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716B1 -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716B1
KR101768716B1 KR1020160087445A KR20160087445A KR101768716B1 KR 101768716 B1 KR101768716 B1 KR 101768716B1 KR 1020160087445 A KR1020160087445 A KR 1020160087445A KR 20160087445 A KR20160087445 A KR 20160087445A KR 101768716 B1 KR101768716 B1 KR 10176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length
sleeve
lowe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 E04G15/065Re-usable forms with mechanical means to modify the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Abstract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는 벽체 또는 슬라브에 배관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거푸집에 설치되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 있어서, 종이로 형성되는 상부지관, 중앙지관, 하부지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지관의 양측에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상호 이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벽체 또는 슬라브에 배관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설치되는 슬리브로서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친환경적이며 외주면에 형성된 눈금부로 인해 콘크리트의 타설 깊이에 따라 슬리브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Paper Sleeve of Length Adjustable Type}
본 발명은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또는 슬라브에 배관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설치되는 슬리브로서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친환경적이며 콘크리트의 타설 깊이에 따라 슬리브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브는 벽체 또는 슬라브에 배관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제거하여 해당 위치에 건물의 배관이 원활하게 설치되도록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슬리브는 건물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원활한 설치를 위해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과정 중 슬리브가 처음 설치된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제거가 용이해야 하나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 중 슬리브의 설치 위치가 이동되어 배관의 설치가 어려워지거나 콘크리트와 함께 굳어지면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기존의 PVC관 및 강철관은 파손이 쉽고, 형상의 변화로 인해 재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함으로 자원이 낭비되며 콘크리트의 타설 깊이에 따라 현장에서 각각의 슬리브를 제작하여야 함으로 시공능률이 떨어지는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과정 중 슬리브가 처음 설치된 위치에 고정되며 슬리브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콘크리트의 타설 깊이에 따른 현장 제작이 필요 없고,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슬리브를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종이와 같은 친환경적인 소재로 형성된 슬리브의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슬리브는 거푸집의 바닥면에 원활하게 정위치되는 것과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거푸집의 바닥면에 원활하게 정위치되는 슬리브는 설치되는 위치의 정렬이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져 효과적이나 기존의 PVC관 및 강철관을 사용함으로 친환경적이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타설 깊이의 변화에 따른 슬리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각각의 슬리브를 제작하여야 함으로 시공능률이 떨어지고,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 중 슬리브의 외부가 콘크리트와 함께 굳어져 제거가 어렵거나 제거과정 중 슬리브가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어 자원이 낭비되는 어려움이 있다.
슬리브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62707호(2006.12.21)를 통해 콘크리트의 타설두께에 따라 배관슬리브의 크고 작은 한쌍의 원통관을 결합하여 슬리브의 신장조절을 간단하고 정밀하게 수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슬리브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리브는 크고 작은 한쌍의 원통관을 결합하여 슬리브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에만 그칠 뿐,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므로 파손 및 폐기시에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으며 길이 조절을 위해 연장된 원통관의 단차이와 길이 조절을 위한 돌기부로 인해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에서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슬리브가 제거된 후 매끄러운 시공표면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슬리브의 제거과정 중 파손의 우려가 있어 자원이 낭비될 수 있으며 탄성력이 있는 돌기부로 인해 슬리브의 신장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으나 슬리브의 신장 길이를 지속적으로 변경할 경우 돌기부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슬리브의 신장길이가 정위치에 유지되지 못하고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이 재질로 형성된 슬리브를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이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콘크리트의 타설 깊이에 따라 슬리브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 또는 슬라브에 배관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거푸집에 설치되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 있어서, 종이로 형성되는 상부지관, 중앙지관, 하부지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지관의 양측에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상호 이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어 개방된 일측에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상부캡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상기 중앙지관보다 큰 관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관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며 상호 마찰력에 의해 신축된 길이를 유지하고,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신축된 길이와 상기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깊이를 확인하도록 상기 상부지관, 중앙지관 및 하부지관의 외주면에 눈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의 단부에 각각 상기 중앙지관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중앙지관의 양단부에 각각 절곡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걸리면서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상기 중앙지관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상기 중앙지관보다 큰 관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중앙지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양단부가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에 각각 걸리면서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의 이격거리가 좁혀지지 않도록 하는 간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분할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일단부가 힌지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라져 상기 중앙지관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의 타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체결관의 타단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삽입에 의해 상기 체결관이 상호 고정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지관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 또는 슬라브에 배관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설치되는 슬리브로서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친환경적이며 외주면에 형성된 눈금부로 인해 콘크리트의 타설 깊이에 따라 슬리브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가 거푸집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가 거푸집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서 간격조절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서 상부캡의 다른 실시예와 간격조절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서 유로폼거푸집에 고정클립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서 유로폼거푸집에 고정클립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서 알루미늄폼거푸집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서 알루미늄폼거푸집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하기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1)는 벽체 또는 슬라브에 배관형성을 위해 콘크리트(2) 타설 이전에 거푸집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종이로 형성되는 상부지관(110), 중앙지관(120), 하부지관(130) 이루어져 상기 중앙지관(120)의 양측에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상호 이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지관(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신축지관(100)은 상부지관(110), 중앙지관(120), 하부지관(130)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신축지관(100)은 벽체 또는 슬라브에 배관형성을 위해 콘크리트(2) 타설 이전에 거푸집(미도시)에 설치되고, 콘크리트(2)의 양생이 완료된 후 제거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지관(120)의 양측에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축지관(100)의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신축지관(100)은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의 일측이 각각 상기 중앙지관(120)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호간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서 상호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어 상기 신축지관(100)의 길이가 조절된다.
전술한 신축지관(100)이 상기 거푸집에 설치된 후 상부캡(300a)이 결합되는데. 이 상부캡(300a)은 외부의 이물질 및 타설되는 콘크리트(2)가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신축지관(100)의 양측 개구부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캡(300a)은 상기 신축지관(100)의 내측에 인입되어 결합되는 캡본체(310)와 상기 캡본체(310)의 상면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신축지관(100)과 벽체 또는 거푸집을 고정하는 고정돌출부재(32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상부캡(300a)의 고정돌출부재(320)는 상기 신축지관(100)이 상기 거푸집에 정위치되어 고정되도록 내측 중앙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거푸집에 결합되는 상부캡고정바(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캡(300a)은 상기 신축지관(100)이 적용되는 거푸집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신축지관(100)의 외주면에는 눈금부(150)가 구비되는데, 이 눈금부(150)는 상기 신축지관(100)이 상기 콘크리트(2)에 타설되는 깊이와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서 신축되는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상부지관(110), 중앙지관(120) 및 하부지관(130)의 외주면에 신축되는 길이 및 콘크리트(2)에 타설되는 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눈금부(150)가 구비된다.
한편, 신축지관(100)의 구성은 전술한바가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 신축지관(100)은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의 일측 단부에 각각 단턱(140)이 형성되는데, 이 단턱(140)은 상기 중앙지관(120)을 향해 각각 절곡형성된다.
상기 중앙지관(120)의 양단부에는 걸림턱(121)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121)은 상기 중앙지관(120)의 양단부에 각각 절곡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의 단턱(140)에 걸리면서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상기 중앙지관(120)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는 간격조절부재(400)가 결합되는데, 이 간격조절부재(400)는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의 이격된 거리가 좁혀지지 않도록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은 상기 중앙지관(120)의 관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400)가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양단부가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에 각각 걸리면서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의 이격거리가 좁혀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간격조절부재(400)에는 체결관(410)이 형성되는데, 이 체결관(410)은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것으로, 분할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힌지부재(420)에 의해 결합되며 타단부가 회전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라져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관(410)에는 결합돌기(411) 및 고정홈(412)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돌기(411) 및 고정홈(412)은 체결관(410)을 상호 고정시켜주는 것으로, 체결관(410)의 타단부 일측에 결합돌기(41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관(410)의 타단부 타측에 고정홈(41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11)가 상기 고정홈(412)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관(410)이 상호 고정된다.
전술한 신축지관(100)은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도록 고정부(200)가 거푸집에 설치되는데, 이 고정부(200)는 거푸집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신축지관(100)을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나누어지는 것으로,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상기 신축지관(100)을 설치할 경우 고정부(200)는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고정핀(220)이 거푸집에 설치되고, 유로폼거푸집(3)에 상기 신축지관(100)을 설치할 경우 고정부(200)는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고정클립(210)이 거푸집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지관(100)을 고정시킨다.
전술한 고정부(200)는 신축지관(100)을 유로폼거푸집(3)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클립(210)이 유로폼거푸집(3)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고정클립(210)은 상기 유로폼거푸집(3)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신축지관(100)의 일측을 고정시키며 타측에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이 결합된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은 상기 신축지관(100)의 내측에 일측이 인입되어 결합되며 고정돌출부재(320)가 미포함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클립(210)은 일측에 볼트(미도시)가 통과체결되는 고정홀(212)을 포함하는 바닥판(211)이 형성되는데, 이 바닥판(211)은 상기 유로폼거푸집(3)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211)이 상기 유로폼거푸집(3)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홀(212)을 통과하는 볼트가 상기 유로폼거푸집(3)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클립(2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바닥판(211)의 일측에는 제1수직판(213)이 형성되는데, 이 제1수직판(213)은 상기 유로폼거푸집(3)과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신축지관(100)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211)으로 부터 상방 절곡되어 상기 유로폼거푸집(3)과 수직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수직판(213)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제2수직판(214)이 형성되는데, 이 제2수직판(214)은 상기 제1수직판(213)과 평행하게 이격된 사이공간에 상기 신축지관(100)이 삽입되어 상기 제1수직판(213)과 함께 상기 신축지관(100)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211)으로 부터 상방절곡되며 상방절곡된 일측이 상기 제1수직판(213)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전술한 고정부(200)는 신축지관(100)을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핀(220)이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고정핀(220)은 일측이 상기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상기 신축지관(100)을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핀(220)는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결합되는 수직바(221)가 형성되는데, 이 수직바(221)는 회전하며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일측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바(221)의 일측이 상기 신축지관(100)의 개구부에 결합된 상기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의 상면을 관통하며 상기 수직바(221)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선(222)으로 인해 일측이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회전되어 결합된다.
한편, 수직바(221)의 구성은 전술한바가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 수직바(221)는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과 결합되는 일측에 고정너트(225)가 결합되는데, 이 고정너트(225)는 상기 수직바(221)가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의 상면에 고정너트(225)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바(221)에 형성된 나사선(222)에 의해 상기 고정너트(225)와 수직바(221)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너트(225)를 통과하여 돌출된 수직바(221)의 일측이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결합된다.
상기 수직바(221)의 타측에는 가압부재(223)가 결합되는데, 이 가압부재(223)는 상기 신축지관(1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신축지관(100)과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게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2)가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재(223)의 일측에 상기 수직바(221)가 통과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바(22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의 상면에 위치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조임부재(2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수직바(221)의 타측에는 조임부재(224)가 결합되는데, 이 조임부재(224)는 상기 가압부재(223)를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바(221)의 타측에 상기 조임부재(224)가 결합되어 상기 수직바(221)의 나사선(222)을 따라 회전되어 하강 및 상승되고, 상기 조임부재(224)가 상기 수직바(221)의 나사선(222)을 따라 회전되어 하강함으로 상기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가압부재(223)를 가압하여 상기 신축지관(100)을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긴밀하게 고정시킨다.
전술한 신축지관(100)의 외측에는 코팅부(미도시)가 형성되는데, 이 코팅부는 상기 신축지관(100)의 내화성, 내수성 및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고분자필름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구성된 고분자필름이 적용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상기 신축지관(100)의 내화성, 내수성 및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부의 고분자필름은 10 내지 50μ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상기 코팅부의 두께가 10μm 미만인 경우 상기 신축지관(100)의 사용 및 운송 중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50μm를 초과할 경우 고가의 고분자필름으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지관(100)은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지관(110), 중앙지관(120), 하부지관(130)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상기 중앙지관(120)의 관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관(120)의 양측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호간의 마찰력에 의해 신축지관(100)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함으로 슬리브의 설치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지관(100)은 외주면에 눈금부(150)가 구비되는데, 이 눈금부(150)는 상기 신축지관(100)이 콘크리트(2)에 타설되는 깊이와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서 신축되는 길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신축지관(100)이 상기 콘크리트(2)에 타설되는 깊이와 상기 신축지관(100)의 신축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앙지관(120)의 양단부에는 걸림턱(12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의 단부에 각각 상기 중앙지관(120)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단턱(140)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슬라이딩되며 상기 걸림턱(121)과 단턱(140)으로 인해 상기 중앙지관(120)으로 부터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지관(120)의 외주면에는 간격조절부재(400)가 결합되어 양단부가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에 각각 걸리면서 상기 상부지관(110) 및 하부지관(130)의 이격거리가 좁혀지지 않게 함으로 콘크리트(2) 타설 깊이에 따른 신축지관(100)의 길이를 다양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는 상기 신축지관(100)을 상기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신축지관(100)이 고정되는 거푸집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부(200)가 다르게 적용되어 상기 신축지관(100)을 상기 거푸집에 알맞게 고정한다.
상기 신축지관(100)이 유로폼거푸집(3)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고정클립(210)이 상기 유로폼거푸집(3)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신축지관(100)은 상기 유로폼거푸집(3)에 설치된 상기 고정클립(210)의 제1수직판(213) 및 제2수직판(214)의 사이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유로폼거푸집(3)에 긴밀하게 고정되고, 상기 신축지관(100)의 일측 개구부에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이 결합되어 내측으로 이물질 및 콘크리트(2)의 인입을 방지하며 벽 또는 슬라브에 슬리브가 원활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신축지관(100)이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신축지관(10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상부캡(300)의 상면을 고정핀(220)의 일측이 관통하여 상기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결합되고, 타측에 결합된 가압부재(223)와 조임부재(224)가 상기 다른 실시예의 상부캡(300b)을 가압하여 상기 신축지관(100)이 알루미늄폼거푸집(4)에 긴밀하게 결합됨으로 내측으로 이물질 및 콘크리트(2)의 인입을 방지하며 벽 또는 슬라브에 원활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부(미도시)는 종이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신축지관(100)의 외측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신축지관(100)의 내화성, 내수성 및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1)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신축지관 110 : 상부지관
120 : 중앙지관 121 : 걸림턱
130 : 하부지관 140 : 단턱
150 : 눈금부 200 : 고정부
210 : 고정클립 211 : 바닥판
212 : 고정홀 213 : 제1수직판
214 : 제2수직판 220 : 고정핀
221 : 수직바 222 : 나사선
223 : 가압부재 224 : 조임부재
225 : 고정너트 300a : 상부캡
310 : 캡본체 320 : 고정돌출부재
400 : 간격조절부재 410 : 체결관
411 : 결합돌기 412 : 고정홈
420 : 힌지부재

Claims (7)

  1. 벽체 또는 슬라브에 배관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거푸집에 설치되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에 있어서,
    종이로 형성되는 상부지관, 중앙지관, 하부지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지관의 양측에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상호 이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상기 중앙지관보다 큰 관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관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며 상호 마찰력에 의해 신축된 길이를 유지하고,
    상기 중앙지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양단부가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에 각각 걸리면서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의 이격거리가 좁혀지지 않도록 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분할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일단부가 힌지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라져 상기 중앙지관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체결관;
    상기 체결관의 타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체결관의 타단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삽입에 의해 상기 체결관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어 개방된 일측 또는 양측에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상부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신축된 길이와 상기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깊이를 확인하도록 상기 상부지관, 중앙지관 및 하부지관의 외주면에 눈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의 단부에 각각 상기 중앙지관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단턱; 및
    상기 중앙지관의 양단부에 각각 절곡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걸리면서 상기 상부지관 및 하부지관이 상기 중앙지관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관은,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지관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KR1020160087445A 2016-07-11 2016-07-11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KR101768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45A KR101768716B1 (ko) 2016-07-11 2016-07-11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45A KR101768716B1 (ko) 2016-07-11 2016-07-11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716B1 true KR101768716B1 (ko) 2017-08-17

Family

ID=5975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445A KR101768716B1 (ko) 2016-07-11 2016-07-11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7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032B1 (ko) * 2020-07-13 2021-04-12 주식회사 영진공영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KR102301698B1 (ko) * 2020-06-04 2021-09-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KR102587557B1 (ko) 2023-05-15 2023-10-11 주식회사 파이어넷 내화채움재 일체형 관통슬리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646Y1 (ko) * 1997-12-03 2000-01-15 이재우 간격 조절용 커버링
KR100912278B1 (ko) * 2008-10-17 2009-08-17 강희준 거푸집용 간격유지대
KR100952991B1 (ko) * 2009-08-19 2010-04-16 김대현 슬리브 파이프 홀더
KR101075982B1 (ko) * 2010-10-26 2011-10-21 이피아이주식회사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성이 강화된 종이슬리브
KR101247435B1 (ko) * 2011-05-20 2013-03-25 황혜자 슬리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646Y1 (ko) * 1997-12-03 2000-01-15 이재우 간격 조절용 커버링
KR100912278B1 (ko) * 2008-10-17 2009-08-17 강희준 거푸집용 간격유지대
KR100952991B1 (ko) * 2009-08-19 2010-04-16 김대현 슬리브 파이프 홀더
KR101075982B1 (ko) * 2010-10-26 2011-10-21 이피아이주식회사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성이 강화된 종이슬리브
KR101247435B1 (ko) * 2011-05-20 2013-03-25 황혜자 슬리브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98B1 (ko) * 2020-06-04 2021-09-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KR102239032B1 (ko) * 2020-07-13 2021-04-12 주식회사 영진공영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KR102587557B1 (ko) 2023-05-15 2023-10-11 주식회사 파이어넷 내화채움재 일체형 관통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716B1 (ko)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US20220234271A1 (en) Concrete dowel placement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221986B2 (en) Method of repairing a manhole and pipes
US20160348810A1 (en) Gripp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10156546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183120B1 (ko) 배관형성을 위한 종이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배관 형성방법
US20190316341A1 (en) Cover Assembly and Methods
US10603815B2 (en) Concrete form system
KR20180002786U (ko) 건축용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장치
KR20160000331U (ko) 고정블럭 클램프장치용 클램핑볼트 조립체
KR20120005460U (ko)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KR101769393B1 (ko) 제거가 용이한 길이 조절형 지관슬리브
KR101921028B1 (ko) 거푸집구조체
JP3154893U (ja) スリーブ
KR101648698B1 (ko) 배관 서포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96578B1 (ko) 거푸집 지지 웨일러
KR200486198Y1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KR20160045470A (ko)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402443B1 (ko) Cd 전선관 지지용 인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선관 배관공사 방법
US20100171239A1 (en) Systems and method for concrete forming
KR20170056123A (ko) 콘크리트 수분의 누수 방지장치
CN108547447B (zh) 一种边模固定装置
CN216786834U (zh) 预埋锚盒
KR200478719Y1 (ko) 거푸집 프레임 고정 장치
KR100839353B1 (ko) 맨홀의 흄관연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