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328A -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328A
KR20160069328A KR1020140175149A KR20140175149A KR20160069328A KR 20160069328 A KR20160069328 A KR 20160069328A KR 1020140175149 A KR1020140175149 A KR 1020140175149A KR 20140175149 A KR20140175149 A KR 20140175149A KR 20160069328 A KR20160069328 A KR 2016006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outer socket
circumferential surface
length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764B1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riority to KR102014017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7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25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having radially directed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16L27/12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with means for locking the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in the final moun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파이프를 연결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에 있어서, 외부소켓;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소켓; 및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에 상기 내부소켓을 고정시키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너트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외부소켓의 내부에 삽입된 내부소켓과 외부소켓의 결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소켓에 삽입되는 내부소켓의 삽입깊이를 조절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정교한 시공을 원하는 배관공사에 효과적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Adjustable length connection socket}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소켓의 조임너트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외부소켓의 내부에 삽입된 내부소켓의 삽입깊이를 조절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PVC나 PE 재질의 합성수지를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직관 형태로 압출성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수관을 다수개 연속해서 연결하여 택지 또는 도로의 지하에 매설하고, 매설된 하수관은 생활하수나 오수 및 우수 등을 배출시키는 통로로 사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수관을 지하에 매설할 경우 직관 형태의 이음관에 의해 그 길이를 최대한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고, 건물의 굴곡진 부분을 통과할 경우에는 약 45° 또는 90°의 엘보 이음관을 사용하여 설치 방향을 전환한 상태에서 하수관을 계속해서 연결 및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배관공사를 한 뒤, 보수공사를 해야할 때, 보수해야할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된 각각의 관을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때, 절단된 두 관을 연결할 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관 부속이 많지 않아 관과 관끼리의 결합 부위를 정확히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수관들이 서로 연결될 때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소켓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35009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소켓과 내부소켓을 조임너트로 고정시키고, 조임너트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외부소켓의 내부에 내부소켓이 삽입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정교한 시공을 원하는 배관공사에 효과적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파이프를 연결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에 있어서, 외부소켓;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소켓; 및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에 상기 내부소켓을 고정시키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너트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외부소켓의 내부에 삽입된 내부소켓과 외부소켓의 결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소켓에 삽입되는 내부소켓의 삽입깊이를 조절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외주면 끝단에는, 상기 조임너트가 상기 외부소켓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분리되지 않도록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은, 내주면의 직경이 유지되며 외주면의 직경이 외부소켓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나사산은, 상기 외부소켓의 외주면 직경이 커지는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소켓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소켓의 일측은, 상기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고정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소켓과 외부소켓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내부소켓과 외부소켓을 밀착결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외주면에 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소켓은,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은, 상기 내부소켓이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3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3고정턱의 내측 모서리와,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소켓의 타단 내측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유체의 흐름에 따른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선처리된다.
또한, 상 내부소켓은, 중간부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소켓이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며 길이가 신장되는 신장길이의 한계점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돌출부는, 외부소켓의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소켓의 홈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정교한 시공을 원하는 배관공사에 효과적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은 외부소켓(20), 내부소켓(30) 및 조임너트(40)를 포함한다.
외부소켓(20)은 후술할 내부소켓(30)이 일측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외부소켓(20)의 타측에는, 파이프(10)가 연결된다.
이때, 외부소켓(20)은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10) 형상이며, 후술할 내부소켓(30)의 지름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소켓(20)의 일측 외주면에는 조임너트(40)가 나사결합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외부소켓(20)의 일측 외주면 끝단에는, 조임너트(40)가 상기 외부소켓(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분리되지 않도록 돌출된 돌출턱(21)이 형성된다.
또한, 외부소켓(20)의 일측은, 내주면의 직경이 유지되며 외주면의 직경이 외부소켓(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커진다.
이때, 나사산은 외부소켓(20)의 외주면 직경이 커지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조임너트(40)가 나사산을 따라 외부소켓(2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외부소켓(20)의 두께에 따라 경사진 일측부분이 수평으로 변경되며 외부소켓(20)의 일측에 삽입된 내부소켓(30)을 가압함으로써, 외부소켓(20)과 내부소켓(30)이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외부소켓(20)은,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홈(23)이 형성된다.
홈(23)은 외부소켓(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조임너트(40)가 외부소켓(2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나사산부분을 가압하기 때문에 외부소켓(20)의 일측이 압축되는데 이 압축과정에서 파손이나, 찌그러짐과 같은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유동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홈(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소켓(20)의 일측은 내부소켓(30)이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3고정턱(24)이 형성된다.
이때, 제3고정턱(24)의 내측 모서리와, 외부소켓(2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소켓(30)의 타단 내측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유체의 흐름에 따른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선처리되어 형성된다.
외부소켓(20)의 타측은 파이프(10)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고정턱(22)이 형성된다. 여기서, 파이프(10)의 끝단이 제1고정턱(22)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소켓(30)은 외부소켓(2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된다. 즉, 내부소켓(30)의 타측이 외부소켓(2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되, 그 삽입되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내부소켓(30)의 일측은, 파이프(10)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고정턱(31)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소켓(30)은 중간부의 외주면에 내부소켓(30)이 외부소켓(2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며 길이가 신장되는 신장길이의 한계점을 표시하는 표시부(32)가 형성된다.
즉, 내부소켓(30)에 한계점이 표시됨으로써, 내부소켓(30)을 외부소켓(20)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임너트(40)는 외부소켓(20)의 일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외부소켓(20)의 일측 내부에 내부소켓(30)을 고정시킨다.
즉, 조임너트(4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외부소켓(20)의 내부에 삽입된 내부소켓(30)과 외부소켓(20)의 결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며, 외부소켓(20)에 삽입되는 내부소켓(30)의 삽입깊이를 조절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내부소켓(30), 외부소켓(20)은 금속관과 비금속관으로 나누어지며, 금속관에는 강관(鋼管)·주철관·구리관·황동관·알루미늄관·연관(鉛管) 등이 있고, 비금속관에는 비닐관·철근콘크리트관·석면(石綿)시멘트관·도관(陶管)·애관(碍管)·고무관·목관(木管)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은 탄성부재(50)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50)는 내부소켓(30)과 외부소켓(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외부소켓(20)의 일측 내주면에 부착되어 내부소켓(30)과 외부소켓(20)을 밀착결합시킨다.
이때, 탄성부재(50)는 외주면에 돌출부(51)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51)는 외부소켓(20)의 홈(23)에 끼워지며, 탄성부재(50)은 외부소켓의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임너트(40)을 조이면 탄성부재(50)가 점점 두꺼워져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5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조임너트(40)를 외부소켓(2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50)의 돌출부(51)가 외부소켓(20)의 홈(23)과 완전 밀착되어 견고성과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50)가 내부소켓(3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내부소켓(30)과 외부소켓(20)이 연결된다.
여기서, 돌출부(51)를 형성시킴으로써, 돌출부(51)의 두께에 의해 더욱 더 강한 가압력으로 내부소켓(30)과 외부소켓(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파이프 20: 외부소켓
21: 돌출턱 22: 제1고정턱
23: 홈 24: 제3고정턱
30: 내부소켓 31: 제2고정턱
32: 표시부 40: 조임너트
50: 탄성부재 51: 돌출부

Claims (10)

  1. 파이프를 연결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에 있어서,
    외부소켓;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소켓; 및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에 상기 내부소켓을 고정시키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너트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외부소켓의 내부에 삽입된 내부소켓과 외부소켓의 결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소켓에 삽입되는 내부소켓의 삽입깊이를 조절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외주면 끝단에는, 상기 조임너트가 상기 외부소켓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분리되지 않도록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은, 내주면의 직경이 유지되며 외주면의 직경이 외부소켓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나사산은, 상기 외부소켓의 외주면 직경이 커지는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소켓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소켓의 일측은, 상기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소켓과 외부소켓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내부소켓과 외부소켓을 밀착결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외주면에 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소켓은,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은, 상기 내부소켓이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3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3고정턱의 내측 모서리와,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소켓의 타단 내측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유체의 흐름에 따른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선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소켓은,
    중간부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소켓이 상기 외부소켓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며 길이가 신장되는 신장길이의 한계점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돌출부는,
    외부소켓의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소켓의 홈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KR1020140175149A 2014-12-08 2014-12-08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KR10163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149A KR101635764B1 (ko) 2014-12-08 2014-12-08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149A KR101635764B1 (ko) 2014-12-08 2014-12-08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328A true KR20160069328A (ko) 2016-06-16
KR101635764B1 KR101635764B1 (ko) 2016-07-04

Family

ID=5635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149A KR101635764B1 (ko) 2014-12-08 2014-12-08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7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1388A (zh) * 2018-07-16 2018-09-28 飞瑞航空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无人机皮带传动系统用可调式涨紧机构
KR102063586B1 (ko) * 2019-07-11 2020-01-08 차영호 개선된 구동전압 적응형 자기유도가열기
KR20200120813A (ko) * 2019-04-12 2020-10-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에틸렌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KR20200144842A (ko) * 2019-06-19 2020-12-30 차영호 구동전압 적응형 자기유도가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9U (ja) * 1992-06-10 1994-01-14 東芝機械株式会社 多段長さ調整機能付き継手
KR100739228B1 (ko) * 2006-07-28 2007-07-13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관 연결용 소켓
KR20120129514A (ko) * 2011-05-20 2012-11-28 황혜자 슬리브 조립체
KR101435009B1 (ko) 2012-09-26 2014-10-20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회전식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9U (ja) * 1992-06-10 1994-01-14 東芝機械株式会社 多段長さ調整機能付き継手
KR100739228B1 (ko) * 2006-07-28 2007-07-13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관 연결용 소켓
KR20120129514A (ko) * 2011-05-20 2012-11-28 황혜자 슬리브 조립체
KR101435009B1 (ko) 2012-09-26 2014-10-20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회전식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1388A (zh) * 2018-07-16 2018-09-28 飞瑞航空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无人机皮带传动系统用可调式涨紧机构
KR20200120813A (ko) * 2019-04-12 2020-10-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에틸렌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KR20200144842A (ko) * 2019-06-19 2020-12-30 차영호 구동전압 적응형 자기유도가열기
KR102063586B1 (ko) * 2019-07-11 2020-01-08 차영호 개선된 구동전압 적응형 자기유도가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764B1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76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CN203560587U (zh) 弹性管卡
US20110272888A1 (en) Slip joint with clamp
KR101290291B1 (ko) 현장 여건에 따른 신축 이음이 조절되는 배수관 이음 구조
AU2015343590A1 (en) A fitting, a method for connecting corrugated tubing to a fitting and use of a fitting
US20170241578A1 (en) Pipe connecting device
CN106795986A (zh) 软管管道及软管管道的制造方法
KR20180084396A (ko)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
JP2015068448A (ja) ドレンパイプの接続構造
CN103591402A (zh) 新型双卡套式管接头
KR20110123980A (ko) 슬리브의 배관 결합구조
RU2010106188A (ru)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 корпусом арматуры
CA2911611C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KR101881210B1 (ko) 파이프 연결용 탑 조인트 링
KR20160001364U (ko) 배관 보호용 슬리브
CN203560626U (zh) 新型双卡套式管接头
KR101512276B1 (ko) 하수맨홀의 구조체
KR20160044375A (ko) 각도 조절이 간편한 새들 분수전
KR20100130463A (ko) 수도관 연결장치
FI3722650T3 (fi) Menetelmä vuodonilmaisimen asentamiseksi ja vuodonilmaisin
KR101503819B1 (ko) 조립식 이경 관로구 어댑터
CN219775063U (zh) 一种基于球形连接的铜接头
JP2014121107A (ja) ネジ無し電線管用継手
CN203847851U (zh) 一种金属与塑料复合管件连接装置
CN203010089U (zh) 一种分集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