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810B1 -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810B1
KR101988810B1 KR1020180147772A KR20180147772A KR101988810B1 KR 101988810 B1 KR101988810 B1 KR 101988810B1 KR 1020180147772 A KR1020180147772 A KR 1020180147772A KR 20180147772 A KR20180147772 A KR 20180147772A KR 101988810 B1 KR101988810 B1 KR 10198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clamp
pai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익
송기오
백진수
유재종
이재민
손진국
사진규
Original Assignee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810B1/ko
Priority to PCT/KR2019/016115 priority patent/WO20201116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작지에 고정된 제1 유닛의 상단부에 결합된 제2 유닛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들의 경사각을 제3 유닛에 의하여 조절 가능한 구조로부터, 동일한 장소에서 태양광 발전 및 경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 및 설치 등 시공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농작물의 정상적인 생장에 필요한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GROUND-MOUNTED FARMING SOLAR PHOTOVOLTAIC STRUCTURE}
본 발명은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장소에서 태양광 발전 및 경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 및 설치 등 시공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은 지구 온난화 유발 요인 중 하나인 온실가스를 배출하지도 않고, 일체의 소음이나 환경 파괴 등의 위험이 없는 기존 에너지원과는 다른 청정 에너지원이며, 고갈의 염려도 없음은 물론, 여타 풍력이나 해수력과 달리 태양광 발전설비는 설치가 자유롭고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과 벼농사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는 추세이다.
경작지에서 벼농사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농기구 진입을 위하여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소에 비하여 태양광 패널이 높게 배치되어야 하며, 추가적으로 농작물의 일조량을 확보하기 위한 패널간 간격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는 이러한 조건들 때문에 기존의 태양광 발전소와 달리 설치 현장에서 많은 고소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일본공개특허 특개2015-216766호의 "태양광발전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다수의 관재와 조인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다수의 관재를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한 조인트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이를 일일이 체결하고 조립하여 시공함에 많은 시간과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5-2167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동일한 장소에서 태양광 발전 및 경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 및 설치 등 시공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농작물의 정상적인 생장에 필요한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작지에 세워져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지지대와 직교되게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복수의 바들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달봉과, 상기 전달봉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 각각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를 구비한 연결지지봉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기 작동봉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의 경사각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대과 직교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상부 지지 바와, 상기 지지대와 직교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며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 바 하부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 바와,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 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지지 바 각각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 면을 형성하는 마감편과,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 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지지 바 각각의 중앙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하 양단 관통인 고정 각통과, 상기 고정 각통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클램핑 어셈블리와,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 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지지 바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 각각을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받침 지지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연결지지봉은 상기 패널 지지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작동봉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회동 클램프와, 상기 고정 클램프에 대하여 상기 제1 회동 클램프가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클램프와 상기 제1 회동 클램프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1 회동부와, 상기 작동봉의 상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전달봉의 중간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3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2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3 회동 클램프 상호간의 상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3 회동 클램프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2 회동부와, 상기 제3 회동 클램프를 기준으로 상기 전달봉의 전후방 양측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4 회동 클램프와, 복수의 상기 연결지지봉 각각의 하단부 외주면에 각각 장착되는 제5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4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5 회동 클램프 상호간의 상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4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5 회동 클램프 사이에 장착되는 제3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3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직선상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 각각의 전후방 양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봉과, 복수의 상기 지지부들 중 하나의 지지부와 이웃한 지지부 각각의 상기 연결봉을 서로 연결 가능한 고정 연결 어셈블리와, 복수의 상기 지지부들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3 유닛의 전달봉들을 서로 연결 가능한 이동 연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의하여 가려지는 상기 경작지의 음영구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광센서와,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입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제2 광센서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작동봉 사이에 구비되어 빛의 입사각에 따라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들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상기 작동봉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1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광센서와 상기 제2 광센서 및 상기 회전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경작지에 세워져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지지대와 직교되게 지지대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복수의 바들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지지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봉과, 작동봉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달봉과, 전달봉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부와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 각각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를 구비한 연결지지봉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작동봉의 회동에 연동하여 태양광 패널의 경사각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태양광 발전 및 경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 및 설치 등 시공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을 모듈 형태로 제작하여, 사전 작업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므로, 각 모듈들은 현장에서 간단한 조립 체결 작업만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 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이고 시공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 또한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의하여 가려지는 경작지의 음영구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광센서와, 복수의 태양광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입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제2 광센서와, 지지대와 작동봉 사이에 구비되어 빛의 입사각에 따라 복수의 태양광 패널들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대에 대하여 작동봉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제1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 및 회전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구동부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농작물의 정상적인 생장에 필요한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경작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경작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상단부와 제2 유닛 사이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도 1의 IIIa 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며, 도 3(b)는 도 2의 III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경작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3 유닛을 조작하여 태양광 패널들의 경사각 조절을 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3 유닛 중 제1 회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3 유닛 중 제2 회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3 유닛 중 제3 회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복수로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복수로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부분 측면 개념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복수로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경작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경작지(4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경작지(4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상단부와 제2 유닛(200) 사이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도 1의 IIIa 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며, 도 3(b)는 도 2의 III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평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경작지(4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을 조작하여 태양광 패널(500)들의 경사각 조절을 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 중 제1 회동부(31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 중 제2 회동부(32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 중 제3 회동부(33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복수로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복수로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부분 측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복수로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이 경작지(4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참고로, 도면에서 화살표 A, B 방향은 전후 방향을, 화살표 C,D 방향은 좌우 방향을, 화살표 E, F 방향은 상하 방향을 각각 나타내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용어 전, 후, 좌, 우, 상, 하는 전술한 각 화살표 방향을 참조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작지(400)에 고정된 제1 유닛(100)의 상단부에 결합된 제2 유닛(20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500)들의 경사각을 제3 유닛(300)에 의하여 조절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유닛(100)은 경작지(400)에 세워져 고정되는 지지대(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2 유닛(200)은 지지대(110)와 직교되게 지지대(110)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복수의 바들을 포함하는 지지부(201)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3 유닛(300)은 지지대(1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봉(301)과, 작동봉(301)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부(20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달봉(302)과, 전달봉(30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부와 지지부(201)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500) 각각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를 구비한 연결지지봉(303)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동봉(301)의 회동에 연동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이 복수의 태양광 패널(500)들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지지대(1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12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뾰족한 첨두(122, 尖頭)를 가지며, 경작지(400) 중에 매설되는 고정봉(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고정봉(120)의 상단부와 지지대(110)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대(110)의 하단부를 수용하면서 지지대(110)를 받침 지지하는 하부 수용 각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하부 수용 각관(13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경작지(400) 상에 배치되는 멈춤편(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01)는, 도 1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지대(110)과 직교하며 지지대(110)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상부 지지 바(211a, 2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1)는, 지지대(110)와 직교하며 지지대(110)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며 한 쌍의 상부 지지 바(211a, 211b) 하부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 바(212a, 2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1)는, 한 쌍의 상부 지지 바(211a, 211b)와 한 쌍의 하부 지지 바(212a, 212b) 각각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며 지지부(201)의 양단부 면을 형성하는 마감편(213a, 21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1)는, 한 쌍의 상부 지지 바(211a, 211b)와 한 쌍의 하부 지지 바(212a, 212b) 각각의 중앙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대(1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하 양단 관통인 고정 각통(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1)는, 고정 각통(214)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대(110)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클램핑 어셈블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201)는, 한 쌍의 상부 지지 바(211a, 211b)와 한 쌍의 하부 지지 바(212a, 212b)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어 복수의 태양광 패널(500) 각각을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받침 지지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230, 이하 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제3 유닛(300)의 연결지지봉(303)은 패널 지지 어셈블리(230)와 연결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클램핑 어셈블리(220)는, 도 3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고정 각통(214)의 전면 상단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블록(221, 221)과, 고정 각통(214)의 후면 상단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블록(222, 2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 어셈블리(220)는, 한 쌍의 제1 고정 블록(221, 221)의 마주보는 면에 양단부가 결합된 제1 지지축(223)과, 한 쌍의 제2 고정 블록(222, 222)의 마주보는 면에 양단부가 결합된 제2 지지축(2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 어셈블리(220)는, 제1 지지축(2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회동편(225, 225)과, 한 쌍의 제1 회동편(225, 225) 각각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고 지지대(110)의 전면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제1 후크편(225k)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어셈블리(220)는, 제2 지지축(22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회동편(226, 226)과, 한 쌍의 제2 회동편(226, 226) 각각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고 지지대(110)의 후면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후크편(226k)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핑 어셈블리(220)는, 지지대(110)를 경작지(40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지대(110)의 상단부에 지지부(201)를 임시로 걸림 고정시킨 다음, 볼트 체결 등의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설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고, 조립 체결함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아울러, 클램핑 어셈블리(220)는, 고소 작업 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대(110)의 상단부에 후술할 제3 유닛(300)이 장착된 지지부(201)를 걸림 고정시켜 지지대(110)의 상단부에 볼트 체결 등의 작업을 마무리한 다음, 지지대(110)를 세우고 경작지(400)에 고정봉(120)을 박아넣어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지지부(201)는, 한 쌍의 상부 지지 바(211a, 211b)와 한 쌍의 하부 지지 바(212a, 212b)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간격유지 바(215)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간격유지 바(215)는 한 쌍의 상부 지지 바(211a, 211b)와 한 쌍의 하부 지지 바(212a, 212b) 각각의 길이 방향에 따른 휨이나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태양광 패널(500)을 포함하는 제3 유닛(30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패널 지지 어셈블리(230)는, 다시 도 1의 확대부를 참조하면, 외측면이 한 쌍의 상부 지지 바(211a, 211b)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고, 외측면의 하단부는 한 쌍의 하부 지지 바(212a, 212b)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며, 외측면의 상단부는 한 쌍의 상부 지지 바(211a, 211b) 각각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패널 받침 바(231, 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 지지 어셈블리(230)는, 한 쌍의 패널 받침 바(231, 231) 각각의 상단부에 일측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축받이 통(232)과, 축받이 통(232)에 관통 삽입되어 양단부가 노출되며, 노출된 양단부에 각각 태양광 패널(500)의 배면이 고정되는 패널 회동축(2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지지봉(303)은 패널 회동축(233)을 회동시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패널 지지 어셈블리(230)는, 연결지지봉(303)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패널 회동축(233)을 클램핑하는 회동용 클램프(235)를 더 포함하며, 연결지지봉(303)의 회동에 따라 패널 회동축(233)과 회동용 클램프(235)가 일체로 정, 역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4 및 도 5와 같이 태양광 패널(500)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동용 클램프(235)는 축받이 통(232)으로부터 노출된 패널 회동축(233)의 양단부 중 일단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패널 회동축(233)의 양단부 중 타단부측에는 회동용 클램프(235)와 별도로 이탈방지용 클램프(234)가 장착됨으로써, 회동용 클램프(235)와 함께 패널 회동축(233)이 축받이 통으(2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크게 제1, 2, 3 회동부(31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회동부(310)는 도 1의 하측 확대부 및 도 6과 같이, 지지대(110)에 결합되어 지지부(201)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고정 클램프(311)와, 작동봉(30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회동 클램프(312)와, 고정 클램프(311)에 대하여 제1 회동 클램프(312)가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고정 클램프(311)와 제1 회동 클램프(312)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조인트(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2 회동부(320)는 도 3 및 도 7과 같이, 작동봉(301)의 상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회동 클램프(321)와, 전달봉(302)의 중간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3 회동 클램프(322)와, 제2 회동 클램프(321)와 제3 회동 클램프(322) 상호간의 상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2 회동 클램프(321)와 제3 회동 클램프(322)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3 회동부(330)는 도 1의 상측 확대부 및 도 8과 같이, 크게 복수의 제4, 5 회동 클램프(331, 332) 및 제3 조인트(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복수의 제4 회동 클램프(331)는 제3 회동 클램프(322)를 기준으로 전달봉(302)의 전후방 양측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어 복수의 태양광 패널(500)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며, 제5 회동 클램프(332)는 복수의 연결지지봉(303) 각각의 하단부 외주면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제3 조인트는 제4 회동 클램프(331)와 제5 회동 클램프(332) 상호간의 상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4 회동 클램프(331)와 제5 회동 클램프(332)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제1 회동부(310)는,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 클램프(311)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지지대(110)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는 가변 브라켓(3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동부(310)는, 가변 브라켓(313)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을 관통하며 가변 브라켓(313)의 양 외측면에 장착되는 너트(314n)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 볼트(3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동부(310)는, 스터드 볼트(314)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지지대(110)의 일측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고정접촉면(315s)을 가진 다각 기둥 형상의 고정 블록(3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동 클램프(312)는 가변 브라켓(313)에 대하여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터드 볼트(314)의 양단부에 고정된 너트(314n)를 더 죌수록 가변 브라켓(313)에 대한 고정 클램프(311)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고정 블록(315)의 고정접촉면(315s)이 지지대(11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한 가변 브라켓(313)이 지지대(110)에 대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고정 클램프(311)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변 브라켓(313)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을 관통하는 브라켓 고정축(311bs)이 관통하는 고정 본체(31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클램프(311)는, 고정 본체(311b)의 일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브라켓 고정축(311bs)의 일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1 바이스(311v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클램프(311)는, 고정 본체(311b)의 타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브라켓 고정축(311bs)의 타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2 바이스(311v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클램프(311)는, 고정 본체(311b)에 대해 회동하여 브라켓 고정축(311bs)의 일측 외주면과 내측면이 밀착된 제1 바이스(311va)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바이스(311va)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 고정봉(311f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클램프(311)는, 제1 회동 고정봉(311fa)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바이스(311va)와 교차되는 제2 바이스(311vb)의 말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제1 고정 너트(311n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클램프(311)는, 고정 본체(311b)에 대해 회동하여 브라켓 고정축(311bs)의 타측 외주면과 내측면이 밀착된 제2 바이스(311vb)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바이스(311vb)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 고정봉(311f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클램프(311)는, 제2 회동 고정봉(311fb)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제2 바이스(311vb)와 교차되는 제1 바이스(311va)의 말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제2 고정 너트(311n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조인트는 고정 본체(311b)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제1 회동 클램프(312)는, 작동봉(301)이 관통하는 제1 본체(312b)와, 제1 본체(312b)의 일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작동봉(301)의 일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3 바이스(312v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동 클램프(312)는, 제1 본체(312b)의 타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작동봉(301)의 일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4 바이스(312v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동 클램프(312)는, 제1 본체(312b)에 대해 회동하여 작동봉(301)의 일측 외주면과 내측면이 밀착된 제3 바이스(312va)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 바이스(312va)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회동 고정봉(312f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동 클램프(312)는, 제3 회동 고정봉(312fa)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제3 바이스(312va)와 교차되는 제4 바이스(312vb)의 말단부에 걸림 고정되되는 제3 고정 너트(312n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동 클램프(312)는, 제1 본체(312b)에 대해 회동하여 작동봉(301)의 타측 외주면과 내측면이 밀착된 제4 바이스(312vb)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4 바이스(312vb)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회동 고정봉(312fb)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회동 클램프(312)는, 제4 회동 고정봉(312fb)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제4 바이스(312vb)와 교차되는 제3 바이스(312va)의 말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제4 고정 너트(312n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조인트는 제1 본체(312b)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제2 회동 클램프(321)는, 도 3(b) 및 도 7을 참조하면, 작동봉(301)의 상단부가 관통하는 제2 본체(321b)와, 제2 본체(321b)의 일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작동봉(301)의 일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5 바이스(321v)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동 클램프(321)는, 제5 바이스(321v)의 말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작동봉(301)의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된 제5 바이스(321v)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5 바이스(321v)의 회동측 단부측을 향하여 젖혀져 제5 바이스(321v)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5 회동 고정봉(321f)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회동 클램프(321)는, 제5 회동 고정봉(321f)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제2 본체(321b)의 일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제5 고정 너트(321n)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조인트는 제2 본체(321b)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제3 회동 클램프(322)는, 전달봉(302)이 관통하는 제3 본체(322b)와, 제3 본체(322b)의 일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달봉(302)의 일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6 바이스(322v)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회동 클램프(322)는, 제6 바이스(322v)의 말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달봉(302)의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된 제6 바이스(322v)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6 바이스(322v)의 회동측 단부측을 향하여 젖혀져 제6 바이스(322v)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6 회동 고정봉(322f)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회동 클램프(322)는, 제6 회동 고정봉(322f)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제3 본체(322b)의 일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제6 고정 너트(322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조인트는 제3 본체(322b)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제4 회동 클램프(331)는, 도 8을 참조하면, 전달봉(302)의 일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원호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는 제4 본체(331b)와, 제4 본체(331b)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달봉(302)의 타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7 바이스(331v)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회동 클램프(331)는, 제4 본체(331b)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달봉(302)의 타측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된 제7 바이스(331v)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7 바이스(331v)의 말단부에 접촉되는 제7 회동 고정봉(331f)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회동 클램프(331)는, 제7 바이스(331v)의 말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7 회동 고정봉(331f)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봉 고정편(331p, 331p)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4 회동 클램프(331)는, 제7 회동 고정봉(331f)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제1 봉 고정편(331p, 331p)에 밀착 고정되는 제7 고정 너트(331n)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3 조인트는 제4 본체(331b)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제5 회동 클램프(332)는, 연결지지봉(303)의 일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원호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는 제5 본체(332b)와, 제5 본체(332b)의 일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연결지지봉(303)의 타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8 바이스(332v)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회동 클램프(332)는, 제5 본체(332b)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연결지지봉(303)의 타측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된 제8 바이스(332v)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8 바이스(332v)의 말단부에 접촉되는 제8 회동 고정봉(332f)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회동 클램프(332)는, 제8 바이스(332v)의 말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8 회동 고정봉(332f)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2 봉 고정편(332p, 332p)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5 회동 클램프(332)는, 제8 회동 고정봉(332f)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제2 봉 고정편(332p, 332p)에 밀착 고정되는 제8 고정 너트(332n)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3 조인트는 제5 본체(332b)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지지부(201)를 일직선상에 일렬로 배치하거나,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의 지지부(201)들을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연동하여 태양광 패널(500)의 경사각 조절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직선상에 복수로 배치되는 지지부(201) 각각의 전후방 양단부 면, 즉 마감편(213a, 213b)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봉(216a, 216b)과, 복수의 지지부(201)들 중 하나의 지지부(201)와 이웃한 지지부(201) 각각의 연결봉(216a, 216b)을 서로 연결 가능한 고정 연결 어셈블리(610)와, 복수의 지지부(201)들 각각에 구비된 제3 유닛(300)의 전달봉(302)들을 서로 연결 가능한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 연결 어셈블리(610)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이웃한 연결봉(216a, 216b)들 각각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제1 대향면(611s)을 가진 평판 형상의 고정 연결편(6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연결 어셈블리(610)는, 제1 대향면(611s)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배치되고, 이웃한 연결봉(216a, 216b)들 각각의 외주면이 관통되는 고정 연결본체(612, 6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연결 어셈블리(610)는, 고정 연결본체(612, 612) 각각의 일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웃한 연결봉(216a, 216b)들 각각의 일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고정 연결 바이스(6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연결 어셈블리(610)는, 고정 연결 바이스(613) 각각의 말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웃한 연결봉(216a, 216b)들 각각의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된 고정 연결 바이스(613)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 연결 바이스(613)의 회동측 단부측을 향하여 젖혀져 고정 연결 바이스(613) 각각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고정연결 회동 고정봉(6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연결 어셈블리(610)는, 고정 연결 회동 고정봉(120)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고정 연결본체(612, 612)의 일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연결 너트(6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도 10 및 도 12와 같이, 이웃한 전달봉(302)들(이하 제1 전달봉(302a)과 제2 전달봉(302b), 도 10 참조) 각각의 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전달 이음봉(629)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1 전달봉(302a)의 단부와 전달 이음봉(629)의 일단부 외주면과 마주보는 제2 대향면(621s)을 가진 평판 형상의 제1 이동 연결편(6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2 전달봉(302b)의 단부와 전달 이음봉(629)의 타단부 외주면과 마주보는 제3 대향면(622s)을 가진 평판 형상의 제2 이동 연결편(6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2 대향면(621s)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배치되고, 제1 전달봉(302a)의 단부 외주면과 전달 이음봉(629)의 일단부 외주면이 각각 관통되는 제1 이동 연결본체(623, 6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1 이동 연결본체(623, 623) 각각의 일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 전달봉(302a)의 단부 외주면과 전달 이음봉(629)의 일단부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1 이동 연결 바이스(625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1 이동 연결 바이스(625a) 각각의 말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 전달봉(302a)의 단부 외주면과 전달 이음봉(629)의 일단부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된 제1 이동 연결 바이스(625a)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이동 연결 바이스(625a)의 회동측 단부측을 향하여 젖혀져 제1 이동 연결본체(623, 623)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이동연결 회동 고정봉(626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1 이동연결 회동 고정봉(626a)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제1 이동 연결본체(623, 623)의 일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제1 이동연결 너트(627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3 대향면(622s)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배치되고, 제2 전달봉(302b)의 단부 외주면과 전달 이음봉(629)의 타단부 외주면이 각각 관통되는 제2 이동 연결본체(624, 6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2 이동 연결본체(624, 624) 각각의 일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 전달봉(302b)의 단부 외주면과 전달 이음봉(629)의 타단부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 제2 이동 연결 바이스(625b)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3 이동 연결 바이스 각각의 말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3 전달봉(302)의 단부 외주면과 전달 이음봉(629)의 타단부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된 제2 이동 연결 바이스(625b)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이동 연결 바이스(625b)의 회동측 단부측을 향하여 젖혀져 제2 이동 연결본체(624, 624)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2 이동연결 회동 고정봉(626b)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동 연결 어셈블리(620)는, 제2 이동연결 회동 고정봉(626b)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제2 이동 연결본체(624, 624)의 일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제2 이동연결 너트(627b)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복수의 태양광 패널(500)에 의하여 가려지는 경작지(400)의 음영구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광센서(710)와, 복수의 태양광 패널(5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입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제2 광센서(7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대(110)와 작동봉(301) 사이에 구비되어 빛의 입사각에 따라 복수의 태양광 패널(500)들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대(110)에 대하여 작동봉(301)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7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광센서(710)와 제2 광센서(720) 및 회전구동부(7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구동부(730)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1 광센서(710)는 태양광 패널(500)에 의하여 가려지는 지면의 음영구역에서의 일조량을 측정하여 제어부(750)로 전송한다.
태양광 패널(500)은 특정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 형태와 태양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태양광 패널(500)의 대면 방향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형태가 있다.
고정형의 경우에 음영구역이 특정구역에 한정되기 때문에 제1 광센서(710)도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지만, 이동형의 경우에는 태양광 패널(500)의 경사각 조절 방향에 따라 음영구역도 달라지기 때문에 복수의 제1 광센서(710)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동형의 경우에 제1 광센서(710)는 음영구역이 중첩되는 부위에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작물에 필요한 최소한의 일조량을 확보하는 방법은 제1 광센서(710)에 의하여 측정되는 일조량의 평균치가 특정기간에서 기준일조량에 미달하는 경우에 태양광 패널(500)을 회피모드로 변경하고, 기준일조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전모드로 전환하여 태양광 패널(500)이 빛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된다.
아울러, 제2 광센서(720)는 발전모드에서는 태양광 패널(500)의 방향을 제2 광센서(720)를 통하여 측정되는 입사량(입사각)이 최대(수직)가 되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회피모드에서는 농작물의 일조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패널(500) 방향을 빛의 입사각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도록 한다.
이때 태양광 패널(500)을 빛의 입사각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하는 방법은 제1 광센서(710)에 의하여 측정되는 입사량은 최대가 되면서 제2 광센서(720)에서의 입사량은 최소가 되는 방향으로 태양광 패널(500)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장소에서 태양광 발전 및 경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 및 설치 등 시공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지지대
120...고정봉
121...나사산
122...첨두
130...하부 수용 각관
140...멈춤편
200...제2 유닛
201...지지부
211a, 211b...상부 지지 바
212a, 212b...하부 지지 바
213a, 213b...마감편
214...고정 각통
215...간격유지 바
216a, 216b...연결봉
220...클램핑 어셈블리
221, 221...제1 고정 블록
222, 222...제2 고정 블록
223...제1 지지축
224...제2 지지축
225, 225...제1 회동편
225k...제1 후크편
226, 226...제2 회동편
226k...제2 후크편
230...패널 지지 어셈블리
231, 231...패널 받침 바
232...축받이 통
233...패널 회동축
234...이탈방지용 클램프
235...회동용 클램프
300...제3 유닛
301...작동봉
302...전달봉
302a...제1 전달봉
302b...제2 전달봉
303...연결지지봉
310...제1 회동부
311...고정 클램프
311b...고정 본체
311bs...브라켓 고정축
311fa...제1 회동 고정봉
311fb...제2 회동 고정봉
311na...제1 고정 너트
311nb...제2 고정 너트
311va...제1 바이스
311vb...제2 바이스
312...제1 회동 클램프
312b...제1 본체
312fa...제3 회동 고정봉
312fb...제4 회동 고정봉
312na...제3 고정 너트
312nb...제4 고정 너트
312va...제3 바이스
312vb...제4 바이스
313...가변 브라켓
314...스터드 볼트
314n...너트
315...고정 블록
315s...고정접촉면
320...제2 회동부
321...제2 회동 클램프
321b...제2 본체
321f...제5 회동 고정봉
321n...제5 고정 너트
321v...제5 바이스
322...제3 회동 클램프
322b...제3 본체
322f...제6 회동 고정봉
322n...제6 고정 너트
322v...제6 바이스
330...제3 회동부
331...제4 회동 클램프
331b...제4 본체
331f...제7 회동 고정봉
331n...제7 고정 너트
331p, 331p...제1 봉 고정편
331v...제7 바이스
332...제5 회동 클램프
332b...제5 본체
332f...제8 회동 고정봉
332n...제8 고정 너트
332p, 332p...제2 봉 고정편
332v...제8 바이스
400...경작지
500...태양광 패널
610...고정 연결 어셈블리
611...고정 연결편
611s...제1 대향면
612, 612...고정 연결본체
613...고정 연결 바이스
614...고정연결 회동 고정봉
615...고정연결 너트
620...이동 연결 어셈블리
621...제1 이동 연결편
621s...제2 대향면
622...제2 이동 연결편
622s...제3 대향면
623, 623...제1 이동 연결본체
624, 624...제2 이동 연결본체
625a...제1 이동 연결 바이스
625b...제2 이동 연결 바이스
626a...제1 이동연결 회동 고정봉
626b...제2 이동연결 회동 고정봉
627a...제1 이동연결 너트
627b...제2 이동연결 너트
629...전달 이음봉
710...제1 광센서
720...제1 광센서
730...회전구동부
750...제어부

Claims (5)

  1. 경작지에 세워져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지지대와 직교되게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복수의 바들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달봉과, 상기 전달봉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 각각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를 구비한 연결지지봉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작동봉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회동 클램프와, 상기 고정 클램프에 대하여 상기 제1 회동 클램프가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클램프와 상기 제1 회동 클램프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1 회동부와,
    상기 작동봉의 상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전달봉의 중간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3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2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3 회동 클램프 상호간의 상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3 회동 클램프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2 회동부와,
    상기 제3 회동 클램프를 기준으로 상기 전달봉의 전후방 양측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4 회동 클램프와, 복수의 상기 연결지지봉 각각의 하단부 외주면에 각각 장착되는 제5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4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5 회동 클램프 상호간의 상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4 회동 클램프와 상기 제5 회동 클램프 사이에 장착되는 제3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3 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기 작동봉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의 경사각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대과 직교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상부 지지 바와,
    상기 지지대와 직교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며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 바 하부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 바와,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 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지지 바 각각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 면을 형성하는 마감편과,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 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지지 바 각각의 중앙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하 양단 관통인 고정 각통과,
    상기 고정 각통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클램핑 어셈블리와,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 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지지 바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 각각을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받침 지지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연결지지봉은 상기 패널 지지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직선상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 각각의 전후방 양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봉과,
    복수의 상기 지지부들 중 하나의 지지부와 이웃한 지지부 각각의 상기 연결봉을 서로 연결 가능한 고정 연결 어셈블리와,
    복수의 상기 지지부들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3 유닛의 전달봉들을 서로 연결 가능한 이동 연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의하여 가려지는 상기 경작지의 음영구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광센서와,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입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제2 광센서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작동봉 사이에 구비되어 빛의 입사각에 따라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들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상기 작동봉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1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광센서와 상기 제2 광센서 및 상기 회전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KR1020180147772A 2018-11-26 2018-11-26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KR10198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772A KR101988810B1 (ko) 2018-11-26 2018-11-26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PCT/KR2019/016115 WO2020111668A1 (ko) 2018-11-26 2019-11-22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772A KR101988810B1 (ko) 2018-11-26 2018-11-26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810B1 true KR101988810B1 (ko) 2019-06-12

Family

ID=6684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772A KR101988810B1 (ko) 2018-11-26 2018-11-26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8810B1 (ko)
WO (1) WO202011166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668A1 (ko) * 2018-11-26 2020-06-04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KR102243847B1 (ko) * 2020-11-17 2021-04-22 이창무 영농형 태양광패널의 설치장치
KR20210079441A (ko) * 2019-12-19 2021-06-30 (주)아이엠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WO2021182753A1 (ko) * 2020-03-12 2021-09-16 주식회사 연호 영농형 스마트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10135748A (ko) 2020-05-06 2021-11-16 김은일 영농병행 등의 다용도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이의 건설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55B1 (ko) * 2009-03-24 2009-09-14 (주)이멕스 틸팅용 이동힌지유닛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용 지지장치용 지지장치
KR101118166B1 (ko) * 2010-11-17 2012-03-16 (주)와이앤지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건조장치
JP2015216766A (ja) 2014-05-09 2015-12-03 長島 彬 太陽光発電装置
KR101729928B1 (ko) * 2016-08-04 2017-04-25 농업회사법인 솔라팜 주식회사 솔라 쉐어링용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70374B1 (ko) * 2017-12-29 2018-08-02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9473B2 (ja) * 2003-03-18 2009-11-18 サンパワー・コーポレイション,システムズ 追尾型太陽光収集器アセンブリ
KR101988810B1 (ko) * 2018-11-26 2019-06-12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55B1 (ko) * 2009-03-24 2009-09-14 (주)이멕스 틸팅용 이동힌지유닛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용 지지장치용 지지장치
KR101118166B1 (ko) * 2010-11-17 2012-03-16 (주)와이앤지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건조장치
JP2015216766A (ja) 2014-05-09 2015-12-03 長島 彬 太陽光発電装置
KR101729928B1 (ko) * 2016-08-04 2017-04-25 농업회사법인 솔라팜 주식회사 솔라 쉐어링용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70374B1 (ko) * 2017-12-29 2018-08-02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668A1 (ko) * 2018-11-26 2020-06-04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KR20210079441A (ko) * 2019-12-19 2021-06-30 (주)아이엠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317305B1 (ko) 2019-12-19 2021-10-27 (주)아이엠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WO2021182753A1 (ko) * 2020-03-12 2021-09-16 주식회사 연호 영농형 스마트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10135748A (ko) 2020-05-06 2021-11-16 김은일 영농병행 등의 다용도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이의 건설방법
KR102368577B1 (ko) 2020-05-06 2022-02-28 김은일 영농병행 등의 다용도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이의 건설방법
KR102243847B1 (ko) * 2020-11-17 2021-04-22 이창무 영농형 태양광패널의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668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810B1 (ko) 지상 조립형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KR101201428B1 (ko) 에너지 변환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시스템
EP1604407B1 (en) Tracking solar collector assembly
KR101870374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용 모듈
US8136783B2 (en) System for assisting solar power generation
US20090199846A1 (en) Solar Roof Tracker
US10619891B2 (en) Solar tracker
KR102001242B1 (ko) 농축산지역기반 태양광 발전장치
US20080236567A1 (en) System for supporting energy conversion modules
US20100258110A1 (en) Modular Pivotable Solar Collector Arrangement
WO2008090241A1 (es) Seguidor solar de doble eje
JP2020534805A (ja) 農業施設に設置可能な太陽光発電プラント
WO2019239739A1 (ja) ソーラーハウス
EP2000750A2 (en) System comprising an array of solar collectors with solar tracking
JP3199175U (ja) ソーラーパネルを備えた栽培ハウス
JP2016103959A (ja) 太陽光発電装置
KR20200134065A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6842743B2 (ja) ソーラ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CN218678950U (zh) 一种用于农光互补的光伏跟踪支架
JP5924389B2 (ja) 太陽光パネルユニットの設置方法
KR102468256B1 (ko) 수직형 영농 태양광발전 시스템
US20230318523A1 (en) Electrical energy production plant that can be installed on structures and/or agricultural grounds
TWI626826B (zh) Solar power plant
JP3189168U (ja) ソーラーパネルを備えた栽培ハウス
BR202022001127Y1 (pt) Disposição introduzida em perfil de estruturas metálic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