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514A - 슬리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슬리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514A
KR20120129514A KR1020110047810A KR20110047810A KR20120129514A KR 20120129514 A KR20120129514 A KR 20120129514A KR 1020110047810 A KR1020110047810 A KR 1020110047810A KR 20110047810 A KR20110047810 A KR 20110047810A KR 20120129514 A KR20120129514 A KR 2012012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ielding plate
sleeve assembly
guid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435B1 (ko
Inventor
황혜자
이용춘
이근기
Original Assignee
황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자 filed Critical 황혜자
Priority to KR102011004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43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내부 설정 위치에 슬리브를 함께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배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결합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양 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 구비되는 제1차폐판, 제2차폐판과,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의 중심에 마련되어 상기 거푸집의 내부 설정 위치에 형성된 결합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외측면으로부터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슬리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은 나사 결합되어 나사 회전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치합되며,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나사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형성되는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슬리브 조립체는, 줄자로 상기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슬리브 조립체의 폭 치수를 줄자를 사용 일일이 확인하여 톱으로 벽체 두께에 맞게 절단하지 않고도, 상기 슬리브 조립체를 상기 거푸집에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눈금자를 이용하여 벽체 두께에 슬리브 조립체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브 조립체의 직경이 큰 것도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리브 조립체{Sleeve assembly}
본 발명은 슬리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내부 설정 위치에 함께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 통로를 형성시키는 슬리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물의 벽체에는 급 배수를 위한 수도 배관과, 가스배관, 냉 난방 배관 등이 설치되도록 배관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관 통로는 원통 형상으로 관통되며, 벽체 내부에 배관 통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배관 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전 거푸집 내부에 슬리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54790에 거푸집의 폭에 대응하여 조절 가능한 고정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수단이 마련된 슬리브는, 슬리브가 설치되는 위치 즉 거푸집 내부에서 슬리브의 폭을 거푸집의 폭에 대응하여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슬리브의 직경이 큰 경우 슬리브의 폭을 조절하면서 설정위치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로 개량된 등록 특허번호 제946388호에 기재된 발명은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연결핀이 구비된 발명으로 거푸집의 폭의 치수를 줄자로 잰 후, 상기 거푸집의 폭의 치수 길이에 맞도록 절단된 PVC관을 톱으로 잘라서 슬리브 양쪽에 스프링축, 탄성축과 연결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슬리브 연결부를 삽입 밀폐시켜 고정 후 거푸집 내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스프링축, 탄성축과 연결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슬리브 연결부를 분리하여 재사용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톱으로 PVC관을 자를 경우, 자르는 단면이 수직이 아니라 경사진 면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잘린 PVC를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잘려진 PVC관의 길이가 거푸집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서 반복적인 절단 작업이 수행되어야 했다. 따라서, 현장 작업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필요한 PVC 폐기물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름철 슬리브가 설치된 거푸집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거푸집 열이 발생되어 스프링축, 탄성축과 연결핀이 일체로 형성되는 슬리브 연결부에 변형이 발생되기 때문에 거푸집 제거 작업 시 변형된 연결핀이 함께 분리되어 작업 현장에서 손실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이러한 종래의 슬리브에 있어서, 거푸집의 폭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한 슬리브는 내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슬리브가 결합되어, 배관 통로가 형성된 후 작업자가 배관 통로 내부로 파이프 등의 배관을 삽입할 때 내경이 좁은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에 부딪혀, 삽입 작업 시 삽입 파이프가 외부로 튕겨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슬리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내부 설정 위치에 함께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 통로를 형성시키는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내부 설정 위치에 슬리브를 함께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배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슬리브 조립체에 있어서,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결합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양 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 구비되는 제1차폐판, 제2차폐판과,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의 중심에 마련되어 상기 거푸집의 내부 설정 위치에 형성된 결합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외측면으로부터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은 나사 결합되어 나사 회전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치합되며,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나사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중심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재에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차폐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과, 일 측이 상기 돌출편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 측이 상기 삽입홈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편은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 일 측 또는 대향하는 양 측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재가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길이를 제한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은 사용자가 회전수단을 끼워 넣고 상기 돌출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 회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타 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분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내경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경이 같아지도록 내부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을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마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 조립체는,
첫째,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내부에 결합되어 배관 통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거푸집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용이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에 눈금자가 형성될 경우, 상기 슬리브 조립체를 상기 거푸집에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을 서로 나사 회전시켜서, 줄자로 상기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슬리브 조립체의 폭 치수를 줄자를 사용 일일이 확인하여 톱으로 벽체 두께에 맞게 절단하지 않고도, 상기 눈금자를 이용하여 벽체 두께에 슬리브 조립체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브 조립체의 직경이 큰 것도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셋째,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배관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이 유지되어 상기 슬리브 조립체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에 형성된 분리홈에 의하여 망치등 공구를 사용하여 외부 타격으로 용이하게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이 제거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돌출부재가 가이드홈에 의하여 슬라이딩 길이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 상기 거푸집 내부의 온도가 상승됨으로 인하여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로부터 변형 및 탈거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에 형성된 눈금자와, 마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가 거푸집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가 거푸집에 장착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를 거푸집에 장착시키는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용 체결유닛을 통하여 슬리브 조립체가 체결되도록 하는 거푸집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50)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고정부(121)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100)에 형성된 눈금자(140)와, 마찰부(14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100)가 거푸집(10)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100)가 거푸집(10)에 장착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는 원통형상의 슬리브를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10) 내부 설정 위치에 함께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배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슬리브 조립체(100)에 있어서, 중공의 관 형상인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1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150)과, 상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50)의 결합상태에서 양 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를 차폐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1차폐판(120) 및 제2차폐판(160)과, 상기 제1차폐판(120)과 상기 제2차폐판(160)의 중심에서 상기 거푸집(10)의 설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110), 상기 제2하우징(150),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상기 제2차폐판(160)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 측은 상기 제2하우징(150)의 일 측과 나사 결합되도록 치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150)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110)이 회전하여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50) 사이의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하우징(110)에 눈금자(140)가 형성된다. 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설치된 거푸집(10)의 내부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50) 사이의 폭 치수를 줄자를 이용하여 확인하지 않더라도, 상기 눈금자(140)의 치수에 맞추어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폭 조절이 쉽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1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15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거리조절을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50)의 결합 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라면 어떤 체결구조로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50)이 결합상태에서 내부에 배관이나 배선 등의 작업 시,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50)의 내경 차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하우징(150)의 타 측에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경과 상기 제2하우징(150)의 내경이 같아지도록 내부방향으로 단차(1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경은 상기 제2하우징(150)에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상기 단차(161)에 의하여 상기 제2하우징(150)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단차(161) 대신에 상기 제2하우징(150)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경과 상기 제2하우징(150)의 내경을 일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하우징(110) 및 상기 제2하우징(150)을 결합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통하여 파이프를 삽입할 때, 종래와 같은 내부 단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삽입 배관이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 내부 단턱에 부딪치는 반동에 의해 파이프가 외부로 튕겨 나옴으로써 발생되는 안전사고가 해소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0)의 타 측 단부 외주면 또는 상기 제2하우징(150)의 일 측 단부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하우징(110) 및 상기 제2하우징(150)을 파지하여 회전시키는데 마찰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마찰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마찰부(145)는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50)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어느 한 하우징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10) 또는 상기 제2하우징(15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거푸집(10) 내부에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가 위치해야하는 설정 위치가 깊은 곳에 위치할 때 손으로 거푸집 내부 깊이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설치하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는 슬리브 조립체(100)를 용이하게 배치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길이가 긴 연결봉(미도시)을 파지하고 상기 연결봉과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임시로 결합하여 설정 위치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배치할 수 있도록 지그(163)가 마련된다.
상기 제1하우징(110)의 타 측에는 상기 제1차폐판(120)이 일체로 형성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150)의 타 측에는 상기 제2차폐판(160)이 일체로 형성 구비된다. 상기 차폐판들은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상기 하우징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상기 제2차폐판(160)은 상기 거푸집(10)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전 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차폐되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거푸집(10)을 제거하고, 외부 타격에 의해 제거된다.
이때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상기 제2차폐판(160)은 상기 제1하우징(110) 및 상기 제2하우징(150)의 타 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 성형 사출되며,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상기 제2차폐판(160)의 가장자리는 상기 각각의 개구부 상에서 망치 등으로 인한 외부 타격에 의해 제거가 용이하도록 분리홈(13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21)는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상기 제2차폐판(1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22)와, 상기 돌출부재(122)가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상기 제2차폐판(160)의 중심에서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시키는 가이드부재(131)와, 상기 가이드부재(131)와 상기 돌출부재(12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재(1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7)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재(122)는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상기 제2차폐판(160)의 외측으로 출입하는 돌출편(123)과, 상기 돌출편(123)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123)을 슬라이딩 시키는 가이드편(124)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편(123)은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가 상기 거푸집(10) 내부에 설치 시, 상기 거푸집(10)의 설정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11)에 끼워져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상기 설정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돌출편(123)은 상기 결합홀(11)에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122)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됨으로 원가가 낮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과정이 단순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편(124)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돌출편(123)이 형성되는 타 측 외주면에 가이드 돌기(12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26)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편(124)의 외주면에 마주하는 양 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재(122)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31)는 상기 돌출부재(122)가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제2차폐판(160)의 중심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삽입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124)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132)과 연통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126)에 대응하는 결합홈(1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33)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재(122)가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134)에 안착되어 외부충격 또는 여름철 거푸집 내부 열 상승으로 인한 상기 돌출부재(122)가 상기 가이드부재(131)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길이를 제한하도록 하는 가이드홈(13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홈(133)의 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26)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돌출부재(122)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홈(134) 상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26)가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123)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회전수단(미도시)을 끼워 넣고 상기 돌출부재(122)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홈(134)에 안착될 수 있도록 회전홈(125)이 형성된다. 예컨대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상기 회전수단을 상기 회전홈(125)에 치합시켜 사용자가 회전하면, 상기 돌출부재(122)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134)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된다.
상기 탄성부재(137)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로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131)로부터 상기 돌출부재(122)를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하우징(150)으로부터 회전에 의한 길이 변화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1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상기 거푸집(10) 내부 치수를 줄자로 확인 후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폭을 줄자로 반복획인 하지 않고, 상기 거푸집(10)의 폭에 줄자를 사용 확인한 후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길이를 상기 제1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눈금자(140) 치수에 맞게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폭 조절을 수행한 후에 상기 거푸집(10) 내부의 설치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가 콘크리트 타설 작업 전에 거푸집(10) 내부의 설정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200)이 마련된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100)를 거푸집(10)에 장착시키는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200)은 상기 거푸집(10) 내부로 진입 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양 측이 접촉하면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재(122)들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한 쌍의 안내부재(210)와, 상기 안내부재(210)들이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길이 또는 상기 거푸집(10)의 폭 너비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안내부재(210) 간의 폭을 가변시키는 거리조절바(230)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210)는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거푸집(10)의 내주면 상단에 설치되는 안내판(211)과, 상기 안내판(211)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판(213)과, 상기 경사판(213)의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215)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210)는 동일한 형상의 한 쌍이 마주하게 배치되므로 청구항에 기재된 제1안내판(211), 제1경사판(213) 및 제1지지판(215)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안내판(211)은 두께가 얇은 판재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고정부(121)가 상기 차폐판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거푸집(10)에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안내판(211)의 양 측부에는 제1통공(2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통공(212)에는 상기 거리조절바(23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안내판(211)은 상기 지지판(215)의 하단 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판(211)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거푸집(10)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경사판(213)은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양 측으로 돌출된 고정부(121)를 가압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안내판(211)과 상기 경사판(213)이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판(213)은 각각 제1경사판(213)과 제2경사판(213)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어느 한 경사판(213)만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경사지지 않은 일 측의 경사판(213)에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일 측에 구비된 상기 돌출부재(122)를 밀착시키고, 타 측의 경사진 상기 경사판(213)에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타 측에 구비된 상기 돌출부재(122)를 밀착시켜 가압시키면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215)은 상기 경사판(213)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안내판(21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안내판(211)과 상기 경사판(213)을 경사진 구조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215)에는 상기 제1통공(21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2통공(2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거리조절바(230)는 상기 제1통공(212) 및 상기 제2통공(216)을 관통하여 상기 안내부재(2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거리조절바(230)는 상기 안내부재(210)와 인접하는 다른 안내부재(210) 사이의 거리를 조절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1통공(212)은 상기 제2통공(216)과 동일 높이에 형성되나, 상기 제1통공(212)은 상기 제2통공(216)의 높이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내판(211)과 상기 지지판(215)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안내판(211)과 상기 경사판(213)을 경사진 구조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통공(212)과 상기 제2통공(216)의 높이가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브 조립체(100) 및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200)을 포함하는 거푸집(10)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300)를 제공한다.
상기 거푸집(10)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300)는 전기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와, 상기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200)을 포함하는 하나의 장치로 반복적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100)를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200)을 통하여 설치하는 설치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200)을 통하여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가 체결되도록 하는 거푸집(10)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300)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상기 거푸집(10)을 제작하고 난 후, 상기 거푸집(1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거푸집(10)의 상단 내주면에 또는 상기 거푸집(10)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거푸집(10)의 측 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슬리브 조립체용 체결유닛이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거푸집(1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거푸집(10)에는 배관 또는 배선을 위해 관통되는 배관 통로 부분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거푸집(10)의 설정 위치에는 배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가 설치되기 위한 상기 결합홀(11)이 형성된다.
그 후, 작업자는 상기 거푸집(10)의 폭의 길이를 잰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폭을 조절한다. 즉, 상기 제1하우징(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눈금자(140)를 통하여 상기 거푸집(10)의 폭보다 조금 작은 길이에 맞도록,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50)을 회전하여 그 길이를 조절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작업자가 상기 거푸집(10) 내에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폭을 줄자를 사용하여 반복적이 치수 확인과 슬리브 조립체(100)의 폭을 조절할 필요가 없고 외부에서 거푸집 폭 만큼 눈금자(140)의 치수에 맞추어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의 폭을 조절한 후 상기 거푸집(10) 내에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일일이 거푸집 폭에 맞추어 슬리브 조립체(100)를 톱으로 절단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거푸집 폭에 맞게 설치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거푸집(10)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안내부재(210)들을 적정 폭으로 조정하여 상기 안내판(211)의 외측이 상기 거푸집(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상기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200) 내부로 끼워 넣고, 수직방향 하측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를 상기 거푸집(10) 내부로 삽입한다. 이 때, 상기 돌출편(123)의 단부가 라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안내판(211)들을 따라 하방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재(122)는 상기 경사판(213)으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31)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안내판(211)을 거쳐 상기 거푸집(10)의 내벽을 따라 상기 설정 위치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설정 위치가 상기 거푸집(10) 내부에 손이 닫지 않는 깊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그(163)에 상기 연결봉을 결합하여 상기 설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 조립체(100)가 상기 설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돌출부재(122)는 상기 거푸집(10)의 마주하는 양 측 내벽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11)으로 상기 탄성부재(137)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상기 설정 위치에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거푸집(10)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10)은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벽체의 일 측에는 상기 제1차폐판(120)이 노출되고, 타 측에는 상기 제2차폐판(160)이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상기 제2차폐판(160)에 타격을 가하면 상기 분리홈(138)을 따라서 크랙이 발생하면서 상기 제1차폐판(120) 및 상기 제2차폐판(160)이 제거된다. 그러면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50)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벽체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슬리브 조립체 110 : 제1하우징
120 : 제1차폐판 121 : 고정부
122 : 돌출부재 131 : 가이드부재
137 : 탄성부재 138 : 분리홈
140 : 눈금자 145 : 마찰부
150 : 제2하우징 160 : 제2차폐판
161 : 단차 163 : 지그
200 : 슬리브 조립체의 체결유닛 210 : 안내부재
211 : 안내판 212 : 제1통공
213 : 경사판 215 : 지지판
216 : 제2통공 230 : 거리조절바
300 : 거푸집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
10 : 거푸집 11 : 결합홀

Claims (7)

  1.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내부 설정 위치에 슬리브를 함께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배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슬리브 조립체에 있어서,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는 제1하우징;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결합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양 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 구비되는 제1차폐판, 제2차폐판; 및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의 중심에 마련되어 상기 거푸집의 내부 설정 위치에 형성된 결합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외측면으로부터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슬리브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은 나사 결합되어 나사 회전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치합되며,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나사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형성되는 슬리브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중심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재에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차폐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과, 일 측이 상기 돌출편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 측이 상기 삽입홈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편은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 일 측 또는 대향하는 양 측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재가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길이를 제한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슬리브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사용자가 회전수단을 끼워 넣고 상기 돌출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 회전홈이 형성되는 슬리브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타 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차폐판과 상기 제2차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분리홈이 형성되는 슬리브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내경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경이 같아지도록 내부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슬리브 조립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을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마찰부가 형성되는 슬리브 조립체.
KR1020110047810A 2011-05-20 2011-05-20 슬리브 조립체 KR101247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810A KR101247435B1 (ko) 2011-05-20 2011-05-20 슬리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810A KR101247435B1 (ko) 2011-05-20 2011-05-20 슬리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514A true KR20120129514A (ko) 2012-11-28
KR101247435B1 KR101247435B1 (ko) 2013-03-25

Family

ID=4751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810A KR101247435B1 (ko) 2011-05-20 2011-05-20 슬리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4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7493A1 (de) * 2014-04-22 2015-10-28 Hauff-Technik GmbH & Co. KG Durchführung zum Einbau in ein Wand- oder Bodenelement
KR20160069328A (ko) * 2014-12-08 2016-06-16 정민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KR20160109542A (ko) * 2015-03-11 2016-09-21 고재용 배수관 신축이음장치
KR20190002678U (ko) * 2018-04-18 2019-10-28 고의환 외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2267974B1 (ko) * 2020-07-02 2021-06-22 김정태 표시선을 갖는 종이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20000106U (ko) * 2021-06-18 2022-01-11 김정태 표시선을 갖는 종이거푸집
KR102520981B1 (ko) * 2022-03-25 2023-04-12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설치를 위한 벽체용 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714B1 (ko) 2015-05-29 2019-08-2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KR101768716B1 (ko) * 2016-07-11 2017-08-17 이피아이주식회사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KR101769393B1 (ko) * 2016-08-11 2017-08-18 이피아이주식회사 제거가 용이한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3466B2 (ja) * 2003-05-15 2008-01-16 トーセツ株式会社 ボイド装置
KR101105714B1 (ko) * 2008-07-16 2012-01-17 고의환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7493A1 (de) * 2014-04-22 2015-10-28 Hauff-Technik GmbH & Co. KG Durchführung zum Einbau in ein Wand- oder Bodenelement
EP2937493B1 (de) 2014-04-22 2020-03-25 Hauff-Technik GmbH & Co. KG Durchführung zum einbau in ein wand- oder bodenelement
KR20160069328A (ko) * 2014-12-08 2016-06-16 정민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KR20160109542A (ko) * 2015-03-11 2016-09-21 고재용 배수관 신축이음장치
KR20190002678U (ko) * 2018-04-18 2019-10-28 고의환 외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2267974B1 (ko) * 2020-07-02 2021-06-22 김정태 표시선을 갖는 종이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20000106U (ko) * 2021-06-18 2022-01-11 김정태 표시선을 갖는 종이거푸집
KR102520981B1 (ko) * 2022-03-25 2023-04-12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설치를 위한 벽체용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435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435B1 (ko) 슬리브 조립체
KR101247414B1 (ko) 거푸집용 슬리브 조립체의 설치장치
KR101671423B1 (ko)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KR101866078B1 (ko) 철근 조립용 지그장치
KR101279699B1 (ko) 범용공작기계의 각도분할용 치구
KR200462907Y1 (ko)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1983079B1 (ko) 배관 고정구
KR20200120392A (ko) 프레타이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JP5065750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保持具
KR20170004923A (ko) 무 타이 벽체 시공용 통품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80114586A (ko) 찬넬 밴딩용 펀칭장치
US9321171B2 (en) Electrical box layout tool
JP6081843B2 (ja) 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KR20140032105A (ko) 드릴링 가공 지그
JP6559060B2 (ja) 耐震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101683850B1 (ko) 내진 및 진동에 강한 phc파일용 두부 연결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70702B1 (ko)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KR102188715B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거푸집 시공방법
KR100912108B1 (ko) 관통슬리브
KR102614716B1 (ko) 관통 슬리브
CN214772804U (zh) 一种用于预制构件的凹槽成型工装及成型模具组件
KR101619772B1 (ko) 알루미늄 거푸집 체결핀
CN215630700U (zh) 混凝土现浇结构侧壁预埋钢件固定器
KR20170022728A (ko) 거푸집 고정용 간격유지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
CN216757810U (zh) 自动三孔冲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