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857B1 -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857B1
KR101909857B1 KR1020180001270A KR20180001270A KR101909857B1 KR 101909857 B1 KR101909857 B1 KR 101909857B1 KR 1020180001270 A KR1020180001270 A KR 1020180001270A KR 20180001270 A KR20180001270 A KR 20180001270A KR 101909857 B1 KR101909857 B1 KR 10190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water
pipe
inner circumferenti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익
Original Assignee
전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익 filed Critical 전현익
Priority to KR102018000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제3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파이프들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수용 유닛; 및 상기 수용 유닛을 관통하거나 수납된 상기 파이프들의 외주면에, 상기 수용 유닛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수용 유닛 및 상기 수용 유닛과 별도로 구비된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파이프들에 의하여 형성된 외곽 프레임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은 경작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조립 및 설치 시공 일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INSTALLATION JOINT OF PHOTOVOLTAIC POWER PLANT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숙련도에 관계없이 조립 및 설치 시공 일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벼농사를 할 수 있는 지역에서는 태양광 발전과 벼농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는 추세이다.
경작지에서 벼농사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농기구 진입을 위하여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소에 비하여 태양광 패널이 높게 배치되어야 하며, 추가적으로 농작물의 일조량을 확보하기 위한 패널간 간격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는 이러한 조건들 때문에 기존의 태양광 발전소와 달리 설치 현장에서 많은 고소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일본공개특허 특개2015-216766호의 "태양광발전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다수의 관재와 조인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다수의 관재를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한 조인트가 통일성이 없이 매우 복잡하여 이를 일일이 체결하고 조립하여 시공함에 많은 시간과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5-2167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조립 및 설치 시공 일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제3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파이프들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수용 유닛; 및 상기 수용 유닛을 관통하거나 수납된 상기 파이프들의 외주면에, 상기 수용 유닛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수용 유닛 및 상기 수용 유닛과 별도로 구비된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파이프들에 의하여 형성된 외곽 프레임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은 경작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1 수구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수구에 결합된 파이프와 별개인 파이프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2 수구와, 상기 제1 수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수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제1 수구 및 상기 제2 수구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3 수구와, 상기 제3 수구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4 수구와, 상기 제3 수구 및 상기 제4 수구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5 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제3 수구와 상기 제4 수구 및 상기 제5 수구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6 수구와, 상기 제6 수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6 수구에 수납된 상기 파이프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다른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7 수구와, 상기 제6 수구 및 상기 제7 수구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8 수구와, 상기 제6 수구 및 상기 제7 수구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9 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제6 수구와 상기 제7 수구와 상기 제8 수구 및 상기 제9 수구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수용 유닛의 개방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상기 파이프가 관통하는 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잠금 캡과,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리도록 상기 잠금 캡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암나사산과, 상기 수용 유닛의 개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지나 일정 폭과 길이로 절개되어 상기 수용 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산이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려 들어감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임 슬릿 각각의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상기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외곽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3 방향으로 결합된 파이프들 중 하나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중심 컵과, 상기 중심 컵을 중심으로 상기 중심 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 컵에 수용된 파이프와 별개의 파이프들이 관통 고정되거나 수납 고정되는 주변 고정구와, 상기 중심 컵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경작지에 고정되는 고정 지주와, 상기 주변 고정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중심 컵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된 제2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을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제3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파이프들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수용 유닛; 및 상기 수용 유닛을 관통하거나 수납된 상기 파이프들의 외주면에, 상기 수용 유닛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수용 유닛 및 상기 수용 유닛과 별도로 구비된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파이프들에 의하여 형성된 외곽 프레임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은 경작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조립 및 설치 시공 일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수용 유닛과 탈착 결합되는 잠금 유닛의 구조를 통일시켜 작업 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임으로써, 시공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고소 작업 또한 대폭적으로 줄여 작업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가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V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의 주요부인 잠금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I 부분 확대 단면 개념도
도 7은 도 1의 VII 부분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가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I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V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의 주요부인 잠금 유닛(2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VI 부분 확대 단면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1의 VII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은 수용 유닛(100)과 잠금 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수용 유닛(100)은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제3 방향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파이프(300)들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것이다.
잠금 유닛(200)은 수용 유닛(100)을 관통하거나 수납된 파이프(300)들의 외주면에, 수용 유닛(100)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수용 유닛(100) 및 수용 유닛(100)과 별도로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300)들에 의하여 형성된 외곽 프레임(500)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800)을 지지하며, 외곽 프레임(500)은 경작지(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수용 유닛(100)은, 도 2와 같이 제1, 2 수구(110, 120) 및 제1, 2 브라켓(111, 121)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제1 수구(110)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300)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2 수구(120)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수구(110)에 결합된 파이프(300)와 별개인 파이프(300)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1 브라켓(111)은 제1 수구(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이며, 제2 브라켓(121)은 제2 수구(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브라켓(111)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후술할 잠금 유닛(200)은 제1 수구(110) 및 제2 수구(120)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수용 유닛(100)은, 도 3과 같이 제3, 4, 5 수구(130, 140, 15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제3 수구(130)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300)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4 수구(140)는 제3 수구(130)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300)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5 수구(150)는 제3 수구(130) 및 제4 수구(140)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300)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잠금 유닛(200)은 제3 수구(130)와 제4 수구(140) 및 제5 수구(150)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유닛(100)은, 제3 수구(130) 및 제4 수구(140)의 연결부에 장착되어 제5 수구(150)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곽 프레임(500)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리프팅 링(135)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리프팅 링(135)은 크레인 등의 인상용 기계에 연결하여 외곽 프레임(500)을 전체적으로 들어올려 운반하거나 설치 위치를 잡을 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수용 유닛(100)은, 도 4와 같이 제6, 7, 8, 9 수구(160, 170, 180, 19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제6 수구(160)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300)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7 수구(170)는 제6 수구(160)의 단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6 수구(160)에 수납된 파이프(300)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다른 파이프(300)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8 수구(180)는 제6 수구(160) 및 제7 수구(170)의 연결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300)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9 수구(190)는 제6 수구(160) 및 제7 수구(170)의 연결부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300)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잠금 유닛(200)은 제6 수구(160)와 제7 수구(170)와 제8 수구(180) 및 제9 수구(190)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잠금 유닛(200)은, 도 5와 같이 수용 유닛(100)의 개방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2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유닛(200)은, 파이프(300)가 관통하는 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잠금 캡(220)과, 수나사산(210)과 맞물리도록 잠금 캡(2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암나사산(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유닛(200)은, 수용 유닛(100)의 개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수나사산(210)이 형성된 부분을 지나 일정 폭과 길이로 절개되어 수용 유닛(10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 슬릿(2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암나사산(221)이 수나사산(210)과 맞물려 들어감에 따라, 복수의 조임 슬릿(230) 각각의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파이프(300)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것이다.
한편, 잠금 유닛(200)은, 잠금 캡(220)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미끄럼방지 홈(22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미끄럼방지 홈(222)이 형성되는 방향은, 파이프(300)가 잠금 캡(220)을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하다.
미끄럼방지 홈(222)은 작업자가 태양광 발전설비를 조립 설치하는 시공 과정에서 별도의 도구없이 잠금 캡(220)을 파지하여 수용 유닛(100)의 개방 단부 외주면에 나사 회전시켜 돌려끼울 때 손가락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체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한편, 잠금 유닛(200)은, 수나사산(210)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하는 수용 유닛(1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파이프(30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탄성 재질의 고정 패드(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 패드(240)는 조임 슬릿(230)에 의하여 분할 배치될 수도 있다.
고정 패드(240)는 잠금 캡(220)의 수용 유닛(100)에 대한 체결이 진행될 수록 더욱 밀착하여 확실한 체결 상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으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수나사산(210)이 형성된 부분을 지난 수용 유닛(10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파이프(300)의 외주면과 구름 접촉하며 파이프(300)의 관통 또는 수용을 안내하는 안내 어셈블리(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어셈블리(600)는, 파이프(300)의 원활한 안내 및 정확한 위치에 체결 고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이때, 안내 어셈블리(600)는, 수용 유닛(100)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610)과, 수용홈(61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파이프(300)의 외주면과 구름 접촉하는 원통 형상의 안내 롤러(6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어셈블리(600)는, 안내 롤러(620)의 양단부와 마주보는 수용홈(610)의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함몰 형성되는 축받이 캐비티(611, 611)와, 안내 롤러(620)를 관통하여 회전 지지하며, 양단부가 각각 축받이 캐비티(611, 611)에 수용되는 롤러 지지축(6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어셈블리(600)는, 롤러 지지축(630)의 양단부로부터 수용 유닛(100)의 외주면을 향하여 각각 연장 절곡되며 축받이 캐비티(611, 611)에 수용되는 제1 연장편(631, 6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어셈블리(600)는, 롤러 지지축(630)의 양단부로부터 수용 유닛(100)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연장 절곡되며 제1 연장편(631, 631)과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축받이 캐비티(611, 611)에 수용되는 제2 연장편(632, 6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어셈블리(600)는, 제1 연장편(631, 631)과 축받이 캐비티(611, 611)의 일 내측면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제1 스프링(640)과, 제2 연장편(632, 632)과 축받이 캐비티(611, 611)의 타 내측면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제2 스프링(650)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2 스프링(640, 65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롤러 지지축(6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안내 롤러(620)가 수용 유닛(100)에 관통되는 파이프(300)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되, 파이프(300)가 요동하여 삽입되더라도 안내 롤러(620)를 포함한 안내 어셈블리(600)는 원활한 체결 위치로 파이프(300)를 안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외곽 프레임(500)을 포함한 상부 구조물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구성을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외곽 프레임(500)에 대하여 제3 방향으로 결합된 파이프(300)들 중 하나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중심 컵(710)과, 중심 컵(710)을 중심으로 중심 컵(710)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중심 컵(710)에 수용된 파이프(300)와 별개의 파이프(300)들이 관통 고정되거나 수납 고정되는 주변 고정구(7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중심 컵(7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경작지(400)에 고정되는 고정 지주(730)와, 주변 고정구(7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 브라켓(721)과, 중심 컵(71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연결 브라켓(721)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된 제2 연결 브라켓(712)과, 제1 연결 브라켓(721)과 제2 연결 브라켓(712)을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편(7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제3 방향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파이프(300)들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수용 유닛(100); 및 수용 유닛(100)을 관통하거나 수납된 파이프(300)들의 외주면에, 수용 유닛(100)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수용 유닛(100) 및 수용 유닛(100)과 별도로 구비된 잠금 유닛(200)을 포함하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300)들에 의하여 형성된 외곽 프레임(500)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800)을 지지하며, 외곽 프레임(500)은 경작지(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조립 및 설치 시공 일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수용 유닛(100)과 탈착 결합되는 잠금 유닛(200)의 구조를 통일시켜 작업 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임으로써, 시공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고소 작업 또한 대폭적으로 줄여 작업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리프팅 링(135)을 구비함으로써, 크레인에 연결하여 태양광 패널(800)들을 포함한 외곽 프레임(500) 등을 들어올리는 공정으로 고소 작업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현장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숙련도에 관계없이 조립 및 설치 시공 일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수용 유닛
110...제1 수구
111...제1 브라켓
120...제2 수구
121...제2 브라켓
130...제3 수구
135...리프팅 링
140...제4 수구
150...제5 수구
160...제6 수구
170...제7 수구
180...제8 수구
190...제9 수구
200...잠금 유닛
210...수나사산
220...잠금 캡
221...암나사산
222...미끄럼방지 홈
230...조임 슬릿
240...고정 패드
300...파이프
400...경작지
500...외곽 프레임
600...안내 어셈블리
610...수용홈
611, 611...축받이 캐비티
620...안내 롤러
630...롤러 지지축
631, 631...제1 연장편
632, 632...제2 연장편
640...제1 스프링
650...제2 스프링
710...중심 컵
712...제2 연결 브라켓
720...주변 고정구
721...제1 연결 브라켓
730...고정 지주
740...연결편
800...태양광 패널

Claims (6)

  1.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제3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파이프들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수용 유닛;
    상기 수용 유닛을 관통하거나 수납된 상기 파이프들의 외주면에, 상기 수용 유닛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수용 유닛 및 상기 수용 유닛과 별도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수용 유닛의 개방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상기 파이프가 관통하는 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잠금 캡과,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리도록 상기 잠금 캡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암나사산과, 상기 수용 유닛의 개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지나 일정 폭과 길이로 절개되어 상기 수용 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 슬릿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 및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벗어난 상기 수용 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구름 접촉하며 상기 파이프의 관통 또는 수용을 안내하는 안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유닛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구름 접촉하는 원통 형상의 안내 롤러와,
    상기 안내 롤러의 양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함몰 형성되는 축받이 캐비티와,
    상기 안내 롤러를 관통하여 회전 지지하며, 양단부가 각각 축받이 캐비티에 수용되는 롤러 지지축과,
    상기 롤러 지지축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수용 유닛의 외주면을 향하여 각각 연장 절곡되며 상기 축받이 캐비티에 수용되는 제1 연장편과,
    상기 롤러 지지축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수용 유닛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연장 절곡되며 상기 제1 연장편과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축받이 캐비티에 수용되는 제2 연장편과,
    상기 제1 연장편과 상기 축받이 캐비티의 일 내측면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연장편과 상기 축받이 캐비티의 타 내측면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파이프들에 의하여 형성된 외곽 프레임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은 경작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암나사산이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려 들어감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임 슬릿 각각의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상기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1 수구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수구에 결합된 파이프와 별개인 파이프의 외주면이 관통되거나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2 수구와,
    상기 제1 수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수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제1 수구 및 상기 제2 수구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3 수구와,
    상기 제3 수구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4 수구와,
    상기 제3 수구 및 상기 제4 수구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5 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제3 수구와 상기 제4 수구 및 상기 제5 수구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6 수구와,
    상기 제6 수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6 수구에 수납된 상기 파이프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다른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7 수구와,
    상기 제6 수구 및 상기 제7 수구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8 수구와,
    상기 제6 수구 및 상기 제7 수구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수납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9 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제6 수구와 상기 제7 수구와 상기 제8 수구 및 상기 제9 수구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3 방향으로 결합된 파이프들 중 하나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중심 컵과,
    상기 중심 컵을 중심으로 상기 중심 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 컵에 수용된 파이프와 별개의 파이프들이 관통 고정되거나 수납 고정되는 주변 고정구와,
    상기 중심 컵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경작지에 고정되는 고정 지주와,
    상기 주변 고정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중심 컵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된 제2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을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KR1020180001270A 2018-01-04 2018-01-04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KR101909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270A KR101909857B1 (ko) 2018-01-04 2018-01-04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270A KR101909857B1 (ko) 2018-01-04 2018-01-04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857B1 true KR101909857B1 (ko) 2018-10-18

Family

ID=6413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270A KR101909857B1 (ko) 2018-01-04 2018-01-04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8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703B1 (ko) 2019-10-01 2021-01-28 (주)에이제트솔라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10135748A (ko) 2020-05-06 2021-11-16 김은일 영농병행 등의 다용도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이의 건설방법
KR20220080996A (ko) 2020-12-08 2022-06-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우수(雨水) 활용 시스템
KR20230128656A (ko) 2022-02-28 2023-09-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751A (ko) * 1997-05-26 1998-12-05 최병규 비계용 클램프
KR100739228B1 (ko) * 2006-07-28 2007-07-13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관 연결용 소켓
JP2015216766A (ja) 2014-05-09 2015-12-03 長島 彬 太陽光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751A (ko) * 1997-05-26 1998-12-05 최병규 비계용 클램프
KR100739228B1 (ko) * 2006-07-28 2007-07-13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관 연결용 소켓
JP2015216766A (ja) 2014-05-09 2015-12-03 長島 彬 太陽光発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703B1 (ko) 2019-10-01 2021-01-28 (주)에이제트솔라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10135748A (ko) 2020-05-06 2021-11-16 김은일 영농병행 등의 다용도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이의 건설방법
KR20220080996A (ko) 2020-12-08 2022-06-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우수(雨水) 활용 시스템
KR20230128656A (ko) 2022-02-28 2023-09-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857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조인트
KR101870374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모듈
US20200313611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nd Covering a Clamping Device for Solar Panel Modules
CN204578443U (zh) 太阳能跟踪设备
KR101988810B1 (ko)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US20140352208A1 (en) Grass Protector
KR20110134782A (ko) 태양전지판 경사각 수동 조절장치
KR200476176Y1 (ko)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EP2864718A1 (fr) Procédé d'installation d'une structure solaire sur une portion de sol
KR101902280B1 (ko)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분사장치
KR20200134065A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2013175520A (ja) 太陽光発電装置
JP3177622U (ja) 高設栽培用支持スタンド及び高設栽培装置
CL2013002558A1 (es) Dispositivo para la cimentacion al terreno de una estructura de soporte de colectores solares, comprende al menos un pilote con un primer y segundo extremo, unos medios de union del pilote a la estructura y que comprende un perno vinculado al pilote por un extremo inferior y a la estructura por un extremo superior roscado; y metodo para la cimentacion al terreno.
CN216452098U (zh) 种植支架
CN208490422U (zh) 一种苗木支撑杆
CN208191225U (zh) 一种农用便携式打洞机
KR101514396B1 (ko) 거치식 순환형 딸기 재배 시스템
JP3183330U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200033443A (ko) 태양광 모듈 거치대
CN215122603U (zh) 一种大棚种植用喷水灌溉设备
CN217217697U (zh) 一种农业种植用节水滴灌装置
CN213485992U (zh) 一种用于温室大棚的遮阳结构
KR20240136065A (ko) 높이 조절 기능을 갖춘 태양광 발전용 지지구조물
CN220211374U (zh) 一种装配式雾培蔬果种植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