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76Y1 -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76Y1
KR200476176Y1 KR2020130004981U KR20130004981U KR200476176Y1 KR 200476176 Y1 KR200476176 Y1 KR 200476176Y1 KR 2020130004981 U KR2020130004981 U KR 2020130004981U KR 20130004981 U KR20130004981 U KR 20130004981U KR 200476176 Y1 KR200476176 Y1 KR 200476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ozzle
hole
ang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954U (ko
Inventor
김의환
Original Assignee
김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환 filed Critical 김의환
Publication of KR20140000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28Centrifugal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5Rotation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 상부의 안내레일을 타고 전동이송하면서 작물에 약제를 자동으로 살포하는 자동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클램프타입으로 되어 상기 자동방제기에 노즐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는, 자동방제기(가)의 공급관(A3) 하부와 노즐관(A4) 사이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마주보는 원통형 몸체(10)를 구비하여 각 몸체에 공급관(A3)과 연결되는 유입구(11) 및 노즐관(A4)과 연결되는 유출구(12)를 마련한 다음,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몸체 내측 표면을 통해 연결되도록 연통관로(20)를 형성한 후, 그 내/외부는 패킹(30)을 구비하여 누수를 방지케 하면서, 한 쌍의 몸체(10)가 중앙 외부에서 볼트(40)와 조임너트(41)의 관통체결로 조임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각 몸체(10) 내측 표면의 바깥둘레는 회전각도에 따라 서로 대응하면서 암수결합되는 요철돌기(50)를 형성하여, 공급관(A3)으로부터 노즐관(A4)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Automatic nozzle angle adjustment device of bangjegi}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 상부의 안내레일을 타고 전동이송하면서 작물에 약제를 자동으로 살포하는 자동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클램프타입으로 되어 상기 자동방제기에 노즐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도1은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된 종래의 자동방제기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써, 이를 참조하면 자동방제기는 비닐하우스 내 상부의 안내레일(A2)을 타고 전동이송하면서 약제를 살포하며, 이를 위해 본체(A1) 전방에 설치되어 양 갈래로 나눠진 공급관(A3)의 하부에 다수의 노즐(A5)을 구비한 길쭉한 형태의 노즐관(A4)이 수평설치된다.
그러나, 종래는 노즐관이 양측으로 수평설치되어 약제를 하향살포하는바, 이는 수박, 참외와 같이 높이가 낮은 작물의 약제살포는 용이하나 오이, 호박과 같이 위로 성장하는 넝쿨작물의 경우 수직살포가 용이하나 살포방향의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약제살포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종래는 자동방제기 또는 노즐관의 전체높이를 높게 하거나, 공급관을 하부 끝이 상부로 향하도록 형태를 만들거나, 임의의 각도를 가지는 연결관을 부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각도를 변경코자 할 때마다 공급관 또는 연결관을 교체하여야 하며, 그 노즐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공급관의 하부에 회전장공을 가지는 원판 등을 장착하고, 원판으로부터 노즐관이 회동가능토록 장착하여 노즐관의 각도를 조정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원판의 부가로 인해 공급관로가 중간이 끊어지게 되는바, 이를 위해 공급관과 노즐관 사이를 호스로 연결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호스의 중간연결은 관의 연결에 비해 누수의 우려가 크고 압력을 이기지 못해 터지는 경우가 잦아 유지보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 중 출원번호 10-2006-0050978호의 "분사노즐의 높이 및 각도조정이 가능한 이동용 분사장치"의 경우 다수의 로드와 이들의 관절구성에 의해 노즐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구성의 수가 많고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며 조작이 불편할 뿐 아니라, 구조물의 내부 즉, 배관을 따라 약제를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호스를 구조물의 끝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구조물로부터 튀어나오는 호스가 거추장스러워짐은 물론 선정리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출원번호 1020060050978.
본 고안은 종래를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써, 궁극적으로는 노즐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에 따라 약제살포방향을 변경가능케 하면서도 간소한 구성과 구조 그리고 편리한 작동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동시에 중간호스의 사용이 배제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한 쌍으로 마주보는 원통형 몸체로 구비하여 각 몸체에 공급관과 연결되는 유입구 및 노즐관과 연결되는 유출구를 마련한 다음,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는 몸체 내측 표면을 통해 연결되도록 연통관로를 형성한 후, 그 내/외부는 패킹을 구비하여 누수를 방지케 하면서, 한 쌍의 몸체가 중앙 외부에서 볼트와 조임너트의 관통체결로 조임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각 몸체 내측 표면의 바깥둘레는 회전각도에 따라 서로 대응하면서 암수결합되는 요철돌기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공급관으로부터 노즐관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편의에 따라 약제살포방향이 변경가능한 효과가 있음은 물론, 요철돌기에 의해 공급관으로부터 노즐관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클램프타입으로 조임결합되기 때문에 그 각도의 조정 및 고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소한 구성과 구조 그리고 편리한 작동방식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중간호스의 사용이 완전히 배제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문제점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몸체 중 하나의 내측 정면도
도 6은 도 3의 결합 외형도
도 7는 도 3의 설치 및 작동예시도
도 8은 도 3의 또 다른 예시도
도 9는 도 3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명칭 등으로 대체한다.
본 고안은 도1과 같이 본체(A1) 전방에 양 갈래로 나눠진 공급관(A3)이 설치되고, 그 하부의 양측에 다수의 노즐(A5)을 구비한 길쭉한 형태의 노즐관(A4)이 수평설치되어 비닐하우스 내 상부의 안내레일(A2)을 타고 전동이송하면 약제를 자동살포되도록 하는 자동방제기(가)를 전제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전제부의 구성 중, 도2 내지 도5과 같이, 자동방제기(가)의 공급관(A3) 하부와 노즐관(A4) 사이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마주보는 원통형 몸체(10)를 구비하여 각 몸체에 공급관(A3)과 연결되는 유입구(11) 및 노즐관(A4)과 연결되는 유출구(12)를 마련한 다음,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몸체 내측 표면을 통해 연결되도록 연통관로(20)를 형성한 후, 그 내/외부는 패킹(30)을 구비하여 누수를 방지케 하면서, 한 쌍의 몸체(10)가 중앙 외부에서 볼트(40)와 조임너트(41)의 관통체결로 조임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각 몸체(10) 내측 표면의 바깥둘레는 회전각도에 따라 서로 대응하면서 암수결합되는 요철돌기(5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공급관(A3)으로부터 노즐관(A4)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관의 각도조정장치(1)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더욱 바람직하게 설명하면, 도3 내지 도5와 같이, 상기 유입구(11) 및 유출구(12)는, 단면상 몸체의 중간 상부에 일정깊이의 홀(21)을 형성한 다음 그 홀의 입구에 공급관(A3) 및 노즐관(A4)과 연결결합되는 체결관(21a)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관로(20)는, 상기 홀(21)의 끝단에 해당하는 몸체(10)의 내측 표면에서 연통공(22)을 관통형성한 다음, 다시 그 내측 표면에 몸체(1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깊이를 원형홈(23)을 형성하여서, 마주보는 한 쌍의 몸체(10) 원형홈(23)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패킹(30)은, 몸체(10)의 중심으로부터 원형홈(23)의 내/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40)는, 각형 볼트 머리로 되며, 한 쌍의 몸체(10) 중 일측의 몸체(10) 외면에 각형의 볼트의 머리가 고정삽입되어 볼트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볼트머리걸림홈(40a)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너트(41)는, 몸체가 손잡이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설치 및 작동방법은, 도7 내지 도8과 같이, 한 쌍의 몸체(10) 중 일측 몸체(10)은 공급관(A3)에 연결설치하고, 타측의 몸체(10)는 노즐관(A4)에 연결설치하면 설치가 완성되며, 그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조임너트(41)를 약간 풀어 요철돌기(50)가 이완되도록 한 다음, 노즐관(A4)의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변경한 한 후, 다시 조임너트(41)를 조이면 조정각도의 고정이 완성된다.
이렇게 하면,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약제살포방향이 변경가능한 효과가 있음은 물론, 요철돌기(50)에 의해 공급관(A3)으로부터 노즐관(A4)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클램프타입으로 조임결합되기 때문에 그 각도의 조정 및 고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소한 구성과 구조 그리고 편리한 작동방식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중간호스의 적용이 완전히 배제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문제점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각도를 조정케 하는 요철돌기(50) 대신, 도6 내지 도7과 같이, 일측의 몸체(10)는 몸체(10)의 중심으로부터 다수의 반원형홈(60)을 등간격 형성하고, 타측의 몸체(10)는 상기 반원형홈(60)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탄성돌기(61)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돌기(61)는 타측 몸체(10)의 후단에 홀(62)을 형성한 다음, 그 홀(62)에 후미에 단턱(61a)을 구비한 탄성돌기(61)를 삽입한 후, 스프링(63)을 삽입한 다음, 다시 무드볼트(64)를 체결하여서 탄성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조임너트(41)를 풀지 않고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공급관(A3)을 잡고 노즐관(A4)의 각도를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면 그 힘에 의해 탄성돌기(61)가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회동이 가능해 지고, 임의의 각도가 정해지면 그 부근의 반원형홈(60)과 탄성돌기(61)를 다시 "딸깍"하면서 결합시키면 자연적으로 고정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해서 제시한 도면은 예시도로 써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도법에는 맞지 않을 수 있고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부분은 편의상 일부 삭제하였다. 이에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자동방제기(A) 본체(A1)
안내레일(A2) 공급관(A3)
노즐관(A4) 노즐(A5)
각도조정장치(1) 몸체(10)
유입구(11) 유출구(12)
연통관로(20) 홀(21)
체결관(21a) 연통공(22)
원형홈(23) 패킹(30)
볼트(40) 볼트머리걸림홈(40a)
조임너트(41) 요철돌기(50)
반원형홈(60) 탄성돌기(61)
단턱(61a) 홀(62)
스프링(63) 무드볼트(64)

Claims (3)

  1. 본체(A1) 전방에 양 갈래로 나눠진 공급관(A3)이 설치되고, 그 하부의 양측에 다수의 노즐(A5)을 구비한 길쭉한 형태의 노즐관(A4)이 수평설치되어 비닐하우스 내 상부의 안내레일(A2)을 타고 전동이송하면 약제를 자동살포되도록 하는 자동방제기(가)에 있어서,
    상기 자동방제기(가)의 공급관(A3) 하부와 노즐관(A4) 사이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마주보는 원통형 몸체(10)를 구비하여 각 몸체에 공급관(A3)과 연결되는 유입구(11) 및 노즐관(A4)과 연결되는 유출구(12)를 마련한 다음,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몸체 내측 표면을 통해 연결되도록 연통관로(20)를 형성한 후, 그 내/외부는 패킹(30)을 구비하여 누수를 방지케 하면서, 한 쌍의 몸체(10)가 중앙 외부에서 볼트(40)와 조임너트(41)의 관통체결로 조임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구(11) 및 유출구(12)는, 단면상 몸체의 중간 상부에 일정깊이의 홀(21)을 형성한 다음 그 홀의 입구에 공급관(A3) 및 노즐관(A4)과 연결결합되는 체결관(21a)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관로(20)는, 상기 홀(21)의 끝단에 해당하는 몸체(10)의 내측 표면에서 연통공(22)을 관통형성한 다음, 다시 그 내측 표면에 몸체(1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깊이를 원형홈(23)을 형성하여서, 마주보는 한 쌍의 몸체(10) 원형홈(23)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각 몸체(10) 내측 표면의 바깥둘레는, 회전각도에 따라 서로 대응하면서 암수결합되는 요철돌기(50)를 형성하여서,
    상기 공급관(A3)으로부터 노즐관(A4)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돌기(50) 대신, 일측의 몸체(10)는 몸체(10)의 중심으로부터 다수의 반원형홈(60)을 등간격 형성하고, 타측의 몸체(10)는 상기 반원형홈(60)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탄성돌기(61)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돌기(61)는 타측 몸체(10)의 후단에 홀(62)을 형성한 다음, 그 홀(62)에 후미에 단턱(61a)을 구비한 탄성돌기(61)를 삽입한 후, 스프링(63)을 삽입한 다음, 다시 무드볼트(64)를 체결하여서 탄성 작동되도록 함을 포함하는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KR2020130004981U 2012-07-31 2013-06-20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KR20047617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852U KR20120006365U (ko) 2012-07-31 2012-07-31 노즐각도 조절클램프
KR2020120006852 2012-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54U KR20140000954U (ko) 2014-02-11
KR200476176Y1 true KR200476176Y1 (ko) 2015-02-04

Family

ID=524420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852U KR20120006365U (ko) 2012-07-31 2012-07-31 노즐각도 조절클램프
KR2020130004981U KR200476176Y1 (ko) 2012-07-31 2013-06-20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852U KR20120006365U (ko) 2012-07-31 2012-07-31 노즐각도 조절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2000636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8596A (zh) * 2014-06-05 2015-04-08 贺先文 一种低碳能源原料年产3-4茬高产栽培装置
CN107750570A (zh) * 2017-11-13 2018-03-06 郭中飞 一种农业用喷洒装置
KR102243008B1 (ko) * 2020-07-31 2021-04-21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93B1 (ko) * 2014-05-23 2016-07-08 석균용 비닐하우스용 약제살포기의 약제살포관 지지장치
CN111672682B (zh) * 2020-06-19 2021-06-22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家具用高效全方位喷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500Y1 (ko) 2006-01-09 2006-03-28 김필립 각도 자유조절이 가능한 농약 살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500Y1 (ko) 2006-01-09 2006-03-28 김필립 각도 자유조절이 가능한 농약 살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8596A (zh) * 2014-06-05 2015-04-08 贺先文 一种低碳能源原料年产3-4茬高产栽培装置
CN107750570A (zh) * 2017-11-13 2018-03-06 郭中飞 一种农业用喷洒装置
KR102243008B1 (ko) * 2020-07-31 2021-04-21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365U (ko) 2012-09-12
KR20140000954U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176Y1 (ko)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AU784205B2 (en) Spraying a liquid on plants by means of a spraying assembly mounted on a pair of wires
KR20150134904A (ko) 비닐하우스용 약제살포기의 약제살포관 지지장치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JP2007259816A (ja) 水耕栽培装置
KR100866703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CN203872708U (zh) 一种可调式水利灌溉管道
US20160066519A1 (en) Safety edge and irrigation component
US20200068820A1 (en) Irrigation system
CN210840981U (zh) 一种脐橙种植用高效浇水装置
KR20120108409A (ko) 다양한 거리로의 물분사가 가능한 농업용 스프링 클러의 고효율 노즐유닛
KR101483172B1 (ko) 호스 연결구
CN220986974U (zh) 玉米植株浇灌装置
KR20120008743U (ko) 농작물 재배용 물분사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지면 고정대
US20200029516A1 (en) Drop hose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uch irrigation device to a supporting rod of an irrigation system
KR101053837B1 (ko) 농사용 살수방제 노즐
KR20080000203U (ko) 비닐하우스의 호스 고정구
CN205511372U (zh) 一种组合结构的种植用pvc管架结构
CN210298761U (zh) 一种灌溉用设备
CN204710593U (zh) 新型嵌入式自动清洗微喷头
KR20110006496U (ko) 농업용 용수분배관
CN205761939U (zh) 一种多向喷射式园林灌溉喷水机构
CN211931849U (zh) 一种自动浇花装置
CN211430403U (zh) 一种果苗灌溉装置
CN211659128U (zh) 一种厨房灭火装置用雾化喷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