228B1 true KR100739228B1 (ko) 2007-07-13

Family

ID=3850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609A KR100739228B1 (ko) 2006-07-28 2006-07-28 관 연결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2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08B1 (ko) * 2013-09-02 2014-09-17 미래화학 주식회사 패킹 삽입형 소켓관
KR20160069328A (ko) * 2014-12-08 2016-06-16 정민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KR101909857B1 (ko) * 2018-01-04 2018-10-18 전현익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CN110067625A (zh) * 2019-05-30 2019-07-30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检测天然气发动机nox排放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239Y1 (ko) * 2000-03-14 2000-08-16 코스모산업주식회사 관 접속용 연결소켓
KR100324124B1 (ko) * 1999-05-13 2002-02-20 공의식 금속관체의 관연결장치
KR100657177B1 (ko) * 2006-08-31 2006-12-15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연약지반 상수도관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124B1 (ko) * 1999-05-13 2002-02-20 공의식 금속관체의 관연결장치
KR200191239Y1 (ko) * 2000-03-14 2000-08-16 코스모산업주식회사 관 접속용 연결소켓
KR100657177B1 (ko) * 2006-08-31 2006-12-15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연약지반 상수도관 이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08B1 (ko) * 2013-09-02 2014-09-17 미래화학 주식회사 패킹 삽입형 소켓관
KR20160069328A (ko) * 2014-12-08 2016-06-16 정민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KR101635764B1 (ko) * 2014-12-08 2016-07-04 정민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KR101909857B1 (ko) * 2018-01-04 2018-10-18 전현익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CN110067625A (zh) * 2019-05-30 2019-07-30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检测天然气发动机nox排放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228B1 (ko) 관 연결용 소켓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0981565B1 (ko)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KR20100034172A (ko) 파이프 보조연결구 및 상기 파이프 보조연결구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구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JP2008208898A (ja) ホース接続のフランジ式コネクタ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KR101870214B1 (ko)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CA2911611C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KR100943787B1 (ko) 슬라이드 조임식 파이프 연결 소켓
KR20170142687A (ko) 배관 연결용 소켓 및 조인트 장치
KR200431516Y1 (ko) 하수관 커플링
KR200336225Y1 (ko) 수도관 이탈방지 이음구조
KR20060115051A (ko) 관의 연결장치
KR200254102Y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190105345A (ko) 고수압용 커플러장치
NZ529192A (en) Pipe fittings
KR200263537Y1 (ko) 링형 죔쇠용 볼 밸브
KR200436115Y1 (ko) 배관 연결구의 밀봉장치
JP3658015B2 (ja) 排水管継手
KR200376616Y1 (ko) 니플과 니플 연결부
KR200396421Y1 (ko) 편심 파이프 이음용 유니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